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506A -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 Google Patents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506A
KR20170013506A KR1020150106233A KR20150106233A KR20170013506A KR 20170013506 A KR20170013506 A KR 20170013506A KR 1020150106233 A KR1020150106233 A KR 1020150106233A KR 20150106233 A KR20150106233 A KR 20150106233A KR 20170013506 A KR20170013506 A KR 20170013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lab
divided
cable tray
slee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철
안명선
Original Assignee
박인철
안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안명선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102015010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506A/ko
Publication of KR2017001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가 수직으로 연결되기 위해 슬래브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하로 개구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슬래브와 결합되는 받침테두리가 형성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하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되게 분할되고, 분할된 슬리브는 상,하로 일부분이 중첩되며, 상기 분할된 슬리브의 중첩부의 측면을 관통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트레이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부가 철근 또는 접지봉과 연결되어 케이블트레이의 누전을 접지되게 하는 점퍼선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Sleeve for Cable-Tray}
본 발명은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층상별로 슬래브에 설치되어 케이블트레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접지 기능이 부가된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수직적으로 케이블트레이를 연결하기 위해 층별로 슬래브(층별로 콘크리트를 부어 만든 구조물) 형성되어 슬래브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슬래브에는 상기 케이블트레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블트레이를 수용하기 위해 상,하로 개구된 슬리브가 필요하다. 그리고 슬래브의 통로에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하로 받침테두리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볼트로 고정되어 설치되게 된다.
슬리브는 규격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거나, 주문 생산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데, 슬래브는 콘크리트에 의해 부어 만들게 되므로 슬래브 공정상 높이 오차는 항상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입상 층별 설치된 슬리브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 슬래브(10) 사이에 케이블트레이(20)가 수직으로 통과 연결되며, 슬리브(100)로 케이블트레이를 슬래브(10)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슬래브의 두께의 오차에 따라 슬리브의 높이와 맞지 않아 슬리브 고정시에 어려움이 항상 존재해 왔으며, 또한 슬리브가 케이블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구이므로 전기 누전에 의한 접지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31406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슬래브 두께에 상관없이 슬리브 고정이 쉬우며, 또한 접지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가 수직으로 연결되기 위해 슬래브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하로 개구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슬래브와 결합되는 받침테두리가 형성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하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되게 분할되고, 분할된 슬리브는 상,하로 일부분이 중첩되며, 상기 분할된 슬리브의 중첩부의 측면을 관통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트레이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부가 철근 또는 접지봉과 연결되어 케이블트레이의 누전을 접지되게 하는 점퍼선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를 제공한다.
본 과제의 해결 수단에 제공된 구성에 의하면, 슬리브가 상,하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어 슬래브에서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결합하므로 결합 밀착도가 좋고, 분할된 슬리브를 결합부인 앙카볼트로 결합하여 접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여 작업공정 향상과 누전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진다.
도 1은 입상 층별 설치된 슬리브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낸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의 설치 단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예를 나타낸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설치 단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입상 층별 설치된 슬리브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 슬리브(100)는 케이블트레이(20)가 수직으로 연결되기 위해 슬래브(10)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하로 개구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슬래브(10)와 결합되는 받침테두리(110, 도2)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낸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의 설치 단면 예시도이다.
도 2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본원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00)는 상,하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되게 분할된다. 도 2에서는 슬리브(100)를 상,하로 분할하였고, 분할된 슬리브(120,140)는 상부 슬리브의 하부와 하부 슬리브의 상부가 중첩되어 결합된다.
상기 분할된 슬리브(120,140) 중 상부로 분할된 슬리브(120)의 하단부가 테두리가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인접한 슬리브인 하부로 분할된 슬리브(140)의 상단부와 밀착에 의해 상호 끼워맞춤되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된 슬리브(120,140)를 결합하기 위하여 분할된 슬리브(120,140)의 중첩부의 측면을 관통 결합하여 케이블트레이(20)와 결합되는 체결부(200)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부(200)는 앙카볼트로 하여 케이블트레이에서 분할된 슬리브(120,140)를 통과하여 최종 슬래브(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트레이(20)에서 도통되어 접지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부가 철근 또는 접지봉과 연결되어 케이블트레이(10)의 누전을 접지되게 하는 점퍼선(30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퍼선(300)은 슬리브(100)의 외측과 슬래브(10)의 사이에서 체결부(200)에 결합되게 하고, 슬리브(100) 측에 전기적 연결이 잘되게 하는 구리링(320)을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슬리브(100)이 받침테두리(110)에는 장공형의 볼트공(112)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슬리브(100)가 슬래브(1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고 볼트공(112)에 볼트로 슬래브(10)의 상부에 체결하여 슬리브(100)를 고정한다.
한편, 상기 분할된 슬리브(120,140)에는 상호 중첩된 부분에 상,하로 길이가 길게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분할된 슬리브(120,140)의 중첩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체결부(200)에 고정되도록 하여 슬리브(100)의 전체적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슬리브(100)의 전체적 길이를 조절하는 이유는 슬래브(10)가 시멘트로 부어 타설되므로 높이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높이 오차에 대응되게 슬리브(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마감을 깔끔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케이블트레이(20)가 층별로 입상되어 연결되게 되는데 상부의 케이블트레이와 하부의 케이블트레이의 상호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수평방향으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예를 나타낸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설치 단면 예시도이다.
도 4와 5를 참조하면, 수평방향으로 케이블트레이(100) 간의 오차는 상호 결합이 어려우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내측은 상기 케이블트레이(20)를 내부로 수용하고, 외측은 상기 슬리브(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박스(400)와, 상기 슬리브와 상기 보조박스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보조박스의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볼트(420)로 구성되는 위치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박스(400)는 내부 단면적은 케이블트레이(20)의 단면적 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길이조절볼트(420)는 케이블트레이(20)를 관통하여 슬리브(100)에 연결되므로 결과적으로 케이블트레이(20)에서 체결부(200)까지 전기적 연결이 되어 접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 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슬래브 20: 케이블트레이
100: 슬리브 120: 상부슬리브
140: 하부슬리브 200: 체결부
300: 점퍼선 400: 보조박스

Claims (5)

  1. 케이블트레이가 수직으로 연결되기 위해 슬래브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하로 개구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슬래브와 결합되는 받침테두리가 형성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하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되게 분할되고, 분할된 슬리브는 상,하로 일부분이 중첩되며, 상기 분할된 슬리브의 중첩부의 측면을 관통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트레이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부가 철근 또는 접지봉과 연결되어 케이블트레이의 누전을 접지되게 하는 점퍼선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슬리브는,
    단부가 테두리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인접한 슬리브와 상호 끼워맞춤되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테두리에는 장공형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슬리브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슬리브에는,
    상호 중첩된 부분에 상,하방향의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분할된 슬리브의 중첩된 길이가 조절하여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5. 제1항에 있어서,
    내측은 상기 케이블트레이를 내부로 수용하고, 외측은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박스와, 상기 슬리브와 상기 보조박스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보조박스의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볼트로 구성되는 위치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KR1020150106233A 2015-07-28 2015-07-28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KR20170013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233A KR20170013506A (ko) 2015-07-28 2015-07-28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233A KR20170013506A (ko) 2015-07-28 2015-07-28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506A true KR20170013506A (ko) 2017-02-07

Family

ID=58107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233A KR20170013506A (ko) 2015-07-28 2015-07-28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5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114B1 (ko) * 2022-11-17 2023-05-02 김정욱 2단연결 입상용 트레이 슬리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066B1 (ko) 2013-07-29 2013-10-07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066B1 (ko) 2013-07-29 2013-10-07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114B1 (ko) * 2022-11-17 2023-05-02 김정욱 2단연결 입상용 트레이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36502B (zh) 模块化房屋装配结构
KR101713863B1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CN107190847A (zh) 预制装配式轻钢墙板、房屋建筑及其建造方法
CN103981998B (zh) 预制剪力墙板及剪力墙和剪力墙的施工方法
JP2011190590A (ja) アンカー部用補強筋、コンクリート基礎及びユニット建物
KR20160052944A (ko) 고강도 다각형 콘크리트채움 철강 튜브기둥과 철골보의 접합구조
KR20170013506A (ko) 입상 층별 접지 가능한 슬리브
KR20170013009A (ko)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이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및 우수저류조의 시공방법
KR20170057064A (ko) 절단 브리지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시공방법
KR101294909B1 (ko)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KR101763033B1 (ko) 합성보용 거푸집
KR101765149B1 (ko) 케이블트레이용 슬리브 조인트 커넥터
KR101409448B1 (ko) 송전, 배전, 변전용 강재 전신주 이음장치
CN106192608A (zh) 一种焦炉推焦机轨道基础施工方法
KR20100128152A (ko) 더블티 슬래브 시스템에서 보-슬래브 접합부의 일체성을 강화하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27381B1 (ko) 더블 월 피씨에 의한 구조물의 복수 층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N104358466B (zh) 一种模块组合式通信塔
JP201702023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200475755Y1 (ko) 프레임용 석재 판넬 고정 브라켓
KR101379949B1 (ko) 주름관 배관 고정구조와 이를 이용한 주름관 배관시공방법
KR101182457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50003251U (ko)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1304829B1 (ko) 이중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