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239B1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239B1
KR102014239B1 KR1020190041670A KR20190041670A KR102014239B1 KR 102014239 B1 KR102014239 B1 KR 102014239B1 KR 1020190041670 A KR1020190041670 A KR 1020190041670A KR 20190041670 A KR20190041670 A KR 20190041670A KR 102014239 B1 KR102014239 B1 KR 102014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upper frame
cable
insulating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호
Original Assignee
임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장호 filed Critical 임장호
Priority to KR102019004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Abstract

개시되는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하부 프레임 부재와, 상부 프레임 부재와,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제 2 격리 난연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 상의 케이블에서의 연소 발생과 방염 작용이 시간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응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방염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 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가 각각 상기 케이블을 누르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자동적으로 완충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Cover for diffusion proof of combustion of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스·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시설, 하수도시설 등 지하매설물을 공동 수용하는 공동구, 지하철 등에는 그 천정 또는 벽면을 따라 복수 개의 케이블이 지나가게 되는데, 이러한 복수 개의 케이블을 그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시켜주는 것이 케이블 트레이이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에서는 누전 등에 의해 연소(combustion)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연소 확산 방지 구조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케이블 트레이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받쳐진 케이블에 난연 도료를 도포하는 방식이 많이 적용되었으나, 이러한 난연 도료를 도포하는 방식으로는 연소 확산 방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에서 보이듯이, 본원의 출원인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감싸는 구조를 개발하여 특허 등록까지 완료되었다.
그러나,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방염을 위한 프레임측 방염 부재가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얹힌 케이블과 상기 프레임측 방염 부재 사이 공간이 비어 있게 되어, 상기 케이블에서 연소가 발생되더라도, 그러한 연소에 의한 열기가 상기 프레임측 방염 부재에 전달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에서의 연소 발생과 상기 프레임측 방염 부재의 방염 작용까지의 시간 지연이 발생되어, 상기 케이블에서 발생된 연소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구조에 의하면, 방염 효과 증진과 방염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아주어야 하였고, 그를 위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에 별도의 케이블 방염 부재가 채워져야 하였는데, 이러한 케이블 방염 부재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상기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에 맞추어 개별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 방염 부재의 설치 이후에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상기 케이블이 추가로 설치되거나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기설치되어 있던 상기 케이블 중의 일부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에 임의의 홀이 발생되므로, 즉각적인 방염 작용과 방염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 증진을 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다시 막을 수 있는 새로운 케이블 방염 부재를 다시 제작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763857호, 등록일자: 2017.07.26., 발명의 명칭: 케이블 트레이 방염 유닛
본 발명은 케이블에서의 연소 발생과 방염 작용이 시간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케이블 트레이 상에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응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는 케이블이 경유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적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서 발생되는 연소(combustion)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 프레임 부재;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감싸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부재;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과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에 배치되고, 난연(難燃)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 1 격리 난연 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과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난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 2 격리 난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케이블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게 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블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하부 프레임 부재와, 상부 프레임 부재와,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제 2 격리 난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일부가 케이블 트레이 상의 케이블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게 되고, 탄성 변형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케이블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블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에서 연소가 발생되면 상기 케이블과 접한 상태의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가 바로 부풀어오르면서 방염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케이블에서의 연소 발생과 방염 작용이 시간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상기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가 이루어지더라도 탄성 변형된 상태의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가 상기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에 따라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를 다시 막게 되어,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상기 케이블 트레이 상에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응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방염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 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의하면,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들은 일정량 서로 겹치게 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가 각각 상기 케이블과 접하여 각각 상기 케이블을 누르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들의 서로 겹쳐지는 양이 가변됨으로써,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가 각각 상기 케이블을 누르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자동적으로 완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탄성 변형 승강 부재가 적용되되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가 상승 전의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서 탄성 변형 승강 부재가 상승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를 구성하는 개입 지지 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가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는 케이블(10)이 경유되는 케이블 트레이(20)에 적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에서 발생되는 연소(combustion)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20)는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10)이 경유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10)의 양 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트레이 측면 패널(21)과, 상기 각 트레이 측면 패널(21)의 하부를 연결하되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트레이 연결 바아(25)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연결 바아(25)에 의해 상기 케이블(10)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구조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하부를 감싸도록 덧대어지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는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와, 한 쌍의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와, 한 쌍의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저면과 대면되는 것이다.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는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의 양 말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굽혀지되 서로 평행하게 일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각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는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의 각 말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굽혀지는 것이다.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는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의 양 말단이 각각 상방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는 상기 각 하부 프레임 측면체(112, 114)의 각 말단이 각각 외측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는
Figure 112019036437456-pat00001
형태의 단면을 이루어,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10)이 그 상단에 올려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20)가 그 위에 올려지게 되면서 상기 케이블(10)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에 의해 지지되어 정렬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에는 하부 프레임 방염 부재(12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 방염 부재(120)는 일정 길이의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프레임 저면체(111) 전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그라파이트 등을 포함한 난연(難燃)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난연 재질은 열기가 가해지면 부풀어오를 수 있는 재질로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상기 케이블(10)에서 연소가 발생되면, 그 연소에 의한 열기에 의해 부풀어오르면서 그러한 연소의 확산을 방지하게 되고, 이러한 사항은 이하의 난연 재질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를 감쌀 때, 상기 하부 프레임 방염 부재(12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저면과 접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하측에서 연소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에 의해 감싸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한 쌍의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와, 한 쌍의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상면과 대면되는 것이다.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양 말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굽혀지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각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는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의 각 말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굽혀지는 것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양 말단이 각각 하방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는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의 각 말단이 각각 외측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Figure 112019036437456-pat00002
형태의 단면을 이루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에 올려진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10)의 상공을 덮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는 각각 상기 케이블 트레이(20)의 상부와 하부를 덮으면서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별도의 플랜지 고정 수단(195)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고정 수단(195)은 볼트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에 각각 형성된 각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고정봉(196)과, 너트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196) 중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를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는 봉 결합체(197)를 포함한다.
이 밖에도, 상기 플랜지 고정 수단(195)은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를 함께 집는 클립(clip), 상기 상부 프레임 플랜지(133, 135)와 상기 하부 프레임 플랜지(113, 115)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 등으로 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봉(196)은 일정 길이의 긴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고정봉(196)에 의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 사이가 요구되는 거리로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 사이의 공간이 상기 케이블(10)의 갯수 등에 따라 요구되는만큼 확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각각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실리콘 등의 절연체로 코팅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에 코팅되는 상기 절연체는 절연은 물론 난연을 위하여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를 전체적으로 감싼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내면, 여기서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과 상기 케이블(10) 사이 공간을 막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 여기서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측에 배치되고, 그라파이트 등을 포함한 난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일부가 상기 케이블(10)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상기 케이블(10) 사이 공간을 막게 된다. 그러면서도,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 사이에는 탄성 변형을 위한 빈 여유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에 접하면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가 탄성 변형될 때, 그러한 탄성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이격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는 난연 재질이면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와 실리콘이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 길이로 긴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일측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즉 저면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타측부가 후술되는 탄성 변형 지지 부재(16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에 상대적으로 더 근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근접된 부분인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 사이에는 탄성 변형을 위한 빈 여유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블(1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10)과 접하도록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가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는 물결 무늬 형태 등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는 제 1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와, 제 1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142)와,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와, 제 1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144)와,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일측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142)는 상기 제 1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는 상기 제 1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142)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최저점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144)는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쪽으로 점진적으로 근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5)는 상기 제 1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144)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양 말단부를 제외한 부분(예를 들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의 중앙부)과 최근접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를 제외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최고점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내면, 여기서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과 상기 케이블(10) 사이 공간을 막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 여기서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그라파이트 등을 포함한 난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일부가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탄성 변형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블(10)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탄성 변형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상기 케이블(10) 사이 공간을 막게 된다. 그러면서도,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 사이에는 탄성 변형을 위한 빈 여유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에 접하면서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가 탄성 변형될 때, 그러한 탄성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이격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는 난연 재질이면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와 실리콘이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 길이로 긴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일측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즉 저면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타측부가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부재(16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에 상대적으로 더 근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근접된 부분인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 사이에는 탄성 변형을 위한 빈 여유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블(1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10)과 접하도록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가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는 물결 무늬 형태 등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는 제 2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51)와, 제 2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152)와,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와, 제 2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154)와,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55)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51)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타측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152)는 상기 제 2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51)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는 상기 제 2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152)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최저점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154)는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쪽으로 점진적으로 근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55)는 상기 제 2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154)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양 말단부를 제외한 부분(예를 들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의 중앙부)과 최근접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51)를 제외한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최고점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들은 일정량 서로 겹치게 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가 각각 상기 케이블(10)과 접하여 각각 상기 케이블(10)을 누르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들의 서로 겹쳐지는 양이 가변됨으로써,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가 각각 상기 케이블(10)을 누르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완충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5)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55)는 서로 겹쳐지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가 각각 상기 케이블(10)과 접하여 각각 상기 케이블(10)을 누르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5)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55)의 서로 겹쳐지는 양이 가변된다.
즉,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가 각각 상기 케이블(10)과 접하여 각각 상기 케이블(10)을 누르는 압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가 각각 상기 케이블(10)을 누르는 압력 완화를 위하여,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쪽을 향하여 각각 상승되도록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한 부분의 압력분에 항복되어 자동적으로 탄성 변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5)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55)의 서로 겹쳐지는 양이 상대적으로 더 많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가 각각 상기 케이블(10)을 누르는 압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자동적으로 완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일측부와 맞대어진 상기 제 1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의 외측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타측부와 맞대어진 상기 제 2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51)의 외측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덧댐 바아(165)가 각각 덧대어져서 설치된다.
상기 제 1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일측부 및 상기 제 1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덧댐 바아(165)에는 각각 서로 연통되는 관통 홀(150, 136, 16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150, 136, 167)에는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이 결합된다.
상기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은 상기 관통 홀(150, 136, 167)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관통체(102)와, 상기 관통 홀(150, 136, 167)을 모두 관통한 상태의 상기 관통체(102)의 말단부에 결합되는 너트 등의 관통 고정체(10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에 의해 상기 덧댐 바아(165), 상기 제 1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41)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일측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66은 상기 격리 난연 일 측 말단 연결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덧댐 바아 몸체로, 상기 덧댐 바아 몸체(166)에 상기 관통 홀(150, 136, 167) 중 상기 덧댐 바아(165)에 형성되는 것(167)이 복수 개로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51),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타측부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51)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덧댐 바아(165)에는 각각 서로 연통되는 관통 홀(156, 136, 16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156, 136, 167)에는 상기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이 결합된다.
상기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에 의해 상기 덧댐 바아(165), 상기 제 2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151)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중 타측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덧댐 바아(165),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는 상기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접착제 등을 이용한 접착 방식 등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덧댐 바아(165),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도 상기 격리 난연 고정 수단(101)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접착제 등을 이용한 접착 방식 등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제 1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142),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 상기 제 1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144), 상기 제 2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152),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154)는 모두 탄성 변형된 상태여서,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는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각 복원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10) 쪽을 각각 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상기 케이블(10)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와 상기 케이블(10) 사이 공간을 각각 막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가 뒤집어진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는 상기 케이블(10)의 하측에 위치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적용 형태도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는 탄성 변형 지지 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부재(160)는 일정 면적으로 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과 평행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내부를 가로지르되, 상기 각 상부 프레임 측면체(132, 134) 중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 쪽에 상대적으로 근접되는 부분에 각각 양 말단이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부재(160)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부재(160)가 서로 겹쳐진 상태의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5)의 저면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55)를 받치면서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5)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55)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을 향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142),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 상기 제 1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144), 상기 제 2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152),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154)도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 변형 지지 부재(160)에 의해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45)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155)가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131)의 내면을 향하게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는 상기 케이블(10) 쪽으로 탄성 변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143)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153)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상기 케이블(10)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가 상기 격리 난연 일측 최저부(143) 및 상기 격리 난연 타측 최저부(147)의 두 개의 최저점을 가지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격리 난연 부재(140)는 세 개 이상의 최저점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100)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일부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의 상기 케이블(10)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케이블(10) 사이 공간을 막게 되고, 탄성 변형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는 상기 케이블(10)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일부가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탄성 변형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블(10)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의 탄성 변형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케이블(10) 사이 공간을 막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에서 연소가 발생되면 상기 케이블(10)과 접한 상태의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가 바로 부풀어오르면서 방염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케이블(10)에서의 연소 발생과 방염 작용이 시간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에 상기 케이블(10)의 추가 또는 제거가 이루어지더라도 탄성 변형된 상태의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가 상기 케이블(10)의 추가 또는 제거에 따라 자체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130)와 상기 케이블(10) 사이를 다시 막게 되어,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상기 케이블 트레이(20) 상에 케이블(10)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응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방염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 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들은 일정량 서로 겹치게 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가 각각 상기 케이블(10)과 접하여 각각 상기 케이블(10)을 누르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들의 서로 겹쳐지는 양이 가변됨으로써,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140)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150)가 각각 상기 케이블(10)을 누르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자동적으로 완충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탄성 변형 승강 부재가 적용되되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가 상승 전의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서 탄성 변형 승강 부재가 상승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는 탄성 변형 승강 부재(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270)는 제 1 격리 난연 부재(240)와 제 2 격리 난연 부재(250)가 각각 양 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대적으로 근접되거나 상대적으로 이격되도록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270)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도록 상승되면,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270)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2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250)를 각각 외측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2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250)의 탄성 변형량이 상대적으로 더 커지게 된다.
반면,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270)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대적으로 이격되도록 하강되면,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270)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 형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2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250)를 각각 내측으로 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2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250)의 탄성 변형량이 상대적으로 더 작아지게 된다.
상세히,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270)는 승강 외력 인가체(272)와, 탄성 변형 승강체(28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는 상기 탄성 변형 승강체(280)를 당겨주거나 이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 변형 승강체(280)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상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에 작업자 등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가 승강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271은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 중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의 승강된 상태를 고정하는 승강 상태 고정체이다.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는 그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제시되고, 상기 승강 상태 고정체(271)는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와 맞물릴 수 있는 너트로 제시될 수 있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다양한 수단들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 승강체(280)는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와 맞물린 탄성 변형 몸체(281)와,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의 양 말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상면체 접촉체(282, 285)와, 상기 각 상면체 접촉체(282, 285)와 일정 각도(예를 들어, 수직)를 이루면서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의 양 말단에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 홀 형성체(283, 286)를 포함한다.
상기 각 걸림 홀 형성체(283, 286), 상기 각 상면체 접촉체(282, 285)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231)의 내면 사이에는, 각각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한 쌍의 걸림 홀(284, 287)이 형성되고, 상기 각 걸림 홀(284, 287) 중 하나(284)에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240)의 말단부인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245)가 삽입되어 걸리고, 상기 각 걸림 홀(284, 287) 중 다른 하나(287)에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250)의 말단부인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255)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는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반구 형태 등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의 최저점에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가 맞물린다. 그러면,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가 상승될 때,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는 상대적으로 납작해지는 형태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가 하강될 때,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인 반구 형태 등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가 외력에 의해 당겨져서 상승되면,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가 상대적으로 납작해지는 형태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가 상대적으로 납작해지는 형태로 되면서 상기 각 걸림 홀(284, 287)이 상대적으로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의 외측으로 더 밀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245)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255)가 각각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의 외측으로 밀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2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250)의 탄성 변형량이 상대적으로 더 커지게 되어, 케이블(10)에 대한 가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승강 외력 인가체(272)가 하강되면,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가 원 형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각 걸림 홀(284, 287)이 상대적으로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의 내측으로 더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245)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255)가 각각 상기 탄성 변형 몸체(281)의 내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2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250)의 탄성 변형량이 상대적으로 더 작아지게 되어, 상기 케이블(10)에 대한 가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270)가 더 적용됨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240)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250)의 탄성 변형량이 간편하게 가변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블(10)에 대한 가압력이 간편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를 구성하는 개입 지지 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는 개입 지지 부재(3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입 지지 부재(390)는 상부 프레임 상면체(331)의 중앙부 내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개입 지지 연장체(391)와, 상기 개입 지지 연장체(391)의 하부로부터 양 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개입 지지 돌출체(392, 393)를 포함한다.
상기 개입 지지 연장체(391)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331)의 중앙부 내면에 볼트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한 고정,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개입 지지 연장체(391)와 상기 개입 지지 돌출체(392, 393)는 전체적으로 뒤집어진 T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각 개입 지지 돌출체(392, 393)는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345)의 저면 및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355)를 각각 받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상부 프레임 상면체(331)와 상기 각 개입 지지 돌출체(392, 393) 사이의 각 공간에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345)의 말단부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355)의 말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개입 지지 연장체(391)의 양 측면에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345)의 말단부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355)의 말단부가 닿아 지지됨으로써, 제 1 격리 난연 부재 및 제 2 격리 난연 부재가 탄성 변형되고, 그러한 탄성 변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에 의하면, 케이블에서의 연소 발생과 방염 작용이 시간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케이블 트레이 상에 케이블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110 : 하부 프레임 부재
130 : 상부 프레임 부재
140 : 제 1 격리 난연 부재
150 : 제 2 격리 난연 부재

Claims (4)

  1. 케이블이 경유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적용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서 발생되는 연소(combustion)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 프레임 부재;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감싸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부재;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과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에 배치되고, 난연(難燃)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 1 격리 난연 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과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난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 2 격리 난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케이블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게 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블 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이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 공간을 막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들은 일정량 서로 겹치게 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가 각각 상기 케이블과 접하여 각각 상기 케이블을 누르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들의 서로 겹쳐지는 양이 가변됨으로써,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 및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가 각각 상기 케이블을 누르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완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 중 일측부에 연결되는 제 1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와,
    상기 제 1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1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와,
    상기 제 1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최저점을 형성하는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와,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 쪽으로 점진적으로 근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1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와,
    상기 제 1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 중 양 말단부를 제외한 부분과 최근접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를 제외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의 최고점을 형성하는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 중 타측부에 연결되는 제 2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2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하강 경사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최저점을 형성하는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 쪽으로 점진적으로 근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2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상승 경사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 중 양 말단부를 제외한 부분과 최근접되고 상기 제 2 격리 난연 일측 말단 연결부를 제외한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최고점을 형성하는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는 서로 겹쳐지고,
    상기 제 1 격리 난연 최저부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최저부가 각각 상기 케이블과 접하여 각각 상기 케이블을 누르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타측 말단 연결부의 서로 겹쳐지는 양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는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가 각각 양 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대적으로 근접되거나 상대적으로 이격되도록 승강될 수 있는 탄성 변형 승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도록 상승되면,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를 각각 외측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량이 상대적으로 더 커지게 되고,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대적으로 이격되도록 하강되면, 상기 탄성 변형 승강 부재가 복원력에 의해 원 형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를 각각 내측으로 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격리 난연 부재와 상기 제 2 격리 난연 부재의 탄성 변형량이 상대적으로 더 작아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KR1020190041670A 2019-04-10 2019-04-10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KR10201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70A KR102014239B1 (ko) 2019-04-10 2019-04-10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70A KR102014239B1 (ko) 2019-04-10 2019-04-10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239B1 true KR102014239B1 (ko) 2019-08-27

Family

ID=6780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670A KR102014239B1 (ko) 2019-04-10 2019-04-10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2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9915A (ko) * 2006-12-01 2008-06-05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위한 열발포소화성 방화 격벽
KR100913973B1 (ko) *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101763857B1 (ko) 2017-05-10 2017-08-01 임장호 케이블 트레이 방염 유닛
JP2017163706A (ja) * 2016-03-09 2017-09-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トレイ
KR101808612B1 (ko) * 2017-03-17 2017-12-13 주식회사 광운기술 케이블 트레이용 화재 확산 방지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9915A (ko) * 2006-12-01 2008-06-05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위한 열발포소화성 방화 격벽
KR100913973B1 (ko) *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JP2017163706A (ja) * 2016-03-09 2017-09-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トレイ
KR101808612B1 (ko) * 2017-03-17 2017-12-13 주식회사 광운기술 케이블 트레이용 화재 확산 방지 구조물
KR101763857B1 (ko) 2017-05-10 2017-08-01 임장호 케이블 트레이 방염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955B1 (ko)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US7373761B2 (en) Self-adjusting intumescent firestopping apparatus
KR100915369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신축식 연결구조
CZ54396A3 (en) Low-profile floor system of elevated floor made of panel elements with supporting metal structure
KR101576230B1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KR100982474B1 (ko)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2014239B1 (ko)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JP2017163706A (ja) ケーブルトレイ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20170009811A (ko) 권선 부품의 부착 구조 및 이 부착 구조를 구비한 전력 변환 장치
KR200479587Y1 (ko) 패널 연결 장치
KR102014238B1 (ko)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KR102112174B1 (ko)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KR101487889B1 (ko) 케이블 배선용 트레이의 연결장치
KR20200126033A (ko)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KR200496212Y1 (ko) 케이블 트레이용 방화 장치
JP4558989B2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
KR20210088282A (ko) 초고압 케이블용 크리트
KR102014033B1 (ko) 배관보온재 화재확산 방지장치
JP4698760B2 (ja) バスダクト支持方式及びバスダクト支持装置
KR20120004908A (ko) 케이블의 인장력 재하장치
KR102270664B1 (ko)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박스
JP7249628B2 (ja) 支持装置
KR101305299B1 (ko) 다수 개의 전기 또는 전자소자의 배치를 위한 덕트 구조
KR102565769B1 (ko)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