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493A - 케이블용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493A
KR20200131493A KR1020190056187A KR20190056187A KR20200131493A KR 20200131493 A KR20200131493 A KR 20200131493A KR 1020190056187 A KR1020190056187 A KR 1020190056187A KR 20190056187 A KR20190056187 A KR 20190056187A KR 20200131493 A KR20200131493 A KR 20200131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ire extinguishing
closing
cab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현
신복현
김민성
이의찬
한통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56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1493A/ko
Publication of KR20200131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케이블용 소화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케이블용 소화장치는: 복수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점부를 감싸도록 이웃한 케이블에 걸쳐져 장착되는 접속함부와, 접속함부에 설치되며, 접속점부의 화재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소화부와, 접속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속함부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용 소화장치{FIRE EXTINGUISHER DEVICE OF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점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접속점부의 이상유무를 확인가능한 케이블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 및 배전 케이블을 통해 전철, 기차 등의 운행에 필요한 전원 공급 및 대형건물, 아파트 등의 실생활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된다. 케이블은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복수개의 케이블을 서로 연결된다. 복수개의 케이블 사이에는 접속점이 형성되고, 접속점에는 절연테이프 등 절연소재가 감겨져 있다. 그러나, 접속점이 수분에 노출되거나 장시간 사용에 따른 노후화 또는 전압 변동으로 인한 접속점의 과열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될 경우 신속하게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1120호(발명의 명칭: 송전 케이블용 과전압 보호소자의 보호장치, 공개일: 2009.07.28.)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점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용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용 소화장치는: 복수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점부를 감싸도록 이웃한 상기 케이블에 걸쳐져 장착되는 접속함부; 상기 접속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점부의 화재시 상기 접속함부의 내부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소화부; 및 상기 접속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접속함부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함부는, 이웃한 상기 케이블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개방구가 형성되고, 후면에 과열방지구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상기 소화부가 장착되는 접속함본체; 및 상기 과열방지구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접속함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접속함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방구를 덮으며, 투과창을 구비하는 개폐부본체; 및 상기 접속함본체에 상기 개폐부본체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함본체는, 상기 접속점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결합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장착판부; 상기 장착판부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부연결판부; 및 상기 장착판부의 하부를 연결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하부연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판부, 상기 상부연결판부 및 상기 하부연결판부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개방구와 상기 과열방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와 상기 접속함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접속함부 또는 상기 개폐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체결고리; 및 상기 접속함부 또는 상기 개폐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고리에 체결되는 체결편을 구비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함부와 상기 개폐부는 외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용 소화장치는 접속함부가 접속점부를 감싸고, 접속함부에는 접속점부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접속점부를 향해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소화부가 설치되므로, 접속점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함부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통해 접속함부의 내부에 위치한 접속점부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점검업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부에 투과창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자는 투과창을 통해 접속함본체의 내부를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함체의 후면에 과열방지구가 형성됨에 따라, 순환전류에 의한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부를 통해 케이블로부터 접속함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를 통해 개폐부가 접속함부의 개방구를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부를 접속함부에 체결할 수 있어, 접속점부의 화재시 접속점부에서 발생되는 화재가 번져 2차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통해 개폐부를 용이하게 회동하여 접속함부의 개방구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소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소화장치의 개폐부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소화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소화장치의 소화부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소화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소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소화장치의 개폐부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소화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소화장치의 소화부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소화장치(1)는 접속함부(100), 소화부(200) 및 개폐부(300)를 포함한다.
접속함부(100)는 복수개의 케이블(10)이 연결되는 접속점부(20)를 감싸도록 이웃한 케이블(10)에 걸쳐져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10)은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개의 케이블(10)이 서로 연결된다. 이때, 복수개의 케이블(10)는 받침부(30)에 의해 받쳐진다. 받침부(30)는 복수개의 케이블(10)가 배치되는 경로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케이블(10)을 받친다.
접속점부(20)는 이웃한 케이블(10)이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저항열 발생 또는 과열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될 확률이 높다. 이에 따라, 접속함부(100)는 접속점부(20)을 감싸도록 이웃한 케이블(10)에 걸쳐져 장착되며, 내부에 후술된 소화부(2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접속함부(100)가 접속점부(20)를 감싸므로, 접속점부(2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가 번져 2차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함부(100)는 조립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접속함부(100)을 용이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다.
소화부(200)는 접속함부(100)에 설치되며, 접속점부(20)의 화재시 접속함부(100)의 내부로 소화약제를 분사한다. 소화부(200)는 접속함부(10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접속점부(20)의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접속점부(20)를 향해 소화약제를 분사한다(도 5 참조). 소화약제는 액체 또는 분말 형태의 소화약제 중 어느 하나의 약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속점부(20)의 화재가 발생되면 빠르게 진압될 수 있다.
개폐부(300)는 접속함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속함부(100)의 개방구(115)를 개폐한다. 개폐부(300)는 접속함부(100)의 정면에 형성되는 개방구(115)를 덮는다. 접속함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접속점부(20)의 열화상 점검, 시스전류 측정, 절연통보호장치(SVL: Sheath Voltage Limitor) 누설전류 등 점검업무를 실시하는 경우 개폐부(300)는 설정방향으로 회동되어 접속함부(100)의 개방구(115)를 개방한다. 점검업무를 실시하는 경우 이외 경우에는 개폐부(300)가 접속함부(100)의 개방구(115)를 폐쇄한다(도 2, 도 3 참조).
접속함부(100)와 개폐부(300)는 외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접속함부(100)와 개폐부(300)에 접근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함부(100)는 접속함본체(110)와 이탈방지부(120)를 포함한다. 접속함본체(110)에는 이웃한 케이블(10)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부(111a)가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구(115)가 형성되고, 후면에 과열방지구(116)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소화부(200)가 장착된다. 도 4와 같이, 접속함본체(110)의 후면에 과열방지구(116)가 형성됨에 따라, 순환전류에 의한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함부(100)는 내열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화재발생시 화재의 고온에 잘 견딜 수 있다.
이탈방지부(120)는 과열방지구(116)를 가로지르도록 접속함본체(110)에 결합되며, 케이블(10)로부터 접속함본체(1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120)는 복수개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과열방지구(116)를 가로지르도록 접속함본체(110)에 결합된다. 이탈방지부(120)는 부도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케이블(10)의 전류가 접속함본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개폐부(300)는 개폐부본체(310)와 힌지부(320)를 포함한다. 개폐부본체(310)는 개방구(115)를 덮으며, 투과창(311)을 구비한다. 개폐부본체(310)는 투과창(311)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자는 투과창(311)을 통해 접속함본체(110)의 내부를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다. 개폐부본체(310)는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개폐부본체(310)는 스테인레스스틸 재질로 비자성체일 수 있다. 투과창(311)은 투명한 내열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투과창(311)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250℃ 화재까지 견딜 수 있다.
힌지부(320)는 접속함본체(110)에 개폐부본체(31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즉, 개폐부본체(310)는 힌지부(320)를 통해 접속함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속함본체(110)의 개방구(115)를 개폐할 수 있다.
접속함본체(110)는 한 쌍의 장착판부(111), 상부연결판부(112), 하부연결판부(11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장착판부(111)는 접속점부(20)의 양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결합홈부(111a)가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장착판부(111)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부(111a)에는 이웃한 케이블(10)이 각각 끼움결합된다.
상부연결판부(112)는 장착판부(111)의 상부를 연결하고, 이탈방지부(120)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하부연결판부(113)는 장착판부(111)의 하부를 연결하고, 이탈방지부(120)의 타단부가 결합된다. 하부연결판부(113)는 너비가 상부연결판부(112)의 너비보다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접속점부(20)의 점검시 하부연결판부(113)에 점검도구 등을 올려놓을 수도 있다.
장착판부(111), 상부연결판부(112) 및 하부연결판부(113)의 결합으로 인해 개방구(115)와 과열방지구(116)가 형성된다.
케이블용 소화장치(1)는 체결부(400)를 더 포함한다(도 2, 도 3 참조). 체결부(400)는 개폐부(300)와 접속함부(100)를 체결한다. 체결부(400)는 체결고리(410)와 체결블록(420)을 포함한다. 체결고리(410)는 접속함부(100) 또는 개폐부(3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체결블록(420)은 접속함부(100) 또는 개폐부(30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체결고리(410)에 체결되는 체결편(421)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개폐부(300)가 접속함부(100)의 개방구(115)를 견고하게 폐쇄하여, 접속점부(2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가 번져 2차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체결부(400)가 체결고리(410)와 체결블록(420)으로 이루어진 매미형 고리 타입으로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화재시 내부압력을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타입으로 변경가능하다.
케이블용 소화장치(1)는 손잡이부(500)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부(500)는 개폐부(300)에 설치된다. 손잡이부(500)는 개폐부(300)의 외측면 중앙부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손잡이부(500)를 통해 개폐부(300)를 회동하여 접속함부(100)의 개방구(115)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케이블용 소화장치 10 : 케이블
20 : 접속점부 30 : 받침대
100 : 접속함부 110 : 접속함본체
111 : 장착판부 111a : 결합홈부
112 : 상부연결판부 113 : 하부연결판부
115 : 개방구 116 : 과열방지구
120 : 이탈방지부 200 : 소화부
300 : 개폐부 310 : 개폐부본체
311 : 투과창 320 : 힌지부
400 : 체결부 410 : 체결고리
420 : 체결블록 421 : 체결편
500 : 손잡이부

Claims (8)

  1. 복수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점부를 감싸도록 이웃한 상기 케이블에 걸쳐져 장착되는 접속함부;
    상기 접속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점부의 화재시 상기 접속함부의 내부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소화부; 및
    상기 접속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접속함부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소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부는,
    이웃한 상기 케이블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개방구가 형성되고, 후면에 과열방지구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상기 소화부가 장착되는 접속함본체; 및
    상기 과열방지구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접속함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접속함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소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방구를 덮으며, 투과창을 구비하는 개폐부본체; 및
    상기 접속함본체에 상기 개폐부본체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소화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본체는,
    상기 접속점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결합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장착판부;
    상기 장착판부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부연결판부; 및
    상기 장착판부의 하부를 연결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하부연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판부, 상기 상부연결판부 및 상기 하부연결판부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개방구와 상기 과열방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소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와 상기 접속함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소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접속함부 또는 상기 개폐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체결고리; 및
    상기 접속함부 또는 상기 개폐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고리에 체결되는 체결편을 구비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소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소화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부와 상기 개폐부는 외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소화장치.
KR1020190056187A 2019-05-14 2019-05-14 케이블용 소화장치 KR20200131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87A KR20200131493A (ko) 2019-05-14 2019-05-14 케이블용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87A KR20200131493A (ko) 2019-05-14 2019-05-14 케이블용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493A true KR20200131493A (ko) 2020-11-24

Family

ID=7367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187A KR20200131493A (ko) 2019-05-14 2019-05-14 케이블용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14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159Y1 (ko) * 2021-10-28 2022-03-18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2402409B1 (ko) * 2021-06-16 2022-05-27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US11821954B2 (en) 2021-04-22 2023-11-21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sensing voltage of high-voltage batter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1954B2 (en) 2021-04-22 2023-11-21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sensing voltage of high-voltage battery
KR102402409B1 (ko) * 2021-06-16 2022-05-27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WO2022265301A1 (ko) * 2021-06-16 2022-12-22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KR200495159Y1 (ko) * 2021-10-28 2022-03-18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1493A (ko) 케이블용 소화장치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US7560644B2 (en) Passive fire protection system for energized electric utility faciliti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04094489B (zh) 电气壳体的过热抑制系统和方法
CN105790147A (zh) 一种铠装移开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CN107633916B (zh) 一种双层高屏蔽集束同轴电缆
KR102047358B1 (ko)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SK500612020A3 (sk) Automatický ochladzovací a hasiaci systém
KR102427078B1 (ko) 동물 침입 방지 수배전반
KR102135565B1 (ko) 부하와 차단기 사이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RU2593828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3432431B1 (en) Switchgear housing with arc capturing
CA3089793A1 (en) Fire protection device and fire protection assembly
CN109087734A (zh) 一种便于检测的电缆线
CN208284293U (zh) 一种安全防护用光电复合电缆
JP7461957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に設けられる、パーティションの通過部分の構造
KR101778093B1 (ko) 안전성이 강화된 배전반 및 분전반
KR102624477B1 (ko) 자체 화재 소화기능을 갖춘 제어함
ITMI981279A1 (it) Dispositivo serracavi e di drenaggio verso massa delle correnti parassite indotte su cavi schermati all'attraversamento di una
KR20150037799A (ko) 이엠피 방호 캐비닛
CN220824423U (zh) 一种电缆管沟防火保护装置
CN106998594B (zh) 一种电热元件通电防护装置
KR101626610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20210021835A (ko) 케이블 차화커버용 방화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방화 시공방법
KR102487318B1 (ko) 차단기용 화재 확산 방지 안전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