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726B1 -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726B1
KR100829726B1 KR1020070019573A KR20070019573A KR100829726B1 KR 100829726 B1 KR100829726 B1 KR 100829726B1 KR 1020070019573 A KR1020070019573 A KR 1020070019573A KR 20070019573 A KR20070019573 A KR 20070019573A KR 100829726 B1 KR100829726 B1 KR 100829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rame
roller
cable
cab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주)동양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동양인더스트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나란히 배치된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벽면이나 천정에 배선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양측 말단에 돌출부가 부설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은 절곡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에 밀착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을 고정하게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으로 하며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과 측면프레임 간의 결합이 보다 강해져 케이블 트레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의 말단에 케이블이 접촉하여 발생하는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케이블 트레이 배선 마찰 지지 결합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도1 :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
도2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도
도3 : 제1실시예에 따른 렁의 사시도
도4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도
도5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롤러와 롤러받침프레임의 사시도
도6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도
도7 : 제3실시예의 롤러와 롤러받침프레임을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8 :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0 : 렁 110 : 돌출부
200 : 롤러 210 : 롤러받침프레임
220 : 돌출부 300 : 측면프레임
400 : 볼트 410 : 너트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의 지지프레임 양측 말단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를 측면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시킨 후 절곡하여 지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또는 선박의 천정에는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전선들이 배선되어지며, 이들 전선들은 케이블 트레이에 의해서 안내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분기되어 전원 접속을 위한 콘센트와 연결되어진다.
종래에는 "ㄷ"자 형태의 측면프레임을 서로 마주보도록 두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프레임을 부설하여 양측 측면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종전에는 판재를 양측 측면프레임 사이에 설치하여 케이블트레이의 하측이 모두 막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렇게 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의 무게가 증가하게되어 설치작업이 어려우며 케이블과 지지프레임간의 마찰에 의해 케이블의 설치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판재를 사용하는 대신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ㅁ"자 형태로 만든 봉 형상의 렁을 설치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렁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찰이 발생하므로 케이블과 지지프레임간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2005-0018630호와 제20-2005-0033182호 "케이블 트레이"에 렁과 렁 사이에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롤러의 하측에 롤러받침프레임을 설치한 케이블 트레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에서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인 렁(100) 또는 롤러(200)과 측면프레임(300)의 고정은 측면프레임(300)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측면프레임(300)의 외측에서 볼트(400)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측면프레임(300)의 내측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볼트(400)로 고정하게 되면 케이블의 하중이 상기 볼트(400)에 걸리게 되므로 볼트(400)의 파손으로 인하여 케이블의 추락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렁(100) 또는 롤러(200)의 상측면과 측면프레임(300)의 내측면 간에 간격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렁(100) 또는 롤러(200)의 말단에 케이블이 걸려 케이블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내구성이 높아 파손에 의해 케이블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측면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측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나란히 배치된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벽면이나 천정에 배선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양측 말단에 돌출부가 부설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은 절곡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에 밀착되어 하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을 감싸 상기 측면프레임을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프레임의 돌출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부분과 그 상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과 나사와 볼트로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프레임은, 양측 측면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는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하측에서 결합되어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받침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롤러받침프레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프레임은, 'ㅁ'자 형태로 절곡된 길이가 긴 부재로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목적은 케이블 트레이 및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이루는 지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결합시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말단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측면프레임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관통공을 형성하고 있다. 이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후 절곡되어 측면프레임에 밀착되며 지지프레임 자체 또는 측면프레임과 고정되도록 하여 단순히 볼트로 체결한 것에 비해 결합강도가 높아 케이플 트레이의 파손이 적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면이 연장되어 돌출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말단과 케이블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렁의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으로 렁(100)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렁은 "ㅁ"자 형태로 절곡된 봉형상을 이루게 되며 도1과 같이 측면프레임(300)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부설되어 양측 측면프레임(300)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지지하면서 상측에 케이블이 올려져 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렁(100)의 양측 말단을 길게 연장하여 돌출부(11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110)는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면프레임(300)을 관통하게 되며 절곡되어 측면프레임(30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10)와 측면프레임(300)을 보다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서 상기 돌출부(110)와 측면프레임(300)에 통공을 형성하여 볼트(400)와 너트(410)로 체결한다. 이때 도2과 같이 렁(100)이 상기 통공과 이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렁(100)의 내부에 너트(410)를 결합하고 외측에서 볼트(400)를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렁(100)의 내부에 너트(410)를 설치하는 경우 너트(410)가 렁(100)내부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상기 렁(100)을 측면프레임(300)의 절곡된 부분에서 상측으로 이격시켜 결합하고 상기 렁(100)이 하측에 너트(410)를 위치시킨 후 볼트(400)로 체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하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렁(100)을 지지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돌출부(110)를 제1실시예보다 길게 형성하여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면프레임(300)의 하측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렁(100)은 자신에게서 연장된 돌출부(110)와 볼트(400) 및 너트(410)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렁(100)의 내측에는 미리 너트(410)를 결합하여 둔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110)가 측면프레임(300)을 감싸게 되므로 제1실시예에 비해 작업시간은 증가하게 되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10)를 지지프레임인 렁(100)과 결합시키는 대신 상기 측면프레임(300)의 하측의 절곡된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은 롤러(200)와 상기 롤러(200)를 지지하는 롤러받침프레임(2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200)는 케이블의 배선작업시 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어 마찰을 최소화하게 되며 상기 롤러받침프레임(210)은 상기 롤러(200)가 축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케이블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롤러(200)의 하측에 롤러받침프레임(210)을 부설하고 있다. 상기 롤러받침프레임(210)의 구조는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특허출원 제20-2005-0033182호 "케이블 트레이"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롤러받침프레임(210)의 말단에 돌출부(220)를 형성하게 되며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돌출부(220)를 측면프레임(300)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시킨 후 상측으로 절곡하여 측면프레임(300)과 밀착되도록 구성한 후 볼트(400)와 너트(410)로 상기 돌출부(220)와 측면프레임(300)을 고정하게 된다.
도6에서는 상기 돌출부(220)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롤러(200)와 롤러받침프레임(210) 사이에서 볼트(400)와 너트(410)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롤러(200)와 롤러받침프레임(210) 간의 사이가 좁은 경우에는 상기 롤러(200)와 롤러받침프레임(210)을 측면프레임(300)의 절곡된 부분에서 상측으로 이격시켜 결합하고 돌출부(220)를 하측으로 절곡하여 볼트(400)와 너트(410)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하다.
상기와 같은 롤러받침프레임(210)과 롤러(200)의 구조는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블 트레이의 절곡된 부분에 있어서 측면프레임(300)에 수직으로 결합하여 케이블이 측면프레임(300)에 닿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하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에서는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으로 롤러(200)와 롤러받침프레임(210)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 측면프레임(300)의 하측과 상기 롤러받침프레임(210) 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 또는 롤러(200)와 롤러받침프레임(210)간의 간격이 좁을 경우 볼트(400)를 체결하기 곤란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4실시예에서는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돌출부(220)를 제3실시예에 비해 더욱 연장하여 상기 돌출부(220)가 측면프레임(300)을 감싸면서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도록 한 후 상기 롤러받침프레임(210)과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20)를 롤러받침프레임(210)과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대신 측면프레임(300)의 하측 절곡된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하다.
여기서 지지프레임으로 렁(100) 또는 롤러(200)를 각각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렁(100)과 롤러(200)를 교대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110, 220)를 형성하여 지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을 결합함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 자체의 파손과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에 의하면 지지프레임의 말단에서 연장된 돌출부가 측면프레임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후 절곡되어 결합되므로 단순히 볼트에 의해 체결하는 것에 비해 결합강도가 증가하여 파손의 위험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케이블이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돌출부가 지지프레임에서 연장되어 측면프레임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지지프레임과 측면프레임 간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나란히 배치된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벽면이나 천정에 배선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양측 말단에 돌출부가 부설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은 절곡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에 밀착되어 하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을 감싸 상기 측면프레임을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돌출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부분과 그 상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과 나사와 볼트로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양측 측면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는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하측에서 결합되어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받침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롤러받침프레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ㅁ'자 형태로 절곡된 길이가 긴 부재로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5. 삭제
  6. 삭제
KR1020070019573A 2006-12-04 2007-02-27 케이블 트레이 KR100829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544 2006-12-04
KR20060121544 2006-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726B1 true KR100829726B1 (ko) 2008-05-16

Family

ID=3966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573A KR100829726B1 (ko) 2006-12-04 2007-02-27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7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64Y1 (ko) 2010-12-17 2014-06-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정리용 지그
KR101908432B1 (ko) 2018-05-18 2018-10-16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KR102104514B1 (ko) 2018-11-15 2020-04-27 (주)엠아이티코리아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용 케이블 가이드 구조물 및 그 장치
KR102262934B1 (ko) * 2020-10-08 2021-06-09 주식회사 동도이엔지 건축물 공동주택의 전선 케이블트레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1997U (ko) * 1974-12-24 1976-06-30
JPS525020U (ko) 1975-06-26 1977-01-13
KR19980015175U (ko) * 1996-09-06 1998-06-25 임용선 건물내 케이블 배설용 트레이
JPH10210619A (ja) 1997-01-22 1998-08-07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受具用の子桁
JP2001186622A (ja) 1999-12-22 2001-07-06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子桁増設用金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1997U (ko) * 1974-12-24 1976-06-30
JPS525020U (ko) 1975-06-26 1977-01-13
KR19980015175U (ko) * 1996-09-06 1998-06-25 임용선 건물내 케이블 배설용 트레이
JPH10210619A (ja) 1997-01-22 1998-08-07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受具用の子桁
JP2001186622A (ja) 1999-12-22 2001-07-06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子桁増設用金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64Y1 (ko) 2010-12-17 2014-06-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정리용 지그
KR101908432B1 (ko) 2018-05-18 2018-10-16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KR102104514B1 (ko) 2018-11-15 2020-04-27 (주)엠아이티코리아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용 케이블 가이드 구조물 및 그 장치
KR102262934B1 (ko) * 2020-10-08 2021-06-09 주식회사 동도이엔지 건축물 공동주택의 전선 케이블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105B1 (ko) 건축물의 외부 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KR200442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198520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242050B1 (ko) 케이블트레이
KR10082972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30748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156232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KR10210483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557344B1 (ko)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20180032433A (ko) 정밀 시공이 가능한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101193367B1 (ko) 서스펜션 장치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20220020186A (ko) 무타공식 벽걸이 tv 거치장치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465504B1 (ko)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KR102256155B1 (ko) 건축용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1925578B1 (ko)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KR101960398B1 (ko) 건식 쌓기형 외부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70136A (ko) 고정브래킷
KR200442923Y1 (ko) 케이블 받침대
KR102225871B1 (ko)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KR20090061327A (ko) 호형구조물용 내/외장재 패널 조립시스템
KR20110000911A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101614302B1 (ko) 벽돌지지 장치
KR200405952Y1 (ko) 전등용 덕트의 플랜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