KR20180103042A - 구획 관통 구조 - Google Patents

구획 관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042A
KR20180103042A KR1020187014809A KR20187014809A KR20180103042A KR 20180103042 A KR20180103042 A KR 20180103042A KR 1020187014809 A KR1020187014809 A KR 1020187014809A KR 20187014809 A KR20187014809 A KR 20187014809A KR 20180103042 A KR20180103042 A KR 20180103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main body
pipe
resin
cl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야스 나카지마
미치오 시마모토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Abstract

콘크리트 (5) 에 있어서의 구획 관통공 (38) 의 형성용으로 배치된 슬리브 (10) 와, 슬리브 (10) 를 관통하는 배관 또는 배선 (5) 을 구비한 구획 관통 구조에 있어서, 슬리브 (10) 는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의 슬리브 본체 (12) 를 구비하고, 슬리브 본체 (12) 와 배관 또는 배선 (5) 사이의 클리어런스 (C) 와 슬리브 본체 (12) 의 팽창 배율 및 잔사 경도에 대해, 하기 일반식 S 를 정의하였을 때에, S 가 0 ∼ 500 의 범위이다.
S = 1/[{(팽창 배율) × (잔사 경도)}/(클리어런스)2]
(잔사 경도의 단위는 kgf/㎠, 클리어런스의 단위는 ㎜ 이다)

Description

구획 관통 구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은, 2016년 1월 13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16-004742호 명세서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으로, 당해 명세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 중에 원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구획 관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각 층의 콘크리트 타설 바닥에 있어서, 배관 또는 배선을 층 위에서 층 아래 또는 그 반대로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구획 관통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관 또는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획 관통공을 콘크리트를 형성하지만,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는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전에 보이드 또는 슬리브라고 불리는 관을 바닥 하지 (下地) 에 설치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키고, 슬리브의 주위에 콘크리트를 흘려 넣어 콘크리트 바닥을 만들고 양생하여, 슬리브의 내부에 구획 형성되는 공동을 구획 관통공으로 하고, 배관 또는 배선을 통과시켰다. 그리고, 슬리브는 통상적으로 종이, 수지 또는 금속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양생 후에 인발 작업이 필요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구획 관통 구조에 내화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배관 또는 배선 후에 내화성의 장치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있어, 시공이 번잡하였다.
특허문헌 3 에서는 폴리염화비닐로 형성된 관통 슬리브를 사용하고 있고, 화재시에 배관과 층간 관통 슬리브 사이의 공간을 막기 위해 배관과 관통 슬리브 사이에 발포재를 별도 설치하고 있어, 역시 시공이 번잡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572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25670호 한국 특허 제10-15713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내화성과 작업성이 우수하고, 또한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이 용이한 구획 관통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콘크리트에 있어서의 구획 관통공의 형성용으로 배치된 슬리브와, 그 슬리브를 관통하는 배관 또는 배선을 구비한 구획 관통 구조로서,
상기 슬리브는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의 슬리브 본체를 구비하고,
슬리브 본체와 배관 또는 배선 사이의 클리어런스와,
슬리브 본체의 팽창 배율 및 잔사 경도에 대해,
하기 일반식 S 를 정의하였을 때에, S 가 0 ∼ 500 의 범위인 구획 관통 구조가 제공된다.
S = 1/[{(팽창 배율) × (잔사 경도)}/(클리어런스)2]
(잔사 경도의 단위는 kgf/㎠, 클리어런스의 단위는 ㎜ 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의 슬리브 본체를 구비하고, 슬리브 본체와 배관 또는 배선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10 ㎜ 이상이고, 슬리브 본체의 팽창 배율이 20 배 이상 또한 슬리브 본체의 잔사 경도가 0.2 kgf/㎠ 이상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는 열팽창성 흑연을 함유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본체의 팽창 배율이 30 배 이상 또한 슬리브 본체의 잔사 경도가 0.7 kgf/㎠ 이상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측 주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가 바닥 하지 또는 벽 하지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리브 본체가 내화성 수지 재료를 함유하고, 팽창 배율이 20 배 이상 또한 슬리브 본체의 잔사 경도가 0.5 kgf/㎠ 이상이기 때문에, 슬리브와 배관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18 ㎜ 이상이어도 구획 관통 구조의 내화성이 유지 되고, 작업자에 의한 작업성도 우수하다. 또, 슬리브 본체 자체가 내화성 수지 재료를 함유하기 때문에, 슬리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구획 관통 구조에 내화성을 부여할 수 있고, 내화성의 장치 또는 부재를 별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성도 우수하다.
도 1 은, 슬리브, 배관, 바닥 하지의 대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슬리브를 바닥면에서 본 대략 사시도이다.
도 3 의 (a) ∼ (d) 는, 도 1 의 슬리브를 사용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c) 를 덮개 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 하방에서 본 구획 관통 구조의 대략 바닥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구획 관통 구조에서 사용되는 슬리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의 (a) ∼ (d) 는, 도 5 의 슬리브를 사용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7 은, 슬리브의 다른 예의 정면도.
도 8 은, 슬리브의 다른 예의 정면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구획 관통 구조를 도 1 ∼ 도 4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에는, 콘크리트에 있어서의 구획 관통공의 형성용으로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배치되는, 슬리브 (10) 가 나타나 있다. 슬리브 (10) 는 보이드라고도 칭해진다. 슬리브 (10) 는 중공 대략 원통형의 슬리브 본체 (12)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본체 (12) 의 단면적은 슬리브 본체 (1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일정하다. 슬리브 본체 (12) 의 내주면 (14) 에 의해 개구부 (19) 가 형성되고, 구획 관통공 (38) (도 3 (b) 참조) 으로서 작용한다. 개구부 (19) 의 크기 (슬리브 본체 (12) 의 내경) 는 배관 또는 배선 (8) 의 외경보다 크고, 배관 또는 배선 (8) 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치수이다. 슬리브 (10) 의 재료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에는, 1 개 또는 복수 (도면에서는 4 개) 의 부착부 (17) 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 (17) 는 슬리브 본체 (12) 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부착부 (17) 는, 도 1 에서는 각각 슬리브 (10) 의 축 (A) 에 관하여 약 90°이간된 4 개의 부착부로 나타내고, 각 부착부 (17) 는, 바닥 하지 (2) 에 대해 슬리브 (10) 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 (18) 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바닥이 있는 사각형의 형틀 (4) 은, 콘크리트 (5) (도 3 (b) 참조) 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형틀 (4) 내에는 콘크리트 (5) 의 보강용의 철근 (R) 이 수용된다. 콘크리트 (5) 및 철근 (R) 은 바닥 하지 (2) 를 구성한다.
구멍 (18) 에는 슬리브 (10) 를 형틀 (4), 철근 (R), 또는 콘크리트 (5)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 철사 등의 금속선, 볼트, 비스, 못 등의 고정용 부재가 통과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10) 는, 금속선 등을 부착부 (17) 의 구멍 (18) 에 통과시키고, 그 금속선의 양단을 철근 (R) (도 1 참조) 에 묶음으로써, 철근 (R) 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임의 선택으로, 고정용 부재를 슬리브 (10) 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구멍 (18) 에 고정용 부재를 떼어내기 쉽게 하기 위한 그리스를 발라 두거나, 부착부 (17) 에 작업자가 손으로 힘을 가하면 부착부 (17) 의 부분이 꺾여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슬리브 (10) 는, 슬리브 본체 (12) 의 외측면에, 슬리브 본체 (12) 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리브는, 슬리브 (10) 의 축 (A) 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도 1 에서는 3 개) 리브 (12a) 와, 슬리브 (10) 의 축 (A) 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환상 (원주상) 으로 연장되는 복수 (도 1 에서는 3 개) 의 리브 (12b) 를 구비하고 있다. 리브 (12a, 12b) 는 슬리브 본체 (12) 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리브 (12a, 12b) 는, 슬리브 (10) 의 주위에 콘크리트를 흘려 넣었을 때에 콘크리트로부터 받는 힘에 대해 슬리브 (10) 가 견딜 수 있도록 슬리브 (10) 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리브 (12b) 중, 최하부의 리브 (12b) 는,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보다 약간 높은 위치 (예를 들어 3 ㎜ ∼ 20 ㎜) 에 형성되어 있고, 최하부의 리브 (12b) 의 하면보다 하방의 슬리브 본체 (12) 의 부분과, 최하부의 리브 (12b) 와, (나아가서는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으로부터 돌출되는 부착부 (17) 와) 의 사이에는 공간 (12c) 이 형성된다.
도 1 로 되돌아와 참조하면, 슬리브 (10) 에는, 내부에 구멍 (31) 을 갖는 환상의 덮개 부재 (30) 가 부착된다. 덮개 부재 (30) 는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비내화성 또는 내화성의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여도 된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 (30) 는 가소제를 함유하거나 또는 함유하지 않는 염화비닐 수지이거나, 또는 고무 등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미관을 부여하도록 덮개 부재 (30) 에는 코팅 등의 마무리층이 추가로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 (30) 는, 슬리브 (10) 를 구성하는 내화성 수지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탄성을 갖는 부틸 고무 등의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내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는, 덮개 부재 (30) 는 슬리브 (10) 와는 상이한 조성의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이고, 슬리브 (10) 와는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적색, 황색, 등색, 청색, 녹색 등의 색의 착색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 야간에도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형광색이어도 된다. 덮개 부재 (30) 는 덮개 본체 (32) 와, 본체 (32) 보다 직경이 작은 레그부 (34) 를 갖는다.
덮개 부재 (30) 는 슬리브 (10) 의 일단부에 부착되고, 덮개 부재 (30) 의 내경은 배관 또는 배선 (8) 의 외경보다 크고, 덮개 부재 (30) 의 구멍 (31) 에 배관 또는 배선 (8) 이 수용된다. 덮개 본체 (32) 의 외경은 슬리브 (10) (및 슬리브 본체 (12)) 의 외경보다 크고, 레그부 (34) 의 외경은 슬리브 (10) (및 슬리브 본체 (12)) 의 내경보다 작다. 이 때문에, 덮개 본체 (12) 가 슬리브 (10) (및 슬리브 본체 (12)) 의 상단 (13a) 상에 배치되고, 레그부 (34) 가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또, 덮개 부재 (30) 는 본체 (32) 와 작은 레그부 (34) 를 통과하는 덮개 부재 (30) 를 분단하는 갈라진 틈 (33) 을 갖기 때문에, 갈라진 틈 (33) 의 위치에서 덮개 부재 (30) 의 양 단부를 파지하여 덮개 부재 (30) 를 확경시키고, 배관 또는 배선 (8) 의 주위에 감음으로써, 배관 또는 배선 (8) 을 구획 관통공 (38) 에 통과시켜 설치한 후에도 덮개 부재 (30) 를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갈라진 틈 (33) 이 절곡되고, 갈라진 틈 (33) 의 서로 대향하는 접촉면이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갈라진 틈 (33) 을 맞추었을 때의 걸어맞춤력이 강화되어, 덮개 부재 (30) 를 슬리브 (10) 에 장착한 후에, 외력에 의해 덮개 부재 (30) 가 슬리브 (10) 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리브 (10) 는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내화성 수지 재료는, 수지 성분에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과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슬리브 (10) 는,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을 단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믹서, 혼련 롤, 뇌궤기, 유성식 교반기 등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여 혼련하고, 공지된 성형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리브 (12a, 12b), 그리고 부착부 (17) 가 동일한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수지 성분으로는, 공지된 수지 성분을 널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등의 합성 수지, 고무 물질, 및 그것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1-)부텐 수지, 폴리펜텐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노볼락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고무 물질로는,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1,2-폴리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염소화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 아크릴 고무, 에피클로르하이드린 고무, 다가황 고무, 비가황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고무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합성 수지 및/또는 고무 물질은, 1 종 혹은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합성 수지 및/또는 고무 물질 중에서도, 유연하고 고무적 성질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갖는 수지 성분은 무기 충전재를 고충전할 수 있고,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이 유연하고 취급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보다 유연하고 취급하기 쉬운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부틸 등의 비가황 고무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대신에, 수지 자체의 난연성을 높여 방화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는,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은 가열시에 팽창되는 것이다. 이러한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버미큘라이트, 카올린, 마이카, 열팽창성 흑연 등을 들 수 있다. 열팽창성 흑연이란, 종래 공지된 물질로서, 천연 인상 그래파이트, 열분해 그래파이트, 키시 그래파이트 등의 분말을, 농황산, 질산, 셀렌산 등의 무기산과, 농질산, 과염소산, 과염소산염, 과망간산염, 중크롬산염, 과산화수소 등의 강산화제로 처리하여 그래파이트 층간 화합물을 생성시킨 것으로, 탄소의 층상 구조를 유지한 채로의 결정 화합물의 1 종이다.
상기와 같이 산 처리하여 얻어진 열팽창성 흑연은, 추가로 암모니아, 지방족 저급 아민,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등으로 더욱 중화시켜도 된다. 열팽창성 흑연의 입도는, 20 ∼ 200 메시가 바람직하다. 입도가 200 메시보다 수치가 크면, 흑연의 팽창도가 팽창 단열층을 얻는 데에 충분하고, 또 입도가 20 메시보다 작으면, 수지에 배합할 때의 분산성이 양호하고, 물성이 양호하다. 열팽창성 흑연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토소사 제조의「GREP-EG」, GRAFTECH 사 제조의「GRAFGUARD」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충전재는, 팽창 단열층이 형성될 때, 열 용량을 증대시켜 전열을 억제함과 함께, 골재적으로 작용하여 팽창 단열층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무기 충전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알루미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철,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페라이트 등의 금속 산화물 ;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의 함수 무기물 ;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탄산스트론튬, 탄산바륨 등의 금속 탄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무기 충전재로는, 이들 이외에, 황산칼슘, 석고 섬유, 규산칼슘 등의 칼슘염 ; 실리카, 규조토, 도소나이트, 황산바륨, 탤크, 클레이, 마이카,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활성 백토, 세피올라이트, 이모골라이트, 세리사이트, 유리 섬유, 유리 비드, 실리카계 벌룬,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규소,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탄소 섬유, 탄소 벌룬, 목탄 분말, 각종 금속 분말, 티탄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티탄산지르콘산납,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알루미늄보레이트, 황화몰리브덴, 탄화규소, 스테인리스 섬유, 붕산아연, 각종 자성 분말, 슬래그 섬유, 플라이애시, 탈수 오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무기 충전재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무기 충전재의 입경으로는, 0.5 ∼ 100 ㎛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0 ㎛ 이다. 무기 충전재는, 첨가량이 적을 때에는, 분산성이 성능을 크게 좌우하기 때문에 입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0.5 ㎛ 이상이면 분산성이 양호하다. 첨가량이 많을 때에는, 고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성형성이 저하되는데, 입경을 크게 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점에서 입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100 ㎛ 이하의 입경이 성형체의 표면성, 수지 조성물의 역학적 물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재 중, 수산화알루미늄의 구체예로는, 입경 18 ㎛ 의「하이디 라이트 H-31」(쇼와 전공사 제조), 입경 25 ㎛ 의「B325」(ALCOA 사 제조), 탄산칼슘으로는, 입경 1.8 ㎛ 의「화이톤 SB 적색」(비호쿠훈카 공업사 제조), 입경 8 ㎛ 의「BF300」(비호쿠훈카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팽창성 내화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팽창 단열층의 강도를 증가시켜 방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각 성분에 더하여, 추가로 인 화합물을 함유해도 된다. 인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적린 ; 트리페닐포스테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크실레닐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크실레닐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의 각종 인산에스테르 ;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인산마그네슘 등의 인산 금속염 ; 폴리인산암모늄 ; 하기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방화 성능의 관점에서, 적린, 폴리인산암모늄, 및 하기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성능, 안전성, 비용 등의 점에 있어서 폴리인산암모늄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화학식 (1) 중, R1 및 R3 은, 수소, 탄소수 1 ∼ 16 의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6 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R2 는, 수산기, 탄소수 1 ∼ 16 의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의 알킬기, 탄소수 1 ∼ 16 의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의 알콕실기, 탄소수 6 ∼ 16 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6 ∼ 16 의 아릴옥시기를 나타낸다.
적린으로는, 시판되는 적린을 사용할 수 있지만, 내습성, 혼련시에 자연 발화되지 않는 등의 안전성의 점에서, 적린 입자의 표면을 수지로 코팅한 것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인산암모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인산암모늄, 멜라민 변성 폴리인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지만, 취급성 등의 점에서 폴리인산암모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클라리언트사 제조의「AP422」,「AP462」, Budenheim Iberica 사 제조의「FR CROS 484」,「FR CROS 487」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메틸포스폰산, 메틸포스폰산디메틸, 메틸포스폰산디에틸, 에틸포스폰산, n-프로필포스폰산, n-부틸포스폰산, 2-메틸프로필포스폰산, t-부틸포스폰산, 2,3-디메틸-부틸포스폰산, 옥틸포스폰산, 페닐포스폰산, 디옥틸페닐포스포네이트, 디메틸포스핀산, 메틸에틸포스핀산, 메틸프로필포스핀산, 디에틸포스핀산, 디옥틸포스핀산, 페닐포스핀산, 디에틸페닐포스핀산, 디페닐포스핀산, 비스(4-메톡시페닐)포스핀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t-부틸포스폰산은 고가이기는 하지만, 고난연성의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인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을 10 ∼ 350 중량부 및 상기 무기 충전재를 30 ∼ 400 중량부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 및 상기 무기 충전재의 합계는,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50 ∼ 600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은 가열에 의해 팽창되어 내화 단열층을 형성한다. 이 배합에 의하면, 상기 열팽창성 내화재는 화재 등의 가열에 의해 팽창되어, 필요한 체적 팽창률을 얻을 수 있고, 팽창 후에는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짐과 함께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잔사를 형성할 수도 있어, 안정적인 방화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내화성 수지 재료는, 화재시 등의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그 팽창층에 의해 단열되고, 또한 그 팽창층의 강도가 있는 재료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 및 무기 충전재의 합계량은, 50 중량부 이상에서는 연소 후의 잔사량을 만족시켜 충분한 내화 성능이 얻어지고, 600 중량부 이하이면 기계적 물성이 유지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열팽창성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가소제는, 일반적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고 있는 가소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DOP), 디부틸프탈레이트 (DBP), 디헵틸프탈레이트 (DHP),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DIDP) 등의 프탈산에스테르 가소제,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DOA), 디이소부틸아디페이트 (DIBA), 디부틸아디페이트 (DBA)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가소제,
에폭시화 대두유 등의 에폭시화에스테르 가소제,
아디프산에스테르, 아디프산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 가소제,
트리-2-에틸헥실트리멜리테이트 (TOTM), 트리이소노닐트리멜리테이트 (TINTM) 등의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가소제,
트리메틸포스페이트 (TMP), 트리에틸포스페이트 (TEP), 인산과 육레질 (TCP) 등의 인산에스테르 가소제,
광유 등의 프로세스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소제에는 상기 인 화합물은 함유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는 1 종 혹은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첨가량은, 적어지면 압출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많아지면 얻어진 성형체가 지나치게 부드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가소제의 첨가량은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의 첨가량은 20 ∼ 200 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각각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페놀계, 아민계, 황계 등의 산화 방지제, 금속해 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정제, 가교제, 활제, 연화제, 안료, 점착 부여 수지, 성형 보조재 등의 첨가제, 폴리부텐, 석유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a) ∼ (d) 를 참조하면서, 슬리브 (10) 를 사용한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를 바닥 하지 (2) 에 고정시킨다. 슬리브 (10) 의 바닥 하지 (2) 로의 고정은, 예를 들어 볼트 (36) 를 슬리브 (10) 의 하단 (10b) 의 부착부 (17) 의 구멍 (18) 을 통과하여 바닥 하지 (2) 안까지 비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형틀 (4) 의 바닥부의 슬리브 (10)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배관 또는 배선 (8) (도 3(c) 참조) 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어 둔다.
다음으로, 도 3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5) 를 바닥 하지 (2) 에 흘려 넣는다. 이 도면에서는 콘크리트 (5) 의 두께 즉 높이 (H) 는,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에서 슬리브 본체 (12) 의 상단 (13a) 까지의 거리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리브 (10) 의 내측의 개구부 (19) 를 남기고, 슬리브 (10) 의 외측 주위에 콘크리트 (5) 가 타설되어 구획 관통 구조 (100) 가 완성된다. 슬리브 (10) 의 내측의 개구부 (19) 는 구획 관통공 (38) 으로서 작용한다. 여기서, 슬리브 본체 (12) 에 형성된 최하부의 리브 (12b) 는,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브 (10) 의 주위에 콘크리트 (5) 를 타설하였을 때, 최하부의 리브 (12b) 의 하면보다 하방의 슬리브 본체 (12) 의 부분과, 최하부의 리브 (12b) 와, (나아가서는 슬리브 본체 (12) 의 하단 (13b) 으로부터 돌출되는 부착부 (17)) 에 의해 형성된 공간 (12c) (도 2 참조) 에 콘크리트 (5) 가 진입하고, 슬리브 (10) 는 콘크리트 (5) 안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3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5) 를 관통하도록, 구획 관통공 (38) 을 통과하여 1 또는 복수의 배관 또는 배선 (8) 을 실시한다. 배관에는, 수도관, 냉매관, 열매관, 가스관, 흡배기관 등의 각종 배관이 포함된다. 배선에는, 전력용 케이블, 통신용 케이블 등의 각종 케이블 등의 각종 배선이 포함된다. 또한, 슬리브 본체의 상단 (13a) 에, 복수의 배관 또는 배선 (8) 의 주위를 많은, 또한 구획 관통공 (38) 을 막도록, 덮개 부재 (30) 를 장착한다.
예를 들어 도 3 (c) 에 있어서, 구획 관통 구조 (100) 의 층 아래에 있어서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도 3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0) 가 화재의 열에 의해 팽창되고,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간극을 메워 불의 진로를 막는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리브 (10) 는, 콘크리트 (5) 의 타설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내화성을 발휘하여 구획 관통 구조 (100) 에 내화성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 (10) 는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인발할 필요도 없이, 슬리브 (10) 의 설치와 동시에 내화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덮개 부재 (30) 가, 배관 또는 배선 (8) 의 외주면에 접하고, 또한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간극 사이를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구획 관통 구조 (100) 에 내화성을 더욱 부여하고 있다. 또, 도 3 (c), (d) 의 구획 관통 구조 (100) 를 위에서 보았을 때에, 덮개 부재 (30) 가 슬리브 (10) 의 위를 커버하여 배관 또는 배선 (8) 의 주위에서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간극을 막고 있기 때문에, 눈 가리개의 역할을 하여, 구획 관통공 (38) 안이 보이지 않아, 시각적으로도 미관이 유지된다. 또, 덮개 부재 (30) 로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면, 바닥 아래로부터의 소리를 저감시킬 수도 있다.
도 4 는, 도 3 (c) 를 덮개 부재 (30) 를 생략한 상태에서 하방에서 본 구획 관통 구조의 대략 바닥면도이다. 슬리브 (10) (및 슬리브 본체 (12))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간극인 클리어런스 (C) 가 10 ㎜ 이상이다. 여기서,「슬리브 본체와 배관 또는 배선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10 ㎜ 이상이다」란, 배관 또는 배선 (8) 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1 개 지점에 있어서, 클리어런스가 10 ㎜ 이상인 지점이 있으면 된다는 의미이며, 슬리브 본체와 배관 또는 배선 사이의 클리어런스 (C) 가 10 ㎜ 미만인 다른 지점이 동시에 존재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본체 (12) 내에 있어서의 배관 또는 배선 (8) 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슬리브 본체 (12)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클리어런스 (C) 가 10 ㎜ 이상이다. 클리어런스 (C) 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90 ㎜ 이하이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본체 (12)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클리어런스 (C) 가, 배관 또는 배선 (8) 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1 개 지점에 있어서 10 ㎜ 이상, 90 ㎜ 이하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본체 (12)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클리어런스 (C) 가, 배관 또는 배선 (8) 의 중심에 관하여 대향하는 (즉 배관 또는 배선 (8) 의 중심에 관하여 약 180°의 각도를 이루는) 2 개 지점에 있어서 10 ㎜ 이상, 90 ㎜ 이하이다.
또, 슬리브 본체 (12) 의 두께 (T)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5 ㎜ ∼ 50 ㎜ 이다. 구획 관통공을 보다 효과적으로 폐색하고, 또한 잔사 경도를 유지하기 위해, 슬리브의 두께 (T) 의 클리어런스 (C) 에 대한 비 (슬리브의 두께 (T) : 클리어런스 (C)) 가 5 : 1 ∼ 1 : 1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의 일반식 S 를 정의하면, S 는 0 ∼ 500 의 범위, 즉 0 이상, 500 이하이다.
S = 1/[(팽창 배율) × (잔사 경도)}/(클리어런스)2]
여기서, 잔사 경도의 단위는 kgf/㎠, 클리어런스의 단위는 ㎜ 이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S 는 0 보다 크고, 500 이하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S 는 25 이상 500 이하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S 는 0 이상, 400 이하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S 는 0 보다 크고, 400 이하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S 는 25 이상 400 이하이다.
이와 같은 S 의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슬리브 본체 (12) 의 잔사의 형상 유지성과, 구획 관통 구조의 내화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관통 구조는 상기 S 의 범위를 만족하고, 슬리브 본체 (12) 의 팽창 배율은 20 배 이상이고, 또한 슬리브 본체 (12) 의 잔사 경도가 0.2 kgf/㎠ 이상이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관통 구조는 상기 S 의 범위를 만족하고, 슬리브 본체 (12) 의 팽창 배율이 20 배 이상, 60 배 이하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관통 구조는 상기 S 의 범위를 만족하고, 슬리브 본체 (12) 의 잔사 경도가 0.5 kgf/㎠ 이상, 2 이하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관통 구조는 상기 S 의 범위를 만족하고, 슬리브 본체 (12) 의 팽창 배율이 20 배 이상, 60 배 이하이고, 또한 잔사 경도가 0.5 kgf/㎠ 이상, 2 이하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관통 구조는 상기 S 의 범위를 만족하고, 슬리브 본체 (12) 의 팽창 배율이 30 배 이상이고, 또한 슬리브 본체 (12) 의 잔사 경도가 0.7 kgf/㎠ 이상이고,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팽창 배율이 60 배 이하, 잔사 경도가 2 이하이다.
슬리브 본체 (12) 의 팽창 배율이 20 배 이상이면, 슬리브 본체와 배관 또는 배선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10 ㎜ 이상이어도, 화재에 의한 가열시에 슬리브 본체 (12) 가,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공간을 폐색하는 데에 충분한 정도로 팽창될 수 있어, 구획 관통 구조에 있어서 화염의 관통을 방지할 수 있다. 잔사 경도가 0.2 kgf/㎠ 이상이면, 가열에 의해 팽창된 슬리브 본체 (12) 의 팽창층의 강도가 유지되어, 구획 관통 구조에 있어서 화염의 관통을 방지하는 효과가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팽창 배율이 크면 잔사 경도가 작아지고, 팽창 배율이 작은 경우에는 잔사 경도는 커지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의 팽창 배율 및 잔사 경도를,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의 각 성분 및 그 배합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팽창 배율」이란, 슬리브 본체 (12) 를 구성하는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를 길이 100 ㎜, 폭 100 ㎜, 두께 2.0 ㎜ 의 치수로 절단한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 시험편을 전기로에 공급하여, 600 ℃ 에서 30 분간 가열한 후에, 시험편의 두께를 측정하고, (가열 후의 시험편의 두께)/(가열 전의 시험편의 두께) 로서 산출한 값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잔사 경도」란, 팽창 배율을 측정한 후의 시험편을, 압축 시험기 (카토 테크사 제조,「핑거 필링 테스터」) 에 공급하고, 0.25 ㎠ 의 압자로 0.1 ㎝/초의 속도로 압축하여 측정한 파단점 응력을 가리킨다.
팽창 배율 및 잔사 경도는, 슬리브 본체 (12) 를 구성하는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를 소정의 치수로 하고, 자유로운 상태, 즉 다른 부재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팽창, 가열하여 측정하고 있지만, 구획 관통 구조에 있어서 배선 또는 배관이나 콘크리트의 압력이 가해져 있는 상태의 팽창 배율 및 잔사 경도와 거동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방법으로 측정된 팽창 배율 및 잔사 경도는, 구획 관통 구조에 있어서의 내화 성능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구획 관통 구조에 대해, 도 5 ∼ 도 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구획 관통 구조가, 제 1 실시형태의 구획 관통 구조와 상이한 점은, 슬리브 (1) 가, 제 1 슬리브로서의, 열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슬리브 본체 (12) 를 갖는 슬리브 (10) 와, 비열팽창성인 제 2 슬리브 (20) 로 구성되는 슬리브 어셈블리인 점이다. 이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10) 를 제 1 슬리브 (10) 라고 칭한다.
제 1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를 구성하는 열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는,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 요컨대 수지 성분 및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제 2 슬리브 (20) 는, 비열팽창성의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고, 제 2 슬리브 (20) 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은, 슬리브 본체 (12) 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슬리브 (10) 와 제 2 슬리브 (20) 가 상이한 점은, 제 2 슬리브 (20) 가 실질적으로 열팽창성 층상 무기물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비열팽창성인 점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2 슬리브 (20) 는, 중공 대략 원통형의 슬리브 본체 (22) 와, 슬리브 본체 (22) 와 단차부 (25) 를 개재하여 연속되는 중공 대략 원통형의 확경부 (26)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 본체 (22), 단차부 (25), 및 확경부 (26) 는 동일한 비열팽창성의 재료로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고, 제 2 슬리브 (20) 는 상단 (20a) 에서 하단 (20b) 까지 연속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슬리브 (10) 는, 제 1 실시형태의 리브 (12a, b) 대신에, 슬리브 본체 (12) 의 주위에 장착된 환상 부재 (19a) 및 환상 돌부 (19b) 를 구비하고 있다. 환상 부재 (19a) 는 슬리브 본체 (12) 의 측면의 일단 (도면에서는 하단 (13a)) 으로부터 돌출되고, 환상 돌부 (19b) 는 슬리브 본체 (12) 의 단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고, 슬리브 본체 (12) 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 1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를 열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제 1 슬리브 (10) 와 콘크리트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제 1 슬리브 (10) 의 연소 잔사의 콘크리트와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단열층이 붕괴되기 어려워진다. 또, 열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의 돌출 여유가 많으면 슬리브 어셈블리가 외부 충격에 대해 변형되기 쉬워지지만, 제 2 슬리브 (20) 를 금속 등의 비열팽창성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열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의 사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적정한 가격으로 관통 슬리브 (1) 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팽창성의 슬리브 본체 (12) 를 갖는 제 1 슬리브 (10) 와 비열팽창성의 제 2 슬리브 (20) 를 조합하여 슬리브 (1) 를 구성함으로써, 슬리브 (1) 는 구획 관통 구조에 내화성을 부여하고, 나아가서는 외부 충격에 대한 강도와 콘크리트에 대한 밀착성을 겸비한다. 또, 슬리브 (1) 를 적정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슬리브 (20) 의 슬리브 본체 (22) 의 내경은, 제 1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의 내경과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작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슬리브 (10) 의 제 2 슬리브 (20) 내로의 이동 (도 5 에서 상방향으로의 이동) 은 단차부 (25) 의 둘레면, 즉 내주면 (25a) 에서 규제된다. 또, 제 1 슬리브 (10) 를 제 2 슬리브 (20) 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제 1 슬리브 (10) 가 가열에 의해 팽창되었을 때, 제 1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의 상단 (13a) 이 팽창되어 단차부 (25) 의 내주면 (25a) 에 접함으로써 제 1 슬리브 (10) 의 상방향으로의 팽창이 규제된다. 그 결과, 제 1 슬리브 (10) 에 있어서의 제 2 슬리브 (20) 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 1 슬리브 (10) 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 특히 축 방향에 대해 수직 또한 제 1 슬리브 (10) 의 내방으로의 팽창이 촉진되어, 구획 관통공 (38) 을 보다 효과적으로 폐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리브 (10) 를 제 2 슬리브 (20) 에 끼워 맞추면, 제 2 슬리브 (20) 의 하단 (20b) 이 제 1 슬리브 (10) 의 환상 돌부 (19b) 에 접한 위치에서 제 1 슬리브 (10) 의 제 2 슬리브 (20) 로의 끼워 넣음은 정지한다.
또 일례에 있어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22) 의 외경은, 제 2 슬리브 (20) 의 슬리브 본체 (22) 의 내경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슬리브 (10) 의 상단 (10a) 이 제 2 슬리브 (20) 의 단차부 (25) 에 맞닿기 때문에, 제 1 슬리브 (10) 의 제 2 슬리브 (20) 내로의 이동 (도 5 에서 상방향으로의 이동) 은 단차부 (25) 에서 보다 확실하게 규제된다. 또, 제 1 슬리브 (10) 를 제 2 슬리브 (20) 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제 1 슬리브 (10) 가 가열에 의해 팽창되었을 때, 제 1 슬리브 (10) 의 상단 (10a) 이 팽창되어 단차부 (25) 에 맞닿음으로써 제 1 슬리브 (10) 의 상방향으로의 팽창이 규제된다. 그 결과, 제 1 슬리브 (10) 에 있어서의 제 2 슬리브 (20) 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 1 슬리브 (10) 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 특히 축 방향에 대해 수직 또한 제 1 슬리브 (10) 의 내방으로의 팽창이 촉진되어, 구획 관통공 (38) 을 보다 효과적으로 폐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슬리브 (10) 를 제 2 슬리브 (20) 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제 2 슬리브 (20) 의 확경부 (26) 의 내주면 (29) 과 제 1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의 외주면 (15) 이 접촉하고, 제 1 슬리브 (10) 및 제 2 슬리브 (20) 를 서로 고정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화재시의 제 1 슬리브 (10) 와 제 2 슬리브 (20) 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제 1 슬리브 (10) 와 제 2 슬리브 (20) 사이의 불의 침입이 억제되어, 내화성이 향상된다.
또, 제 2 슬리브 (20) 의 확경부 (26) 의 내주면 (29) 혹은 제 1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의 외주면 (15) 의 적어도 일방에 환상 돌부 (19b) 를 형성해 두면 보다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 2 슬리브 (20) 의 확경부 (26) 의 내주면 (29) 과 제 1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의 외주면 (15) 의 접촉 저항이 오르고, 슬리브 (10, 20) 의 탈락 방지로 이어진다.
슬리브 (1) 의 내주면, 요컨대 제 1 슬리브 (10) 의 슬리브 본체 (12) 의 내주면 (14) 과 제 2 슬리브 (20) 의 내주면 (25) 이 개구부 (37) 를 형성하고, 구획 관통공 (38) (도 6 (B) 참조) 으로서 작용한다. 개구부 (37) 의 크기는 배관 또는 배선 (8) 의 외경보다 크고, 배관 또는 배선 (8) 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치수이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6 (C),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슬리브 (20) 의 상단 (20a) 에, 복수의 배관 또는 배선 (8) 의 주위를 덮고, 또한 구획 관통공 (38) 을 막도록, 임의 선택으로 덮개 부재 (30) 를 장착해도 된다. 덮개 부재 (30) 에는 배관 또는 배선 (8) 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 (31) 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 (30) 는 제 2 슬리브 (20)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메우는 고정틀의 역할을 한다. 슬리브 (1) 와, 슬리브 (1) 내에 배치된 배관 또는 배선 (8) 과, 제 2 슬리브 (20) 에 장착된 덮개 부재 (30) 는 내화 충전 구조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덮개 부재 (30) 는, 덮개 부재 (30) 의 구멍 (31) 에 배관 또는 배선 (8) 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제 2 슬리브 (20) 에 장착한 경우에, 상기 클리어런스의 면적의 10 ∼ 100 % 를 메운다.
다음으로, 도 6 (A) ∼ (D) 를 참조하면서, 슬리브 (1) 를 사용한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 를 바닥 하지 (2) 에 고정시킨다. 슬리브 (1) 의 바닥 하지 (2) 로의 고정은, 예를 들어 볼트 (36) 를 제 1 슬리브 (10) 의 하단 (10b) 의 부착부 (17) 의 구멍 (17) 을 통과하여 바닥 하지 (2) 안까지 비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형틀 (4) 의 바닥부의 슬리브 (1)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배관 또는 배선 (8) (도 6 (C) 참조) 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어 둔다. 다음으로, 도 6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5) 를 바닥 하지 (2) 에 흘려 넣는다. 이 도면에서는 콘크리트 (5) 의 두께 즉 높이 (H) 는, 제 2 슬리브 (20) 의 상단 (20a) 에서 제 1 슬리브 (10) 의 하단 (10b) 까지의 거리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리브 (1) 의 내측의 개구부 (37) 를 남기고, 슬리브 (1) 의 외측 주위에 콘크리트 (5) 가 타설되어 구획 관통 구조 (100) 가 완성된다. 슬리브 (10) 의 개구부 (37) 는 구획 관통공 (38) 으로서 작용한다.
다음으로, 도 6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5) 를 관통하도록, 구획 관통공 (38) 을 통과하여 1 또는 복수의 배관 또는 배선 (8) 을 실시한다. 여기서, 임의 선택으로, 제 2 슬리브 (20) 의 상단 (20a) 에, 복수의 배관 또는 배선 (8) 의 주위를 덮고, 또한 구획 관통공 (38) 을 막도록, 덮개 부재 (30) 를 장착해도 된다. 덮개 부재 (30) 는 구획 관통공 (38) 의 보다 많은 간극을 막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 부재 (30) 가, 배관 또는 배선 (8) 의 외주면에 접하고, 또한 슬리브 (10)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간극 사이를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구획 관통 구조 (100) 에 내화성을 더욱 부여한다. 또, 도 6 (C) 의 구획 관통 구조 (100) 를 위에서 보았을 때에, 덮개 부재 (30) 가 슬리브 (1) 의 위를 커버하여 배관 또는 배선 (8) 의 주위에서 슬리브 (1)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간극을 막고 있기 때문에, 눈 가리개의 역할을 하여, 구획 관통공 (38) 안이 보이지 않아, 시각적으로도 미관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6 (C) 에 있어서, 구획 관통 구조 (100) 의 층 아래에 있어서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도 6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슬리브 (10) 가 화재의 열에 의해 팽창되고, 콘크리트 (5) 와 배관 또는 배선 (8) 사이의 간극을 메워 불의 진로를 막는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리브 (1) 는, 콘크리트 (5) 의 타설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내화성을 발휘하여 구획 관통 구조 (100) 에 내화성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 (1) 의 설치와 동시에 내화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구획 관통 구조 (100) 에 있어서도, 도 4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기의 일반식 S 를 정의하면, S 는 0 ∼ 500 의 범위, 즉 0 이상, 500 이하이다.
S = 1/[(팽창 배율) × (잔사 경도)}/(클리어런스)2]
여기서, 잔사 경도의 단위는 kgf/㎠, 클리어런스의 단위는 ㎜ 이다. 이와 같은 S 의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슬리브 본체 (12) 의 잔사의 형상 유지성과, 구획 관통 구조의 내화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획 관통 구조에 사용되는 슬리브는, 도 1 ∼ 도 4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 및 도 5, 도 6 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의 슬리브 (10) 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변형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바닥 하지 (2) 에 대해 슬리브 (10) 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부 (17) 는 생략되어도 되고, 도시한 부착부 (17) 와 상이한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리브 (12a, 12b) 는 생략되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환상 부재 (19a) 및 환상 돌부 (19b) 는 생략되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슬리브 (20) 가, 슬리브 본체 (22) 와, 슬리브 본체 (22) 와 단차부 (25) 를 개재하여 연속되는 중공 대략 원통형의 확경부 (26) 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슬리브 (20) 가, 중공 대략 원통형의 슬리브 본체 (22) 와, 슬리브 본체 (22) 와 단차부 (25) 를 개재하여 연속되는 중공 대략 원통형의 축경부 (26a)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제 2 슬리브 (20) 의 축경부 (26a) 가 제 1 슬리브 (10) 내에 삽입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슬리브 (20) 가, 슬리브 본체 (22) 와, 슬리브 본체 (22) 와 단차부 (25) 를 개재하여 연속되는 중공 대략 원통형의 확경부 (26) 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슬리브 (20) 의 슬리브 본체 (22) 가 확경부 (26) 또는 축경부 (26a) 를 구비하지 않고, 단에서 단까지 길이가 일정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제 2 슬리브 (20) 의 슬리브 본체 (22) 가 전체 길이에 걸쳐 직경이 일정하고, 제 2 슬리브 (20) 의 내부에 제 1 슬리브 (10) 가 삽입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 비교예 1 ∼ 2
열팽창성 흑연으로서 ADT 사 제조의「ADT351」을 사용하고, 클리어런스가 36 ㎜ 인 경우를 실시예 1, 열팽창성 흑연으로서 토소사 제조의「GREP-EG」(열팽창 개시 온도 220 ℃) 를 사용한 경우를 실시예 2 로 하고,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성이고 클리어런스가 100 ㎜ 인 경우를 비교예 1, 열팽창성 흑연으로서 니혼 에어 워터사 제조의「MZ260」을 사용한 경우를 비교예 2 로 하고, 각 열팽창성 흑연의 애스펙트비와, 각 배합물의 조성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중 어느 것도, 170 ∼ 190 ℃ 에서 표면이 미려한 장척 이형 성형체를 사출 성형할 수 있고, 성형한 후의 스크루 및 금형으로의 배합물의 부착도 없어, 성형성은 양호하였다.
(애스펙트비)
SEM 단면 사진을 사용하여 열팽창성 흑연의 사진의 스케일 길이를 측정하고, 환산하여 애스펙트비를 산출하였다.
(팽창 배율)
얻어진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의 성형체로 제조한 시험편 (길이 100 ㎜, 폭 100 ㎜, 두께 2.0 ㎜) 을 전기로에 공급하고, 600 ℃ 에서 30 분간 가열한 후, 시험편의 두께를 측정하여, (가열 후의 시험편의 두께)/(가열 전의 시험편의 두께) 를 팽창 배율로서 산출하였다.
(잔사 경도)
팽창 배율을 측정한 가열 후의 시험편을 압축 시험기 (카토 테크사 제조,「핑거 필링 테스터」) 에 공급하고, 0.25 ㎠ 의 압자로 0.1 ㎝/초의 속도로 압축하여, 파단점 응력을 측정하였다.
(잔사의 형상 유지성)
상기 잔사 경도는 팽창 후의 잔사의 경도의 지표가 되는데, 측정이 잔사의 표면 부분에 한정되기 때문에, 잔사 전체의 경도의 지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잔사 전체의 경도의 지표로서 형상 유지성을 측정하였다. 잔사의 형상 유지성은, 팽창 배율을 측정한 시험편의 양 단부를 손으로 잡고 들어 올려, 그 때의 잔사의 붕괴 용이성을 육안으로 보아 측정한, 시험편이 붕괴되지 않고 들어 올려진 경우를 PASS 로 평가하고, 시험편이 붕괴되어 들어 올려지지 않는 경우를 FAIL 로 평가하였다.
(내화 시험)
표 1 에 나타낸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의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로 구성된 성형 슬리브 (내경 150 ㎜, 높이 160 ㎜, 두께 5 ㎜) 를 바닥 하지에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슬리브의 주위에 타설하였다. 슬리브 내에 1 개 파이프 (PVC 관) 를 배관하고, 슬리브 본체와 배관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10 ㎜ 이상이 되도록 배치하고, ISO834 의 가열 곡선을 따라 수평로 내에서 2 시간 가열하였다. 바닥 상의 관통 파이프 온도가, 초기 온도 + 180 ℃ 미만 또한 관통하여 불꽃이 나오지 않는 경우를 PASS 로 평가하고, 초기 온도 + 180 ℃ 이상 또는 바닥 위 파이프가 관통하여 불꽃이 나오는 경우를 FAIL 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 2, 비교예 1 ∼ 2 의 팽창 배율, 잔사 경도, 및 잔사의 형상 유지성, 내화 시험의 측정 결과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실시예 1, 2 에서는, 열팽창재가 충분히 팽창되고, 팽창 잔사가 확실히 유지되어 내화 시험은 PASS 였지만, 비교예 1, 2 에서는 잔사가 확실히 유지되지 않아 FAIL 이었다. 비교예 1, 2 에서는 팽창 잔사에 의해 단열 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바닥 위 파이프의 온도가 상승하여 파이프에 구멍이 뚫려 불꽃이 나왔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3 ∼ 6
표 2 에 나타낸 배합의 성분을 함유하는 배합물을,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2 에 관하여 상기에 기재한 것과 동일하게 사출 성형기에 공급하고, 170 ∼ 190 ℃ 에서 통상의 열팽창 성형체인 성형 슬리브를 성형하였다.
수지 성분으로서, 실시예 3 에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중합도 1000,「PVC」라고 한다), 실시예 4 에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미츠이·듀퐁 폴리 케미컬 제조의 에바 플렉스 EV360,「EVA」라고 한다), 실시예 5 에서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미츠이 화학사 제조의 미츠이 EPT3092M,「EPDM」이라고 한다), 실시예 6 에서는 비스페놀 F 형 에폭시 모노머 (유카 쉘사 제조의「E807」) 및 디아민계 경화제 (유카 쉘사 제조의「EKFL052」) 를 3 : 2 의 배합량으로, 타배합 원료와 함께 혼련, 가열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6 중 어느 것도 170 ∼ 190 ℃ 에서 표면이 미려한 장척 이형 성형체를 사출 성형할 수 있고, 성형한 후의 스크루 및 금형으로의 배합물의 부착도 없어, 성형성은 양호하였다.
또, 실시예 3 ∼ 6 의 성형체 중 어느 것도, 실시예 1, 2 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높은 팽창 배율과 높은 잔사 경도가 발현되고, 내화 성능이 PASS 였다.
Figure pct00003

Claims (6)

  1. 콘크리트에 있어서의 구획 관통공의 형성용으로 배치된 슬리브와, 그 슬리브를 관통하는 배관 또는 배선을 구비한 구획 관통 구조로서,
    상기 슬리브는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의 슬리브 본체를 구비하고,
    슬리브 본체와 배관 또는 배선 사이의 클리어런스와,
    슬리브 본체의 팽창 배율 및 잔사 경도에 대해,
    하기 일반식 S 를 정의하였을 때에, S 가 0 ∼ 500 의 범위인 구획 관통 구조.
    S = 1/[{(팽창 배율) × (잔사 경도)}/(클리어런스)2]
    (잔사 경도의 단위는 kgf/㎠, 클리어런스의 단위는 ㎜ 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중공의 슬리브 본체를 구비하고,
    슬리브 본체와 배관 또는 배선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10 ㎜ 이상이고,
    슬리브 본체의 팽창 배율이 20 배 이상 또한 슬리브 본체의 잔사 경도가 0.2 kgf/㎠ 이상인 구획 관통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팽창성의 내화성 수지 재료는 열팽창성 흑연을 함유하는 구획 관통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 본체의 팽창 배율이 30 배 이상 또한 슬리브 본체의 잔사 경도가 0.7 kgf/㎠ 이상인 구획 관통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측 주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있는 구획 관통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가 바닥 하지 또는 벽 하지에 설치되어 있는 구획 관통 구조.
KR1020187014809A 2016-01-13 2017-01-13 구획 관통 구조 KR201801030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4742 2016-01-13
JPJP-P-2016-004742 2016-01-13
PCT/JP2017/001059 WO2017122793A1 (ja) 2016-01-13 2017-01-13 区画貫通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042A true KR20180103042A (ko) 2018-09-18

Family

ID=5931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809A KR20180103042A (ko) 2016-01-13 2017-01-13 구획 관통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05087B1 (ko)
KR (1) KR20180103042A (ko)
WO (1) WO201712279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348B1 (ko) * 2021-04-27 2021-11-05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내화팽창 슬리브
WO2021235964A1 (en) * 2020-05-20 2021-11-25 Smartfireblock Doo Beograd-Cukarica Procedure for obtaining flexible expandable material (fem) resistant to combustion using bioplastificizers
KR102517233B1 (ko) * 2022-02-23 2023-04-03 (주) 상일이엔지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472A1 (ja) * 2016-06-17 2017-12-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物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ためのスリーブ
US11479982B2 (en) * 2019-10-04 2022-10-25 Forrester Manufacturing Co., Inc. Isolation pocket form and method for making crack resistant concrete slab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60A (ja) * 1994-07-22 1996-02-02 Furukawa Techno Material:Kk 防火区画体の可燃性長尺体貫通部における防火構造体
JPH08312840A (ja) * 1995-05-16 1996-11-26 Furukawa Techno Material:Kk 防火パイプ
US6550819B2 (en) * 2001-01-22 2003-04-22 Aero Plumbing & Heating Co., Inc. Pressure relieving arch having split pipe sleeves
JP4908920B2 (ja) * 2006-05-25 2012-04-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防火措置構造
JP2008031799A (ja) * 2006-07-31 2008-02-14 Sekisui Chem Co Ltd 防火区画貫通部の施工方法及び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4933412B2 (ja) * 2007-02-28 2012-05-16 未来工業株式会社 熱膨張性耐火具及び耐火構造
JP6258725B2 (ja) * 2014-03-03 2018-01-10 未来工業株式会社 貫通部形成装置及び防火区画壁構造
JP6348320B2 (ja) * 2014-04-08 2018-06-27 未来工業株式会社 耐火部材及び防火区画壁構造
JP2015209933A (ja) * 2014-04-28 2015-11-24 日動電工株式会社 防火区画壁貫通孔に使用する耐火処理具および耐火処理構造
JP6791618B2 (ja) * 2015-05-29 2020-11-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スリーブおよび区画貫通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964A1 (en) * 2020-05-20 2021-11-25 Smartfireblock Doo Beograd-Cukarica Procedure for obtaining flexible expandable material (fem) resistant to combustion using bioplastificizers
AU2021276081B2 (en) * 2020-05-20 2023-11-02 Subotic, Nemanja MR Procedure for obtaining flexible expandable material (fem) resistant to combustion using bioplastificizers
KR102321348B1 (ko) * 2021-04-27 2021-11-05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내화팽창 슬리브
KR102517233B1 (ko) * 2022-02-23 2023-04-03 (주) 상일이엔지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22793A1 (ja) 2018-01-18
WO2017122793A1 (ja) 2017-07-20
JP6205087B1 (ja)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3042A (ko) 구획 관통 구조
KR101748979B1 (ko)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JP6837736B2 (ja) 貫通孔カバー、及び区画貫通孔の防火構造
JP6867155B2 (ja)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ためのスリーブ
JP6734134B2 (ja) 区画貫通構造
JP6791618B2 (ja) スリーブおよび区画貫通構造
JP6588722B2 (ja) 耐火構造
JP6763709B2 (ja) 区画貫通構造の施工方法
JP6683519B2 (ja) 防火カバー及び区画貫通部の防火構造
JP6867157B2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JP2016195475A (ja) ケーブル用保護管、及び耐火構造
JP2018044361A (ja) 耐火充填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の施工方法
JP6357437B2 (ja) 被覆材、配管、及び耐火構造
JP6966226B2 (ja) スリーブ及び区画貫通構造
JP6918491B2 (ja) 固定枠及び区画貫通部の耐火構造
JP6769762B2 (ja) 区画貫通部構造における配管システム
JP2018003969A (ja) 区画貫通構造。
JP2017227111A (ja)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ためのスリーブ
KR102338454B1 (ko) 건축물에 구획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슬리브
JP6616693B2 (ja) 防火材、防火材の成形方法
JP2019052527A (ja) 熱膨張性耐火シート
JP6734149B2 (ja) 区画貫通部の防火構造
JP2017131561A (ja) 防火材、防火材の成形方法
JP2018044612A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JP6894284B2 (ja) 区画貫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