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105A -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105A
KR20230009105A KR1020210089740A KR20210089740A KR20230009105A KR 20230009105 A KR20230009105 A KR 20230009105A KR 1020210089740 A KR1020210089740 A KR 1020210089740A KR 20210089740 A KR20210089740 A KR 20210089740A KR 20230009105 A KR20230009105 A KR 20230009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 member
vertical plate
cable tray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930B1 (ko
Inventor
김관석
Original Assignee
김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석 filed Critical 김관석
Priority to KR102021008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93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건물의 바닥 슬라브에 형성되는 방화구획 관통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가 개시된다. 상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부재 및 제2 커넥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 부재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 부재는 전면 수직판, 좌측 수직판 및 우측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전방, 좌측방 및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전체 형상이 'ㄷ'자 형성을 이루는 수평판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둘러싸서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를 관통하는 한편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외하고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를 폐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는 방화구획 관통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값비싼 내화충전재의 양을 줄이고 대신에 그보다 값싼 내화재료인 미네랄울을 사용함으로써 원가절감을 달성할 수 있고, 방화구획 관통부에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를 위한 커넥터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시공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Cable Tray Fire Prevention Division Structure And Connector For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에 형성되는 방화구획 관통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물의 층과 층 사이, 벽과 벽 사이 등에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트레이는 건물의 각 실에서 사용되는 전기 및 통신을 위한 케이블을 층과 층 사이 그리고 벽과 벽 사이를 관통하여 배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때 케이블 트레이는 건물의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에 형성되는 방화구획 관통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케이블 트레이가 통과되는 방화구획 관통부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충진재로 폐쇄되어야 한다.
특허공개 제10-2011-0106297호(2011. 09. 28. 공개) 특허등록 제10-1801110호(2017. 11. 20. 등록) 특허등록 제10-2267090호(2021. 06. 15. 등록)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가 통과되는 방화구획 관통부를 내화충전재로 폐쇄하는 작업의 한 예는 거푸집 등에 의하여 케이블이 고정된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한 후 케이블 트레이와 방화구획 관통부의 간극을 내화충전재와 몰탈로 채워서 그러한 내화재료가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와 일체화되게 하고, 거푸집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그 자체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방화구획 관통부 전체를 값비싼 내화충전재로 충진하기 때문에 경제성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몰탈에 의하여 내화재료가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튼튼하고 안정적이지만,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어 현재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 방식이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시공방식으로는 케이블 트레이가 관통하게 설치된 방화구획 관통부를 우레탄패드, 실리콘 RT-V 패드 등과 같은 내화충진재로 충진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에서 방화구획 관통부 내부에 내화충진재가 충진될 때, 예를 들어 바닥 슬라브와 내화충진재 사이 그리고 케이블 트레이와 내화충진재 사이에 형성되는 틈은 내화기능이 있는 실란트를 도포함으로써 메우고 마감처리한다.
상기한 시공방식에서 나타나는 첫번째 문제점은 갑비싼 내화충진재가 많이 사용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방화구획 관통부의 크기는 다양한데, 크게는 가로폭 2m 및 세로폭 1m가 넘는 경우도 있다. 방화구획 관통부의 크기가 클수록 갑비싼 내화충진재가 많이 사용되므로 이러한 문제는 방화구획 관통부가 클수록 심각해진다.
상기한 시공방식에서 나타나는 두번째 문제점은 내구성과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방화구획 관통부가 클수록 심각해진다. 특히 케이블 트레이가 바닥 슬라브에 설치되는 경우, 방화구획 관통부가 클수록 방화구획 관통부에 충진된 내화충진재는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처지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그러한 상태가 오래동안 지속된다면 내화충진재의 충진상태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내화충진재의 변형은 내화실란트를 균열시킴으로써 바닥 슬라브와 내화충진재 사이 그리고 케이블 트레이와 내화충진재 사이에 형성되는 틈이 노출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작업을 위하여 또는 필요에 따라 방화구획 관통부에 설치된 내화충진재를 작업자가 밟고 서야 하는 경우에 노출된 틈에 작업자의 발이 끼이거나 심각한 경우에는 내화충진재 자체가 낙하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도 있다.
한편, 방화구획 관통부가 클수록 내화충진재의 충진작업이 까다롭거나 번거로워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방화구획 관통부가 바닥 슬라브에 존재할 때 특히 심각하게 나타난다.
바닥 슬라브의 방화구획 관통부에 방화구획 구조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방화구획 관통부가 내화충진재에 의해 충진되면, 아래 층에서 발생한 화재는 방화구획 관통부에 충진된 내화충진재에 의하여 막혀 위층으로 번지지 않는다. 그러나, 화재에 의하여 발생된 열기는 케이블 트레이 및 케이블을 통하여 위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된 열기가 충분히 높고, 위층에 발화요인이 존재한다면 위층에서 새롭게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방화구획 관통부 상부에 소정 높이로 차열재가 케이블 트레이를 감싸도록 시공된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300mm 폭의 차열재롤을 사용하여 트레이를 여러번 감은 후에 마지막은 은박 테이프로 붙여 마감처리한다. 차열재는 알루미늄 박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공에서는 은박 테이프의 접착력은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게 되는데, 차열재롤 상태가 은박 테이프에 의하여 유지되지 못하면 케이블 트레이 자체 및 케이블 트레이 내부가 노출되어 차열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것이 상기한 시공방식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문제점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구획 관통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값비싼 내화충전재의 양을 줄이고 대신에 그보다 값싼 내화재료인 미네랄울 및 시멘트 몰탈을 사용함으로써 원가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구획 관통부에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를 위한 커넥터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시공이 편리한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를 위한 커넥터 내부 표면에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내화충진스트랩을 설치함으로써 화재시에 내화충진스트랩의 팽창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 내부를 패쇄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방화구획에서 발생한 화재의 열기가 케이블 트레이 및 케이블에 의하여 이웃 방화구획으로 전달되어 그러한 열기에 의하여 해당 이웃 방화구획에서 새롭게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는 건물의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에 형성되는 방화구획 관통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및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부재 및 제2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가 바닥 슬라브에 형성될 때를 기준으로 언급하면, 상기 제1 커넥터 부재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재는 전면 수직판, 좌측 수직판 및 우측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전방, 좌측방 및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전체 형상이 'ㄷ'자 형성을 이루는 수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둘러싸서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를 관통하는 한편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외하고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를 폐쇄한다.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전면 수직판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은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의 폭보다 넓게 확장되고 또한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은 상기 좌측 수직판 및 상기 우측 수직판보다 후방으로 확장되며, 그렇게 확장된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영역이 그렇게 확장된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영역 상에 얹혀져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1 커넥터 부재 또는 상기 제2 커넥터 부재 내부 표면에는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내화충진스트랩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있는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는 몰탈 시공에 의하여 메워질 수 있다. 상기 몰탈 시공 전에 상기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있는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에 미네랄울이 채워진 후 상기 미네랄울 상에 몰탈 시공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높이는 상기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의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에 해당하는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는 내화충진재가 충진되고, 또한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가 바닥 슬라브에 형성될 때를 기준으로 언급하면,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도 내화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용 커넥터는 건물의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에 형성되는 방화구획 관통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방화구획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부재 및 제2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가 바닥 슬라브에 형성될 때를 기준으로 언급하면, 상기 제1 커넥터 부재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재는 전면 수직판, 좌측 수직판 및 우측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전방, 좌측방 및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전체 형상이 'ㄷ'자 형성을 이루는 수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둘러싸서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를 관통하는 한편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외하고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를 폐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은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의 폭보다 넓게 확장되고 또한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은 상기 좌측 수직판 및 상기 우측 수직판보다 후방으로 확장되며, 그렇게 확장된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영역이 그렇게 확장된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영역 상에 얹혀져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1 커넥터 부재 또는 상기 제2 커넥터 부재 내부 표면에는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충진 스트랩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는 방화구획 관통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값비싼 내화충전재의 양을 줄이고 대신에 그보다 값싼 내화재료인 미네랄울 및 시멘트 몰탈을 사용함으로써 원가절감을 달성할 수 있고, 방화구획 관통부에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를 위한 커넥터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시공이 편리하며,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를 위한 커넥터 내부 표면에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내화충진스트랩을 설치함으로써 화재시에 내화충진스트랩의 팽창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 내부를 패쇄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방화구획 관통부에 케이블 트레이가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에 적용되는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넥터를 도 1에 도시된 방화구획 관통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설치상태에서 아래에서 바닥 슬라브의 하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설치상태에서 커넥터와 바닥 슬라브 사이의 방화구획 관통부에 미네랄울이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미네랄울이 충진된 후 몰탈 시공이 수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 슬라브(20)에는 방화구획 관통부(22)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화구획 관통부(22)에는 케이블(46)이 고정된 케이블 트레이(40)가 관통하여 벽(30)과 나란하게 수직으로 배치된다. 케이블 트레이(40)는 두 개의 측면 레일(42)과 그것들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44)로 이루어진다. 방화구획 관통부(22)는 케이블 트레이(40)가 그것을 통과하게 하는 시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케이블 트레이(40)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에 적용되는 커넥터(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제1 커넥터 부재(100) 및 제2 커넥터 부재(20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부재(100)는 수직판(110) 및 수평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수직판(110)은 얇은 두께의 직사각형 판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판(110)의 내면에는 내화충진스트랩(130)이 부착되어 있다. 이때, 수직판(110)의 내면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 부재(100)와 제2 커넥터 부재(20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수직판(110)의 면을 의미한다. 내화충진스트랩(130)은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내화재료가 얇은 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내화충진스트랩(130)은 팽창성 파이프 랩, 방화 랩 스트립, 팽창성 랩 스트립, 방화 파이프 랩 등으로 불리우며, 가연성 파이프 관통부 주변에 화재 및 연기 차단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한 팽창성 파이프 랩은 화재시에 팽창 온도에서 부피가 20 내지 40배 정도까지 팽창하고 최소 2 시간에서 최대 4시간까지 내화성을 제공한다.
수평판(120)은 수직판(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수직판(110)과 수평판(120)이 이루는 각도는 대체로 수직이다. 수직판(110)과 수평판(12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철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판(120)은 수직판(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수직판(1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지만, 수직판(110)의 폭보다 넓게 확장되어 확장부(12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확장부(122)는 좌측방 및 우측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 커넥터 부재(200)는 수직판(210) 및 수평판(220)으로 이루어진다. 수직판(210)은 전면 수직판(212), 좌측 수직판(214) 및 우측 수직판(216)으로 이루어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룬다. 즉, 전면 수직판(212)은 좌측 수직판(214) 및 우측 수직판(216)과 대체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전면 수직판(212), 좌측 수직판(214) 및 우측 수직판(216) 각각은 얇은 두께의 직사각형 판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판(210)의 내면에는 내화충진스트랩(230)이 부착되어 있다. 이때, 수직판(210)의 내면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 부재(100)와 제2 커넥터 부재(20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수직판(210)의 면을 의미한다. 내화충진스트랩(230)은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내화재료가 얇은 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수평판(220)은 수직판(210)으로부터 전방, 좌측방 및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전체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룬다. 이때, 수직판(210)과 수평판(220)이 이루는 각도는 대체로 수직이다. 수직판(210)과 수평판(22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철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판(220)은 수직판(210)으로부터 좌측방 및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수직판(2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지만, 수직판(210)의 폭보다 넓게 확장되어 확장부(22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확장부(22)는 좌측 수직판(214) 및 우측 수직판(216)에 대하여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방향은 제2 커넥터 부재(200)의 전면 수직판(212)을 전방으로 설정하고 제1 커넥터 부재(200)의 수직판(110)을 후방으로 설정한 것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제1 커넥터 부재(100)와 제2 커넥터 부재(200)는 서로 조합되어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 커넥터 부재(100)의 수직판(110)의 폭과 제2 커넥터 부재(200)의 전면 수직판(212)의 폭은 대체로 일치하고, 제2 커넥터 부재(200)의 좌측 수직판(214) 및 우측 수직판(216)의 말단이 제1 커넥터 부재(100)의 수직판(110)에 접촉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제1 커넥터 부재(100)의 수직판(110) 및 제2 커넥터 부재(200)의 수직판(210)에 의하여 케이블 트레이(40)를 둘러싼다. 이때, 커넥터(100)는 분리된 제1 커넥터 부재(100)와 제2 커넥터 부재(20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 1에서 관통부(22)를 관통하게 케이블 트레이(40)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커넥터(100)는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40)를 둘러싸는 커넥터(10)는 도 1에 도시된 관통부(22)를 관통하면서 도 1에 도시된 관통부(22)를 바닥 슬라브(20)와 커넥터(10)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24)와 커넥터(10)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부(26)로 구분짓는다. 그리고 커넥터(10)는 제1 커넥터 부재(100)의 수평판(120) 및 제2 커넥터 부재(200)의 수평판(220)에 의하여 케이블 트레이(40)가 배치되는 커넥터(10)의 내부 공간, 즉 관통부(26)를 제외하고 바닥 슬라브(20)와 커넥터(10)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24)를 폐쇄한다. 이때, 제1 커넥터 부재(100)의 수평판(120) 및 제2 커넥터 부재(200)의 수평판(220)은 부분적으로 바닥 슬라브(20)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된다.
커넥터(10)의 높이, 즉 제1 커넥터(100)의 수직판(110) 및 제2 커넥터(200)의 수직판(210)의 높이는 바닥 슬라브(20)의 두께보다 커야 한다. 통상적으로는 커넥터(10)의 높이는 바닥 슬라브(20)의 두께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10)는 바닥 슬라브(20) 상부에서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차열재 역할을 함으로써 화재의 열기 전달에 의하여 화재가 새롭게 발생할 염려를 해소한다.
커넥터(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2 커넥터 부재(200)의 전면 수직판(212)은 케이블 트레이(4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러한 결합은 예를 들어 제2 커넥터 부재(200)의 전면 수직판(212)과 케이블 트레이(40)를 차례로 관통하는 나사(30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제1 커넥터 부재(100)의 수직판(110)도 케이블 트레이(4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커넥터 부재(100)의 수직판(110)과 제2 커넥터 부재(200)의 좌측 수직판(214) 및 우측 수직판(216)에 클립 등과 같은 체결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제1 커넥터 부재(100)를 제2 커넥터 부재(200)와 체결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커넥터 부재(100)의 수직판(110)과 벽(30) 사이의 공간이 작업을 하기에 너무 작은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구조에 의하여 제1 커넥터 부재(100)가 제2 커넥터 부재(200)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 부재(100)의 확장부(122)가 제2 커넥터 부재(200)의 확장부(222) 상에 얹혀져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 부재(100)의 확장부(122)가 바닥 슬라브(20)의 바닥면과 먼저 접촉하고 그런 후 제2 커넥터 부재(200)의 확장부(222)가 제1 커넥터 부재(100)의 확장부(122)와 접촉한다. 그러면, 제1 커넥터 부재(100)가 체결수단에 의하여 케이블 트레이(40)와 결합하지 않거나 또는 제2 커넥터 부재(200)와 결합하지 않더라도 제2 커넥터 부재(200)에 의하여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바닥 슬라브(20)와 커넥터(10)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24)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제1 커넥터 부재(100)의 확장부(122) 및 제2 커넥터 부재(200)의 확장부(222) 중 하나만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무방하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공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제1 커넥터 부재(100)의 확장부(122) 및 제2 커넥터 부재(200)의 확장부(222) 모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20)와 커넥터(10)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24)는 미네랄울(50)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이때, 관통부(24)에는 제1 커넥터 부재(100)의 수평판(120) 및 제2 커넥터 부재(200)의 수평판(220)이 놓이기 때문에 미네랄울(50)은 그것들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런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 몰탈 시공에 의하여 시멘트가 채워진다. 이때에도 관통부(24)에는 제1 커넥터 부재(100)의 수평판(120) 및 제2 커넥터 부재(200)의 수평판(220)이 놓이기 때문에 시멘트 몰탈(60)이 미네랄울(50) 상에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 미네랄울(50) 사이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다.
한편, 이와 별도로 커넥터(10)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부(26)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미네랄울보다 내화특성이 우수한 내화충전재로 채워질 수 있다. 이때, 그러한 내화충진재는 바닥 슬라브(20) 두께의 20 ~ 30 퍼센트 정도로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에서 관통부(26) 내부에는 내화충진스트랩(130 및 23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시에 그러한 내화충진스트랩(130 및 230)의 팽창으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화충진재의 양을 더욱 적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부(26)에 내화충진재를 충진하는 작업은 종래기술에서 방화구획 관통부(22) 전체를 내화충진재로 충진하는 작업보다 훨씬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방화구획 관통부(22)는 필요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다. 방화구획 관통부(22)의 크기가 케이블 트레이가 차지하는 공간보다 훨씬 큰 경우에는, 즉 관통부(26)보다 훨씬 큰 경우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화충진재의 충진작업이 까다롭고 번거로워지지만, 본 발명은 방화구획 관통부(22)를 관통부(24)와 관통부(26)으로 구분하여 관통부(24)에는 몰탈시공을 하는 한편, 방화구획 관통부(22)의 크기보다 훨씬 작은 크기의 관통부(26)에만 내화충진재를 충진하므로 그러한 충진작업이 훨씬 용이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방화구획 관통부(22)에 대한 내화충진재의 충진작업에 의하면, 내구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지만, 본 발명은 방화구획 관통부(22)보다 훨씬 작은 관통부(26)에만 내화충진재를 충진하므로 더욱 안정적이면서 내구성 있게 충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장점은 방화구획 관통부(22)의 크기가 클수록 뚜렷하게 나타난다.
상기한 시공이 완료되면, 방화구획 관통부(22)는 모두 내화재료에 의하여 폐쇄되어 어느 한 구획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염 및 화열이 이웃하는 구획으로 번지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발생한 화재에 의하여 열이 커넥터(10)를 통하여 내화충진스트랩(130 및 230)에 전달되는 경우 내화충진스트랩(130 및 230)은 화재 열에 의하여 팽창하여 커넥터(10) 내부의 공간을 추가적으로 폐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의 번짐이 추가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커넥터(10)의 높이를 바닥 슬라브(20)의 두께보다 훨씬 크게 형성하고, 관통부(26) 상부에 해당하는 커넥터(10)의 내부에도 내화충진재를 충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슬라브(20)의 두께가 150 내지 200 mm인 경우 커넥터(10)의 높이는 그것보다 훨씬 큰, 예를 들어 1000mm로 설정하고, 관통부(26) 상부에 위치하는 커넥터(10)의 말단부로부터 예를 들어 100mm 정도의 두께로 내화충진재를 충진할 수 있다. 그러면, 아래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그 열기가 케이블 트레이(40) 및 케이블(46)을 통하여 위층으로 전달되더라도 위층에서 커넥터(10) 내부에 놓이는 케이블 트레이(40) 및 케이블(46)은 커넥터(10) 및 내화충진재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위층에 발화요인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발화되지 않게 된다. 즉, 위층에서는 새로운 화재가 발생할 염려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사용되던 차열재의 번거로운 시공이 필요없게 될 뿐만 아니라 커넥터(10) 자체가 차열재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러한 차열재가 내구성있게 유지된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방화구획 관통부(22)가 바닥 슬라브(20)에 형성된 것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방화구획 관통부가 건물의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에 형성될 때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 커넥터 20: 바닥 슬라브
22,24,26: 관통부 30: 벽
40: 케이블 트레이 42: 측면 레일
44: 지지부재 46: 케이블
50: 미네랄울 60: 시멘트 몰탈
100: 제1 커넥터 부재 110: 수직판
120: 수평판 122: 확장부
130: 내화충진스트랩 200: 제2 커넥터 부재
210: 수직판 212: 전면 수직판
214: 좌측 수직판 216: 우측 수직판
220: 수평판 222: 확장부
230: 내화충진스트랩 300: 나사

Claims (10)

  1. 건물의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에 형성되는 방화구획 관통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이고,
    상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부재 및 제2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가 바닥 슬라브에 형성될 때를 기준으로 언급하면, 상기 제1 커넥터 부재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재는 전면 수직판, 좌측 수직판 및 우측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전방, 좌측방 및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전체 형상이 'ㄷ'자 형성을 이루는 수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둘러싸서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를 관통하는 한편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외하고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를 폐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전면 수직판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은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의 폭보다 넓게 확장되고 또한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은 상기 좌측 수직판 및 상기 우측 수직판보다 후방으로 확장되며, 그렇게 확장된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영역이 그렇게 확장된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영역 상에 얹혀져서 지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1 커넥터 부재 또는 상기 제2 커넥터 부재 내부 표면에는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내화충진스트랩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있는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는 몰탈 시공에 의하여 메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몰탈 시공 전에 상기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있는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에 미네랄울이 채워진 후 상기 미네랄울 상에 몰탈 시공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높이는 상기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의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에 해당하는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는 내화충진재가 충진되고, 또한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가 바닥 슬라브에 형성될 때를 기준으로 언급하면,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도 내화충진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8. 건물의 바닥, 천장 또는 벽체 슬라브에 형성되는 방화구획 관통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방화구획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용 커넥터이고,
    상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부재 및 제2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가 바닥 슬라브에 형성될 때를 기준으로 언급하면, 상기 제1 커넥터 부재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재는 전면 수직판, 좌측 수직판 및 우측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전방, 좌측방 및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전체 형상이 'ㄷ'자 형성을 이루는 수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둘러싸서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를 관통하는 한편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외하고 상기 방화구획 관통부를 폐쇄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용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은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직판의 폭보다 넓게 확장되고 또한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은 상기 좌측 수직판 및 상기 우측 수직판보다 후방으로 확장되며, 그렇게 확장된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영역이 그렇게 확장된 상기 제2 커넥터 부재의 상기 수평판 영역 상에 얹혀져서 지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용 커넥터.
  10.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1 커넥터 부재 또는 상기 제2 커넥터 부재 내부 표면에는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충진 스트랩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용 커넥터.
KR1020210089740A 2021-07-08 2021-07-08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 KR10264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40A KR102640930B1 (ko) 2021-07-08 2021-07-08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40A KR102640930B1 (ko) 2021-07-08 2021-07-08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105A true KR20230009105A (ko) 2023-01-17
KR102640930B1 KR102640930B1 (ko) 2024-02-23

Family

ID=8511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740A KR102640930B1 (ko) 2021-07-08 2021-07-08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9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202U (ko) * 1990-06-05 1992-01-27 윤철중 분리형 쇼파
KR100913973B1 (ko) *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20100090583A (ko) *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엘스콤 천장 및 벽체를 관통하는 케이블의 화재확산방지장치
KR20110106297A (ko) 2008-12-11 2011-09-28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방화 구획 관통부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801110B1 (ko) 2017-05-26 2017-11-27 주식회사 광운기술 화재 차단 성능이 우수한 케이블 트레이용 방화 구획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67090B1 (ko) 2020-02-17 2021-06-18 김영철 내진 방화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202U (ko) * 1990-06-05 1992-01-27 윤철중 분리형 쇼파
KR100913973B1 (ko) *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20110106297A (ko) 2008-12-11 2011-09-28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방화 구획 관통부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100090583A (ko) *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엘스콤 천장 및 벽체를 관통하는 케이블의 화재확산방지장치
KR101801110B1 (ko) 2017-05-26 2017-11-27 주식회사 광운기술 화재 차단 성능이 우수한 케이블 트레이용 방화 구획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67090B1 (ko) 2020-02-17 2021-06-18 김영철 내진 방화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930B1 (ko)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1761B1 (en) Insulating sealing element for head of wall joints
US20150275506A1 (en) Insulating sealing element for head-of-wall joints
KR101191560B1 (ko) 차열 방화 유리벽 구조
KR102257905B1 (ko) 외단열 층간 화재 확산 방지용 방화 배리어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25453B1 (ko)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20180138225A (ko) 내화 칸막이 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60103447A (ko) 외단열구조를 가진 건축물 외벽의 화재 확산방지 구조의 시공방법
CA2994500A1 (en) Facade assembly,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facade assembly
US20080006339A1 (en) Insulating element with wound pipe shell formed as a prefabricated element for accommodating a hot pipe
JP5462478B2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
KR20230009105A (ko) 케이블 트레이 방화구획 구조 및 그것을 위한 커넥터
IES970483A2 (en) A fire-retardant roof construction
JP3740332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WO2023284225A1 (zh) 一种地板装置及轨道车辆
JP3638826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2012062683A (ja) 鉄骨柱の耐火構造
RU2761812C1 (ru) Гибкая накладная огнестойкая кабельная проходка для тонкостенных преград
KR102517215B1 (ko) 케이블 트레이 및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내화채움구조 시공방법
KR102318532B1 (ko) 선택적 내향 실링을 이용한 벽체 관통구 케이싱 시스템
JP2002271948A (ja) 無機繊維マット、及び区画貫通部の防火措置構造
JP2021533837A (ja) 建設物貫通部火災拡散防止用の耐火構造物
KR102378071B1 (ko) 외벽화재 확산방지 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538296B1 (ko) 벽 관통 케이블트레이 차화시스템
KR102075153B1 (ko) 냉연가공공장 내화벽체 시공방법 및 그 구조
EP3724545B1 (en) A system consisting of a fire safe sealing and an aperture in a floor or a ceiling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sealing an aperture in a floor or a ceiling of a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