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763B1 - 케이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763B1
KR101934763B1 KR1020180065875A KR20180065875A KR101934763B1 KR 101934763 B1 KR101934763 B1 KR 101934763B1 KR 1020180065875 A KR1020180065875 A KR 1020180065875A KR 20180065875 A KR20180065875 A KR 20180065875A KR 101934763 B1 KR101934763 B1 KR 10193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late
frame
divid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우
Original Assignee
임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우 filed Critical 임창우
Priority to KR102018006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 및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 상에 안착된 케이블을 분할 및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은, 폭방향으로 확장된 장공의 형태의 결합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수평판과, 상기 제 1 수평판의 양측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1 수직판으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수평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수평판과, 상기 제 2 수평판의 양측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2 수직판과, 상기 제 2 수직판의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제 3 수평판과, 상기 제 3 수평판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凸'형상의 위치 조절홈이 반복하여 형성되는 위치조절판으로 구분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되는 구조를 취하는 고정 프레임과, 판형 구조로, 중간지점이 절곡되어 'V'형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된 지점을 기준으로 외압에 의해 사이 거리가 좁혀진 후,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탄성을 갖으며, 절곡지점의 내측 폭방향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절곡지점을 기준으로 양측 외면에는 폭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다단 구조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분할패널과, 상기 분할패널의 양 끝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절홈에 삽입되는 고정바로 이루어진 분할 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포설된 케이블을 관련설비, 구역별로 구분되도록 분할하여 지지 프레임 상에 고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시간 또한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including a cable fixed frame}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케이블의 분할 배치된 상태로의 지지 프레임 상에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선박에 배선되는 전원공급용 케이블 및 통신선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다수의 케이블을 수용·지지하면서 통로역할을 하도록 금속제의 불연성 소재로 제작된 케이블 트레이를 제작하여 천정이나 벽에 고정되게 시공하는 방법이 보편화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서로 마주보며 대칭을 이루는 양측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렁(Rung)로 지칭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을 적당 간격으로 배치되게 고정하여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 후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동선을 따라 각 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잇대어지도록 연결한 집합체로 구성하여 천정이나 벽에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다량의 케이블을 가로대 위에 안착되게 배선한 구조이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과 같은 구성요소는 등록특허 제10-1561048호 및 등록특허 제10-1613490호 등 대부분이 케이블 트레이에서 명칭만 달리할 뿐 공통적으로 적용된 기술로써 상기 종래 기술은 각 구성요를 한정하고 있는 하위개념의 구조적인 특징을 기준으로 기술적인 차별화를 갖춘 것이다.
한편, 상기 특허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개된 특허를 포함한 대부분의 케이블 트레이는 지지 프레임 상에 안착된 케이블이 다양한 방향(수평/수직) 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지지 프레임 안착면으로부터 케이블의 이격을 방지함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다수의 케이블을 서로 구별이 용이하고, 또한 기능상, 외관상 보기 좋은 미관을 제공하는 것을 추가 목적으로 케이블 타이로 결속하며, 구체적으로는 도 1의 (a)와 같이 각 케이블별로 고정하기도 하며, 도 1의 (b)와 같이 각 동일 시스템 또는 장비별, 구역별 또는 설치 시점 등을 고려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해 2~5씩 묶어 고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케이블 타이를 이용한 지지 프레임과 케이블의 고정은 그 과정에 있어서, 작업자가 케이블 하나하나 또는 묶음으로 순수 인력에 의해 고정 해야함에 따라 상당한 작업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실제 시공 현장에 케이블을 결속한 이후 케이블 타이의 불필요한 부분의 추가적인 절단가공이 없기 때문에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당히 어수선하고 지저분한 상태로 시공이 마무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케이블 트레이가 천정 또는 측벽 상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블 타이를 이용해 지지 프레임 상에 포설된 케이블을 고정하는 경우 작업자가 사다리나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올라가 한참 동안 작업을 해야 함에 따라 항상 추락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시공성 향상 및 시공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1048호 (등록일: 2015.10.1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3490호 (등록일: 2016.04.1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블 트레이의 지지 프레임 상에 안착된 다수의 케이블을 고정 개수별로 용이하게 일괄적으로 지지 프레임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과, 외관적으로 깔끔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높은 곳에서의 작업 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작의 안전까지도 도모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 및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 상에 안착된 케이블을 분할 및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은, 폭방향으로 확장된 장공의 형태의 결합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수평판과, 상기 제 1 수평판의 양측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1 수직판으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수평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수평판과, 상기 제 2 수평판의 양측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2 수직판과, 상기 제 2 수직판의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제 3 수평판과, 상기 제 3 수평판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凸'형상의 위치 조절홈이 반복하여 형성되는 위치조절판으로 구분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되는 구조를 취하는 고정 프레임과, 판형 구조로, 중간지점이 절곡되어 'V'형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된 지점을 기준으로 외압에 의해 사이 거리가 좁혀진 후,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탄성을 갖으며, 절곡지점의 내측 폭방향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절곡지점을 기준으로 양측 외면에는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속되며 단면이 부채꼴 형태의 결합돌기가 다단구조로 형성되는 분할패널과, 상기 분할패널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위치조절홈에 삽입되는 고정바로 이루어진 분할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분할된 지점에 형성되어 분할지점을 중심으로 고정 프레임의 회동 및 회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절첩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절첩부는, 상기 제 1 수평판 상면의 분할지점에 형성되어 분할된 제 2 수평판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 1 힌지부; 및 분할되어 상호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제 2 수직판의 분할지점에 배치되며, 일단은 분할지점 기준 일측의 삽입홀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타측 삽입홀에 탈착 가능한 절두원뿔형의 삽입돌기가 형성됨과 동시에 공구삽입홈이 형성된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분할된 고정 프레임의 회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 2 힌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지지 프레임 상에 안착되는 케이블의 규격, 분할 폭 등에 대응하여 고정부의 분할 프레임 개수, 거리, 고정홀로의 삽입 깊이 등의 조절 및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고정부를 획일적인 규격(구조)으로 제작 및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의 설치 시, 나사,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가 요구되지 않고 단순 끼움 방식으로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 작업 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 과정 또한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존 케이블 타이를 이용한 고정방식과 비교하여 고공에서의 작업시간이 현저히 줄어 작업자의 추락사고와 같은 불상사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이 시간차를 두고 여러번 나누어 포설되는 경우에도 고정부를 하나하나 분해할 필요가 없이 기 포설된 케이블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추가 케이블의 포설 및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추가 포설된 케이블의 분할 고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정부의 분해 조립과 관련한 공사 시간이 현저이 단출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의 경우 결합돌기에 의해 견고히 고정이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 고정 프레임의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케이블의 추가포설, 포설된 케이블의 재분할 고정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트레이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시공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고정부에 있어, 고정 프레임에 분할 프레임이 위치별로 결속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고정부를 이용한 케이블 고정 과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고정부를 이용한 케이블 고정 과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도면은 과장되어 표현되었음을 감안해야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고정부에 있어, 고정 프레임에 분할 프레임이 위치별로 결속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0)는 사이드 프레임(10)과, 지지 프레임(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0)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벽체 또는 천장의 공간을 따라 배선되어 그 사이에 케이블(C)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개가 연결 설치된다. 이와 같은 사이드 프레임(10)은 종래기술 및 다양한 케이블 트레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조 및 형태를 취함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2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으로, 케이블(C)의 저면과 접촉되는 제 1 수평판(21), 제 1 수평판(21)의 양측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1 수직판(2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평판(21)은 케이블(C)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수평판(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결합홀(23)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결합홀(23)은 제 1 수평판(21)의 폭방향으로 확장된 장공의 형태로 제 1 수평판(2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직판(22)은 상기 제 1 수평판(21)과 동일한 형상인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사이드 프레임(10)에 지지된다. 이때, 제 1 수직판(22)에는 사이드 프레임(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해 제 1 수직판(22)의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24)이 더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지지판(24)에는 사이드 프레임(10)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이 가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는 지지 프레임(20)에 안착된 케이블(C)을 각각 낱개 별 또는 두 개 이상의 묶음으로 분할하여 지지 프레임(20)의 제 1 수평면(11)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 프레임(310)과, 상기 고정 프레임(31)에 착탈식으로 결합 및 고정이 가능한 분할 프레임(3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310)은 케이블(C)이 안착된 상기 지지 프레임(20)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 2 수평판(311), 제 2 수직판(312), 제 3 수평판(313) 및 위치조절판(31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수평판(311)은 사각평의 판 형상으로 제 1 수평판(21)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수평판(21)과 유사한 구조를 취한다. 그러나, 길이적인 측면에서 제 2 수평판(311)은 제 1 수평판(21)의 길이보다는 조금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수평판(311)의 형성 길이 있어서는 후술될 내용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수직판(312)은 상기 제 1 수직판(22)과 대응되는 구조를 취하며, 상기 제 1 수직판(22)과 동일한 형상인 사각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수평판(313)은 각 제 2 수직판(312)의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되, 제 2 수평판(311)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3 수평판(313)은 고정 프레임(310)에 의한 케이블(C)의 고정 시, 케이블(C)과 접촉되며 케이블(C)과의 소프트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면에 쿠션부(315)가 형성된다. 이때, 쿠션부(315)는 일정 범위(= 너무 하드 하거나 소프트하지 않는 범위) 내의 강도를 가지고 있는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판(314)은 각 제 3 수평판(313)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판으로, 제 2 수직판(312)의 길이보다는 짧은 높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조절홈(3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조절홈(316)은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전반적으로 '凸'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3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지점으로 상호 회동 및 회동이 방지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절첩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절첩부는 제 2 수평판(311) 상면의 분할지점(L)에 형성되어 분할된 제 2 수평판(311)이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 1 힌지부(317)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힌지부(317)는 흔히 알려진 경첩구조와 같은 힌지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절첩부는 분할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310)이 일직선 형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분할지점(L)을 기준으로 상호 회동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힌지부(318)를 포함하며, 제 2 힌지부(318)는 삽입홀(318a)과, 고정판(318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홀(318a)은 제 2 수직판(312)의 분할지점(L)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318b)은 분할되어 상호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제 2 수직판(312)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고정판(318b)의 양단은 분할지점(L)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삽입홀(318a)과 각각 결합되되, 고정판(318b)의 일단은 분할지점(L) 기준 일측 삽입홀(318a)과 볼트 또는 리벳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합 되고, 타단은 분할지점(L) 기준 타측 삽입홀(318a)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 된다.
또한, 고정판(318b)의 타단에는 삽입홀(318a)에 삽입 가능한 삽입돌기(318c)가 돌출 형성된다. 삽입돌기(318c)는 삽입홀(318a)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됨과 동시에 삽입홀(318a)로의 인입 용이성과 소정의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절두 원뿔형 구조로 형성된다. 즉, 고정판(318b)의 일면과 먼 삽입돌기(318c)의 일단은 삽입홀(318a)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고정판(318b)과 접해있는 삽입돌기(318c)의 타단은 삽입홀(318a)의 직경보다는 다소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돌기(318c)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완만히 그 직경이 커지는 구조로 형성되며, 삽입홀(318a)에 삽입 시, 삽입이 용이하게 되고, 지속적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삽입홀(318a)과의 고정력이 발생되게 된다. 반대로 삽입돌기(318c)의 인출 시에는 인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소정의 순간적인 힘에 의해 삽입돌기(318c)의 인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아울러, 고정판(318b)의 타단에는 삽입홀(318a)에 결합된 삽입돌기(318c)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구삽입홈(318d)이 가공되어 있다. 이 공구삽입홈(318d)은 고정판(318b)의 타단이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드라이버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공구의 삽입을 통해 고정판(318b)의 타단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판(318b) 타단과 제 2 수직판(312)과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판(318b)은 힌지 결합된 지점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타단이 선택적으로 삽입홀(318a)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됨으로써 고정 프레임(310)의 회동을 허용 또는 고정하게 된다.
상기 분할 프레임(320)은 고정 프레임(310)의 내측에 복수개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케이블(C)을 분할함과 동시에 고정 프레임(310)을 지지 프레임(20)에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분할패널(321)과 고정바(322)로 구분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분할패널(321)은 판형 구조로 형성되어 중간지점이 절곡되어 'V'형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의 위치조절판(314)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분할패널(321)은 'V' 형 형태임에 따라 외압에 의해 절곡지점(K)을 기준으로 양단의 거리가 좁혀진 후 최초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분할패널(321)의 절곡지점(K) 내측에는 폭방향으로 보강리브(3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리브(323)는 우선적으로 분할패널(321)이 탄성에 의한 변형 시, 절곡지점(K)의 파단을 방지한다. 그리고, 분할패널(321)의 절곡지점(K)이 지지 프레임(20)의 제 1 수평판(21)에 형성된 결합홀(23)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결합홀(23)과의 접촉에 의한 압박 시, 분할패널(321)의 접촉지점에 최초 형태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한 반발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분할패널(321)의 삽입부분에 의한 결합홀(23)과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분할패널(321)의 외면에는 절곡지점(K)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결합돌기(324)가 형성되며, 이 결합돌기(324)는 분할패널(321)의 외면으로부터 다단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분할패널(321)의 외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서 폭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324)는 단면이 '부채꼴' 형태로 측면은 우측(또는 좌측)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면은 완만한 '호'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분할패널(321)의 절곡지점(K)을 포함한 하단 일부가 결합홀(23)에 삽입 시, 결합돌기(324)의 측면과 결합홀(23)이 접촉함과 동시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분할패널(321)이 압축되는 형태로 삽입된다. 이후 결합돌기(324)의 수평한 상면이 결합홀(23) 주변인 제 1 수평면(21)의 저면에 걸림으로써 분할패널(321)이 제 1 수평판(21)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결합홀(23)에서의 분할패널(321) 인출 시에는 결합돌기(324)의 상면이 호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분할패널(321)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결합돌기(324)의 상면과 결합홀(23)의 접촉에 의해 분할패널(321)의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압축됨으로써 분할패널(321)이 결합홀(23)로부터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바(322)는 분할패널(321)의 폭 방향을 따라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봉 형태의 구조를 갖으며, 각 고정바(322)의 양단이 각각 위치조절홈(316)에 삽입 가능하도록 한 쌍의 위치조절판(314) 사이의 거리보다는 길게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분할 프레임(32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가격, 성형, 케이블(C) 사이에 위치되는 점(절연성) 및 결합돌기(324)의 형성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분할 프레임(320)은 지지 프레임(20)에 안착되는 케이블(C)의 수, 간격,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프레임(311)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분할패널(321)의 높이(길이)를 길게하여 2열 이상으로 적층된 케이블(C)을 고정할 수 있으며, 수평방향 1열로 정렬되어 포설된 케이블(C)의 경우, 각각 하나씩, 또는 다양한 개수로 분할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지지 프레임(20)에 안착되는 케이블(C)의 종류, 배열 및 형태에 따라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0)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의 고정부를 이용한 케이블 고정 과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고정부를 이용한 케이블 고정 과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시 예: 1>
우선, 벽체 또는 천정에 사이드 프레임(10)과 지지 프레임(20)의 결합을 통해 전체적인 케이블 트레이(100)의 설치 후, 케이블이 포설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즉, 케이블 트레이(100) 설치 후, 케이블 트레이(100)에 케이블(C)이 일괄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100)는 수평형, 곡선형, 수직형, 'S' 구조 등 설치 지점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에 안착되는 케이블(C)은 지지 프레임(20)에 안착되어 지지 프레임(20)과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케이블(C)은 각각 개별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나, 다양한 설비별, 및 구역별로 구분하기 위해 다수의 묶음 또는 구분되어 고정된다.
이에, 구체적으로 도 5를 참고하면, 케이블 트레이(100)의 지지 프레임(20)에 케이블(C)이 일괄적으로 포설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0)의 경우에도 고정부(30)를 통해 케이블(C)의 고정 작업이 수행된다.
우선, 고정부(30)를 통해 케이블(C)을 고정하는 작업자는 지상에서 케이블(C)의 구분개수를 고려하여 분할 프레임(320)을 고정 프레임(310)에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고정부(30)를 준비한다. 이때, 고정부(30)의 준비작업은 전반적으로 지상에서 이루어지고, 모든 지지 프레임(20)이 동일한 규격 및 포설되는 케이블의 수가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음에 따라 고정부(30)의 준비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고정부(30)의 준비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케이블(C) 고정지점의 지지 프레임(20) 상에 고정부(30)를 위치시킨 후 각각의 분할 프레임(320)이 하측 동일선상의 결합홀(23)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310)을 하강시킨다. 이때, 고정 프레임(310)의 하강은 단순히 고정 프레임(310)이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 지점까지 하강시키게 되며, 분할패널(321)의 복원력 및 결합돌기(324)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고정부(30)를 통한 케이블(C)의 고정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수직, 곡선, 수평, 'S' 등)의 모든 케이블(C)의 고정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실시 예: 2>
실시예 2는 케이블(C)이 일괄적으로 포설되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케이블(C)의 포설이 시간차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즉, 최초 케이블 트레이(100)에 1차적으로 케이블(C)이 포설된 수, 설비의 증설, 구역의 확장, 케이블의 교체 및 추가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케이블(C)의 포설이 2차 또는 그 이상에 걸쳐 여러 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6 (a)와 같이 이전에 포설된 케이블(C)이 고정부(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C)을 추가적으로 포설하기 위해서는 기 설치된 고정부(30)를 분리할 필요 없이 추가 포설되는 케이블(C)이 수용되는 영역에 포함되는 절첩부의 고정고리(318b)를 통한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고정 프레임(310)이 분할지점(L)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 프레임(310)의 일부가 사이드 프레임(10)과의 간섭없이 회동될 수 있기 위해서는 고정 프레임(310)의 길이가 지지 프레임(20)의 길이보다 조금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후, (b)와 같이 고정 프레임(310)이 일부가 회동된 상태에서 케이블(C)의 추가 포설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C)의 추가 포설이 이루어지면, (c)와 같이 작업자는 추가 포설된 케이블(C)의 수 또는 분할 간격에 대응하여 회동된 고정 프레임(310)의 일측을 통해 분할 프레임(320)을 삽입시켜 설치한 다음 처음 위치로 다시 복귀시킨다.
이때, (d)와 같이 회동된 고정 프레임(310)을 처음 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분할 프레임(320)이 가장 외측 케이블(C)과 접하게 되고, 지속적인 고정 프레임(310)의 회전에 의해 추가 포설된 케이블(C)이 고정 프레임(310)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추가 포설된 케이블(C)을 작업자가 고정 프레임(310) 내부로 밀어넣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케이블(C)이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e)와 같이 케이블(C)의 이동 및 고정 프레임(310)이 최초 위치로 복귀되면 회동된 분할지점(L)의 고정고리(318b)를 돌출부(318a)에 고정함으로써 고정부(30)에 의한 추가 포설된 케이블(C)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0)는 지지 프레임(20) 상에 안착되는 케이블(C)의 규격, 분할 폭 등에 대응하여 고정부(30)의 분할 프레임(320) 개수, 거리, 결합홀(23)로의 삽입 깊이 등의 조절 및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고정부(30)를 획일적인 규격(구조)으로 제작 및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의 설치 시, 나사,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가 요구되지 않고 단순 끼움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관련 작업 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어 전반적인 관련 시공 시간 또한 현저히 단축 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100)에 포설되는 케이블(C)의 수는 구간별로 차이는 있겠으나 상당부분 동일한 수로 포설되기 때문에, 지상에서 포설되는 케이블(C)에 대응하여 고정부(30)를 일괄적으로 제작한 다음 해당위치에 올라가 결합만 하면 되므로, 기존 케이블 타이를 이용한 고정방식과 비교하여 고공에서의 작업시간이 현저히 줄어 작업자의 추락사고와 같은 불상사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100)에 케이블(C)이 시간차를 두고 여러번 나누어 포설되는 경우에도 고정부(30)를 하나하나 분해할 필요가 없이 기 포설된 케이블(C)은 고정부(3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추가 케이블(C)의 포설 및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추가 포설된 케이블(C)의 분할 고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정부30의 분해 조립과 관련한 공사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30)가 지지 프레임(20)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고정부(30)의 해체가 용이함에 따라 고정부(30)의 재정비를 위한 재설치, 포설된 케이블(C)의 재분할 고정을 위한 재설치와 같은 고정부의 해체 및 재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0: 케이블 트레이
10: 사이드 프레임 20: 지지 프레임
21:제 1 수평판 22: 제 1 수직판
23: 고정홀 24: 지지판
30: 고정부
310: 고정 프레임
311: 제 2 수평판 312: 제 2 수직판
313: 제 3 수평판 314: 위치조절판
315: 쿠션부 316: 위치조절홈
317: 제 1 힌지부 318: 제 2 힌지부
320: 분할 프레임
321: 분할패널 322: 고정바
323: 보강리브 324: 결합돌기

Claims (4)

  1.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 및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 상에 안착된 케이블을 분할 및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은,
    폭방향으로 확장된 장공의 형태의 결합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수평판과, 상기 제 1 수평판의 양측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1 수직판으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수평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수평판과, 상기 제 2 수평판의 양측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2 수직판과, 상기 제 2 수직판의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제 3 수평판과, 상기 제 3 수평판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凸'형상의 위치 조절홈이 반복하여 형성되는 위치조절판으로 구분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되는 구조를 취하는 고정 프레임과,
    판형 구조로, 중간지점이 절곡되어 'V'형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된 지점을 기준으로 외압에 의해 사이 거리가 좁혀진 후,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탄성을 갖으며, 절곡지점의 내측 폭방향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절곡지점을 기준으로 양측 외면에는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속되며 단면이 부채꼴 형태의 결합돌기가 다단구조로 형성되는 분할패널과, 상기 분할패널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위치조절홈에 삽입되는 고정바로 이루어진 분할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분할된 지점에 형성되어 분할지점을 중심으로 고정 프레임의 회동 및 회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절첩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절첩부는,
    상기 제 1 수평판 상면의 분할지점에 형성되어 분할된 제 2 수평판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 1 힌지부; 및
    분할되어 상호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제 2 수직판의 분할지점에 배치되며, 일단은 분할지점 기준 일측의 삽입홀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타측 삽입홀에 탈착 가능한 절두원뿔형의 삽입돌기가 형성됨과 동시에 공구삽입홈이 형성된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분할된 고정 프레임의 회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 2 힌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평판의 저면에는 쿠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3. 삭제
  4. 삭제
KR1020180065875A 2018-06-08 2018-06-08 케이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193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75A KR101934763B1 (ko) 2018-06-08 2018-06-08 케이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75A KR101934763B1 (ko) 2018-06-08 2018-06-08 케이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763B1 true KR101934763B1 (ko) 2019-01-03

Family

ID=6502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75A KR101934763B1 (ko) 2018-06-08 2018-06-08 케이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7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081B1 (ko) * 2018-10-05 2019-07-05 송경영 케이블의 다층 포설 및 고정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2114812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고정트레이
KR102114813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기 배전선 트레이
CN115051307A (zh) * 2022-08-17 2022-09-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枣庄供电公司 一种电缆铺设安装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470B1 (ko) 2006-12-11 2007-03-23 (주)신성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844279B1 (ko) 2007-12-13 2008-07-07 주식회사 21세기엔지니어링 소화시설을 구비한 건축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JP4648062B2 (ja) 2005-04-19 2011-03-09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トラック装置
KR101371732B1 (ko) 2012-10-10 2014-03-07 (주)쓰리에스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0755B1 (ko) 2014-06-13 2015-01-09 주식회사 성율이앤지 해저케이블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1587162B1 (ko) 2015-06-10 2016-01-20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8062B2 (ja) 2005-04-19 2011-03-09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トラック装置
KR100698470B1 (ko) 2006-12-11 2007-03-23 (주)신성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844279B1 (ko) 2007-12-13 2008-07-07 주식회사 21세기엔지니어링 소화시설을 구비한 건축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371732B1 (ko) 2012-10-10 2014-03-07 (주)쓰리에스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0755B1 (ko) 2014-06-13 2015-01-09 주식회사 성율이앤지 해저케이블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1587162B1 (ko) 2015-06-10 2016-01-20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081B1 (ko) * 2018-10-05 2019-07-05 송경영 케이블의 다층 포설 및 고정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2114812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고정트레이
KR102114813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기 배전선 트레이
CN115051307A (zh) * 2022-08-17 2022-09-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枣庄供电公司 一种电缆铺设安装沟
CN115051307B (zh) * 2022-08-17 2022-11-08 国网山东省电力公司枣庄供电公司 一种电缆铺设安装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763B1 (ko) 케이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JP5237895B2 (ja) 飛散防止装置
US6467228B1 (en) Hinged ceiling panel
US9556976B1 (en) Cable guide for wire basket cable tray
KR101997081B1 (ko) 케이블의 다층 포설 및 고정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2278955B1 (ko) 케이블 트레이 연소 확산 방지 커버
JPH04222757A (ja) トレンチ型床パネル
KR101209242B1 (ko) 지중 송전 및 배전케이블 지지장치
US20210126441A1 (en) Cable tray section
AU2016238643B2 (en) A cable restraint
US3370301A (en) Ceiling suspension member and system
KR20090003854U (ko) 천장 구조
US9667047B1 (en) Conduit to box unitary support bracket assembly
KR101951829B1 (ko) 케이블 트레이
US11258239B2 (en) Cable tray section
JP4182525B2 (ja) 縦型メッシュラック、及び縦型メッシュラックに取付けられる支持具
EP3217495B1 (de) Kabelkanal
EP1912302A2 (de) Einrichtung zum Anschließen von Arbeitsplätzen an ein Energie-, Daten- und/oder Kommunikationsnetz sowie Träger- und Montagekanal für eine solche Einrichtung
EP1715555B1 (en) Support device
JP5390957B2 (ja) 足場装置
KR101553003B1 (ko)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조형물
JP7249628B2 (ja) 支持装置
JP7279927B2 (ja) 天井構造および支持部材
EP2802049A1 (de) Installationsbox
KR102496444B1 (ko) 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편의성 향상 건축물용 전선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