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666Y1 -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666Y1
KR200488666Y1 KR2020170001134U KR20170001134U KR200488666Y1 KR 200488666 Y1 KR200488666 Y1 KR 200488666Y1 KR 2020170001134 U KR2020170001134 U KR 2020170001134U KR 20170001134 U KR20170001134 U KR 20170001134U KR 200488666 Y1 KR200488666 Y1 KR 200488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plate
pair
ladder
horizont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720U (ko
Inventor
전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1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66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7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6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에 펀칭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의 한 쌍의 측벽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 연직판 및 상기 제1 연직판에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2 연직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트위스트 연결편; 상기 제2 연직판에 결합되는 제3 연직판 및 상기 제3 연직판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절곡 연결편; 및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절곡 연결편을 연결하고, 상면에 상기 펀칭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판이 결합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CABLE TRAY}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하에서는 "선박 등"이라고 한다)에는 각종 케이블이 포설되는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는 선박 등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선박 등에 설치된 다른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블 트레이가 선박 등에 고정되면, 제2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를 통해 제1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선박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펀칭 케이블 트레이 등이 있다. 종래 펀칭 케이블 트레이를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를 통해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에 꼬치 위치에 배치되도록 고정하는 경우에,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에서 복수 개의 스텝이 형성된 구간에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가 결합되는 볼트 결합홀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펀칭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위치가 일부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1972호(2013.07.01, 제어실에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설치방법)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에 꼬인 위치에 배치되도록 고정되는 펀칭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위치가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스텝으로 인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에 펀칭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의 한 쌍의 측벽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 연직판 및 상기 제1 연직판에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2 연직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트위스트 연결편; 상기 제2 연직판에 결합되는 제3 연직판 및 상기 제3 연직판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절곡 연결편; 및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절곡 연결편을 연결하고, 상면에 상기 펀칭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판이 결합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은 상기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방향과 평행하게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트위스트 연결편 사이의 결합, 상기 트위스트 연결편과 상기 절곡 연결편 사이의 결합, 상기 절곡 연결편과 상기 상기 수평바 사이의 결합 및 상기 수평바와 상기 펀칭 케이블 트레이 사이의 결합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연직판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바에는 상기 수평바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볼트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바에 형성되는 상기 볼트 결합홀은 상기 수평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트위스트 연결편의 결합 위치, 즉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에서 볼트 결합홀이 형성되는 위치가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스텝이 형성되지 않은 범위 내로 제한되더라도, 트위스트 연결편에 절곡 연결편을 통해 결합되는 수평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펀칭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펀칭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위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스텝으로 인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10)에는 펀칭 케이블 트레이(20)가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3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10)는 선박 등에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10)는 선박 등에 고정되어 수평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벽(11, 13) 및 한 쌍의 제1 측벽(11, 13)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스텝(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 13)에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30)가 결합되는 볼트 결합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결합홀(H)의 형성 위치는 제1 측벽(11, 13)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스텝(15)으로 인해 복수 개의 스텝(15) 사이로 제한될 수 밖에 없다.
펀칭 케이블 트레이(20)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10)에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펀칭 케이블 트레이(20)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10)에 고정되어 수평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벽(21, 23) 및 한 쌍의 제2 측벽(21, 23)을 연결하는 하나의 바닥판(25)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30)가 결합되는 볼트 결합홀(H)은 제2 측벽(21, 23)뿐만 아니라 바닥판(25)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펀칭 케이블 트레이(20)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10)의 하측에서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10)와 꼬치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40)는 한 쌍의 트위스트 연결편(100), 한 쌍의 절곡 연결편(200) 및 수평바(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트위스트 연결편(100)은 제1 측벽(11, 13) 중 하나에 함께 결합될 수 있고, 제1 측벽(11, 13)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트위스트 연결편(100)은 제1 연직판(110) 및 제2 연직판(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직판(110) 및 제2 연직판(120)은 연직 방향, 즉 상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직판(110)은 제1 측벽(11, 13) 중 하나에 밀착된 상태로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볼트(B)는 제1 측벽(11, 13)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H)과 제1 연직판(110)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H)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N)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측벽(11, 13)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H)은 상술한 것처럼 복수 개의 스텝(15) 사이에 배치되므로, 제1 연직판(110)도 복수 개의 스텝(15) 사이에 배치될 수 밖에 없다.
제2 연직판(120)은 제1 연직판(110)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될 수 있고, 제1 연직판(110)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트위스트 연결편(100)은 제1 연직판(110)과 제2 연직판(120) 사이에서 비틀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 연결편(200)은 한 쌍의 트위스트 연결편(100)에 각각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
절곡 연결편(200)은 제3 연직판(210) 및 수평판(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연직판(210)은 연직 방향, 즉 상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판(22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직판(210)은 제2 연직판(120)에 밀착된 상태로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볼트(B)는 제2 연직판(120)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H)과 제3 연직판(210)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H)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N)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연직판(210)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H)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 연직판(210)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H)에서의 볼트(B)의 결합 위치에 따라 펀칭 케이블 트레이(2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수평판(220)은 제3 연직판(210)의 하단에서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10)의 설치 방향과 평행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절곡 연결편(200)은 하나의 플레이트가 제3 연직판(210)과 수평판(220) 사이에서 직각으로 접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바(30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바(300)는 수평판(22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절곡 연결편(200)을 연결할 수 있다. 볼트(B)는 수평판(220)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H)과 수평바(300)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H)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N)에 결합될 수 있다.
수평바(300)에는 수평바(30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볼트 결합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바(300)의 양 단에 인접한 볼트 결합홀(H)에는 수평판(220)에 결합되는 볼트(B)가 결합될 수 있고, 나머지 볼트 결합홀(H) 중 하나에는 펀칭 케이블 트레이(20)에 결합되는 볼트(B)가 결합될 수 있다. 수평바(300)의 상면에는 펀칭 케이블 트레이(20)의 바닥판(25)이 밀착된 상태로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수평바(300)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H)은 수평바(3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수평바(300)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H)에서의 볼트(B)의 결합 위치에 따라 펀칭 케이블 트레이(20)의 설치 위치를 수평바(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11, 13: 제1 측벽
15: 스텝 20: 펀칭 케이블 트레이
21, 23: 제2 측벽 25: 바닥판
30, 40: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100: 트위스트 연결편
110: 제1 연직판 120: 제2 연직판
200: 절곡 연결편 210: 제3 연직판
220: 수평판 300: 수평바

Claims (6)

  1.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을 연결하는 복수의 스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에 펀칭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의 한 쌍의 측벽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 연직판 및 상기 제1 연직판에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2 연직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트위스트 연결편;
    상기 제2 연직판에 결합되는 제3 연직판 및 상기 제3 연직판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절곡 연결편; 및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절곡 연결편을 연결하고, 상면에 상기 펀칭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판이 결합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판 및 상기 수평바는 상기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방향과 평행하게 수평 연장되고, 상기 수평바에는 상기 수평바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볼트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트위스트 연결편 사이의 결합, 상기 트위스트 연결편과 상기 절곡 연결편 사이의 결합, 상기 절곡 연결편과 상기 상기 수평바 사이의 결합 및 상기 수평바와 상기 펀칭 케이블 트레이 사이의 결합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펀칭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위치는 상기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스텝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트위스트 연결편에 상기 절곡 연결편을 통해 결합되는 상기 수평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절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직판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에 형성되는 상기 볼트 결합홀은 상기 수평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KR2020170001134U 2017-03-09 2017-03-09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KR200488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34U KR200488666Y1 (ko) 2017-03-09 2017-03-09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34U KR200488666Y1 (ko) 2017-03-09 2017-03-09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20U KR20180002720U (ko) 2018-09-19
KR200488666Y1 true KR200488666Y1 (ko) 2019-03-06

Family

ID=6370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134U KR200488666Y1 (ko) 2017-03-09 2017-03-09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666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972A (ko) 2011-12-21 2013-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제어실에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20U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101B1 (ko) 와이어형 케이블 레이스웨이, 특히 가정용 케이블레이스웨이
US9209609B2 (en) Cable tray system with splice plate
US7154040B1 (en) Support bracket for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442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1291298B1 (ko) 케이블 트레이
US20100133390A1 (en) Variable Angle Fitting
US10851937B2 (en) Mounting bracket with support structure
KR200488666Y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KR200495118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20022139A (ko) 케이블 트레이
KR101672765B1 (ko) 케이블 고정용 트레이
KR101561533B1 (ko) 전기·통신 케이블 트레이
KR20140002573U (ko) 래더형 케이블 트레이의 클램프
KR101576611B1 (ko) 전기·통신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200483076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48211Y1 (ko) 스페이서 댐퍼 취부용 보조장치
KR20170002599U (ko) 조립식 트레이용 가로대
KR200487995Y1 (ko)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1895974B1 (ko) 씨오에스 브라켓 개선 장치
US9819163B1 (en) Flexible cable tray section
KR200483075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40005495U (ko) 케이블 트레이
KR101616383B1 (ko) 케이블 트레이
US20220224090A1 (en) Intersection system for overhead cable trays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