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344B1 -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344B1
KR101557344B1 KR1020130142683A KR20130142683A KR101557344B1 KR 101557344 B1 KR101557344 B1 KR 101557344B1 KR 1020130142683 A KR1020130142683 A KR 1020130142683A KR 20130142683 A KR20130142683 A KR 20130142683A KR 101557344 B1 KR101557344 B1 KR 101557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groove
support
support plat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519A (ko
Inventor
최연수
Original Assignee
최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수 filed Critical 최연수
Publication of KR20150055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7Supporting consoles, e.g. adjustable on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벽돌지지브래킷에 형성된 홈에 지지플레이트를 간편하게 끼워 넣고 끼워진 지지플레이트는 걸림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벽돌을 받쳐주기 위한 지지플레이트의 설치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끼움홈을 형성하여 지지플레이트의 고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끼움홈의 간격이 조적벽돌의 크기에 맞게 형성되어 벽돌의 조적시 줄눈 간격이 일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내력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외부벽돌벽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로 구성된 벽돌지지브래킷; 내력벽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설치된 다수의 벽돌지지브래킷에 형성된 지지부에 안착되어 외부벽돌벽을 형성하는 조적벽돌을 지지해주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형성하는 두개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는 홈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플레이트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Brick support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ck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축조인트의 상부영역이나 인방의 상부영역에 조적되는 조적벽돌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줌으로써 신축조인트 및 인방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은 건축물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외기에 대하여 건물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역할은 보온이나 통기, 차양 등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건축물 외벽은 내력벽, 내력벽의 내,외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단열재, 단열공간 및, 조적된 다수개의 조적부재를 갖는 외부벽돌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벽돌벽은 온도에 의한 수축팽창으로 외부벽돌벽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적벽돌들 사이에 신축조인트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신축조인트는 조적벽돌들의 하중이나 팽창에 의해 가압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신축조인트를 설치하기 위해 종래에는 조적벽돌의 상부에 신축조인트를 설치한 후 신축조인트의 상부에 조적되는 조적벽돌은, 내력벽의 폭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되는 L자형 앵글을 통해 지지되도록 조적함으로써 신축조인트에 직접적인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L자형 앵글은 조적부재들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내력벽의 폭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되고, 강재로 구성됨으로써 자재비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어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력벽에 일정간격으로 벽돌지지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벽돌지지브래킷을 연결하도록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조적벽돌을 조적하였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벽돌지지브래킷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지지플레이트와 벽돌지지브래킷을 볼트 체결을 통해 고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지지플레이트의 고정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시공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8-010126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돌지지브래킷에 형성된 홈에 지지플레이트를 간편하게 끼워 넣고 끼워진 지지플레이트는 걸림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벽돌을 받쳐주기 위한 지지플레이트의 설치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끼움홈을 형성하여 지지플레이트의 고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끼움홈의 간격이 조적벽돌의 크기에 맞게 형성되어 벽돌의 조적시 줄눈 간격이 일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내력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외부벽돌벽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로 구성된 벽돌지지브래킷; 내력벽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설치된 다수의 벽돌지지브래킷에 형성된 지지부에 안착되어 외부벽돌벽을 형성하는 조적벽돌을 지지해주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형성하는 두개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는 홈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플레이트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공간에 끼워지는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단에는 지지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일측단에 대향하는 타측단에는 지지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또 다른 끼움홈 또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홈의 외부측 측벽에서 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끼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양측단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통해 끼움공간으로 끼워져 끼움홈이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홈의 내부측 측벽에서 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일측단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끼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홈을 통해 끼움공간으로 끼워지되, 상기 끼움홈이 끼움공간으로 끼워져 지지부에 결합되고, 끼움홀은 홈의 외부측 측벽과 지지부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강성 향상을 위해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돌지지브래킷의 지지부는, 고정부의 양단이나, 일측단에서 외부벽돌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내력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외부벽돌벽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형성하는 두개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는 홈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플레이트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벽돌지지브래킷을 설계 위치에 맞도록 내력벽에 설치하는 벽돌지지브래킷 설치단계; 상기 내력벽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단열공간을 확보하고 조적벽돌을 조적하는 조적벽돌 조적단계; 상기 벽돌지지브래킷의 하단까지 조적벽돌이 조적되면, 최상단의 조적벽돌 상부에 신축조인트를 설치하는 신축조인트 설치단계; 상기 벽돌지지브래킷의 홈에 안착되도록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하되,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단은 끼움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림턱에 걸려지도록 설치하는 지지플레이트 설치단계; 상기 신축조인트에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조적벽돌을 조적하는 조적벽돌 조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 설치단계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단에는 지지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일측단에 대향하는 타측단에는 지지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또 다른 끼움홈 또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홈의 외부측 측벽에서 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끼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홈을 통해 끼움공간으로 끼워지되, 양측단에 형성되는 끼움홈이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홈의 내부측 측벽에서 홈의 내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끼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홈을 통해 끼움공간으로 끼워지되, 일측단에 형성되는 끼움홈이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측단에 형성되는 끼움홀은 홈의 외부측 측벽과 지지부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플레이트가 벽돌지지브래킷의 홈에 끼워지고 걸림턱에 의해 걸려짐으로써 지지플레이트에 조적되는 조적벽돌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안정적인 외부벽돌벽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와 벽돌지지브래킷이 상호 끼움구조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됨으로써 시공이 정확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정밀성이 향상되어 외부벽돌벽 전체의 시공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를 통해 조적벽돌의 하중이 신축조인트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신축조인트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크랙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의 내력벽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시공된 외부벽돌벽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의 내력벽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벽돌벽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지지플레이트에 절곡부를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벽돌지지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1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조적벽돌을 지지하는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벽돌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인방벽돌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의 내력벽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벽돌 지지장치는, 내력벽(20)에 설치되는 다수의 벽돌지지브래킷(100)과, 상기 벽돌지지브래킷(1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이웃하는 벽돌지지브래킷(100)을 연결해주고 상부에 조적되는 조적벽돌(40)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지지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벽돌지지브래킷(100)은, 내력벽(20)에 앵커(14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앵커홀(111)이 형성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양측단에서 외부벽돌벽(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20)와,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00)가 안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홈(130)은 지지부(1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홈(130)을 형성하는 외부측 측벽(133)에서 홈(13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플레이트(200)가 끼워지는 끼움공간(131)을 형성하는 걸림턱(132)이 형성된다.
한편 벽돌지지브래킷(100)의 지지부(120)는, 고정부(110)의 양단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ㄷ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9 에서와 같이 고정부(120)의 일측단에서 외부벽돌벽(10)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상기 홈(130)을 통해 안착되어 끼움공간(131)에 끼워지게 되고 걸림턱(132)에 걸려짐으로서 벽돌지지브래킷(100)의 지지부(12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플레이트(200)는 지지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조적되는 조적벽돌(40)을 받쳐주어 지지플레이트(200)의 하부로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 주게 된다.
즉 지지플레이트(200)는 지지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조적되는 조적벽돌(40)들의 하중이 지지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위치한 신축조인트(5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벽돌지지브래킷(100)을 통해 내력벽(2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도 8 에서와 같이 강성 향상을 위해 다수의 절곡부(23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절곡부(230)를 형성하여 강성을 향상시켜 주게 되면 지지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조적되는 조적벽돌(40)의 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자재의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벽돌 지지장치는, 지지플레이트(200)가 벽돌지지브래킷(100)의 지지부(120)에 형성된 홈(130)에 안착됨으로써 지지부(120)의 전, 후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고, 걸림턱(132)에 의해 상부면이 구속되어 홈(130)의 상부 방향으로도 이탈되지 않아 조적벽돌(40)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지지플레이트(200) 벽돌지지브래킷(100)상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벽돌 조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200)를 홈(130)에 안착키면서 끼움공간(131)으로 끼워 넣는 간편한 작업만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외부벽돌벽(10)을 시공함에 있어 빠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시공된 외부벽돌벽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의 내력벽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벽돌벽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에 있어, 지지플레이트(200)는 상기 홈(130)을 통해 안착되어 끼움공간(131)에 끼워지되, 지지부(120) 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걸려질 수 있도록, 양측면에 지지부(120)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다수의 끼움홈(2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끼움홈(210)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200)를 벽돌지지브래킷(10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지부(120)의 홈(130)에 지지플레이트(200)를 안착시키되, 지지플레이트(200)의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홈(210)이 지지부(120)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즉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홈(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끼움홈(210)이 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외부측 측벽(133)과 내부측 측벽(134)에 끼워져 걸려지게 되어 폭방향으로 구속되고, 끼움공간(131)을 형성하는 걸림턱(132)에 의해 상부가 구속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지지플레이트(200)의 끼움홈(210)이 홈(130)의 외부측 측벽(133)과 내부측 측벽(134)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200)가 벽돌지지브래킷(100) 상에서 폭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200)의 상부면 일측이 걸림턱(132)에 의해 걸려지게 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200)가 홈(130)의 상부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끼움홈(210)을 통해 필요한 길이만큼 지지플레이트(200)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어 작업 여건에 따라 손쉽게 절단하여 사용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
한편 도 10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1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벽돌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조적벽돌을 지지하는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 벽돌지지브래킷(100)은 내력벽(20)에 앵커(14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앵커홀(111)이 형성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양측단에서 외부벽돌벽(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20)와,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00)가 안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홈은 지지부(120)의 상부에 하부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홈(130)을 형성하는 내부측 측벽(134)에서 홈(13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플레이트(200)가 끼워지는 끼움공간(131)을 형성하는 걸림턱(132)이 형성된다.
한편 지지플레이트(200)는 상기 홈(130)을 통해 안착되어 끼움공간(131)에 끼워지되, 지지부(120) 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걸려질 수 있도록 일측단에는 끼움홈(210)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끼움홀(220)이 형성되며, 상기 홈(130)을 통해 끼움공간(131)으로 끼워지되, 상기 끼움홈(220)이 끼움공간(131)으로 끼워져 지지부(120)에 결합되고 끼움홀(220)은 홈(130)의 외부측 측벽(133)과 지지부(130)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는 돌출부(135)에 끼워져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끼움홈(210)이 홈(130)의 내부측 측벽(134)에 끼워져 결합되고, 끼움홀(220)은 돌출부(135)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00)가 끼움홈(210) 및 끼움홀(220)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구속되고, 상기 걸림턱(132)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구속됨으로써 지지부(120) 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135)는 지지부(120) 상에서 별도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지지부(120)에 홈(13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홈(130)의 외부측 측벽(133)과 지지부(120)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턱(132) 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벽돌 지지장치를 이용한 외부벽돌벽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외부벽돌벽(10) 형성을 위한 설계 위치에 맞도록 상기 벽돌지지브래킷(100)을 내력벽(20) 상에 앵커(140)를 통해 고정한다.
이후 상기 내력벽(140)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단열공간을 확보하고 외부벽돌벽(10)의 높이 방향으로 조적벽돌(40)을 조적한다.
이후 조적벽돌(40)이 벽돌지지브래킷(100)의 하단까지 조적되면, 최상단의 조적벽돌(40)의 상부에 외부벽돌벽(10)의 폭 방향으로 신축조인트(50)를 설치한다.
이후 벽돌지지브래킷(100)의 지지부(120)에 형성된 홈(130)에 지지플레이트(200)를 안착시키면서 끼움공간(131)으로 끼워 넣어 벽돌지지브래킷(100)에 지지플레이트(200)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조적벽돌(40)을 조적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벽돌지지브래킷(100)은 고정부(110)의 앵커홀(111)을 통해 설치되는 앵커(140)에 의해 내력벽(20)에 고정되고 지지플레이트(200)는 홈(130)에 안착된 상태로 일측면이 끼움공간(131)으로 끼워지고 걸림턱(132)에 의해 상부면이 구속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양측단에 끼움홈(210)이 형성되고, 지지부(120)의 홈(130)에 형성되는 돌출부(132)가 홈(130)의 외부측 측벽(133)에 형성될 경우에는, 지지플레이트(220)의 끼움홈(210)이 홈(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부(120)에 끼워지도록 설치한다.
즉 지지플레이트(200)를 홈(130)에 안착시키면 일측의 끼움홈(210)이 홈(130)의 내부측 측벽(134)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의 끼움홈(210)은 끼움공간(131)으로 삽입되어 외부측 측벽(133)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200)는 끼움홈(210)이 홈(130)의 양측벽에 걸려져 좌,우 방향으로 구속되고, 걸림턱(132)에 의해 상부면이 구속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조적되는 조적벽돌(40) 중 첫 번째 단에 조적되는 조적벽돌(40)은 외부측 측벽(133)에 형성되는 걸림턱(132)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지지플레이트(2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오목한 형태의 걸림단턱(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00)는 신축조인트(50)의 상부에 조적되는 조적벽돌(40)들을 받쳐줌으로써 조적벽돌(40)들의 하중을 벽돌지지브래킷(100)을 통해 내력벽(20)에 전달하여 신축조인트(50)에는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적벽돌(40)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내력벽(20)과 조적벽돌(40) 사이에 단열재(60)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조적벽돌(40)을 내력벽(20)에 고정하기 위한 외벽고정용 앵커(도시없음) 등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신축조인트(50)는 탄성력을 갖는 일종의 합성수지 패드로서 다수단으로 외부벽돌벽(10)이 온도에 따라 신축될 경우 이를 흡수하여 크랙발생을 최소화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신축조인트(50)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200)에 놓여지는 조적벽돌(40)의 하중이 신축조인트(5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신축조인트(50)가 압축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축조인트(50)를 통한 외부벽돌벽(10)의 균열방지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벽돌지지브래킷(100)에 지지플레이트(2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부(120)의 홈(130)에 형성되는 돌출부(132)가 홈(130)의 내부측 측벽(134)에 형성될 경우에는, 일측단은 끼움홈(210)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끼움홀(220)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200)를 홈(130)에 안착시켜 결합한다.
즉 지지플레이트(200)를 홈(130)에 안착시키면 일측의 끼움홈(210)이 끼움공간(131)으로 삽입되어 내부측 측벽(134)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단의 끼움홀(220)에 돌출부(135)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걸림턱(132)이 내부측 측벽(134)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걸림턱(132)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조적벽돌(40)을 조적할 수 있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조적되는 조적벽돌(40) 중 첫 번재 단에 조적되는 조적벽돌(40)에 걸림단턱(41)을 가공할 필요 없이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벽돌지지브래킷(100)의 지지부(120)에 지지플레이트(2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구속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200)의 유동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조적벽돌(40)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안정적인 외부벽돌벽(10)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벽돌지지브래킷(100)에 지지플레이트(200)가 끼움 구조로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정확하고 빠른 시공이 이루어져 시공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벽돌지지브래킷(100)은 도 13 에서와 같이 개구부(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인방벽돌(300)을 고정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벽돌지지브래킷(100)의 지지부(120)에는 인방벽돌(300)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121)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외부벽돌벽 (20) : 내력벽
(30) : 개구부 (40) : 조적벽돌
(41) : 걸림단턱 (50) : 신축조인트
(100) : 벽돌지지브래킷 (110) : 고정부
(111) : 앵커홀 (120) : 지지부
(121) : 관통홀 (130) : 홈
(131) : 끼움공간 (132) : 걸림턱
(133) : 외부측 측벽 (134) : 내부측 측벽
(135) ; 돌출부 (140) : 앵커
(200) : 지지플레이트 (210) : 끼움홈
(220) : 끼움홀 (230) : 절곡부
(300) : 인방벽돌 (400) : 보강재

Claims (10)

  1. 내력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외부벽돌벽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로 구성된 벽돌지지브래킷;
    내력벽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설치된 다수의 벽돌지지브래킷에 형성된 지지부에 안착되어 외부벽돌벽을 형성하는 조적벽돌을 지지해주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형성하는 두개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는 홈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플레이트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끼움공간에 끼워지는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단에는 지지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일측단에 대향하는 타측단에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되,
    상기 걸림턱은 홈의 내부측 측벽에서 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일측단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끼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홈을 통해 끼움공간으로 끼워지되, 상기 끼움홈이 끼움공간으로 끼워져 지지부에 결합되고, 끼움홀은 홈의 외부측 측벽과 지지부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강성 향상을 위해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지지브래킷의 지지부는, 고정부의 양단이나, 일측단에서 외부벽돌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지지장치.
  7. 내력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외부벽돌벽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형성하는 두개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는 홈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플레이트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벽돌지지브래킷을 설계 위치에 맞도록 내력벽에 설치하는 벽돌지지브래킷 설치단계;
    상기 내력벽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단열공간을 확보하고 조적벽돌을 조적하는 조적벽돌 조적단계;
    상기 벽돌지지브래킷의 하단까지 조적벽돌이 조적되면, 최상단의 조적벽돌 상부에 신축조인트를 설치하는 신축조인트 설치단계;
    상기 벽돌지지브래킷의 홈에 안착되도록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하되,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단은 끼움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림턱에 걸려지도록 설치하는 지지플레이트 설치단계;
    상기 신축조인트에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조적벽돌을 조적하는 조적벽돌 조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 설치단계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단에는 지지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일측단에 대향하는 타측단에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은 홈의 내부측 측벽에서 홈의 내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끼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홈을 통해 끼움공간으로 끼워지되, 일측단에 형성되는 끼움홈이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측단에 형성되는 끼움홀은 홈의 외부측 측벽과 지지부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지지장치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142683A 2013-11-13 2013-11-22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101557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7742 2013-11-13
KR1020130137742 2013-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19A KR20150055519A (ko) 2015-05-21
KR101557344B1 true KR101557344B1 (ko) 2015-10-05

Family

ID=5339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683A KR101557344B1 (ko) 2013-11-13 2013-11-22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3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442B1 (ko) * 2020-11-30 2021-09-16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KR20220001323U (ko) *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2U (ko) *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191B1 (ko) * 2017-04-06 2019-08-14 현종구 치장벽돌 보수 보강용 멀티 브라켓
KR102152059B1 (ko) * 2017-11-09 2020-09-04 최연수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343762B1 (ko) * 2021-04-27 2021-12-29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CN116591499B (zh) * 2023-05-30 2023-10-31 河南商都古建工程有限公司 一种文物古建筑变形墙体的矫正修复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457B1 (ko) 2003-08-27 2005-10-24 주식회사 삼한 씨원 창인방
KR101323638B1 (ko) 2012-12-05 2013-11-07 원지영 조적식 외부벽돌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457B1 (ko) 2003-08-27 2005-10-24 주식회사 삼한 씨원 창인방
KR101323638B1 (ko) 2012-12-05 2013-11-07 원지영 조적식 외부벽돌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442B1 (ko) * 2020-11-30 2021-09-16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벽 시공 방법
KR20220001323U (ko) *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220001322U (ko) * 2021-05-31 2022-06-08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0497673Y1 (ko) * 2021-05-31 2024-01-23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KR200497674Y1 (ko) * 2021-05-31 2024-01-23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내진성과 안전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벽돌벽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19A (ko)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344B1 (ko)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101544153B1 (ko) 건축물의 외벽 고정 시스템
KR101854772B1 (ko) 정밀 시공이 가능한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20150112476A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KR101599748B1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75873B1 (ko) 벽돌의 탈락이 방지되는 외부벽돌벽
KR101500313B1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65504B1 (ko)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KR101864841B1 (ko)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960398B1 (ko) 건식 쌓기형 외부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925578B1 (ko)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JP5181270B2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JP2018003409A (ja) 型枠ユニット及び基礎断熱工法
KR100829726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90017320A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JP5387324B2 (ja) バックステー連結機構
JP6489613B2 (ja) 吊天井の落下防止構造
KR100655143B1 (ko)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JP5486200B2 (ja) 浴室用吊り架台
KR100928592B1 (ko) 태양열 전지모듈 고정장치
KR200476352Y1 (ko) 메쉬 케이블 트레이용 수직엘보우
KR101955352B1 (ko) 건축용 지지수단 고정을 위한 매립형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수단 설치방법
KR101614302B1 (ko) 벽돌지지 장치
KR200372312Y1 (ko) 구조물 공사용 고소작업 안전발판
KR101508898B1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