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281B1 -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281B1
KR102512281B1 KR1020220033671A KR20220033671A KR102512281B1 KR 102512281 B1 KR102512281 B1 KR 102512281B1 KR 1020220033671 A KR1020220033671 A KR 1020220033671A KR 20220033671 A KR20220033671 A KR 20220033671A KR 102512281 B1 KR102512281 B1 KR 102512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xtension
extension body
connec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은애
Original Assignee
오은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애 filed Critical 오은애
Priority to KR102022003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Abstract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가 제공된다.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와 수직되게 연결되는 연장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연장바디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연장바디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일측 면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편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 고정되는 제1연결벽; 및 일측 모서리가 상기 제1연결벽의 모서리와 수직되게 연결되어, 상기 연장바디와 연결 고정되는 제2연결벽;을 포함하는, 레이스웨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RACEWAY DEVICE FOR ADDITIONAL CONDUIT INSTALLA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스웨이(raceway)는 전기 배선 또는 등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상가, 대형 건물의 주차장, 지하철 통로 및 기계실 등의 노출 천정에 설치되는 일종의 배선용 덕트를 의미한다.
레이스웨이는 주로 금속 강판을 사용하여, 일측 면이 개방되도록 절곡된 "C"형상의 강관으로 형성된다. 레이스웨이는 천정이 노출된 건축물에 설치 시 채널의 개방 부위가 천정을 향하도록 하면서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시공된다. 레이스웨이는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고, 채널의 바닥 면 및 양 측면에는 각종 조명기구가 거치되어 공간을 조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레이스웨이는 다수 개의 볼트, 너트 및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상호 맞물리면서 고정되게 한 구조이므로, 초기의 설치공정이 복잡하고, 시공이 번거로우며, 작업시간이 길게 소요되면서 설치 작업의 효율성이 낮은 편이다. 상세하게는, 레이스웨이 설치 작업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고소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특성상 다수 개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장시간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체결부재 및 작업자의 낙하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된 레이스웨이의 일측에 추가적으로 전선관을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초기 레이스웨이의 설치 방법과 동일하게 추가 레이스웨이를 천정에 설치하거나, 설치된 레이스웨이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추가 전선관을 배치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모두 다수 개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공중에서 작업시간이 길게 소요되어지고, 체결부재 및 체결 도구 등이 낙하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 설치된 레이스웨이에 추가적으로 전선관을 설치하고자 할 때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와 수직되게 연결되는 연장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연장바디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연장바디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일측 면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편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 고정되는 제1연결벽; 및 일측 모서리가 상기 제1연결벽의 모서리와 수직되게 연결되어, 상기 연장바디와 연결 고정되는 제2연결벽;을 포함하는, 레이스웨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스웨이 장치는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메인바디, 연장바디 및 연결부재는 개방된 부분과 돌출된 부분이 서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소형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사용을 감소시켰다. 즉, 본 실시예의 레이스웨이 장치는 소형의 체결부재의 사용을 감소시켰기 때문에 고소에서 작업하는 시공 과정에서 소형의 체결부재가 낙하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스웨이 장치는 추가로 설치되는 전선관이 유동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클램프유닛은 단순하게 연장바디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연장바디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연장바디와 클램프유닛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외부의 영향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스웨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장바디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클램프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6의 (a)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스웨이 장치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웨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스웨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6의 (a)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스웨이 장치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2 및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레이스웨이 장치(100)는 기 설치된 레이스웨이 구조물에 추가적으로 전선관(L)을 설치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스웨이 장치(100)는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메인바디(110), 메인바디(110)의 일측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연장바디(120), 메인바디(110)와 연장바디(120)를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부재(130) 및 연장바디(120)에 전선관(L)을 고정시키는 클램프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이스웨이 장치(100)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바디(110)는 행거(미도시)를 통해 건물의 천정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천정과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메인바디(110)는 일측이 개방된 C형의 강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천정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메인바디(110)의 내측에는 전선관 등이 배치되고, 하측 면에는 조명기구가 배치되어, 건물 내부를 조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바디(110)는 하측 면인 하부프레임(111), 하부프레임(111)의 일측에 배치된 제1측벽(112), 제1측벽(112)과 마주보게 배치된 제2측벽(113), 제2측벽(113)의 일측이 개방되어 연장바디(120)가 연결되는 개방부(114) 및 개방부(114)의 양측에 배치되어 연결부재(130)가 연결되는 연결돌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111)은 메인바디(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판형 부재로, 전선관이 안착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111)은 전선관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거나, 다수 개의 하부프레임(111)이 연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프레임(111)은 후술할 연장바디(120)의 원형개방홀(121a)과 대응되는 개방홀(111a)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홀(111a)은 하부프레임(111)의 일측에 형성되되, 개방부(114)가 배치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개방홀(111a)은 후술할 연장바디(120)의 원형개방홀(1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바디(120)를 메인바디(110)에 연결시키는 경우, 개방홀(111a)은 원형개방홀(121a)과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개방홀(111a)과 원형개방홀(121a)이 관통 가능한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개방홀(111a)은 체결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개방홀(111a)과 원형개방홀(121a)을 동시에 관통 연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개방홀(111a)과 원형개방홀(121a)을 동시에 관통 연결시키게 되면 메인바디(110)에 연장바디(1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개방홀(111a)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연결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개방홀(111a)은 전선관과 하부프레임(111) 사이의 통풍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개방홀(111a)은 하부프레임(111)의 하방에 조명기구 장착 시, 전선관의 배출 통로로 사용되거나, 부수적인 장식품을 걸기 위한 걸이의 역할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측벽(112)은 하부프레임(111)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측벽(112)은 길이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대략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곡부는 하부프레임(111)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전선관이 하부프레임(111)에 안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측벽(113)은 제1측벽(112)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고, 제1측벽(112)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선관이 하부프레임(111)에 안착 시, 하부프레임(111)의 양 측에 배치된 제1,2측벽(112, 113)에 의해 전선관이 이탈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개방부(114)는 제2측벽(113)의 일측이 개방되어, 연장바디(120)가 연결되는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방부(114)는 연장바디(120)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어, 연장바디(120)가 개방부(114)에 폭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돌기부(115)는 개방부(114)의 양측에 배치되어 연결부재(130)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돌기부(115)는 제2측벽(113)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수직으로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돌기부(115)에는 후술할 연결부재(130)의 메인연결판넬(134)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돌기부(115)는 메인연결판넬(134)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삽입되게 되면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지속적으로 끌어당겨지므로, 연결부재(13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지만 않는다면 연결부재(130)를 메인바디(110)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연결돌기부(115)에 메인연결판넬(134)이 삽입되어 고정되면, 연결돌기부(115)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연결부재(130)를 메인바디(110)에 연결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장바디의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장바디(120)는 메인바디(110)에 수직되게 연결되어, 추가로 전선관(L)을 배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바디(120)는 하측 면인 하부바디(121), 하부바디(121)의 일측에 배치된 제1측바디(122), 제1측바디(122)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측바디(123), 제1,2측바디(122, 123)의 외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기부(124) 및 연결돌기부(124)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패널(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장바디(120)는 메인바디(110)의 일측에 추가로 전선관(L)을 설치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하부바디(121)는 연장바디(1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판형 부재로, 추가 설치되는 전선관(L)이 연결 고정될 수 있다. 하부바디(121)는 개방부(114)가 배치된 메인바디(110)의 하부프레임(111)의 하측 면과 소정 정도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바디(121)는 하부프레임(111)의 상측 또는 하측 면에 면끼리 맞닿도록 배치되되, 하부프레임(111)과 수직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바디(121)는 메인바디(110)와 겹쳐 배치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원형개방홀(121a) 및 직선개방홀(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바디(121)는 메인바디(110)의 일측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연결 고정되거나, 필요에 따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메인바디(110)에 연장바디(120)가 연결될 수 있다.
원형개방홀(121a)은 하부바디(121)의 일측에 형성되되, 메인바디(110)의 하부프레임(111)과 겹쳐 배치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원형개방홀(121a)은 메인바디(110)의 개방홀(1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부바디(121)를 하부프레임(111)에 겹쳐 배치하였을 때 개방홀(111a)과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개방홀(111a)과 원형개방홀(121a)은 관통 가능한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원형개방홀(121a)의 배치 목적은 상기 개방홀(111a)의 배치 목적에 대해 서술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직선개방홀(121b)은 하부바디(121)의 타측에 형성되되, 메인바디(110)의 하부프레임(111)과 겹쳐 배치되지 않고 단독으로 배치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직선개방홀(121b)은 일정한 간격의 직선의 개방부로 형성되고, 하부바디(121)의 폭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직선개방홀(121b)은 후술할 클램프유닛(140)의 하부고정부(143)의 일측이 삽입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직선개방홀(121b)에는 추가 전선관(L)이 연결된 클램프유닛(140)의 하부고정부(143)가 삽입된 후 고정되어, 클램프유닛(140)이 연장바디(120)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경우 클램프유닛(140)이 연장바디(120)에 관통되게 고정되지 않고, 연장바디(120)의 일측 단부로 삽입되어 클램프유닛(140)이 제1,2절곡부(122a, 123a)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연결되는 경우, 클램프유닛(140)이 헐거워지거나 전선관(L)의 유동에 의해 연장바디(120)의 단부로 이탈되어 탈락될 가능성이 있다. 즉,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장바디(120)는 단부에 별도의 커버 등을 사용하여 밀폐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본원발명의 연장바디(120)는 직선개방홀(121b)이 배치되어, 클램프유닛(140)을 연장바디(12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의 연장바디(120)는 하부바디(121)에 클램프유닛(140)이 직접적으로 관통 고정되기 때문에, 연장바디(120)의 단부를 별도로 밀폐시키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제1측바디(122)는 연장바디(120)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측바디(122)는 메인바디(110)의 제1,2측벽(112, 113)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측바디(122)는 길이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하부바디(121)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제1측바디(122)의 절곡된 부분을 제1절곡부(122a)로 칭하기로 한다.
한편, 제2측바디(123)는 제1측바디(12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고, 제1측바디(122)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편의상, 제2측바디(123)의 절곡부를 제2절곡부(123a)로 칭하기로 한다.
제1,2절곡부(122a, 123a)는 소정 정도 간격을 두고 하부바디(1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2절곡부(122a, 123a)는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되 소정 정도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2절곡부(122a, 123a)는 각각 직선으로 개방된 제1직선개방홀(122b) 및 제2직선개방홀(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직선개방홀(122b, 123b)은 제1,2절곡부(122a, 123a)의 상단에 폭 방향으로 직선의 개방부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2직선개방홀(122b, 123b)은 하부바디(121)의 직선개방홀(121b)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2직선개방홀(122b, 123b)은 후술할 클램프유닛(140)의 하부고정부(143)가 삽입되어, 하부바디(121)의 직선개방홀(121b)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2직선개방홀(121b)로 삽입된 하부고정부(143)는 비스듬하게 기울여진 상태로 직선개방홀(121b)까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하부고정부(143)가 삽입된 후에는 수직되게 배치되어, 제1,2직선개방홀(121b)이 배치되지 않은 제1,2절곡부(122a, 123a)에 후술할 제1고정부(143a)의 상단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연결돌기부(124)는 제1,2측바디(122, 123)의 외측 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수직으로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돌기부(124)는 후술할 연결부재(130)의 연결개방부(135)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돌기부(124)는 연결개방부(135)에 인입되고, 후술할 고정패널(125)을 관통되게 끼우는 방식으로 연장바디(120)를 연결부재(130)와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연결돌기부(124)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소형의 체결부재 없이 연장바디(120)를 연결부재(130)와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고정패널(125)은 연결돌기부(124)에 삽입되는 판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패널(125)은 연결돌기부(124)를 연결개방부(135)에 삽입한 후, 인입된 연결돌기부(124)를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연장바디(120)가 연결부재(130)에 고정되게 하기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패널(125)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파지부(125a) 및 연결돌기부(124)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패널(125b)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25a)는 고정패널(125)의 상측에 형성되고, 외측 방향으로 소정 정도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25a)는 하측에 배치된 삽입패널(125b)보다 소정 정도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부(125a)는 사용자가 고정패널(125)을 연결돌기부(124)에 인입 및 인출 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며, 고정패널(125)이 연결돌기부(124)로 깊숙히 인입되어 제거가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삽입패널(125b)은 고정패널(125)의 하측에 형성되어, 연결돌기부(124)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패널(125b)은 연결돌기부(124)가 연결개방부(135)에 인입된 후 연결돌기부(124)에 삽입되어, 연장바디(120)가 연결부재(13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패널(125b)은 연결돌기부(124)의 폭보다 소정 정도 길게 형성되어, 연결돌기부(124)가 연결개방부(13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30)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메인바디(110) 및 연장바디(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메인바디(110)와 연장바디(1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메인바디(110)와 연장바디(120)의 사이에 삼각형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메인바디(110)와 연장바디(120)가 높은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30)는 하측 면인 지지편(131), 지지편(131)의 일측에 배치된 제1연결벽(132), 제1연결벽(132)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연결벽(133), 제1연결벽(132)의 외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메인연결판넬(134) 및 제2연결벽(133)에 개방 형성되는 연결개방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130)는 연장바디(120)와 메인바디(110)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소형의 체결부재 없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지지편(131)은 연결부재(130)의 하측에 배치되는 판형 부재로, 삼각형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131)은 메인바디(110) 및 연장바디(120)의 하측 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편(131)은 연결부재(130)의 바닥을 지지하는 부재 없이 제1,2연결벽(132, 133)이 배치되는 경우, 연결부에 변형이 오거나 지지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편(131)은 직선의 개방된 홀인 선형개방홀(131a), 메인바디(110)의 하측 면을 일부 지지하는 제1연장부(131b) 및 연장바디(120)의 하측 면을 일부 지지하는 제2연장부(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편(131)은 메인바디(110)와 연장바디(120)의 연결 시 높은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연결부재(130)를 천정에도 연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선형개방홀(131a)은 다수 개의 직선의 개방된 홀이 형성되어, 'T'자 형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천정에 지지편(131)을 연결 고정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선형개방홀(131a)은 'T'자 형상의 부재가 연결된 와이어 및 철근과 같은 행거(미도시)를 인입한 후, 선형개방홀(131a)과 수직되게 회전하는 방식으로 천정에 지지편(131)을 연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지지편(131)은 천정에 연결하여 더욱 강력하게 연장바디(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선형개방홀(131a)은 천정과 연결되지 않고 배치되어, 공기가 순환되거나, 하측 방향으로 별도의 장식품 및 조명 등을 설치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제1연장부(131b)는 제1연결벽(132)에서 메인바디(110)의 하측 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메인바디(110)의 하측 면을 일부 지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연장부(131b)와 메인바디(110)의 하부프레임(111)을 접착제 또는 체결부재 등으로 고정시켜, 연결부재(130)를 메인바디(110)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2연장부(131c)는 제2연결벽(133)에서 연장바디(120)의 하측 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연장바디(120)의 하측 면을 일부 지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연장부(131c)와 연장바디(120)의 하부바디(121)를 접착제 또는 체결부재 등으로 고정시켜, 연결부재(130)를 연장바디(120)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연장부(131c)는 일측이 직선으로 개방된 직선개방부(131c-1)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개방부(131c-1)는 연장바디(120)의 직선개방홀(121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장바디(120)와 연결부재(130)를 연결 시 제2연장부(131c)에 의해 직선개방홀(121b)이 가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직선개방부(131c-1)는 연장바디(120)와 연결 시 직선개방홀(121b)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후술할 클램프유닛(140)의 하부고정부(143)가 방해없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벽(132)은 지지편(131)의 일측 면에 배치되되, 지지편(131)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메인바디(110)와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연결벽(132)은 메인바디(110)의 제1,2측벽(112, 113)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벽(132)은 후술할 메인연결판넬(134)이 배치되어, 메인바디(110)의 연결돌기부(115)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벽(133)은 일측 모서리가 제1연결벽(132)의 모서리와 수직되게 연결되어, 연장바디(120)와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연결벽(133)은 연장바디(120)의 제1,2측바디(122, 123)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벽(133)은 후술할 연결개방부(135)가 배치되어, 연장바디(120)의 연결돌기부(124)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연결판넬(134)은 제1연결벽(132)의 외측에 배치되어, 연결부재(130)를 메인바디(110)에 연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메인연결판넬(134)은 메인바디(110)에 형성된 연결돌기부(115)에 삽입되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간편하게 연결부재(130)를 메인바디(110)에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연결판넬(134)은 수평판넬(134a), 삽입판넬(134b) 및 지지돌기(13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연결판넬(134)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연결부재(130)를 메인바디(110)에 연결시키면서도 특유의 형상 및 중력에 의해 연결부재(130)를 견고하게 연결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수평판넬(134a)은 제1연결벽(132)의 외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수평판넬(134a)은 메인바디(110)의 연결돌기부(115)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판넬(134a)은 메인연결판넬(134)을 연결돌기부(115)에 삽입 시, 연결돌기부(115)의 상단과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삽입판넬(134b)은 수평판넬(134a)의 하측으로 절곡 배치되되, 상단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에서부터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삽입판넬(134b)은 뒤집어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판넬(134b)은 좌우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있는 부재로 형성되어 인입되기 전에는 소정 정도 벌려진 상태로 있다가, 오므려진 상태로 연결돌기부(115)의 개구부에 인입될 수 있다. 즉, 삽입판넬(134b)이 연결돌기부(115)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지속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에 의해 메인연결판넬(134)이 연결돌기부(115)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돌기(134c)는 삽입판넬(134b)의 끝단에 판형 부재로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지지돌기(134c)는 삽입판넬(134b)보다 넓은 면적으로 돌출 형성되되, 연결돌기부(115)보다는 좁거나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돌기(134c)는 삽입판넬(134b)이 오므려진 상태에서 연결돌기부(115)에 삽입되고, 삽입판넬(134b)이 완전히 삽입되고 난 후에는 연결돌기부(115)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돌기부(115)의 하측으로 노출 배치된 지지돌기(134c)는 양측으로 소정 정도 벌어진 삽입판넬(134b)에 의해 연결돌기부(115)의 하측과 접촉되어, 메인연결판넬(134)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후에, 메인연결판넬(134)을 연결돌기부(115)에서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벌어진 지지돌기(134c)가 양측에서 눌려 오므려진 상태로 연결부재(130)가 들어올려져 제거될 수 있다.
즉, 지지돌기(134c)는 연결돌기부(115)의 하단과 접촉 지지되어, 메인연결판넬(134)이 상단으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연결개방부(135)는 제1,2연결벽(132, 133)의 일측에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개방부(135)는 연장바디(120)의 연결돌기부(124)와 대응되는 개방부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개방부(135)는 연결돌기부(124)가 관통된 후, 고정패널(125)이 연결돌기부(124)를 관통 배치하여 연장바디(120)를 연결부재(130)를 통해 메인바디(110)에 연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개방부(135)는 연장바디(120)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메인바디(110)와 연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클램프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램프유닛(140)은 연장바디(120)에 전선관(L)을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유닛(140)은 상단과 하단이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 고정되고, 중심부에는 전선관(L)이 관통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램프유닛(140)은 전선관(L)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부(141), 전선관(L)을 감싸 지지하는 굴곡부(142) 및 전선관(L)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부고정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유닛(140)은 일측이 연장바디(120)에 관통 배치되어 추가 전선관(L)을 연장바디(120)의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고정부(141)는 클램프유닛(140)의 상단에 배치되고, 한 쌍의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고정부(141)는 한 쌍의 홀을 포함하여 굴곡부(142)에 전선관(L)이 인입된 후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부고정부(141)는 힌지 형식으로 상측이 맞닿게 형성되어, 전선관(L)이 인입되기 전에는 벌렸다가 전선관(L)의 인입 후 오므리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체결될 수도 있다.
굴곡부(142)는 한 쌍의 상부고정부(141)의 하단에 연결되게 배치되고, 전선관(L)이 인입될 수 있도록 각각이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굴곡부(142)에는 추가 설치되는 전선관(L)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고정부(143)는 한 쌍의 굴곡부(142)의 하단에 연결되게 배치되고,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고정부(143)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장바디(120)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고정부(143)는 제1고정부(143a) 및 제2고정부(143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고정부(143)는 직선개방홀(121b)을 관통하여 연결되므로 연장바디(120)와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설치된 클램프유닛(140)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제1고정부(143a)는 하부고정부(143)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연장바디(120)의 제1,2절곡부(122a, 123a)에 상단이 지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고정부(143a)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고정부(143)의 상단 넓은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며, 가장 넓은 폭은 연장바디(120)의 제1측바디(122) 및 제2측바디(123) 간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143a)는 하부고정부(143)가 연장바디(120)에 삽입 시, 제1,2절곡부(122a, 123a)와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고정부(143a)는 하부고정부(143)가 제1,2직선개방홀(122b, 123b)을 통해 인입된 후, 하부바디(121)에 형성된 직선개방홀(121b)까지 인입되고 나면, 제1,2직선개방홀(122b, 123b)이 형성되지 않은 제1,2절곡부(122a, 123a)와 접촉되어, 하부고정부(143)가 상측으로 당겨지더라도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고정부(143a)는 제2고정부(143b)를 통해 클램프유닛(140)이 고정되는 것에 더하여 이중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여, 클램프유닛(140)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부(143b)는 하부고정부(143)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연장바디(120)의 직선개방홀(121b)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고정부(143b)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고정부(143)의 하단 좁은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제1고정부(143a)보다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143b)는 직선개방홀(121b)을 통해 연장바디(120)를 관통하게 배치된 후,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고정부(143b)는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2직선개방홀(122b, 123b) 및 직선개방홀(121b)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스웨이 장치(100)는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메인바디(110), 연장바디(120) 및 연결부재(130)는 개방된 부분과 돌출된 부분이 서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소형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사용을 감소시켰다. 즉, 본 실시예의 레이스웨이 장치(100)는 소형의 체결부재의 사용을 감소시켰기 때문에 고소에서 작업하는 시공 과정에서 소형의 체결부재가 낙하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스웨이 장치(100)는 추가로 설치되는 전선관(L)이 유동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클램프유닛(140)은 단순하게 연장바디(120)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연장바디(120)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연장바디(120)와 클램프유닛(140)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외부의 영향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레이스웨이 장치 110: 메인바디
111: 하부프레임 112: 제1측벽
113: 제1측벽 114: 개방부
115: 연결돌기부 120: 연장바디
121: 하부바디 122: 제1측바디
123: 제2측바디 124: 연결돌기부
125: 고정패널
130: 연결부재 131: 지지편
132: 제1연결벽 133: 제2연결벽
134: 메인연결판넬 135: 연결개방부
140: 클램프유닛 141: 상부고정부
142: 굴곡부 143: 하부고정부

Claims (7)

  1. 메인바디(110);
    상기 메인바디(110)의 측면에서 상기 메인바디(11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연장바디(120); 및
    상기 메인바디(110)와 상기 연장바디(120)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30)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10) 및 상기 연장바디(120)의 연결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10)의 하단과 상기 연장바디(1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편(131);
    상기 지지편(131)의 일측 면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편(131)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10)와 연결 고정되는 제1연결벽(132); 및
    일측 모서리가 상기 제1연결벽(132)의 모서리와 수직되게 연결되어, 상기 연장바디(120)와 연결 고정되는 제2연결벽(133);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131)은,
    다수 개의 직선의 개방된 홀을 포함하여, 'T'자 형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천정에 상기 지지편(131)을 연결 고정하는 선형개방홀(131a);을 더 포함하는,레이스웨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31)은,
    상기 제1연결벽(132)에서 상기 메인바디(110)의 하측 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1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1연장부(131b);
    상기 제2연결벽(133)에서 상기 연장바디(120)의 하측 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디(120)의 하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연장바디(120)의 직선개방홀(121b)과 대응되게 개방 형성된 직선개방부(131c-1);를 포함하는, 제2연장부(131c);를 포함하는, 레이스웨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디(120)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10)의 하측에 상기 메인바디(110)와 수직되게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메인바디(110)의 하측을 지지하고, 타측은 전선관(L)을 지지하는 하부바디(121);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바디(121)는,
    상기 하부바디(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10)의 개방홀(111a)과 대응되게 개방 형성되는 원형개방홀(121a); 및
    상기 하부바디(121)의 타측에 형성되되, 일정한 간격의 직선의 개방부로 형성되어, 클램프유닛(140)이 삽입되는 직선개방홀(121b);을 포함하는, 레이스웨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디(120)는,
    상기 연장바디(120)의 외측 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수직으로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연결돌기부(124); 및
    상기 연결돌기부(124)에 삽입되는 판형 부재인 고정패널(125);을 포함하는, 레이스웨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디(120)에 전선관(L)을 연결시키되, 일측이 상기 연장바디(120)를 관통 고정되는 클램프유닛(140);을 더 포함하는, 레이스웨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유닛(140)은,
    상기 연장바디(12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하부고정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고정부(143)는,
    상기 연장바디(120)의 제1절곡부(122a) 및 제2절곡부(123a)에 상단이 지지되는 제1고정부(143a); 및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고정부(143a)보다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디(120)의 직선개방홀(121b)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143b);를 포함하는, 레이스웨이 장치.
KR1020220033671A 2022-03-18 2022-03-18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 KR102512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671A KR102512281B1 (ko) 2022-03-18 2022-03-18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671A KR102512281B1 (ko) 2022-03-18 2022-03-18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281B1 true KR102512281B1 (ko) 2023-03-20

Family

ID=8579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671A KR102512281B1 (ko) 2022-03-18 2022-03-18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2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117A (ko) *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KR20140013184A (ko) * 2012-07-20 2014-02-05 김승호 일괄체결형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117A (ko) *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KR20140013184A (ko) * 2012-07-20 2014-02-05 김승호 일괄체결형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794B1 (en) Adjustable fixture mounting bracket for suspended ceiling
US6345800B1 (en) Universal load-bearing hanger bracket and method for hanging a lighting fixture below a grid ceiling system at on-grid or off-grid locations
US6761341B2 (en) Bar hanger and mounting clip assembly
US8297579B1 (en) Electrical box hanger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US6086028A (en) Table leg with cable management system
US5316254A (en) Junction box support for suspended ceilings
RU23219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проволоки на несущем элементе, снабженном,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им отверстием
KR101193367B1 (ko) 서스펜션 장치
KR101119556B1 (ko) 케이블 거치대
US6746138B1 (en) Support plate for a luminaire
KR102512281B1 (ko)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
JP4025416B2 (ja) 垂直ボルト係着用支持具
KR20120030051A (ko) 미부착된 천장 패널과 천장 빔을 가진 천장 상에 물체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JP2003297113A (ja) 吊り下げ照明器具およびその連結構造
US6315428B1 (en) Light fixture mounting for suspended ceiling
JP2005213909A (ja) 支持材
JPH06240810A (ja) 天井パネル保持金具
JPS5823847Y2 (ja) 天井支持部材
CN211239265U (zh) 一种埋地式电缆桥架
CN214249489U (zh) 纵横向压板灯具安装结构
JP3205669U (ja) 天井裏足場用金具
JP3360096B2 (ja) 配線・配管材用受具
JP2023163434A (ja) パネル装置
JPS5855530Y2 (ja) 照明器具を有する天井
JP6611169B2 (ja) デスクトップフレーム及びデス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