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652A -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652A
KR20220145652A KR1020210052483A KR20210052483A KR20220145652A KR 20220145652 A KR20220145652 A KR 20220145652A KR 1020210052483 A KR1020210052483 A KR 1020210052483A KR 20210052483 A KR20210052483 A KR 20210052483A KR 20220145652 A KR20220145652 A KR 20220145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oltage sensing
battery
cover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5652A/ko
Priority to US17/475,754 priority patent/US11821954B2/en
Publication of KR2022014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싱부; 전압센싱부와 연결되어 전압센싱부에서 감지된 배터리의 전압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와이어; 전압센싱부와 송신와이어가 연결된 위치를 커버링하는 커버; 및 커버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인접한 위치에서 발열이 감지시 부피가 확장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발열이 발생시 확장되어 전압센싱부 또는 배터리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거나 송신와이어와 전압센싱부의 연결을 해지하는 폼패드;를 포함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VOLTAGE SENSING DEVICE OF HIGH VOLTAGE BATTERY}
본 발명은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와 외부로 연결되는 송신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전기 자동차로 그 흐름이 점점 변화해 가고 있고, 이에 발맞추어 전기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와 이를 보조하는 장치들에 대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보조 장치들 중에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인 안전 커넥터가 포함되는데, 고전압 배터리에서는 상시 전원이 흐르고 있으므로 배터리의 전원 차단 없이 차량 정비시 치명적인 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안전 커넥터의 구비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 커넥터는 퓨즈를 내장하는 방식이어서 설치시의 높이가 매우 높고,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하는 방진구조로 인해서 주변 공간이 협소해지며 추가적인 구조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491323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고전압 배터리의 감지 장치와 외부로 연결되는 송신와이어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커버에 열이 감지되면 확장되는 폼패드를 부착하여 송신와이어에서 열이 발생시 폼패드가 확장되며 고전압 배터리의 감지 장치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싱부; 전압센싱부와 연결되어 전압센싱부에서 감지된 배터리의 전압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와이어; 전압센싱부와 송신와이어가 연결된 위치를 커버링하는 커버; 및 커버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인접한 위치에서 발열이 감지시 부피가 확장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발열이 발생시 확장되어 전압센싱부 또는 배터리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거나 송신와이어와 전압센싱부의 연결을 해지하는 폼패드;를 포함한다.
송신와이어를 전압센싱부와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커버는 커넥터와 송신와이어가 연결되는 위치를 커버링할 수 있다.
고전압 배터리는 복수개의 적층된 셀로 형성되고, 전압센싱부에는 복수의 적층된 셀과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센싱와이어가 포함되며, 커넥터는 센싱와이어가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핀이 포함될 수 있다.
송신와이어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 구성되어 복수 개의 핀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부 및 와이어부가 다발로 묶인 다발부;를 포함하고, 폼패드는 커버 내부에서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폼패드는 커버 내부에서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센싱와이어 중 연결된 배터리 셀의 전위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센싱와이어가 인접하게 핀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에는 전압센싱부에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포함될 수 있다.
커버는 일측이 회전되며 개방되도록 형성된 힌지부가 포함될 수 있다.
커넥터에는 전압센싱부와 연결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지하는 클립부가 포함되고, 커버에는 클립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 개방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싱부와 감지된 전압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와이어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커버에 열 발생시 확장되는 폼패드를 마련하여 송신와이어에서 열이 발생시 폼패드가 확장되어 송신와이어와 커넥터의 연결을 차단하여 열이 전압센싱부 또는 고전압 배터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폼패드는 커버 내부에서 송신와이어가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양측에 위치되어 확장시 신속하게 송신와이어와 커넥터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의 커버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를 단순화시킨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 감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 감지 장치의 커버(300)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 감지 장치의 커버(300)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 감지 장치를 단순화시킨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 감지 장치의 커넥터(50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 감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 감지 장치는 차량의 배치되는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 이상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배터리의 전압 이상 감지시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 감지 장치는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싱부(100); 전압센싱부(100)와 연결되어 전압센싱부(100)에서 감지된 배터리의 전압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와이어(200); 전압센싱부(100)와 송신와이어(200)가 연결된 위치를 커버링하는 커버(300); 및 커버(300)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인접한 위치에서 발열이 감지시 부피가 확장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발열이 발생시 확장되어 전압센싱부(100) 또는 배터리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거나 송신와이어(200)와 전압센싱부(100)의 연결을 해지하는 폼패드(31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센싱부(100)는 차량에 마련된 고전압 배터리(400)와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전압센싱부(100)는 고전압 배터리(400)의 +극과 -극의 양단에 연결되어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고전압 배터리(400)의 전압이 감소되거나, 상승시 변화된 전압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와이어(200)는 일단부가 전압센싱부(100)와 연결되고, 타측은 별물로 마련된 배터리 관리 유닛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관리 유닛에서 배터리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커버(300)는 송신와이어(200)와 전압센싱부(100)가 연결되는 부위를 커버링 하도록 배치되어 송신와이어(200)와 전압센싱부(100)가 연결되는 부위로 외부의 먼지 또는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송신와이어(200)와 전압센싱부(100)가 연결되는 부위로 외부의 먼지 또는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전압센싱부(100)를 통해 고전압 배터리(400)로 유입시 고전압 배터리(400)의 회로에서 쇼트가 발생되어 스파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폼패드(310)는 커버(300)의 내부에 마련되고, 커버(300)가 결합되는 틈 사이로 외부의 먼지 또는 수분과 같은 이물질 유입되어 송신와이어(200) 측에서 발열이 발생시 팽창되어 전압센싱부(100)와 송신와이어(200)의 연결을 해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송신와이어(200)의 열을 차단하여 고전아 배터리 및 전압센싱부(100)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폼패드(310)의 재질은 EFS(Electric fire stop)폼패드(310)로 전기 전자 및 통신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구성에 대해 최적화된 폼패드(310)이다.
폼패드(310)(내화 폴리우레탄 폼)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발포제 및 내화성 첨가제의 존재 하에서 폴리올 성분과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다.
즉, 폴리올에 팽창 흑연, 펜타에리스리톨을 촉매로 사용하는 인산암모늄, 다가 알콜 등과 같은 촉매제를 하나 또는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발포제의 팽창작용에 의하여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연결고리 사이에 char(숯)을 생성하여 피막을 형성하고, 그 피막은 폴리올의 분자고리가 열에 의하여 녹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존의 폴리우레탄 폼의 문제점인 화재에 대한 취약성을 개선하여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송신와이어(200)에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여 쇼트가 발생되어 발열이 발생시 폼패드(310)가 열팽창 성질에 의해 팽창되면서 커버(300) 내부공간을 기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차단된 열에 의해 송신와이어(200)가 용단되거나 또는 송신와이어(200)와 전압센싱부(100)의 연결이 해지됨으로써 송신와이어(200)의 열이 전압센싱부(100) 또는 고전압 배터리(4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압센싱부(100) 또는 고전압 배터리(400)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송신와이어(200)를 전압센싱부(100)와 연결시키는 커넥터(500);를 더 포함하고, 커버(300)는 커넥터(500)와 송신와이어(200)가 연결되는 위치를 커버링할 수 있다.
송신와이어(200)는 일측이 커넥터(500)와 연결되고, 커넥터(500)는 전압센싱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송신와이어(200)를 전압센싱부(100)에 간편하게 연결시키길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300)는 커넥터(500)와 송신와이어(200)가 연결된 부분을 커버링하도록 위치되며, 커넥버와 송신와이어(200)가 연결된 부분에 수분이 침투할 가능성이 높음으로 이러한 위치를 커버링하여 송신와이어(200)에 쇼트가 발생할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전압 배터리(400)는 복수개의 적층된 배터리 셀(410)로 형성되고, 전압센싱부(100)에는 복수의 적층된 배터리 셀(410)과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센싱와이어(110)가 포함되며, 커넥터(500)는 센싱와이어(110)가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핀(510)이 포함될 수 있다.
고전압 배터리(40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410)이 적층되어 형성되며, 전압센싱부(100)에는 각각의 배터리 셀(410)의 +극과 -극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410)의 전압 측정을 위한 센싱와이어(110)가 포함되며, 센싱와이어(110)는 각각 커넥터(500)의 핀(5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되고, 송신와이어(200)가 커넥터(500)에 핀(510)에 연결되어 송신와이어(200)와 센싱와이어(1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500)에 연결된 상태에서 폼패드(310)가 팽창하여 위치가 이동될 때 센싱와이어(110)끼리 서로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송신와이어(200)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 구성되어 복수 개의 핀(510)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부(210) 및 와이어부(210)가 다발로 묶인 다발부(220);를 포함하고, 폼패드(310)는 커버(300) 내부에서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와이어(200)의 와이어부(210)는 커넥터(500)에 핀(510)이 연장된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되며, 커버(300)는 와이어부(210)와 커넥터(500)가 연결되는 부분을 커버링하여 다발부(220)에 비해 외부의 이물질에 취약한 와이어부(2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폼패드(310)는 와이어부(210)가 연장된 제1방향으로 위치되며, 제1방향과 수직인방향으로 팽창되도록 배치되어 커버(300) 내부에서 넓은 방향으로 위치됨으로써, 송신와이어(200)에서 발열이 발생시 신속히 팽창되어 송신와이어(200)의 열을 차단하거나 송신와이어(200)와 커넥터(500)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폼패드(310)는 커버(300) 내부에서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패드(310)는 커버(300)의 내부 양측에 마련되어 팽창시 송신와이어(200)의 와이어부(210)를 중앙으로 모으며 와이어부(210)와 커넥터(50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폼패드(310)가 커버(300) 내측에서 양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커버(300) 내부를 채우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송신와이어(200)의 발열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수개의 센싱와이어(110) 중 연결된 배터리 셀(410)의 전위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센싱와이어(110)가 인접하게 핀(51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싱와이어(110)는 커넥터(500)의 핀(510)에 연결시 전위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배터리에 연결된 센싱와이어(110)가 핀(510)에 인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210)가 폼패드(310)에 의해 커넥터(500)의 중앙부로 이동시 서로 접촉하게 될 때 쇼트가 발생하더라도 작은 전위차에 의해 스파크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커버(300)는 일측이 회전되며 개방되도록 형성된 힌지부(33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의 상부 또는 측면부에는 커버(300)의 측이 회전되어 개방되도록 형성된 힌지부(330)가 형성되어 커버(300) 내부에 위치한 폼패드(310), 와이어부(210) 또는 커넥터(500)의 정비시 커버(300)를 개방하여 정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폼패드(310), 와이어부(210) 또는 커넥터(500)를 정비하는 경우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커버(300)에는 전압센싱부(100)에 커버(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20)가 포함될 수 있다.
고정부(320)는 커넥터(500)에 결합시 커넥터(500)에 고정시켜 외부와 커넥터(500)에 연결된 와이어부(210)를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힌지부(330)에 의해 개방된 커버(300)의 일측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수분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커버(30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320)는 고정 또는 해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커버(300) 내부의 정비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커넥터(500)에는 전압센싱부(100)와 연결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지하는 클립부(520)가 포함되고, 커버(300)에는 클립부(5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 개방부(340)가 포함될 수 있다.
클립부(520)는 전압센싱부(100)와 커넥터(500)를 연결시키거나 연결을 해지할 수 있도록 커넥터(50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커버(300)는 클립부(520)가 외부로 개방되록 개방된 개방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압센싱부(100)의 정비시 개방부(340)에 의해 노출된 클립부(520)를 통해 커넥터(500)와 커버(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500)를 전압센싱부(100)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비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전압센싱부
110 : 센싱와이어
200 : 송신와이어
210 : 와이어부
220 : 다발부
300 : 커버
310 : 폼패드
320 : 고정부
330 : 힌지부
340 : 개방부
400 : 고전압 배터리
410 : 배터리 셀
500 : 커넥터
510 : 핀
520 : 클립부

Claims (9)

  1.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싱부;
    전압센싱부와 연결되어 전압센싱부에서 감지된 배터리의 전압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와이어;
    전압센싱부와 송신와이어가 연결된 위치를 커버링하는 커버; 및
    커버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인접한 위치에서 발열이 감지시 부피가 확장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발열이 발생시 확장되어 전압센싱부 또는 배터리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거나 송신와이어와 전압센싱부의 연결을 해지하는 폼패드;를 포함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2. 송신와이어를 전압센싱부와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커버는 커넥터와 송신와이어가 연결되는 위치를 커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전압 배터리는 복수개의 적층된 셀로 형성되고,
    전압센싱부에는 복수의 적층된 셀과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센싱와이어가 포함되며,
    커넥터는 센싱와이어가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송신와이어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 구성되어 복수 개의 핀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부 및 와이어부가 다발로 묶인 다발부;를 포함하고,
    폼패드는 커버 내부에서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폼패드는 커버 내부에서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개의 센싱와이어 중 연결된 배터리 셀의 전위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센싱와이어가 인접하게 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에는 전압센싱부에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는 일측이 회전되며 개방되도록 형성된 힌지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커넥터에는 전압센싱부와 연결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지하는 클립부가 포함되고,
    커버에는 클립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 개방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KR1020210052483A 2021-04-22 2021-04-22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KR20220145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83A KR20220145652A (ko) 2021-04-22 2021-04-22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US17/475,754 US11821954B2 (en) 2021-04-22 2021-09-15 Device for sensing voltage of high-voltag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83A KR20220145652A (ko) 2021-04-22 2021-04-22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52A true KR20220145652A (ko) 2022-10-31

Family

ID=8369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483A KR20220145652A (ko) 2021-04-22 2021-04-22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21954B2 (ko)
KR (1) KR202201456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23B1 (ko) 2013-10-07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의 안전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8074A (ja) * 2016-12-14 2018-06-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組電池
KR101769009B1 (ko) 2017-02-10 2017-08-17 노상언 내화용 폼 패드와 차열재에 의해 복합 열화 차단 구조를 갖는 전기 케이블 방화 시스템
KR102118661B1 (ko) 2017-08-24 2020-06-04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JP6670348B2 (ja) * 2018-06-22 2020-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
KR20200131493A (ko) 2019-05-14 2020-11-2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용 소화장치
CN215816176U (zh) * 2021-07-08 2022-02-11 恒大新能源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电池箱连接结构及电池模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23B1 (ko) 2013-10-07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의 안전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42000A1 (en) 2022-10-27
US11821954B2 (en)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4905B (zh) 柔性电路板及包括柔性电路板的支架组件
WO2009157676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US11251500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KR102115553B1 (ko) 단일 셀, 배터리 모듈, 파워 배터리, 및 전기 자동차
EP2416437B1 (en) Medium or large sized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afety
WO2014104538A1 (ko)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2012113896A (ja) 組電池
KR102125806B1 (ko) 단일 셀, 배터리 모듈, 파워 배터리, 및 전기 자동차
US20130004810A1 (en) Battery cell protection device of eco-friendly vehicle
CN115989607A (zh) 电能量存储器
WO2024104164A1 (zh) 盖板组件、电池、电池的组装方法、电池包以及用电设备
CN104752680A (zh) 电池过充电保护装置
KR20220145652A (ko) 고전압 배터리의 전압 감지 장치
CN104471740A (zh) 蓄电组件和蓄电设备
KR20200030225A (ko) 배터리 모듈
WO2012148211A2 (ko) 배터리 모듈
CN115917852A (zh) 电池模块的排气系统
WO2022097935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5332707A (zh) 电池包、车身结构和车辆
WO2022012377A1 (zh) 防爆电池
US20210175484A1 (en) Battery Module
KR20240046035A (ko) 내열부재가 부가된 접속부재 어셈블리
CN219832809U (zh) 一种软包热失控防护模组以及车辆供电系统
CN218215617U (zh) 一种热失控报警装置以及电池模组
US20240120622A1 (en) Thermal barrier integrated busbar systems for traction battery p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