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367B1 - 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367B1
KR101193367B1 KR1020107007288A KR20107007288A KR101193367B1 KR 101193367 B1 KR101193367 B1 KR 101193367B1 KR 1020107007288 A KR1020107007288 A KR 1020107007288A KR 20107007288 A KR20107007288 A KR 20107007288A KR 101193367 B1 KR101193367 B1 KR 101193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upport
suspension member
groove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539A (ko
Inventor
다카시 쿠니시타
료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Publication of KR2010006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83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having a lower side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channel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extruded supporting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홈부를 가지는 빔 부재를 천장 슬래브로부터 매다는 서스펜션 장치로서,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의 기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 슬래브와 접속하는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축부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홈부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홈부 내 중, 상기 개구부를 기선으로 하는 일방측의 홈부 내와 접촉하여 상기 빔 부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가지는 제1서스펜션 부재와, 상기 제1서스펜션 부재와 착탈할 수 있는 제2서스펜션 부재로서, 상기 제1서스펜션 부재의 축부와 접하는 제2축부와, 상기 제2축부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홈부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홈부 내 중, 상기 개구부를 기선으로 하는 타방측의 홈부 내와 접촉하여 상기 빔 부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가지는 제2서스펜션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DEVICE}
본 발명은 서스펜션(suspension)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빔(beam)이나 천장 패널(panel)에 의해 구성되는 서스펜션 천장을 서스펜션 볼트(suspension bolt)를 이용하여 천장 슬래브(slab)로부터 매다는 이른바 시스템(system) 천장에 관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시스템 천장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어 있는 서스펜션 볼트와 서스펜션 천장을 접속하는 서스펜션 금구(金具)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서스펜션 금구는 빔을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끼움 지지함으로써 빔을 지지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는 시스템 천장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천장 슬래브로부터 늘어뜨려진 서스펜션 부재와, 이 서스펜션 부재에 고정되는 레일(rail)과, 레일에 걸림으로써 천장 패널을 레일 사이에 걸치는 패널 프레임(panel frame)을 구비하는 천장 구조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서스펜션 부재는, 상방이 개방된 C 채널(channel) 형상의 레일의 내부에 서스펜션 부재의 기단측을 삽입하고, 레일의 내부에 있어서 레일과 서스펜션 부재를 걸어맞춤으로써 레일을 지지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2007-146584호공보 일본특허공개1999-71849호공보 일본특허공개1995-62784호공보 일본특허공개1996-284302호공보 일본특허공개2000-355999호공보 일본특허제3004982호공보 일본실용신안공개1994-10429호공보 일본실용신안공개1994-20652호공보 일본특허공개1996-74374호공보
서스펜션 천장과 천장 슬래브를 접속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서스펜션 금구(金具)를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이 2개의 부재에 의해 빔을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끼움 지지함으로써 빔을 지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비교적 용이하게 빔을 지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서스펜션 금구는 빔의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 서스펜션 금구를 이용하는 경우 빔의 폭 치수에 더하여 서스펜션 금구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서스펜션 천장의 설계를 하지 않으면 안 되어 설계가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서스펜션 금구의 두께를 고려할 필요성에서 설치 공간의 충분한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빔과 서스펜션 금구의 접속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의 미관이 그다지 좋지 않다는 염려도 있다.
한편, 상방이 개방된 C 채널(channel) 형상의 레일의 내부에 서스펜션 부재의 기단측을 삽입하고, 레일의 내부에 있어서 레일과 서스펜션 부재를 걸어맞춰 레일을 지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서스펜션 천장을 설계하는데 즈음하여 서스펜션 부재의 두께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계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서스펜션 부재가 레일의 외측으로는 발견되는 일이 없으므로 설치 공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서스펜션 부재가 레일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레일의 내부에 서스펜션 부재를 삽입하고, 레일의 내부로부터 지지하는 기술과 같이, 빔의 내부에 서스펜션 장치(서스펜션 부재)의 일부를 삽입하여 빔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것,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술에서는 서스펜션 부재의 기단측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크게 형성됨으로써 삽입의 용이성이 확보되어 있지만, 그만큼 서스펜션 부재와 레일의 접촉 면적이 적어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가 없다는 것이 염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빔 부재의 내부로부터 빔 부재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장치로서, 작업성이 뛰어나고 또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가 있는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은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홈부로서, 당해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당해 홈부 내의 공간보다도 좁은 개구부를 가지는 홈부를 가지는 빔(beam) 부재를, 천장 슬래브(slab)로부터 매다는 서스펜션(suspension) 장치로서,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의 기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 슬래브와 접속하는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축부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홈부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홈부 내 중, 상기 개구부를 기선으로 하는 일방측의 홈부 내와 접촉하여 상기 빔 부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가지는 제1서스펜션 부재와, 상기 제1서스펜션 부재와 착탈할 수 있는 제2서스펜션 부재로서, 상기 제1서스펜션 부재의 축부와 접하는 제2축부와, 상기 제2축부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홈부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홈부 내 중, 상기 개구부를 기선으로 하는 타방측의 홈부 내와 접촉하여 상기 빔 부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가지는 제2서스펜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빔 부재 내에 수용되어 상기 빔 부재를 지지 한다.
본 발명은 빔 부재의 내부의 일방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가지는 제1서스펜션 부재와, 이 제1서스펜션 부재와 착탈할 수 있고, 빔 부재의 내부의 타방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가지는 제2서스펜션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는 분리 가능한 2개의 부재(제1서스펜션 부재 및 제2서스펜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빔 부재의 홈부 내에 따로따로 삽입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만일 제1서스펜션 부재와 제2서스펜션 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삽입이 곤란한 좁은 개구부로부터도 서스펜션 부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또, 홈부의 개구부를 종래보다도 좁게 함으로써, 서스펜션 부재를 삽입했을 때에 있어서의 각각의 서스펜션 부재와 빔 부재의 홈부 내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으므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스펜션 장치가 빔 부재의 외측으로는 발견되는 일이 없으므로 설치 공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가 있고, 서스펜션 장치가 빔 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는 서스펜션 부재에 설치된 홈부 내에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삽입하여 내부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빔 부재는 소정의 홈부를 가질 필요가 있고, 이 소정의 홈부는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홈부로서, 당해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당해 홈부 내의 공간보다도 좁은 개구부를 가지는 홈부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홈부는 빔 부재에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그 경우 빔 부재의 횡단면을 균등하게 복수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마다 빔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빔 부재의 방향에 관계없이 서스펜션 부재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편리성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서스펜션 장치의 접속에 더하여, 천장 패널(panel)의 삽입부나, 예를 들면 조명 기구를 걸기 위한 금구(金具) 등의 접속부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도 홈부는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의 개구부는 홈부의 뻗어 있는 방향, 환언하면 빔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단, 개구부는 빔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존재할 필요는 없고, 그러한 길이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당해 홈부 내의 공간보다도 좁은 개구부를 가지는 홈부란, 입구(개구부)가 좁고 내부가 입구보다도 넓어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삽입된 지지부는 개구부 부근에서 걸리게 되어 빔 부재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제1서스펜션 부재는 축부와, 축부의 기단측에 설치되는 천장 슬래브와 접속하는 제1접속부와, 축부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빔 부재를 빔 부재의 홈부 내로부터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가진다. 제1접속부는 천장 슬래브에 직접 접속해도 좋지만, 천장 슬래브에 미리 설치한 서스펜션 볼트(suspension bolt)나 훅(hook) 등의 장착부를 통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지지부는 개구부로부터 홈부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홈부 내 중, 개구부를 기선으로 하는 일방측의 홈부 내와 접촉하여 당해 빔 부재를 지지한다. 예를 들면, 제1지지부는 축부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할 수가 있다. 제1지지부는 제1지지부의 방향을 조작함으로써 홈부 내에의 삽입을 보다 원활히 행할 수가 있다. 한편, 삽입된 상태에서 제1지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끌어올리면, 제1지지부가 개구부 부근에서 걸리므로 홈부 내에 있어서의 제1지지부에 의한 지지가 실현된다. 여기서, 제1지지부가 삽입되는 홈부의 개구부는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것이고, 홈부는 개구부를 기선으로 하여 일방측과 타방측, 환언하면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일방측과 타방측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제1지지부는 이 중 일방측의 홈부 내와 접촉하여 빔 부재를 지지한다.
제2서스펜션 부재는 제1서스펜션 부재의 축부와 접하는 제2축부와, 제2축부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타방측의 홈부 내와 접촉하여 빔 부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가진다. 제1서스펜션 부재와 제2서스펜션 부재는, 예를 들면, 제1축부와 제2축부를 축방향을 따라 접하도록 배치하고 고정 부재 등에 의해 고정하면 좋다. 고정 부재에 의한 고정의 유무에 의해 제1서스펜션 부재와 제2서스펜션 부재의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제2지지부는 제1지지부와 동일하게, 축부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할 수가 있다. 단, 제2지지부는 제1지지부와는 다른 타방측의 홈부 내와 접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가 절곡되는 방향은 제2서스펜션 부재를 제1서스펜션 부재에 장착했을 때 제1지지부의 절곡되는 방향과는 상반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홈부 내에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지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끌어올리면 제2지지부가 개구부 부근에서 걸리므로 홈부 내에서의 제2지지부에 의한 지지가 실현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서스펜션 부재는 상기 제2축부의 기단측에 상기 제1서스펜션 부재의 제1접속부와 함께 상기 천장 슬래브와 접속되는 제2접속부를 더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2접속부는 제1서스펜션 부재의 제1접속부와 함께 상기 천장 슬래브와 접속된다. 환언하면, 제2접속부는 제1서스펜션 부재의 제1접속부와 대략 같은 위치의 천장 슬래브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지지부에의 부하는 제1축부와 제1접속부를 통하여 천장 볼트에 전달되고, 제2지지부에의 부하는 제2축부와 제2접속부를 통하여 천장 볼트에 전달된다. 즉, 서스펜션 장치에 발생하는 부하를 제1지지 부재와 제2지지 부재에 분산할 수가 있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장 슬래브에는 상기 빔 부재를 매다는 서스펜션 볼트가 미리 설치되고,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서스펜션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짐으로써, 상기 천장 슬래브에 설치된 서스펜션 볼트와 접속되고, 상기 서스펜션 장치는 상기 서스펜션 볼트와 당해 서스펜션 볼트가 삽입된 제1접속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서스펜션 볼트가 삽입된 제1접속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에는 서스펜션 볼트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nut)가 예시된다. 서스펜션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은 일반적인 구멍부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서스펜션 볼트의 하방으로부터 서스펜션 볼트를 삽입공에 삽입하고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하면 좋다. 단, 삽입공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삽입공의 일부를 개구하여 U자 모양의 삽입공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부터의 서스펜션 볼트에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2서스펜션 부재에 제2접속부를 설치하는 경우, 제2접속 부재에 대해서도 서스펜션 볼트를 삽입하는 삽입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접속 부재에 설치하는 삽입공에 대해서도 U자 모양으로 함으로써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발명에 의하면, 서스펜션 장치를 분리 가능한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각 서스펜션 부재의 지지부를 홈부의 상방으로부터 홈부 내에 삽입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빔 부재에의 부하를 고려하여 나중에 서스펜션 장치를 추가하고 싶은 것 같은 경우에도 빔 부재를 떼어내지 않고 서스펜션 장치를 추가할 수가 있다. 단, 빔 부재의 홈부가 단부까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스펜션 장치를 빔 부재의 단부로부터 삽입해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제1서스펜션 부재와 제2서스펜션 부재를 접속한 상태에서 빔 부재에 삽입하면 좋고, 제1서스펜션 부재와 제2서스펜션 부재가 착탈할 수 없어도 좋다. 즉, 제1서스펜션 부재와 제2서스펜션 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서스펜션 부재와 제2서스펜션 부재의 기능을 구비하는 서스펜션 장치로서, 제1서스펜션 부재와 제2서스펜션 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서스펜션 장치로 해도 좋다. 이러한 일체적인 서스펜션 장치는 상술한 분리 가능한 서스펜션 장치에 비해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이러한 일체적인 서스펜션 장치와, 분리 가능한 서스펜션 장치의 쌍방을 준비하여,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시스템 천장 등을 구축하는 경우의 작업성을 더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빔 부재의 내부로부터 빔 부재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장치로서 작업성이 뛰어나고 또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가 있는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suspension)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 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제1서스펜션 부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제1서스펜션 부재의 제1접속부를 나타낸다.
도 6은 제2서스펜션 부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제2서스펜션 부재의 제2접속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서스펜션 장치와 빔(beam)을 이용하여 구성한 시스템(system) 천장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의 접속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의 지지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서스펜션(suspension)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구성)
도 1은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 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 도 2는 모두 서스펜션 장치(1)가 서스펜션 볼트(suspension bolt)(2)에 접속된 상태로서 빔(beam) 부재(이하 '빔(4)'이라고 칭함)을 매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 장치(1)는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제2서스펜션 부재(20)와, 고정 부재로서의 너트(nut)(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 장치(1)가 접속되는 서스펜션 볼트(2)와,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 장치(1)에 의해 지지되는 빔(4)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스펜션 볼트(2)는 천장 슬래브(slab)(3)에 미리 고정되어 있고, 접속되는 서스펜션 장치(1)를 통하여 빔(4)을 지지한다. 천장 슬래브(3)란 환언하면 상부 플로어(floor)의 마루 슬래브이다. 서스펜션 볼트(2)는 이러한 천장 슬래브(3)에 묻힘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빔(4)은 그 단면에 있어서 균등하게 4분할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중심부(45)로부터 사방으로 방사상으로 격벽(46)이 뻗어 있고, 격벽(46)의 선단은 빔(4)의 단면에 있어서의 정방형의 정점 P를 형성하고 있다. 하나의 정점 P로부터 인접하는 정점 P를 향해 벽면(47)이 뻗어 있다. 하나의 정점 P로부터 뻗어 있는 벽면(47)과, 그것에 인접하는 다른 정점 P로부터 뻗어 있는 벽면(47)은 양 정점 P의 중간 앞까지 뻗어 있고 양자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향하는 벽면(47, 47)끼리의 사이에는 개구부(41)가 형성된다. 또, 한 쌍의 벽면(47)과 격벽(46)과 중심부(45)에 의해 홈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41) 및 홈부(42)는 빔(4)의 축심 방향으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41)는 홈부(42) 내의 공간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벽면(47)의 선단 부분인 덮개부(43)는 홈부(42) 내에 삽입된, 후술하는 제1지지부(13)나 제2지지부(2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 제1지지부(13) 등에 의해 지지될 때의 접촉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빔(4)에는 또한, 빔(4)의 단면의 각 정점 P에 있어서, 각 정점 P로부터 빔(4)의 바깥 방향으로 뻗어 나가고, 당해 정점 P에 연결되는 2개의 벽면(47)에 각각 직교하는 2개의 외벽면(49)이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하나의 정점 P로부터 뻗어 나가는 외벽면(49)과, 그것에 인접하는 다른 정점 P로부터 뻗어 나가는 외벽면(49)은 대향한다. 그리고, 이 대향하는 외벽면(49)과, 이들과 연결되는 한 쌍의 벽면(47)에 의해, 빔(4)의 표면 상에 반폐(半閉) 공간인 배선용 홈부(48)가 형성된다. 이 배선용 홈부(48)에는 예를 들면 조명 기구의 케이블(cable)이나 정보 기기의 케이블 등을 수납할 수가 있다. 또한, 배선용 홈부에는 커버(cover)를 설치해도 좋고, 이에 의해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제1서스펜션 부재(10)에 대해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더하여 도 4, 도 5도 섞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제1서스펜션 부재(1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제1서스펜션 부재(10)의 제1접속부(1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1서스펜션 부재(10)는 제1축부(12)와, 제1축부(12)의 기단측(천장 슬래브(3)측)에 설치되고, 서스펜션 볼트(2)와 접속되는 제1접속부(11)와, 제1축부(12)의 선단측(빔(4)측)에 설치되고, 빔(4)의 홈부(42) 내에 삽입되어 빔(4)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축부(12)는 가늘고 긴 모양의 평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축부(12)는 서스펜션 볼트(2)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환언하면 수직부이다. 제1축부(12)는 기본적으로는 직선 모양이고, 이 직선 모양의 부분(하부로부터 중부)에서는 제1축부(12)의 축심이 서스펜션 볼트(2)의 축심과 거의 일치하여, 안정적으로 빔(4)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축부(12)의 상부는 너트(30)와 접촉하지 않게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 이 외측으로 절곡된 부분의 더 상부, 즉 제1축부(12)의 기단측에는 서스펜션 볼트(2)와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형성된 제1접속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제1접속부(11)는 거의 수직인 제1축부(12)의 기단측의 일부가 거의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접속부(11)에는 서스펜션 볼트(2)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1a)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삽입공(11a)은, 도 5에 나타내듯이, 그 일부가 개방된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스펜션 볼트(2)에의 접속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삽입공(11a)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공(11a)은 일반적인 구멍부라도 좋고, 이 경우에는 서스펜션 볼트(2)의 하방으로부터 삽입공(11a) 내에 서스펜션 볼트(2)를 삽입하면 좋다.
제1축부(12)의 기단측에는 제1축부(12)의 기단측의 일부가 거의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수평으로 형성된 제1지지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지지부(13)는 상술한 빔(4)의 홈부(42) 내에 개구부(41)로부터 삽입되고, 일방측(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 좌측)의 덮개부(43)와 접촉하여 빔(4)을 지지한다.
다음에, 제2서스펜션 부재(20)에 대해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더하여 도 6, 도 7을 섞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제2서스펜션 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제2서스펜션 부재(20)의 제2접속부(2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2서스펜션 부재(20)는 제2축부(22)와, 제2축부(22)의 기단측(천장 슬래브(3)측)에 설치되고, 서스펜션 볼트(2)와 접속되는 제2접속부(21)와, 제2축부(22)의 선단측(빔(4)측)에 설치되고, 빔(4)의 홈부(42) 내에 삽입되어 빔(4)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서스펜션 부재(20)는 상술한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착탈할 수 있도록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제2축부(22)는 제1축부(12)와 동일하게 가늘고 긴 모양의 평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평판 부재의 폭 치수도 마찬가지로 설계되어 있다. 제2축부(22)도 기본적으로는 직선 모양이다. 그리고, 이 직선 모양의 부분(하부로부터 중부)은 제2축부(22)의 축심이 서스펜션 볼트(2)의 축심과 거의 일치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빔(4)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축부(22)의 상부는 너트(30)와 접촉하지 않게 외측으로 절곡된 제1축부(12)의 상부에 맞추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 장치(1)는 제2서스펜션 부재(20)가 제1서스펜션 부재(10)의 외측에 접속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2축부(22)의 상부의 절곡 부분이 제1축부(12)의 절곡 부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축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접속부(21)가 제1서스펜션 부재(10)의 제1접속부(11)의 상측으로 오도록, 제2축부(22)의 길이 치수는 제1축부(12)의 길이 치수보다도 약간 길게 설계되어 있다.
제2접속부(21)는 제1접속부(11)와 동일하게, 수직인 제2축부(22)의 기단측의 일부가 거의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접속부(21)에는 서스펜션 볼트(2)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1a)이 설치되어 있고, 삽입공(11a)은, 도 7에 나타내듯이, 그 일부가 개방된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서스펜션 부재(20)도 수평 방향으로부터의 서스펜션 볼트(2)에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2접속부(21)에는 제1접속부(11)가 가지지 않는 구성으로서 단부에 절곡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절곡부(21a)는 제2축부(22)와 거의 평행으로 되도록 제2접속부(21)의 단부가 수직 방향 하향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21a)는 제2서스펜션 부재(20)의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함과 아울러, 또한 제1서스펜션 부재(10)의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 장치(1)에 의하면, 제2서스펜션 부재(20)가 절곡부(21a)를 가짐으로써 제1서스펜션 부재(10) 및 제2서스펜션 부재(20)가 서스펜션 볼트(2)로부터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제2축부(22)의 기단측에는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동일하게, 제2축부(22)의 기단측의 일부가 거의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수평으로 형성된 제2지지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단, 이 제2지지부(23)는 제1지지부(13)와는 상반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지지부(23)는 상술한 빔(4)의 홈부(42) 내에 개구부(41)로부터 삽입되고, 타방측(도 1에 있어서의 지면 우측)의 덮개부(43)와 접촉하여 빔(4)을 지지한다.
다음에, 너트(nut)(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너트(30)는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 상당하고, 서스펜션 볼트(2)에 접속된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제2서스펜션 부재(20)를 끼워 넣어 고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접속부(11) 및 제2접속부(21)의 상측에 하나의 너트(30a)를 고정하고, 제1접속부(11) 및 제2접속부(21)의 하측에는 중력 방향에의 부하를 고려하여 2개의 너트(30b, 30c)를 고정하고 있다. 또, 너트(30)와 각각의 접속부의 사이에는 와셔(washer)(32)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 방법)
다음에 상술한 서스펜션 장치(1)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스펜션 장치(1)는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제2서스펜션 부재(20)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도 2 참조). 그래서, 이 특징을 살린 서스펜션 장치(1)의 빔(4) 및 서스펜션 볼트(2)와의 장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제2서스펜션 부재(20) 중 어느 일방의 지지부를 홈부(42) 내에 삽입한다. 삽입할 때는 지지부의 방향을 기울임으로써 보다 원활히 삽입할 수가 있다. 일방의 서스펜션 부재의 삽입이 완료되면 다음에 나머지 서스펜션 부재의 지지부를 홈부(42) 내에 삽입한다. 삽입할 때는 역시 지지부의 방향을 기울임으로써 보다 원활히 삽입할 수가 있다.
쌍방의 서스펜션 부재의 지지부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축부(12)와 제2축부(22)가 겹치도록 조정하면서 소정의 서스펜션 볼트(2)에 접속한다. 즉, 제1축부(12)와 제2축부(22)가 겹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서스펜션 부재의 삽입공의 위치가 일치하므로, 이 일치한 삽입공에 서스펜션 볼트(2)를 삽입하고 너트(30)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너트(30)는 예를 들면 하측의 2개의 너트(30)의 위치를 미리 결정하여 높이 조절을 해 놓고, 서스펜션 부재의 접속 후 간격을 두어 배치해 놓은 상측의 너트(30)를 서서히 내리고, 최종적으로 너트(30)에 의해 끼워 넣어 고정하면 좋다.
이와 같이 서스펜션 장치(1)에 의하면, 빔(4)의 상방으로부터 빔(4)의 홈부(42) 내에 서스펜션 장치(1)의 각 지지부를 장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빔(4)에의 부하를 고려하여 나중에 서스펜션 장치(1)의 수를 늘리고 싶은 것 같은 경우에도, 빔(4)을 떼어내지 않고 서스펜션 장치(1)를 추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빔(4)의 홈부(42)가 단부까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스펜션 장치(1)를 빔(4)의 단부로부터 삽입해도 좋다.
(적용예)
여기서, 도 8은 상술한 서스펜션 장치(1)와 빔(4)을 이용하여 구성한 시스템(system) 천장(9)의 일례를 나타낸다. 동 도에 나타내듯이, 시스템 천장(9)은 복수의 빔(4)끼리가 접속 장치(5)를 이용하여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빔(4)은 서스펜션 장치(1)에 의해 천장 슬래브(slab)(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예에서는, 빔(4)만에 의해 서스펜션 천장을 구성하고 있지만, 빔(4)끼리의 사이에 천장 패널을 설치해도 좋다. 또, 접속 장치(5)의 하방에 기둥 부재(폴(pole))를 접속하고, 또한 기둥 부재와 기둥 부재의 사이에 벽 부재를 배치하고, 시스템 천장(9)을 응용하여 하나의 공간 구조체를 구성해도 좋다.
(효과)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션 장치(1)에 의하면, 분리 가능한 2개의 부재(제1서스펜션 부재(10) 및 제2서스펜션 부재(20))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빔(4)의 홈부(42) 내에 따로따로 삽입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만일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제2서스펜션 부재(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삽입이 곤란한 좁은 개구부로부터도 서스펜션 부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또, 홈부(42)의 개구부를 종래보다도 좁게 함으로써, 서스펜션 부재를 삽입했을 때에 있어서의 각각의 서스펜션 부재와 빔(4)의 홈부(42) 내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으므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서스펜션 장치(1)에 의하면, 서스펜션 장치(1)가 빔(4)의 외측으로는 발견되는 일이 없으므로 설치 공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서스펜션 장치(1)가 빔(4)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변형예)
다음에,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서스펜션 장치(1)에 의하면, 서스펜션 장치를 분리 가능한 2개의 서스펜션 부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홈부(42)의 상방으로부터 홈부(42) 내에 각각의 지지부를 삽입할 수가 있었다. 한편, 빔(4)의 홈부(42)가 단부까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스펜션 장치(1)를 빔(4)의 단부로부터 삽입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제2서스펜션 부재(20)를 접속한 상태에서 빔(4)의 단부로부터 빔(4)의 홈부(42) 내에 삽입하면 좋고,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제2서스펜션 부재(20)가 착탈할 수 없어도 좋다. 즉,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제2서스펜션 부재(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8)는 하나의 서스펜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8)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8)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8)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12는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8)의 접속부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3은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8)의 지지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8)는 서스펜션 장치(1)에 있어서의 제1서스펜션 부재(10)와 제2서스펜션 부재(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8)는 하나의 서스펜션 부재(80)와, 고정 부재로서의 너트(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변형예의 서스펜션 부재(80)는 제3축부(82)와, 제3축부(82)의 기단측(천장 슬래브(3)측)에 설치되고, 서스펜션 볼트(2)와 접속되는 제3접속부(81)와, 제3축부(82)의 선단측(빔(4)측)에 설치되고, 빔(4)의 홈부(42) 내에 삽입되어 빔(4)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83a, 8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3축부(82)는 제1서스펜션 부재(10)나 제2서스펜션 부재(20) 등과 동일하게 가늘고 긴 모양의 평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3축부(82)도 기본적으로는 직선 모양이다. 그리고, 이 직선 모양의 부분(하부로부터 중부)은 제3축부(82)의 축심이 서스펜션 볼트(2)의 축심과 거의 일치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빔(4)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축부(82)의 상부는 너트(30)와 접촉하지 않게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3접속부(81)는 수직인 제3축부(82)의 기단측의 일부가 거의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접속부(81)에는 서스펜션 볼트(2)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81a)이 설치되어 있고, 삽입공(81a)은, 도 12에 나타내듯이, 그 일부가 개방된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3접속부(81)에는 단부에 절곡부(81b)가 설치되어 있다. 절곡부(81b)는 제3축부(82)와 거의 평행으로 되도록 제3접속부(81)의 단부가 수직 방향 하향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접속부(81)에는 상기 절곡부(81b)가 설치되어 있는 단부와 인접하는 단부에 제2의 절곡부(81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절곡부(81b, 81c)는 서스펜션 부재(80)의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따라서,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8)에 의하면, 서스펜션 부재(80)가 2개의 절곡부(81b, 81c)를 가짐으로써 서스펜션 부재(80)가 서스펜션 볼트(2)로부터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제3축부(82)의 기단측에는 제1서스펜션 부재(10) 등과 동일하게, 제3축부(82)의 기단측의 일부가 거의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수평으로 형성된 제3지지부(83a, 83b)가 설치되어 있다. 단, 이 제3지지부(83a, 83b)는 폭방향의 거의 중앙 부근에서 분할되고, 각각이 상반되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2개의 지지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일방의 제3지지부(83a)는 상술한 빔(4)의 홈부(42) 내에 개구부(41)로부터 삽입되고, 일방측(도 9에 있어서의 지면 좌측)의 덮개부(43)와 접촉하여 빔(4)을 지지한다. 타방의 제3지지부(83b)는 상술한 빔(4)의 홈부(42) 내에 개구부(41)로부터 삽입되고, 타방측(도 9에 있어서의 지면 우측)의 덮개부(43)와 접촉하여 빔(4)을 지지한다.
또한, 상술한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8)를 이용하여 빔(4)을 매다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8)를 빔(4)의 단부로부터 미리 삽입해 두고, 서스펜션 장치(8)를 소정의 서스펜션 볼트(2)에 고정하면 좋다.
이상 설명한 변형예의 서스펜션 장치(8)에 의하면, 상술한 분리 가능한 서스펜션 장치(1)에 비해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서스펜션 장치(8)에 의하면, 서스펜션 장치(1)와 동일하게 설치 공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외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일체적인 서스펜션 장치(8)와, 분리 가능한 서스펜션 장치(1)의 쌍방을 준비하여,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한 경우의 작업성을 더 높일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가능한 한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각 부재를 금속제로 하였지만,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으면 좋고, 재질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8???서스펜션(suspension) 장치
2???서스펜션 볼트(suspension bolt)
3???천장 슬래브(slab)
4???빔(beam)
10???제1서스펜션 부재
11???제1접속부
11a???삽입공
12???제1축부
13???제1지지부
20???제2서스펜션 부재
21???제2접속부
21a???절곡부
22???제2축부
23???제2지지부
30???너트(nut)
32???와셔(washer)
41???개구부
42???축부
43???덮개부
80???서스펜션 부재
81???제3접속부
81a???삽입공
82???제3축부
83a, 83b???제3지지부

Claims (3)

  1.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홈부로서, 당해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당해 홈부 내의 공간보다도 좁은 개구부를 가지는 홈부를 가지는 빔 부재를, 천장 슬래브로부터 매다는 서스펜션 장치로서,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의 기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 슬래브와 접속하는 제1접속부와, 상기 제1축부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홈부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홈부 내 중, 상기 개구부를 기선으로 하는 일방측의 홈부 내와 접촉하여 상기 빔 부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가지는 제1서스펜션 부재와,
    상기 제1서스펜션 부재와 착탈할 수 있는 제2서스펜션 부재로서, 상기 제1서스펜션 부재의 축부와 접하는 제2축부와, 상기 제2축부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홈부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홈부 내 중, 상기 개구부를 기선으로 하는 타방측의 홈부 내와 접촉하여 상기 빔 부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가지는 제2서스펜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빔 부재 내에 수용되어 상기 빔 부재를 지지하는 것인, 서스펜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스펜션 부재는 상기 제2축부의 기단측에 상기 제1서스펜션 부재의 제1접속부와 함께 상기 천장 슬래브와 접속되는 제2접속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슬래브에는 상기 빔 부재를 매다는 서스펜션 볼트가 미리 설치되고,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서스펜션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짐으로써 상기 천장 슬래브에 설치된 서스펜션 볼트와 접속되고,
    상기 서스펜션 장치는 상기 서스펜션 볼트와 당해 서스펜션 볼트가 삽입된 제1접속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장치.
KR1020107007288A 2007-09-28 2008-07-16 서스펜션 장치 KR101193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54910A JP4859802B2 (ja) 2007-09-28 2007-09-28 吊装置
JPJP-P-2007-254910 2007-09-28
PCT/JP2008/062817 WO2009041150A1 (ja) 2007-09-28 2008-07-16 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539A KR20100066539A (ko) 2010-06-17
KR101193367B1 true KR101193367B1 (ko) 2012-10-19

Family

ID=4051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288A KR101193367B1 (ko) 2007-09-28 2008-07-16 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453989B2 (ko)
EP (1) EP2202366A4 (ko)
JP (1) JP4859802B2 (ko)
KR (1) KR101193367B1 (ko)
CN (1) CN101809238B (ko)
HK (1) HK1147299A1 (ko)
MY (1) MY152659A (ko)
TW (1) TWI452200B (ko)
WO (1) WO2009041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6795B (zh) * 2010-06-29 2014-07-09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悬挂灯具的安装装置
KR101247163B1 (ko) * 2011-02-22 2013-03-25 김선옥 패널 어셈블리
CN104179279A (zh) * 2013-05-23 2014-12-03 吕健三 楼层的连接板支撑连结结构
US20150284956A1 (en) * 2014-04-03 2015-10-08 Clifford Bollman Multi-track beam modular assembly system
JP2017110386A (ja)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岡村製作所 空間構造体
EP3589944A4 (en) * 2017-03-03 2020-12-30 Brigham Young University MULTIMODAL MULTIDETECTOR LIQUID CHROMATOGRAPHY SYSTEM
EP3839164A1 (en) * 2019-12-16 2021-06-23 Saint-Gobain Ecophon AB Suspended ceiling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reof
US11814840B2 (en) * 2022-04-14 2023-11-14 Polargy, Inc. Ceiling grid structural member and ceiling grid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5672A (en) * 1958-11-12 1962-05-22 Luminous Ceilings Inc Subceiling track structure
US3004636A (en) * 1959-03-18 1961-10-17 Flush Metal Partition Corp Ceiling support member with adjustable hanger bolts
US3708941A (en) * 1971-02-04 1973-01-09 Rondo Building Services Ltd Adjustable suspension systems in ceilings
US3832816A (en) * 1972-06-05 1974-09-03 Chicago Metallic Corp Concealed grid suspended ceiling structure with simplified installation
US3998020A (en) * 1975-11-03 1976-12-21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Adjustable suspension systems for ceilings
JPS541802Y2 (ko) * 1976-04-12 1979-01-26
JPS52137515A (en) 1976-05-14 1977-11-17 Toyota Motor Corp Low nox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189893A (en) * 1978-09-11 1980-02-26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eiling runner and panel assembly having sliding lockability
JPS56146954A (en) * 1980-04-16 1981-11-14 Yoshihiro Oota Water heater utilizing solar heat
US4489529A (en) * 1983-01-17 1984-12-25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Reinforced ceiling runner
CN2052080U (zh) * 1988-09-10 1990-01-31 祁学广 吊扇安装机械
JPH0722750B2 (ja) 1989-05-29 1995-03-15 株式会社クボタ 活性汚泥処理装置の膜モジュール
JPH0620652A (ja) 1991-10-14 1994-01-28 Koito Mfg Co Ltd 放電ランプ装置
JPH0610429A (ja) 1992-06-30 1994-01-18 Toray Ind Inc 水硬性無機物系永久型枠
JPH0762784A (ja) 1993-08-31 1995-03-07 Toda Constr Co Ltd システム天井
CN2187201Y (zh) * 1994-03-10 1995-01-11 吴明欣 天花板的塑胶固定架
JPH0874374A (ja) 1994-09-08 1996-03-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井バーの支持構造
JPH08284302A (ja) 1995-04-14 1996-10-29 Nitto Boseki Co Ltd 天井ユニット、この天井ユニットを用いたライン型システム天井およびその施工方法
AU717886B2 (en) * 1996-10-31 2000-04-06 Kalford Pty Ltd A reinforcing strut
JPH116238A (ja) * 1997-06-18 1999-01-12 Inter Raito Kk 天井用吊架具
JPH1171849A (ja) 1997-08-27 1999-03-16 Takenaka Komuten Co Ltd 天井構造
CN2332776Y (zh) * 1998-06-16 1999-08-11 蔡明路 悬吊式t型暗架天花板
JP3004982B1 (ja) 1999-01-18 2000-01-31 株式会社きんでん システム天井
JP2000355999A (ja) 1999-06-16 2000-12-26 Taisei Corp 間仕切構造
CN2523841Y (zh) * 2001-12-31 2002-12-04 广东伟雄集团有限公司 居家天花板装置
US20080155915A1 (en) * 2004-08-05 2008-07-03 Russel Howe Power and Communication Distribution Using a Structural Channel Stystem
US7516585B2 (en) * 2005-11-21 2009-04-14 Usg Interiors, Inc. Grid tee for suspension ceiling
JP4787607B2 (ja) 2005-11-30 2011-10-05 株式会社桐井製作所 吊天井の吊金具
CN2858829Y (zh) * 2006-01-09 2007-01-17 矽菱全诺科技建材有限公司 盲板与支架座的结合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47299A1 (en) 2011-08-05
CN101809238B (zh) 2011-11-23
US8453989B2 (en) 2013-06-04
EP2202366A1 (en) 2010-06-30
WO2009041150A1 (ja) 2009-04-02
TW200925364A (en) 2009-06-16
CN101809238A (zh) 2010-08-18
MY152659A (en) 2014-10-31
TWI452200B (zh) 2014-09-11
KR20100066539A (ko) 2010-06-17
US20100252704A1 (en) 2010-10-07
JP2009084858A (ja) 2009-04-23
EP2202366A4 (en) 2014-10-01
JP4859802B2 (ja)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367B1 (ko) 서스펜션 장치
US11098481B2 (en) Canopy system and group suspension system therefore
KR101860056B1 (ko) 내진형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20110092991A (ko) 케이블 거치대
JP5460072B2 (ja) 角形鋼用吊金具
JP2017190646A (ja) 天井補強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454283Y1 (ko) 천장 시설물 고정용 행거
KR100834861B1 (ko) 천정패널 설치구조
JP5486200B2 (ja) 浴室用吊り架台
JP5319426B2 (ja) 天井裏足場支持用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天井裏足場支持構造
KR200402360Y1 (ko) 행거
JP2005179951A (ja) 建造物用の被覆構造体
JP2015232264A (ja) フェンス
US6315428B1 (en) Light fixture mounting for suspended ceiling
JP6346744B2 (ja) 目隠し板及びその施工方法
JP3205669U (ja) 天井裏足場用金具
KR102512281B1 (ko)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
KR200402540Y1 (ko) 도관 설치구
JP4534737B2 (ja) パーティション用取付金具
KR20120082701A (ko) 경량철골 천장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09106033A (ja) 敷設物支持装置および支持方法
KR100728573B1 (ko) 도관 설치구
KR20140058264A (ko) 선박용 전로 유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4095548B2 (ja) ケーブルラックの振れ止め金具
JP2002167898A (ja) 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