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944A -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944A
KR20190021944A KR1020170107432A KR20170107432A KR20190021944A KR 20190021944 A KR20190021944 A KR 20190021944A KR 1020170107432 A KR1020170107432 A KR 1020170107432A KR 20170107432 A KR20170107432 A KR 20170107432A KR 20190021944 A KR20190021944 A KR 20190021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uide
cover
fire extinguishing
cab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661B1 (ko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riority to KR1020170107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6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상기 케이블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케이블을 향해 공급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Cable tray protection device for fire prevention}
본 발명은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전선 케이블을 지지하는 트레이상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보호함과 동시에 화재발생 시 자가 소화가 가능한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공건물이나 사무실,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기 및 전자 제품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건물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는 다량의 케이블을 일괄적으로 정렬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대형 건물이나 고층건물의 경우 많은 양의 전기 및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많은 케이블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케이블의 경우 단순히 천장이나 바닥으로 설치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케이블 트레이를 구비하여 케이블을 정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에는 많은 양의 케이블이 수납되어 있으며, 케이블에 먼지와 습기 또는 외부의 간섭 등에 의해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케이블 트레이에 수납된 케이블을 외부 간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 수납된 케이블이 고열 및 습기나 먼지 등에 의해 파손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트레이의 경우 많은 양의 케이블을 일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전류가 흐르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외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화재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재의 경우 자주 발생하는 것이 아니지만, 한번만 발생하더라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빠른 소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보호가 가능한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된 케이블을 상부에서 감싸며 보호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 시 자체적으로 소화물질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소화가 가능한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상기 케이블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케이블을 향해 공급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시트형태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케이블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소화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는 안내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하향경사를 가지며 돌출되어 끝단부가 상기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소화물질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안내가이드의 돌출된 끝단부에서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 의하면 트레이에 안착된 케이블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커버상에 구비된 소화유닛에 포함된 소화분말이 하부방향으로 향하여 발화지점의 화재를 자체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커버의 내측면에 별도의 안내가이드를 구비하여 소화분말이 자중에 의해 하강 시 케이블에 인접하게 이동하도록 하여 소화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서 소화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서 소화유닛에 의해 발화가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서 별도의 안내가이드가 더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가 수직형태로 배치되어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서 소화물질이 안내가이드를 따라 발화점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도 6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서 소화유닛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는 발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으로 발화점을 소화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서 소화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서 소화유닛에 의해 발화가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등에서는 많은 케이블(20)이 사용되며, 이러한 복수 개의 케이블(20) 고정을 위해 별도의 케이블 트레이(10)를 설치하여 케이블(20)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20)은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된 케이블 트레이(10)에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케이블 트레이(10)는 바닥이나 벽, 천장 등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20)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20)은 복수 개의 묶음 단위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타이(22)에 의해 묶음단위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10)에 고정된 상기 케이블(20)의 보호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는 상기 케이블(20)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결합되며 크게 커버(100) 및 소화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100)는 일반적으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20)을 외부 간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11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0)는 일측면에 개방된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상기 케이블(20)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커버(100)는 상기 개구부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블(20)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삽입되고, 상기 개구부가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고정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100)는 사각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100)의 폭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폭에 대응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0)는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2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20)과 상기 커버(100)의 내측면 사이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100)는 `ㄷ`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케이블(20)이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곡선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버(100)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상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20)의 일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20)을 보호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버(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따른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홀(12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순환홀(120)은 상기 커버(100)를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공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커버(100)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20)이 손상되거나 합선 등 내구성과 안전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순환홀(120)은 상기 커버(100)의 측면상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중앙에 위치한 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100)에 상기 공기순환홀(12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순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어 상기 케이블(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커버(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에서 상기 케이블(20)가 인접하게 배치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212)이 상기 케이블(20)을 향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커버(100) 내부에서 시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케이블(20)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케이블(2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소화유닛(200)에 포함된 상기 소화물질(212)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케이블(20)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유닛(200)은 크게 소화부(210) 및 코팅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소화물질(212)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며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미세캡슐이 상기 소화물질(21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미세캡슐이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에서 파손됨에 따라 상기 소화물질(212)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미세캡슐 내부에서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상기 소화물질(212)은 분말 형태의 물질이거나 또는 산소를 차단할 수 있도록 별도의 소화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케이블(2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20)를 향해 상기 소화물질(212)을 공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100)가 상기 케이블(2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물질(212)은 대기를 이루는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게 형성되고,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결합위치(A)의 중력방향에 따른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부(210)는 별도의 프라이머에 미세캡슐에 상기 소화물질(212)이 포함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100)의 내면에 시트형태로 도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삽입구의 하부에서 프라이머, 소화물질(212) 및 프라이머 순으로 도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에나멜 교반 등을 통해 프라이머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212)이 포함된 상태로 도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포된 상기 소화부(210)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소화부(210)에 포함된 상기 소화물질(212)이 하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20)을 향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며, 열에 의해 일부가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212)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케이블(20)로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210)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가 외부로부터 간섭에 의해 파손되거나, 의도하지 않는 상태에서 용융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부(210)를 보호하며, 상기 소화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용도에서 용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 의도하지 않게 용융되는 것을 차단하며,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시 정확하게 상기 소화부(2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2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코팅부(220)가 먼저 용융되며, 상기 코팅부(220)가 용융된 후 자연스럽게 상기 소화부(210)가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212)이 상기 케이블(20)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코팅부(220) 및 상기 소화부(210)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212)이 발화지점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커버(100)의 내면 중 상부에서 상기 케이블(2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20)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온도상승에 의해 상기 소화물질(212)이 외부로 노출되어 중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물질(212)은 대기보다 무거운 비중을 가지며, 상기 미세캡슐이 파손되어 상기 소화물질(2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자연스럽게 하부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커버(100)의 내측면 모두에 시트형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도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상기 소화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케이블(20)로 상기 소화물질(212)이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는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과 수평을 이루며 배치되어 상기 커버(100)가 상부에서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케이블 트레이(10)가 상하방향을 따라 기둥 형태로 수직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시트 형태로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커버(100)의 내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별도의 접착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230)는 일반적인 접착제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100)의 내면과 상기 소화유닛(200)을 접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소화유닛(200)이 시트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100)의 내면에 직접 도포 및 응고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는 상기 커버(100) 및 상기 소화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20)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20)을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소화유닛(200)이 상기 케이블(20)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상기 소화물질(212)을 이용해 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의 변형된 형테에 대해 발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서 별도의 안내가이드(130)가 더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가 수직형태로 배치되어 케이블 트레이(1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서 소화물질(212)이 안내가이드(130)를 따라 발화점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나, 상기 커버(100)에 별도의 안내가이드(130)가 더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가이드(130)는 상기 커버(100) 내부에서 개방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0)을 복수 개로 구획한다. 이때, 상기 안내가이드(130)는 상기 커버(100)의 측면보다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상기 케이블(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가이드(130)에 의해 구획된 상기 수용공간(110) 각각의 내면에는 상기 소화유닛(200)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10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상기 케이블(20)이 수용되며, 상기 케이블(20)의 상부 공간은 상기 안내가이드(130)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와 상기 커버(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110)이 상기 안내가이드(130)에 의해 구획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20)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공간 내부에서 소화가 진행되며, 다른 공간으로 화재가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가이드(13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을 복수 개로 구획한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130)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수용공간(110)은 상술한 상기 공기순환홀(120)이 구비되어 내 외부의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소화유닛은(200)은 상기 커버(100)의 내면뿐만 아니라 상기 안내가이드(130)상에도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가이드(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0)의 내면에서 일정한 경사를 가지며 돌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10)가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커버(100)는 상기 안내가이드(130)가 하향 경사로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안내가이드(130)는 상기 케이블(20)을 항해 하향경사를 가지며 돌출된 형태로 끝단부가 상기 케이블(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10)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20)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발화 온도에 의해 상기 소화유닛(200)에서 상기 소화물질(212)이 분사되며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물질(212)은 상기 안내가이드(13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케이블(20)로 전달된다.
즉, 상기 안내가이드(130)는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를 복수 개로 구획할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100)가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 화재 발생 시 상기 소화분말이 상기 케이블(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소화물질(2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안내가이드(130)가 없는 경우 상기 소화물질(212)의 일부만 상기 케이블(20)로 전달되고, 나머지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소화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케이블(20)에 인접할수록 화재 발생 시 상기 소화물질(212)을 상기 케이블(20)로 인접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100)에 상기 안내가이드(130)가 구비되어 상기 소화물질(212)을 상기 케이블(20)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케이블(20)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조기 진화를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가이드(130)는 상기 커버(100) 내부에서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버(100)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케이블(20)에 인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100)에서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경사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케이블(20)의 안착에 간섭을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화물질(212)에 의한 소화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6의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서 소화유닛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상기 소화유닛(200)의 구성이 기존과 상이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면에서 상기 케이블(20)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상기 안내가이드(130)가 구비되어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케이블(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커버(100)에서 돌출 형성된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끝단부에 구비되며, 일방향으로 늘어진 형태로 배치된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소화유닛(200)은 길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유닛(200)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가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돌출된 끝단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소화유닛(200)의 일부분만 상기 안내가이드(130)와 결합되며 나머지는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트레이(10)가 바닥이나 천장이 아니라 벽면에 설치되어 수직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끝단부에서 중력에 의해 하부로 늘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케이블(20)과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소화유닛(200)도 함께 상기 케이블(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커버(100)가 상하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화유닛(200)이 상기 케이블(20)과 이격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방지 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와이어나 밧줄 등과 같이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소화유닛(200)이 라인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접착부(230)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소화부(210)가 중앙에 위치해 상기 코팅부(220)가 이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돌출된 끝단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커버(100)가 수직으로 배치되더라도 상기 케이블(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유닛(200)이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끝단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소화유닛(200)이 상기 커버(100)의 내면 일부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끝단부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커버(100)의 내면 또는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돌출된 끝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안내가이드(130)의 측면에도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는 상기 소화유닛(200)이 상기 케이블(20)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케이블(20)에 화재 발생 시 빠르게 진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20)이 수직으로 배치되더라도 상기 소화유닛(200)에 의해 상기 케이블(20)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케이블 트레이
20: 케이블
100: 커버
110: 수용공간
120: 공기순환홀
130: 안내가이드
200: 소화유닛
210: 소화부
220: 코팅부
230: 접착부

Claims (11)

  1. 복수 개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상기 케이블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케이블을 향해 공급되는 소화유닛;
    을 포함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시트형태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케이블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
    를 포함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소화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홀을 포함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는 안내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하향경사를 가지며 돌출되어 끝단부가 상기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소화물질을 유도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안내가이드의 돌출된 끝단부에서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KR1020170107432A 2017-08-24 2017-08-24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KR10211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32A KR102118661B1 (ko) 2017-08-24 2017-08-24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32A KR102118661B1 (ko) 2017-08-24 2017-08-24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44A true KR20190021944A (ko) 2019-03-06
KR102118661B1 KR102118661B1 (ko) 2020-06-04

Family

ID=6576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432A KR102118661B1 (ko) 2017-08-24 2017-08-24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66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318B1 (ko) * 2019-01-02 2019-11-11 권오섭 소화모듈을 구비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시공방법
KR102091184B1 (ko) * 2019-09-30 2020-03-19 주식회사 마근이엔지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2091825B1 (ko) * 2019-10-31 2020-03-20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2121200B1 (ko) * 2019-12-26 2020-06-26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KR102156833B1 (ko) * 2020-04-24 2020-09-16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통신 단자함
CN112074137A (zh) * 2020-09-10 2020-12-11 广州驰创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基站用束线设备及其束线方法
KR102301245B1 (ko) * 2020-06-22 2021-09-10 (주)케이티예스 케이블 방염 클립형 소화기
KR102435585B1 (ko) * 2021-10-05 2022-08-25 주식회사 대연 원격 화재 감지 시스템이 구비된 수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652A (ko) 2021-04-22 202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KR102402409B1 (ko) * 2021-06-16 2022-05-27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3965A (ja) * 1998-06-22 2000-01-14 Hitachi Cable Ltd 延焼防止シートとその施工方法
KR100706694B1 (ko) * 2006-12-28 2007-04-1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KR101053637B1 (ko) * 2010-08-17 2011-08-02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KR20140003753U (ko)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JP2017034824A (ja) * 2015-07-31 2017-02-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力ケーブル用バスダク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3965A (ja) * 1998-06-22 2000-01-14 Hitachi Cable Ltd 延焼防止シートとその施工方法
KR100706694B1 (ko) * 2006-12-28 2007-04-1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KR101053637B1 (ko) * 2010-08-17 2011-08-02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KR20140003753U (ko)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JP2017034824A (ja) * 2015-07-31 2017-02-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力ケーブル用バスダク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318B1 (ko) * 2019-01-02 2019-11-11 권오섭 소화모듈을 구비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시공방법
KR102091184B1 (ko) * 2019-09-30 2020-03-19 주식회사 마근이엔지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2091825B1 (ko) * 2019-10-31 2020-03-20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2121200B1 (ko) * 2019-12-26 2020-06-26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KR102156833B1 (ko) * 2020-04-24 2020-09-16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통신 단자함
KR102301245B1 (ko) * 2020-06-22 2021-09-10 (주)케이티예스 케이블 방염 클립형 소화기
CN112074137A (zh) * 2020-09-10 2020-12-11 广州驰创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基站用束线设备及其束线方法
KR102435585B1 (ko) * 2021-10-05 2022-08-25 주식회사 대연 원격 화재 감지 시스템이 구비된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661B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1944A (ko)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KR101887396B1 (ko) 화재방지 콘센트
KR100706694B1 (ko)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KR102251601B1 (ko) 전기 및/또는 전자 구성요소의 방폭 구조체
KR102120381B1 (ko) 라인형 자동소화용구 및 소화절연테이프가 구비된 전력변환장치
CN102376901A (zh) 电池组
AU713007B2 (en) Means for fighting fire in at least one cable or line run
US10170218B2 (en) Ignition suppression circuiting technology
KR102323963B1 (ko) 소화기능을 포함하는 배전반
KR102041214B1 (ko)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체
KR101925453B1 (ko)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20170132457A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100844279B1 (ko) 소화시설을 구비한 건축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JP6756463B2 (ja) 照明器具及び点灯装置及び基板ユニット装置
ITPD20130053U1 (it) Segnalatore luminoso
JP2008245430A (ja) 電気室から負荷機器まで長い距離を有する施設の送電構造
JP6679212B2 (ja) 照明器具
US20120202098A1 (en) Multicell battery enclos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02409B1 (ko)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JP2010261605A (ja) 空気調和機
KR102261426B1 (ko) 화재 예방이 가능한 단자대
JP2008077902A (ja) 照明装置
US11295874B2 (en) Ignition suppression circuiting technology
JP6963048B2 (ja) 照明器具
JP6017764B2 (ja) 防爆形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