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066B1 -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066B1
KR101314066B1 KR1020130089686A KR20130089686A KR101314066B1 KR 101314066 B1 KR101314066 B1 KR 101314066B1 KR 1020130089686 A KR1020130089686 A KR 1020130089686A KR 20130089686 A KR20130089686 A KR 20130089686A KR 101314066 B1 KR101314066 B1 KR 10131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main body
cable tray
slab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8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기 위하여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지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에 상,하부가 개방되어 각각 상부개방부와 하부개방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개방부에는 내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진 받침테두리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본체 내부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는 수직되게 복수 개의 충진가대 삽입홈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충진가대 삽입홈에 수직막이와 받침막이로 형성되어진 충진가대를 삽입하고,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INTEGRAL CABLE-TRAY SLEEVE TO PENETRATE THE SLAB}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에 구비되어진 충진가대 삽입홈에 충진가대를 삽입하고,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크기를 조절하는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시공 과정에서 EPS실이나 TPS실의 연속적인 수직 비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에는 각종 배관용 수직 비트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시공 과정상 골조공사시에 기능공의 수작업에 의지하여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즉, 기능공이 슬래브 관통 슬리브를 합판 등을 이용하여 설계규격에 맞도록 재단한 후 제작,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로 인하여 제작 시간과 인건비가 과다하게 투입되었고,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 슬리브를 설치한 후에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리브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동반되어야 했다. 이는 시공 기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되었다.
한편,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한 이후에도 슬리브가 형성한 비트와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잉여공간에 모르타르를 충전시켜야 하는바, 이를 위하여 비계나 사다리를 통하여 슬래브의 하부에 합판 등을 덧대는 과정이 요구되어, 작업간의 번거로움과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동반되었다.
나아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설치용 슬리브의 경우, 설계 변경을 반영할 필요가 있어 케이블 트레이의 크기가 커지면, 추가적으로 슬래브를 파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나아가 구조물 전체의 안전성을 저해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6-56244호 'PC 슬래브 관통 구멍의 처리 구조 및 급구'가 있으나, 슬래브에 비트를 형성하고 이후 슬래브 트레이를 설치하는 점에서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기능공의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아 제작 시간과 인건비가 절약되고, 오차의 발생을 막을 수 있으며,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기 위해서 슬리브를 제거할 필요가 없고, 슬리브가 형성한 비트와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잉여공간에 모르타르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동반되는 부수적인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케이블 트레이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추가적으로 슬래브를 파쇄할 필요가 없는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는, 각종 케이블 트레이(CT)를 설치하기 위하여 슬래브(SL)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지는 슬리브(S)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S)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100)에 상,하부가 개방되어 각각 상부개방부(110)와 하부개방부(12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개방부(120)에는 내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진 받침테두리(1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본체(100) 내부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는 수직되게 복수 개의 충진가대 삽입홈(14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충진가대 삽입홈(140)에 수직막이(210)와 받침막이(220)로 형성되어진 충진가대(200)를 삽입하고, 모르타르(M)를 충진하여 케이블 트레이(CT)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개방부(110)를 덮도록 커버(30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수평되게 커버보강홈(150)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보강홈(150)에 커버보강대(410)가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160)가 상기 본체(100)를 애워싸도록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 내부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는 수직되게 구조보강홈(170)이 구비되어, 상기 구조보강홈(170)에 구조보강대(420)가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개방부(110)에는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진 상부테두리(18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받침테두리(130) 또는 상부테두리(180)와 본체(100)의 측면 사이에 경사테두리(19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에 따르면, 슬리브를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이 상기 슬리브가 케이블 트레이의 역할을 수행하는바, 기능공의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아 제작 시간과 인건비가 절약되고, 오차의 발생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슬리브가 형성한 비트와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에 형성된 잉여공간에 모르타르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동반되는 부수적인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단순히 충진가대를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케이블 트레이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추가적으로 슬래브를 파쇄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보강대와 구조보강대를 이용하여 구조적인 보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래브 트레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슬리브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슬리브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슬리브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방향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종 케이블 트레이(CT)를 설치하기 위하여 슬래브(SL)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지는 슬리브(S)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슬래브(SL) 관통 슬리브(S)를 합판 등을 이용하여 설계규격에 맞도록 수작업으로 재단한 후 제작, 설치하고, 이후 비트가 완성되어지면, 상기 슬리브(S)를 제거하고, 케이블 트레이(CT)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공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순히 슬래브(SL)를 관통하도록 슬리브(S)를 설치하는 것에서 나아가 상기 슬리브(S)가 케이블 트레이(CT)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일체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리브(S)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100)에 상,하부가 개방되어 각각 상부개방부(110)와 하부개방부(120)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슬리브(S)의 본체(1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제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부개방부(110)와 하부개방부(120)가 형성되어진 것은 수직 비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CT)의 기능을 상기 슬리브(S)가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하부개방부(120)에는 내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진 받침테두리(130)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받침테두리(130)는 슬래브(SL)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부에 거푸집을 형성하고, 그 사이 비트를 형성할 부분에 상기 슬리브(S)를 구비하되,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슬리브(S)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받침테두리(130)에는 슬리브 고정홀(131)을 형성하여, 고정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 내부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는 수직되게 복수 개의 충진가대 삽입홈(14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충진가대 삽입홈(140)에 수직막이(210)와 받침막이(220)로 형성되어진 충진가대(200)를 삽입하고, 모르타르(M)를 충진하여 케이블 트레이(CT)의 크기를 조절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진가대(200)는 일종의 모르타르(M) 충진을 위한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L'형의 단면을 지니도록 하여, 측면과 저면을 막아 모르타르(M)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충진가대 삽입홈(140)은 복수 개 구비되어지는 바, 작업자는 케이블 트레이(CT)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충진가대(200)가 삽입되는 충진가대 삽입홈(140)의 위치를 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설계 변경에 의하여 케이블 트레이(CT)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추가적으로 슬래브(SL)를 파쇄하거나 다시 복구할 필요 없이 유연하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별도의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과정이 없이도, 슬리브(S)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CT)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개방부(110)를 덮도록 커버(300)가 결합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300)에는 커버 고정홀(310)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300)의 커버 고정홀(310)에 대응되는 위치의 본체(100)에는 커버 결합홀(18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수단이 상기 커버 고정홀(310)과 커버 결합홀(181)을 관통하도록 하여 커버(300)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300)는 추후에 슬래브(SL)가 완성되어 거푸집을 제거할 때, 작업자가 상기 상부개방부(110)를 통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수평되게 커버보강홈(150)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보강홈(150)에 커버보강대(410)가 삽입되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보강대(410)는 일차적으로 슬리브(S)의 구조적 보강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나, 나아가 상기 커버(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의 커버(300)에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160)가 상기 본체(100)를 애워싸도록 구비되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60)는 슬래브(SL)를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와 슬리브(S)과 긴결한 결속을 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추후에 슬리브(S)가 슬래브(SL)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돌기(160)의 단면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질 수 있는 것이나, 라운딩되어진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추후에 슬래브(SL)의 접촉면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내부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는 수직되게 구조보강홈(170)이 구비되어, 상기 구조보강홈(170)에 구조보강대(420)가 삽입되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보강홈(170)은 상기 충진가대 삽입홈(140)과 평행하게 구비되어지는 것으로, 충진가대(200)의 상부에 모르타르(M)가 충진되는 내부에서 구조보강대(420)를 통하여 구조적인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개방부(110)에는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진 상부테두리(180)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버(30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테두리부(180)에 상기 커버 결합홀(18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받침테두리(130) 또는 상부테두리(180)와 본체(100)의 측면 사이에 경사테두리(190)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테두리(130)와 상부테두리(180)는 단순히 고정을 위한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에 나아가 슬래브(SL) 형성과정에서, 콘크리트가 유입될 수 있는 홈을 사이에 마련하여 긴결한 결속이 되도록 보조하며, 상기 경사테두리(190)를 통하여, 자칫 구조적으로 변형의 우려가 있는 상기 받침테두리(130)와 상부테두리(180)의 구조적인 보강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S:슬리브 CT:케이블 트레이
SL:슬래브 100:본체
110:상부개방부 120:하부개방부
130:받침테두리 131:슬리브 고정홀
140:충진가대 삽입홈 150:커버보강홈
160:고정돌기 170:구조보강홈
180:상부테두리 190:경사테두리
200:충진가대 210:수직막이
220:받침막이 300:커버
310:커버 고정홀 410:커버보강대
420:구조보강대 M:모르타르

Claims (5)

  1. 각종 케이블 트레이(CT)를 설치하기 위하여 슬래브(SL)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지는 슬리브(S)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S)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100)에 상,하부가 개방되어 각각 상부개방부(110)와 하부개방부(12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개방부(120)에는 내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진 받침테두리(1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본체(100) 내부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는 수직되게 복수 개의 충진가대 삽입홈(14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충진가대 삽입홈(140)에 수직막이(210)와 받침막이(220)로 형성되어진 충진가대(200)를 삽입하고, 모르타르(M)를 충진하여 케이블 트레이(CT)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개방부(110)를 덮도록 커버(30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수평되게 커버보강홈(150)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보강홈(150)에 커버보강대(410)가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160)가 상기 본체(100)를 애워싸도록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부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는 수직되게 구조보강홈(170)이 구비되어, 상기 구조보강홈(170)에 구조보강대(420)가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개방부(110)에는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진 상부테두리(18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받침테두리(130) 또는 상부테두리(180)와 본체(100)의 측면 사이에 경사테두리(19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KR1020130089686A 2013-07-29 2013-07-29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KR10131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686A KR101314066B1 (ko) 2013-07-29 2013-07-29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686A KR101314066B1 (ko) 2013-07-29 2013-07-29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066B1 true KR101314066B1 (ko) 2013-10-07

Family

ID=4963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686A KR101314066B1 (ko) 2013-07-29 2013-07-29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0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507A (ko) 2015-07-28 2017-02-07 박인철 케이블트레이용 슬리브 조인트 커넥터
KR20170013506A (ko) 2015-07-28 2017-02-07 박인철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KR20170013508A (ko) 2015-07-28 2017-02-07 박인철 마감판넬이 구비된 케이블트레이용 슬리브 조인트 커넥터
KR20190063181A (ko) 2017-11-29 2019-06-07 (주)리엔텍엔지니어링 튜브형 링크 체인 컨베이어
KR101990469B1 (ko) 2018-01-19 2019-06-18 주식회사 동화엔텍 연료절감을 위한 선박 냉각 시스템
KR102355916B1 (ko) * 2021-04-28 2022-02-08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강화 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244U (ja) * 1991-10-14 1994-08-05 東急工建株式会社 Pcスラブ貫通穴の処理構造および金具
JP2000152477A (ja) 1998-09-04 2000-05-30 Kamata Kasaku 地中埋設ボックスの管接続構造および支持部材
JP2001165365A (ja) 1999-12-14 2001-06-22 Shin Etsu Polymer Co Ltd 外管ダクトスリーブ
JP2002130535A (ja) 2000-10-17 2002-05-09 Nichiei Intec Co Ltd 配管支持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244U (ja) * 1991-10-14 1994-08-05 東急工建株式会社 Pcスラブ貫通穴の処理構造および金具
JP2000152477A (ja) 1998-09-04 2000-05-30 Kamata Kasaku 地中埋設ボックスの管接続構造および支持部材
JP2001165365A (ja) 1999-12-14 2001-06-22 Shin Etsu Polymer Co Ltd 外管ダクトスリーブ
JP2002130535A (ja) 2000-10-17 2002-05-09 Nichiei Intec Co Ltd 配管支持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支持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507A (ko) 2015-07-28 2017-02-07 박인철 케이블트레이용 슬리브 조인트 커넥터
KR20170013506A (ko) 2015-07-28 2017-02-07 박인철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KR20170013508A (ko) 2015-07-28 2017-02-07 박인철 마감판넬이 구비된 케이블트레이용 슬리브 조인트 커넥터
KR20190063181A (ko) 2017-11-29 2019-06-07 (주)리엔텍엔지니어링 튜브형 링크 체인 컨베이어
KR101990469B1 (ko) 2018-01-19 2019-06-18 주식회사 동화엔텍 연료절감을 위한 선박 냉각 시스템
KR102355916B1 (ko) * 2021-04-28 2022-02-08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강화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066B1 (ko)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JP5965544B2 (ja) Hバー、並びにこのhバー及び非金属製せき板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JP5492656B2 (ja) 耐震補強構造用セパレーター及び耐震補強工法
JP6691007B2 (ja) 型枠ユニット及び基礎断熱工法
JP5893703B2 (ja) 側溝再生用構造体
KR101532690B1 (ko) 내진보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JP5498815B2 (ja) アルミ製改装フェンス
JP5005056B2 (ja) 先付けサッシ
KR20130028846A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JP6405070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耐震補強構造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耐震構造構築工法
KR20160000364U (ko) 거푸집 시공 공정 중의 배선함과 철근간의 고정 구조
JP6182186B2 (ja) 側溝再生用構造体
CN210288772U (zh) 一种墙体组合砖
KR101492331B1 (ko) 건물의 마감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76306A (ko) 조적용 스페이서
KR101780410B1 (ko) 거푸집 고정용 간격유지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구조체
JP6315924B2 (ja) バットレスの施工方法
JP5722855B2 (ja) 側溝再生用構造体及び側溝再生方法
KR102517233B1 (ko)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KR101568972B1 (ko) 철골 콘크리트 합성 기둥용 강관 및 이를 이용한 기둥 시공 방법
CN213710053U (zh) 一种保温预制楼板的拼接处构造
KR102304057B1 (ko) 외벽마감패널
JP2017115467A (ja) 耐震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20130004588U (ko) 건축용 가설구조물
KR200340017Y1 (ko) 건축물용 지지대 고정을 위한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