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535B1 -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535B1
KR101856535B1 KR1020170126416A KR20170126416A KR101856535B1 KR 101856535 B1 KR101856535 B1 KR 101856535B1 KR 1020170126416 A KR1020170126416 A KR 1020170126416A KR 20170126416 A KR20170126416 A KR 20170126416A KR 101856535 B1 KR101856535 B1 KR 101856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able
main body
extens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섭
Original Assignee
권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섭 filed Critical 권오섭
Priority to KR102017012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 및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연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치공간 상으로부터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고 상기 본체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본체부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Module for supporting cable and Cable tra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바닥,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케이블을 정리 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좌/우측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레일과, 사이드 레일들을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지지모듈(렁)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모듈은 한국등록특허 10-1657939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인서트부(10)는 결합판(113)에 탄성결합부(20)에 의해 결합되나, 탄성결합부는 인서트부가 결합판의 길이 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 높이 방방향으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렁이 사이드 레일에 견고히 결합되지 못하고 요동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모듈이 사이드 레일에 견고히 연결될 수 있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 및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연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치공간 상으로부터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고 상기 본체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본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에 따르면 사이드 레일에 견고히 연결될 수 있어 내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본체부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연결부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은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 및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연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치공간 상으로부터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고 상기 본체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본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제1 본체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본체지지부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본체지지부로부터 함입되어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제2 본체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2 본체지지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치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본체지지부의 하면에 접촉되는 연결지지부, 상기 연결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안착공간 상에서 상기 제2 본체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연결연장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는 연결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연장부는, 상기 연결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제1 연결연장부 및 제2 연결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가 통과하는 제1 연결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가 통과하는 제2 연결홀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공간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지지부의 폭 방향으로의 중심점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의 중심점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안착공간 상의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단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단부를 구속하는 제3 본체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이드 레일 상에 안착되는 안착면적을 증가시키고 폭 방향으로의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가해지는 비틀림 하중을 상기 사이드 레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 본체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 본체연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이드 레일과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 및 사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본체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본체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연결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의 개략 측면도이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체결부재(T)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20)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 상에는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으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 상에서 낙하되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T)는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과 상기 사이드 레일(20)간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일례로 볼트(T1)와 너트(T2)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체결부재(T)는 상기 볼트(T1) 및 상기 너트(T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은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T)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20)에 연결되는 연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 상에는 상기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사이드 레일(20) 상에 안착될 수 있어 상기 케이블의 하중을 상기 사이드 레일(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케이블의 하중을 상기 연결부(200)로 전달하고 상기 연결부(200)로부터 상기 체결부재(T)를 통해 상기 사이드 레일(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110), 상기 연결부(200)가 배치되는 배치공간(S1)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제2 본체연장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지지부(11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20) 사이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는 각각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높이 방향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치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치공간(S1)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지지부(110),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에 의해 커버되어 외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본체지지부(110)는 상기 연결부(200)가 연결되도록 연결홀(H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홀(H1)은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홀(H1)은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일부가 상기 폭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배치공간(S1) 상으로부터 상기 연결홀(H1)을 통과하고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연결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치공간(S1)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하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200)의 다른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치공간(S1) 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홀(H1)을 통과하고,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구속으로 인해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부(100) 및 상기 연결부(2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본체지지부(110)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제1 본체지지부(111) 및 상기 연결부(200)가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본체지지부(111)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본체지지부(111)로부터 함입되어 안착공간(S2)을 형성하는 제2 본체지지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홀(H1)은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는 상기 제1 본체지지부(111)의 일부가 상기 높이 방향의 하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가 상기 제1 본체지지부(111)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됨에 따라 함입된 정도만큼 상기 안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치공간(S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의 하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200)의 다른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치공간(S1) 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홀(H1)을 통과하고,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연결부(200)는 상기 안착공간(S2) 상에 안착되어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으로 상기 제1 본체지지부(111)보다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본체지지부(110) 상에 설치되는 상기 케이블은 상기 연결부(200)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상기 본체지지부(1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배치공간(S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의 하면에 접촉되는 연결지지부(210), 상기 연결지지부(2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홀(H1)을 통과하여 상기 안착공간(S2) 상에서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연결연장부(220) 및 상기 연결지지부(2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재(T)가 체결되는 체결홀(H2)을 형성하는 연결체결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부(210)는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의 하면에 접촉되어 하중을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연장부(220)는 상기 연결지지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지지부(210)는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고, 상기 연결연장부(220)는 상기 제2 본체지지부(113)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연결부(200)가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으로 요동되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연장부(220)는 상기 연결지지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제1 연결연장부(221) 및 제2 연결연장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는 각각 상기 연결지지부(210)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는 서로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과 수직하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홀(H1)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가 통과하는 제1 연결홀(H1-1)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가 통과하는 제2 연결홀(H1-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공간(S2)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가 안착되는 제1 안착공간(S2-1)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가 안착되는 제2 안착공간(S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치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홀(H1-1)을 통과한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 및 상기 제2 연결홀(H1-2)을 통과한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는 프레스 공정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제1 안착공간(S2-1) 및 상기 제2 안착공간(S2-2)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공간(S2-1) 및 상기 제2 안착공간(S2-2) 상에 안착된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는 상기 제1 본체지지부(111)보다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체결부(230)는 상기 연결지지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제1 연결체결부(231) 및 제2 연결체결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결체결부(231) 및 상기 제2 연결체결부(233)는 각각 상기 연결지지부(210)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체결부(231) 및 상기 제2 연결체결부(233)는 서로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홀(H2)은 상기 제1 연결체결부(231)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홀(H2-1) 및 상기 제2 연결체결부(233)에 형성되는 제2 체결홀(H2-2)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볼트(T1)는 상기 사이드 레일(20) 상에 형성된 고정홀(H3)을 통과하고, 상기 제1 체결홀(H2-1) 및 상기 제2 체결홀(H2-2)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체결홀(H2-2)을 통과한 부분과 상기 너트(T2)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본체지지부(110)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안착공간(S2) 상의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 단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의 단부를 구속하는 제3 본체지지부(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본체지지부(115)는 상기 제1 안착공간(S2-1)과 상기 제2 안착공간(S2-2)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본체지지부(115)는 상기 제1 안착공간(S2-1) 상에 안착된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의 단부 및 상기 제2 안착공간(S2-2) 상에 안착된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의 단부를 구속하여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지지부(210)의 폭 방향으로의 중심점(X1)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의 상기 폭 방향으로의 중심점(X2)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볼 수 있듯이, 상기 연결지지부(210)의 폭 방향으로의 중심점(X1)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의 상기 폭 방향으로의 중심점(X2)보다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본체지지부(110)의 상기 폭 방향으로의 중심부분에 집중되는 상기 케이블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휨 모멘트 하중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에 집중되지 않고 상기 연결지지부(210)에 분산되어 상기 제1 연결연장부(221)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22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사이드 레일(20) 상에 안착되는 안착면적을 증가시키고 상기 폭 방향으로의 가상의 축(X3)을 기준으로 가해지는 비틀림 하중을 상기 사이드 레일(20)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본체연장부(14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 본체연장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3 본체연장부(140)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20)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본체연장부(150)는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가상의 축(X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비틀림 하중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4 본체연장부(150)는 비틀림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사이드 레일(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가상의 축(X3)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비틀림 하중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3 본체연장부(140)는 비틀림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사이드 레일(20)로 전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 본체연장부(140) 및 상기 제4 본체연장부(150)로 인해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사이드 레일(20)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이드 레일(20)과 이격되어 이격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절삭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20)과 이격되는 상기 이격공간(S3)을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상기 사이드 레일(20)과 접촉될 수 있다.
나아가, 일례로, 상기 제3 본체연장부(140) 및 상기 제4 본체연장부(150)도 상기 사이드 레일(20)과 이격되어 상기 이격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S3) 상으로 케이블 트레이에 발생되는 누전을 감지하는 센서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이격공간(S3)으로 인해 상기 제1 본체연장부(120)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130)는 상기 사이드 레일(20)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이격공간(S3)을 통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을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S3)을 통해 상기 사이드 레일(20) 상에 누출된 이물질이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을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케이블 지지모듈(10) 및 상기 사이드 레일(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케이블 지지모듈
20: 사이드 레일
100: 본체부
200: 연결부
T: 체결부재

Claims (9)

  1.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본체지지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본체연장부 및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연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치공간 상으로부터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고 상기 본체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제1 본체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본체지지부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본체지지부로부터 함입되어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제2 본체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2 본체지지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치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본체지지부의 하면에 접촉되는 연결지지부, 상기 연결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안착공간 상에서 상기 제2 본체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연결연장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는 연결체결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연장부는,
    상기 연결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제1 연결연장부 및 제2 연결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가 통과하는 제1 연결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가 통과하는 제2 연결홀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공간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의 폭 방향으로의 중심점은,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의 중심점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안착공간 상의 상기 제1 연결연장부 단부 및 상기 제2 연결연장부의 단부를 구속하는 제3 본체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이드 레일 상에 안착되는 안착면적을 증가시키고 폭 방향으로의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가해지는 비틀림 하중을 상기 사이드 레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 본체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 본체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연장부 및 상기 제2 본체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이드 레일과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9. 제1항에 따른 케이블 지지모듈; 및
    사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170126416A 2017-09-28 2017-09-28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1856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16A KR101856535B1 (ko) 2017-09-28 2017-09-28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16A KR101856535B1 (ko) 2017-09-28 2017-09-28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535B1 true KR101856535B1 (ko) 2018-05-10

Family

ID=6218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416A KR101856535B1 (ko) 2017-09-28 2017-09-28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412B1 (ko) * 2020-07-27 2021-05-21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235A (ja) 2001-09-28 2003-04-11 Matsuyama Denki Kk ケーブルラック構成部材の結合構造
KR100883443B1 (ko) * 2007-02-15 2009-02-17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결합방법
KR101691371B1 (ko)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235A (ja) 2001-09-28 2003-04-11 Matsuyama Denki Kk ケーブルラック構成部材の結合構造
KR100883443B1 (ko) * 2007-02-15 2009-02-17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결합방법
KR101691371B1 (ko) 2016-07-15 2016-12-30 주식회사 서영산업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412B1 (ko) * 2020-07-27 2021-05-21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AU2003281885B2 (en) Para-seismic support for pipes
KR102156814B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KR10210483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856535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1844983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83654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0938426B1 (ko) 케이블 베어를 유도하는 시스템형 가이드
JP2016148192A (ja) 建築物の天井構造
KR101908432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082972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843356B1 (ko) 사이드 레일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1320568B1 (ko) 천장구조물용 행거
KR101844986B1 (ko)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모듈
JP4806247B2 (ja) 建物用制振構造
KR200488666Y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KR102112174B1 (ko)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KR102318142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형 연결장치
JP2016151127A (ja) 天井下地構造
KR102014238B1 (ko)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JP4049433B2 (ja) 配管ダクト
JP6497961B2 (ja) 支持装置及びユニットルーム
KR102641925B1 (ko) 방진수단을 갖는 공동주택용 행거형 전선 트레이 장치
KR102653828B1 (ko) 조명등 설치 구조물
KR200256943Y1 (ko) 입상관의 방진구 연결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