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769B1 -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769B1
KR102565769B1 KR1020180099401A KR20180099401A KR102565769B1 KR 102565769 B1 KR102565769 B1 KR 102565769B1 KR 1020180099401 A KR1020180099401 A KR 1020180099401A KR 20180099401 A KR20180099401 A KR 20180099401A KR 102565769 B1 KR102565769 B1 KR 102565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ower cable
fastening
termination system
ou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046A (ko
Inventor
이덕규
남석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9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7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접속체(EB-A)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종단접속체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TERMINAL CONNECTING SYSTEM FOR POWER CABLE}
본 발명은 가공선과 전력케이블을 접속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접속체(EB-A)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종단접속체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conductor)를 이용하여 지중, 지상 또는 해저를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은 상기 도체를 절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은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가교 폴리에틸렌) 등을 원료로 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절연지 등을 감아 절연층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은 수백 미터 또는 수 킬로미터 간격으로 중간접속함(Joint box)에 의해 중간접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은 종단접속체(Termination connection box)에 의해 가공선 또는 차단기 등과 종단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가공선과 연결되기 위한 기중 종단접속체(EB-A)은 가공선과 전력케이블의 도체부 연결을 위한 위하여 기중 종단접속체(EB-A) 내부에 도체인출봉을 구비한다. 상기 종단접속체 내부에서 전력케이블의 도체부와 도체인출봉이 접속되고 도체인출봉이 종단접속체의 상단으로 인출되어 가공선과 연결될 수 있다.
종래의 기중 종단 접속함(EB-A)은 접속함은 오일이 채워진 애관 상부 금구와 오링 구조 그리고 금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와 체결부(211)재가 사용되어 수밀이 문제되지 않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소요되었다.
최근에는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 접속함(EB-A)이 소개되고 있다. 드라이 방식의 기중 종단 접속함(EB-A)의 경우 내부에 절연을 위한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므로 구조가 단순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의 경우, 종래의 종단 접속함에서 사용되던 딱딱한 자기 재질의 애관 및 애관 상부에 금구 등을 장착하는 구조가 아니며,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를 사용하여 내부에 빈공간 없이 케이블과 밀착되고 그 상부에 금구 등의 구조물이 생략되어 구성이 간소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의 경우, 딱딱한 애관 대신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가 적용되므로 수직 배치되는 경우 단독으로 설치가 어려워 별도의 지지구조, 예를 들면 지지애자가 요구된다.
이러한 지지애자는 단순히 기중(EB-A) 종단접속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피뢰기 등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공선은 일반적으로 종단접속체의 도체인출봉 측에 접속되지만, 가공선이 종단접속체 도체인출봉 측에 연결되지 않고 지지애자 측으로 접속이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지지애자는 기중(EB-A) 종단접속체와 연결되어 종단접속체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기능 이외에도 기중(EB-A) 종단접속체 전기적 연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지애자와 기중(EB-A) 종단접속체를 연결하는 구조는 전기적 연결을 전제한다.
이러한 지지애자와 기중(EB-A) 종단접속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와 지지애자의 전기적 접속의 경우 지지애자가 흔들리거나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충분한 강성을 가진 지지재자와 달리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케이블이 도입되는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의 경우 케이블 신축 또는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접속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접속체(EB-A)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종단접속체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속대상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연결되는 도체인출봉 및 상기 도체인출봉이 노출되도록 상기 전력 케이블 외면을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단접속체; 상기 종단접속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종단접속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 상기 종단접속체의 도체인출봉과 상기 지지애자를 연결하는 금속재질의 연결도체; 및, 상기 연결도체와 상기 종단접속체의 도체인출봉을 간접적으로 체결시키며, 상기 연결도체와 상기 도체인출봉의 체결상태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닛;을 구비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종단접속체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은 상기 슬리브 부재 내에서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접속영역, 상기 슬리브 부재 외측으로 노출되는 하부 영역 및 상기 하부 영역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직경이 감소되며 상기 연결도체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부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인출봉을 구획하는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의 경계에 수평면 형태의 단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도체인출봉의 상부 영역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인출봉의 상부 영역 외주면 및 상기 체결부재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도체인출봉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 상기 연결도체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부재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볼트 및 각각의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부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인출봉에 관통되는 상기 연결도체의 관통홀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 사이에 개재되기 위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 개의 적층된 접시 스프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인출봉의 상부 영역은 가공선과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애자는 금속재질의 연결금구에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도체 하면과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도체 상부의 연결금구 대칭된 위치에 가공선 접속도체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에 의하면,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접속체(EB-A)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종단접속체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에 의하면,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접속체(EB-A)와 지지애자를 연결도체로 연결하는 경우, 연결도체와 종단접속체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을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상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탄성유닛의 조립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지중 등에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800)과 가공선이 접속하기 위해서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 등이 요구된다.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은 타워(700)에 설치되며 가공선과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800)이 수직하게 배치되어 종단접속체(100)에 접속된다.
상기 종단접속체(100)는 전력케이블(800)을 매개로 타워(700)에 간접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타워(700)에 전력케이블(800)이 고정되므로, 상기 전력케이블(800)이 도입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종단접속체(100)는 간접적으로 상기 타워(7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종단접속체(100)는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100)일 수 있으며, 종단접속체(100)가 드라이 방식인 경우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슬리브 부재(110) 내부에 빈 공간없이 케이블(800)이 밀착된 상태로 도입되므로 자체적인 지지력이 부족하고, 종단접속체(100)에 도입된 전력케이블(800)은 열신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므로 별도의 지지구조가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100)는 타워(700) 측에 고정되고 FRP 등이 매립된 상대적으로 수직방향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지지애자(400) 등을 나란히 배치하고 지지애자(400)와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100)를 연결하여 지지애자(400)에 의해 종단접속체(100)가 수집방향으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애자(400)는 하부의 설치판(500)과 설치판(500)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애자(600)를 매개로 타워(70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전력케이블과 접속되는 가공선은 도 1과 같이 종단접속체(100)에 구비된 도체인출봉(850)에 연결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선 접속도체(450)가 지지애자(400) 측에 구비되어 가공선과 접속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애자(400)는 피뢰기 역할을 수행하거나 가공선이 지지애자(400) 측으로 연결되는 경우 종단접속체(100)와 지지애자(400)의 전기적 연결이 요구되므로 케이블(800)과 접속되는 종단접속체(100)와 지지애자(4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애자(4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연결하는 구성은 전기적 연결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애자(400)는 금속재질의 연결금구(410)에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도체(300) 하면과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공선이 상기 지지애자(400) 측으로 접속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도체(300) 상부의 연결금구(410) 대칭된 위치에 가공선 접속도체(450)가 체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의 상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의 탄성유닛(200)의 조립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은 접속대상 전력케이블(800)의 도체와 연결되는 도체인출봉(850) 및 상기 도체인출봉(850)이 노출되도록 상기 전력 케이블(800) 외면을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단접속체(100); 상기 종단접속체(100)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400);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과 상기 지지애자(400)를 연결하는 금속재질의 연결도체(300); 및,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을 체결하며,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닛(20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은 전력케이블(800)과 접속되는 종단접속체(100) 및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애자(400)는 피뢰기 역할을 수행하거나 가공선이 지지애자(400) 측으로 연결되는 경우 종단접속체(100)와 지지애자(400)의 전기적 연결이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선은 도 1과 같이 종단접속체(100)에 구비된 도체인출봉(850)에 연결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선 접속도체(450)가 지지애자(400) 측에 구비되어 가공선과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애자(400)는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지지하되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통전성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연결도체(300)를 사용한다.
상기 연결도체(300)는 상기 지지애자(400) 및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판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종단접속체(100)는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100)일 수 있고,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110)와 그 내측에 열신축이 발생되는 전력 케이블(800)이 빈틈없이 밀착되는 구조로 구성되므로,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850)의 전기적 연결상태의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은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을 체결하며,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체결 상태 또는 접촉 상태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닛(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850)은 상기 슬리브 부재(110) 내에서 전력케이블(800)의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접속영역(857), 상기 슬리브 부재(110) 외측으로 노출되는 하부 영역(855) 및 상기 하부 영역(855)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직경이 감소되며 상기 연결도체(300)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부 영역(851)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상부 영역(851), 하부 영역(855) 및 도체 접속영역(857)은 금속재질로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상부 영역(851)은 가공선과 접속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지지애자(400) 측에 구비된 가공선 접속도체(450)에 접속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인출봉(850)을 구획하는 상부 영역(851) 및 하부 영역(855)의 경계에 수평면 형태의 단차부(853)를 가지며, 상기 단차부(853)의 상면에 상기 탄성유닛(200)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상부 영역(851)은 상기 연결도체(30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므로,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단차부(853) 상면에 상기 탄성유닛(200)을 구성하는 체결부재(250)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200)은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을 간접적으로 체결하며,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을 체결하는 방법으로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도체인출봉(8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종단접속체(100)와 상기 지지애자(4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200)이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도체인출봉(8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도체인출봉(850)을 간접적으로 체결한다는 의미는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도체인출봉(850)이 직접 접촉되어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탄성유닛(200)을 매개로 체결됨을 의미한다.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유닛(200)은 상기 도체인출봉(85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도체(300)의 일부를 구속하는 방법으로 상기 연결도체(300)와 종단접속체(100)를 간접적으로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도체(300)와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200)은 상기 도체인출봉(85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250), 상기 연결도체(300)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부재(250)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체결부재(250)에 체결되는 가압부재(210), 상기 가압부재(210)를 상기 체결부재(250)에 체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볼트(280) 및 각각의 상기 체결볼트(280)의 헤드부와 상기 가압부재(21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인출봉(850) 상부 영역(851) 외주면 및 상기 체결부재(250)의 체결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상기 체결부재(25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도체(300)는 도체인출봉(850)이 관통하는 관통홀 내주면에 상기 가압부재(210)의 테두리 하면과 상기 체결부재(250)의 테두리 상면에 개재되어 면접촉되는 돌출부(310p)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50) 상부에는 상기 연결도체(300)의 일부 영역인 돌출부(310p)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250)와 체결되는 가압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50)와 상기 가압부재(210)는 체결볼트(280)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210)와 상기 체결볼트(280)의 헤드부 사이에 탄성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유닛(200)의 체결부재(250)는 도체인출봉(850)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가압부재(210)는 상기 연결도체(300)의 돌출부(310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부재(250)와 체결볼트(280)에 의하여 체결되되, 체결볼트(280) 헤드부와 가압부재(210) 사이에 탄성부재(23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210)가 상기 연결도체(300)의 돌출부(310p)를 가압하고, 상기 연결도체(300)의 돌출부(310p)는 상기 체결부재(250), 구체적으로 체결부재(25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탄성유닛(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역은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상기 체결부재(250)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부분일 것이다. 반면 상기 가압부재(210)는 조립 공차 등을 확보하고 탄성부재(230)에 의한탄성력으로 상기 체결부재(250)의 상면을 탄성 지지하기 위하여 도체인출봉(850) 외주면과 어느 정도의 공차가 존재해야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210)는 단면이 'ㄱ' 자 형태로 구성되어 테두리 하면이 상기 연결도체(300)의 돌출부(310p) 상면을 탄성가압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부재(210)의 내측 하면, 즉 하단면은 상기 체결부재(250)의 상면과 어느 정도 간격이 존재한다. 이는 상기 체결볼트(280) 헤드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부재(210) 측으로 제공되는 탄성력이 상기 연결도체(300)의 돌출부(310p) 가압에 사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210)의 상면 중 체결볼트(280) 체결홀에 탄성부재(230) 안착홈을 형성하여 복수 개의 적층된 스프링들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주된 전기적 연결 경로는 도체인출봉(850)과 체결된 체결부재(250)의 테두리 상면과 상기 연결도체(300)의 돌출부(310p) 하면의 접촉면(S)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면(S)에서의 접촉 신뢰성은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과 직결되므로, 상기 가압부재(210)에 의하여 상기 연결도체(300)의 돌출부(310p)를 상기 체결부재(250)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하여 종단접속체(100)와 연결도체(300)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280)는 상기 탄성부재(230) 및 상기 가압부재(210)를 단순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25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280)는 상기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압부재(210)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250)에 체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체결볼트(280) 헤드부 하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탄성부재(230)는 복수 개의 접시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접시 스프링은 그 개수가 증감이 가능하고, 코일 스프링 또는 다른 형태의 금속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조립도를 검토하면, 상기 탄성유닛(200)을 매개로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상기 연결도체(300)를 조립하기 위해서, 먼저 상기 도체인출봉(850)에 상기 탄성유닛(200)을 구성하는 체결부재(250)를 나사 체결한 후 그 상태에서 상기 연결도체(300)의 관통홀을 통해 도체인출봉(850)을 관통시켜 장착하고 상기 가압부재(210)의 테두리 하면과 연결도체(300)의 돌출부(310p) 상면이 면접촉되도록 거치한 후 탄성부재(230)가 장착된 체결볼트(280)를 상기 가압부재(210)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250)의 체결홀에 체결하여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유닛(200)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연결도체(300)의 돌출부(310p)가 구속되어 간접적으로 상기 연결도체(300)은 상기 도체인출봉(85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도체(300)의 돌출부와 탄성유닛(200)의 체결부재(250)의 접촉면(S)에서의 접촉 상태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도체인출봉(850), 상기 체결부재(250) 및 상기 연결도체(300)의 돌출부(310p)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00 : 종단접속체
200 : 탄성유닛
300 : 연결도체
400 : 지지애자
800 : 전력케이블

Claims (12)

  1. 접속대상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연결되는 도체인출봉 및 상기 도체인출봉이 노출되도록 상기 전력 케이블 외면을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단접속체;
    상기 종단접속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종단접속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
    상기 종단접속체의 도체인출봉과 상기 지지애자를 연결하는 금속재질의 연결도체; 및,
    상기 연결도체와 상기 종단접속체의 도체인출봉을 간접적으로 체결시키며, 상기 연결도체와 상기 도체인출봉의 체결상태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닛;을 구비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접속체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은 상기 슬리브 부재 내에서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접속영역, 상기 슬리브 부재 외측으로 노출되는 하부 영역 및 상기 하부 영역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직경이 감소되며 상기 연결도체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부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인출봉을 구획하는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의 경계에 수평면 형태의 단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도체인출봉의 상부 영역과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도체인출봉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 상기 연결도체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부재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볼트 및 각각의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부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인출봉의 상부 영역 외주면 및 상기 체결부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인출봉에 관통되는 상기 연결도체의 관통홀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 사이에 개재되기 위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 개의 적층된 접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인출봉의 상부 영역은 가공선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애자는 금속재질의 연결금구에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도체 하면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 상부의 연결금구 대칭된 위치에 가공선 접속도체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KR1020180099401A 2018-08-24 2018-08-24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KR102565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01A KR102565769B1 (ko) 2018-08-24 2018-08-24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01A KR102565769B1 (ko) 2018-08-24 2018-08-24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046A KR20200023046A (ko) 2020-03-04
KR102565769B1 true KR102565769B1 (ko) 2023-08-09

Family

ID=6978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401A KR102565769B1 (ko) 2018-08-24 2018-08-24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7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890A (ja) 2003-03-10 2004-09-30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気中終端部の据付け方法及び据付架台
JP4253510B2 (ja) 2003-01-15 2009-04-15 株式会社サンコーシヤ 避雷針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3510B2 (ja) 2003-01-15 2009-04-15 株式会社サンコーシヤ 避雷針装置
JP2004274890A (ja) 2003-03-10 2004-09-30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気中終端部の据付け方法及び据付架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046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09518A (en) High voltage cable connectors
US20120320552A1 (en) Protective device
US2275203A (en) Electrical bus system
AU2011368031B2 (en) Termination for electrical cab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termination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RU2016149181A (ru) Шинопровод
KR102565769B1 (ko)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KR102565765B1 (ko)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US20220413241A1 (en) A system for guiding a dielectric cable from phase-to-ground potential
KR20200023044A (ko)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US20170288324A1 (en) Transformer terminal coupler in close proximity to a distribution transformer for connecting at least one electrical device to one or more loads
US3662082A (en) High voltage cable terminating assembly
US3917985A (en) Transformer/transmission line interconnect system
US5301422A (en) Apparatus for joining transmission cables
US2576537A (en) Submersible type insulated connector
CN202422914U (zh) 油浸式变压器接地引线装置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2485151B1 (ko) 엘보 접속재 연결구
JP2007158762A (ja) 自立型ダイポ−ルアンテナ
KR102589064B1 (ko) 전력케이블의 종단접속함
US1992392A (en) Molded insulated bus bar
US11626244B2 (en) Assembly for connecting to a high-voltage grid
CN110768032B (zh) 一种穿过飞机发动机短舱防火墙转接盒
KR102071782B1 (ko) 선박용 복수 접지선용 접지구조체
KR200488888Y1 (ko) 접지 케이블 연결을 위한 사각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