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610B1 -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610B1
KR101626610B1 KR1020150139392A KR20150139392A KR101626610B1 KR 101626610 B1 KR101626610 B1 KR 101626610B1 KR 1020150139392 A KR1020150139392 A KR 1020150139392A KR 20150139392 A KR20150139392 A KR 20150139392A KR 101626610 B1 KR101626610 B1 KR 101626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se
door
power distribu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 허
Original Assignee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3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E05Y2900/6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는 개폐용 도어의 잠금 기능을 보완하여 케이스에 내장된 배전반을 보호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Protective tube feeders for power supply of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전기 배전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는 개폐용 도어의 잠금 기능을 보완하여 케이스에 내장된 배전반을 보호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을 포함한 주택, 건물 등의 실내에는 내부를 밝게 하기 위해 전등, 즉 조명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조명등은 배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을 포함한 건물 등 전력량이 큰 곳에서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동주택이나 혹은 건물의 일부에 직경이 큰 보호관을 설치하여 배전선을 보호관 내부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배전선 보호관에 의해 배전선은 외부의 오염 및 외력으로부터 보호된다.
하지만, 상기 배전선 보호관은 안정적으로 배전선을 보호하기 어려우며, 배전선을 보호하는 기능만 수행할 뿐 그 외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29799호(2013.11.08)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에는 케이스에 내장된 배전반을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개폐가능한 도어를 케이스 전방에 구비하고 있으나 단순한 힌지식 개폐구조를 갖는 도어에 불과하여 자동 잠금기능이 없기 때문에 바람이 불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쉽게 개방되면서 배전반이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습기의 침입에 따른 누전, 합선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등록특허를 비롯한 선행기술들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개시된 바 없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29799호(2013.11.08)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보완 개선함으로써 좀 더 향상되고 안전한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를 제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는 개폐용 도어의 잠금 기능을 보완하여 케이스에 내장된 배전반을 보호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전선(L)을 수용하는 관 형상의 배전선보호관본체(P)를 포함하는 배전선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는, 하단 내부에 체결홈(P1)이 단턱져 형성되고, 측면에 설치홀(P2)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판 후방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삽입홀(11)과,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홀(12)을 갖춘 케이스(10): 힌지(HIN)를 매개로 케이스(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 일단이 케이스(10)의 내부 후면에 설치되는 이격부재(30): 패널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0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되는 가이드홀(101b)이 상기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홀(101c)이 가이드홀(101b)에 이웃되게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홈(101d)이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단열재질의 배전패널(101);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면이 상기 개구홈(101d)을 통해 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면상발열체(102a)와, 면상발열체(102a)에 설치되며 면상발열체(102a)를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삽입할 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를 따라 삽입되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갖춘 히터체(102); 배전패널(101)의 삽입홀(10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에 삽입된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지지하는 고정체(103); 배전패널(101)의 전면에 설치되는 차단기(104);를 갖춘 배전반(100):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41a)을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선인입체(41); 일단이 배전패널(101)의 상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선인입체(41)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전패널(101)에 전선인입체(41)를 고정하며, 전선인입체 인입홀(4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선인입체 인입홀(41a)로 인입되는 전선(L)을 상기 인입홀(41a)로 안내하는 고정부(42a)와,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인입홀(42b1)과 제1인입홀(42b1)과 이웃되게 상하 관통형성되며 제1인입홀(42b1)을 통과한 전선(L)이 하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인입홀(42b2)을 구비하며, 일단이 고정부(42a)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전반(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경사지는 낙수유도부(42b)를 구비한 낙수유도부재(42);를 갖춘 전선고정기구(40): 케이스(10)의 삽입홀(1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단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체결홈(P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51); 결합부(5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P1)의 하부에 위치하며, 케이스(10)의 상면에 밀착되는 기밀부(52); 결합부(51)의 하단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부(53);를 갖추며,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배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54)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이 통과하는 통과홀(55)이 관통형성되는 기밀부재(50): 상방으로 개구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체설치홈(61a)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61b)을 구비하여,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환형상의 체결부(61); 스펀지체설치홈(6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스펀지체(62);를 갖춘 누수차단부재(60): 전선인입체(41)의 인입홀(41a)과 연통되어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연통홀(71a1)을 구비하며, 낙수유도부재(42)의 고정부(42a)에 대향되게 전선인입체(41) 및 배전패널(101)에 맞대어져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는 측판(71a)과, 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홀(71b1)을 구비하며, 전선(L)이 인출되는 하판(71b)을 갖추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소화기구본체(71); 소화기구본체(7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72); 내부에 소화물질이 충진되며, 화염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기구본체(7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화체(73);를 갖춘 소화기구(70):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80):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설치홀(P2)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화재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기(9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케이스(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힌지(HIN) 반대쪽 상면 및 하면에는 동일 형상의 걸림홈(GO)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GO)이 형성된 쪽 도어(20)의 내부에는 핸들(HAN) 조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홈(GO)에 끼워졌다 빠졌다하면서 잠금 및 해제되는 한 쌍의 록커(200)를 구비하되, 상기 록커(200)는 핸들(HAN)에 연결된 회전체(RT)에 의해 서로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각각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록커(200)의 각 일단에는 래크(21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RT)는 도어(20)의 일측면에 접지되는 가이드원판(CT)과, 가이드원판(CT)의 중심에서 돌출된 원판축(SF1)과, 두 개의 래크(210)가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치결합되는 피니언(220)과, 피니언(22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원판축(SF1)에 일단이 끼워지는 피니언축(SF2)과, 피니언축(SF2)을 관통하여 원판축(SF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T)로 구성되며; 록커(200)는 상측부재(202)와 하측부재(204)로 분할되어 상호 나사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래크(210)는 하측부재(204) 상에 형성되며, 상측부재(202) 상단부에는 상측부재(202)의 직경보다 큰 플랜지 형태의 걸림편(206)이 형성되어 상측부재(202)의 상단 일부만이 케이스(10)의 걸림홈(GO)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측부재(202)에는 코일스프링(SP)이 끼워져 코일스프링(SP)의 일단이 상기 걸림편(206)의 하측면에 걸림되게 구성되며; 상기 도어(20)의 힌지(HIN) 반대측 장변 일부는 내부가 빈 설치공간(300)이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공간(300)은 도어(2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도어(20)의 양측면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설치공간(300)과 연통되는 관통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10)의 측방인 상기 도어(20)의 일측단면에는 'ㄷ' 형상으로 절개된 설치안내구멍(320)이 형성되고, 가이드원판(CT)과 피니언(220)이 분리된 상태에서 가이드원판(CT)은 도어(20)의 일측면에서 원판축(SF1)을 관통공(310)에 관통시켜 설치공간(300) 상에 노출되게 하고, 피니언(220)은 설치안내구멍(320)을 통해 설치공간(300)으로 곧바로 삽입한 상태에서 피니언축(SF2)을 반대쪽 관통공(310)으로 관통시켜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상태에서 원판축(SF1)과 피니언축(SF2)을 끼워 맞춘 다음 피니언축(SF2)의 외측에서 피니언축(SF2)을 관통하여 상기 원판축(SF1)에 볼트 체결되게 체결볼트(BT)를 조여 설치하며; 상기 관통공(31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칭되게 도어(20)의 폭방향으로 한 쌍의 슬릿(330)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330)에는 끼움편(350)이 각각 끼워지며; 상기 끼움편(350)은 'ㄴ' 형상의 부재이고, 수평면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록커관통공(352)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300)은 덮개편(340)에 의해 덮여 마감되되, 덮개편(340)에는 록커(200)가 이동할 수 있는 록커구멍(342)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는 개폐용 도어의 잠금 기능을 보완하여 케이스에 내장된 배전반을 보호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패널을 후방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X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차단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케이스의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케이스와 도어의 잠금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주요 구성들의 결합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케이스의 일부를 발췌한 후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등록특허 제10-1329799호의 기본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특히, 케이스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의 자동 잠금구조를 더 갖추어 배전반의 안전성을 높인 것이다. 따라서, 기본 구성은 등록특허의 내용을 그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은 배전선보호관본체(P), 케이스(10), 도어(20), 이격부재(30), 배전반(100), 전선고정기구(40), 기밀부재(50), 누수차단부재(60), 소화기구(70), 화재감지센서(80) 및, 송신기(90)를 포함한다.
배전선보호관본체(P)는 하단 내부에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며 나사산이 구비되는 체결홈(P1)과,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설치홀(P2)을 갖추고서,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을 이룬다.
케이스(10)는 상판 후방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삽입홀(11)과,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다수의 통기홀(12)을 갖추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다.
도어(20)는 힌지를 매개로 케이스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이격부재(30)는 일단이 케이스(10)의 내부 후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돌출된다.
배전반(100)은 배전패널(101), 히터체(102), 고정체(103) 및, 차단기(104)를 갖추고서, 케이스(10) 내부의 습도를 낮춘다.
배전패널(101)은, 패널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0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되는 가이드홀(101b)이 상기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홀(101c)이 가이드홀(101b)에 이웃되게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홈(101d)이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배전패널(101)의 하단부는 라운드 지기 때문에 히터체(102)를 삽입할 시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배전패널(101)는 단열재질로 이루어지며, 이격부재(30)에 설치된다.
히터체(102)는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면이 상기 개구홈(101d)을 통해 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면상발열체(102a)와, 면상발열체(102a)에 설치되며 면상발열체(102a)를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삽입할 때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를 따라 삽입되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체(102)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로 전기가 공급되면 면상발열체(102a)가 발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히터체(102)는 면상발열체(102a)를 이용하지만, 발열을 하며 배전패널(101)에 수용가능한 구조를 가지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고정체(103)는 배전패널(101)의 삽입홀(10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에 삽입된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103)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지지함으로써, 히터체(102)가 배전패널(101)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한다.
차단기(104)는 배전패널(101)의 전면에 다수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차단기(104)는 케이스(10)의 삽입홀(11)을 통해 인입되는 전선(L)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전력은 차단기(104)를 경유하여 케이스(10)의 측방으로 인출되는 전선(미도시)을 통해 분배된다.
전선고정기구(40)는 전선인입체(41) 및 낙수유도부재(42)를 갖추고서, 전선(L1)이 배전반(100)의 차단기(104)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전선인입체(41)는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41a)을 갖추고서, 배전반 배전패널(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선인입체(41)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낙수유도부재(42)는 고정부(42a) 및 낙수유도부(42b)를 갖추고서,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고, 낙수를 하방으로 유도한다.
고정부(42a)는 일단이 배전패널(101)의 상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선인입체(41)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전패널(101)에 전선인입체(41)를 고정한다.
이때, 고정부(42a)는 전선인입체 인입홀(4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선인입체 인입홀(41a)로 전선(L)을 인입할 시 전선(L)이 안정적으로 인입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42a)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낙수유도부(42b)는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인입홀(42b1)과, 제1인입홀(42b1)과 이웃되게 상하 관통형성되며 제1인입홀(42b1)을 통과한 전선(L)이 하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인입홀(42b2)을 구비하며, 일단이 고정부(42a)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전패널(10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경사진다.
이때, 낙수유도부(42b)는 전선(L)이 굴곡지게 함으로써, 전선(L)을 따라 흐르는 낙수가 배전반(100)의 차단기(104)을 향해 이동하지 않도록 하며, 배전반(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그 효과를 더욱 증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낙수유도부(42b)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기밀부재(50)는 케이스(10)의 삽입홀(1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단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체결홈(P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51)와, 결합부(5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P1)의 하부에 위치하며, 케이스(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침투수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플랜지 형상의 기밀부(52)와, 결합부(51)의 하단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져 케이스(10)의 삽입홀(11)로 누수되는 침투수가 하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경사부(53)를 갖춘다.
그리고, 기밀부재(50)는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배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54)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이 통과하는 통과홀(55)이 관통 형성된다.
누수차단부재(60)는 환 형상의 체결부(61) 및 체결부(61)에 설치되는 스펀지체(62)를 갖추고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침투수의 이동을 차단한다.
체결부(61)는 상방으로 개구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체설치홈(61a)과, 둘레부를 따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61b)을 갖추고서,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스펀지체(62)는 스펀지체설치홈(6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침투수를 흡수한다. 이때 스펀지체(62)의 상단은 스펀지체설치홈(61a) 보다 큰 높이를 가져 스펀지체설치홈(61a)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스펀지체(62)는 케이스(10)의 내부 상면과 맞닿을 때 하부로 가압되면서, 케이스(10)에 밀착되어, 침투수가 측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펀지체(62)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침투수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소화기구(70)는 소화기구본체(71), 도어(72) 및, 다수의 소화체(73)를 갖추고서, 배전반(100)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염을 차단한다.
소화기구본체(71)는 전선인입체(41)의 삽입홀(11)과 연통되어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연통홀(71a1)을 구비하며, 낙수유도부재(42)의 고정부(42a)에 대향되게 전선인입체(41) 및 배전패널(101)에 맞대어져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는 측판(71a)과, 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홀(71b1)을 구비하며, 전선(L)이 인출되는 하판(71b)을 갖추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72)는 힌지를 매개로 소화기구본체(7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소화체(73)는 내부에 소화물질이 충진되며, 화염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기구본체(71)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소화체(73)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화물질은 일반적으로 소화기에 사용되는 소화분말이 사용된다.
이때, 소화분말은 소화체(73)에 압축되어 내장되며, 소화체(73)는 전선(L) 보다 열에 약하고 튜브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감지센서(80)는 케이스(10)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배전반(100)에 화재가 발생할 때 이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80)는 열에 의한 공기의 팽창을 이용하는 차동식 감지기, 이종합금이 열에 의한 변형을 감지하는 정온식 감지기, 반도체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화재를 감지할 수만 있으면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송신기(90)는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설치홀(P2)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무선송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80)와 송신기(90)의 전기적 연결은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이루어지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은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설치홀(P2) 및 기밀부재(50)의 통과홀(55)을 통과하여 화재감지센서(80)와 송신기(90)를 상호 연결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이 공동주택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합선이 발생하여 배전반(100)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감지센서(80)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화재신호를 송신기(90)를 통해 도 9와 같이 무선송출된다.
그리고, 별도의 관리센터(미도시)에서는 상기 화재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한편, 화재 발생시, 화염은 도 9와 같이 배전선(L)을 따라 진행하려고 한다.
이때, 상기 화염이 배전선(L)을 따라 소화기구본체(71) 내부로 진행하면, 열에 의해 소화체(73)는 터지고, 이와 동시에 소화물질이 화염으로 분출되어 화염의 진행을 저지한다.
따라서, 화염은 배전선(L)을 따라 케이스(10) 외부로 이동되지 않으며, 대형 화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기밀부재(50)의 기밀부(52)에 의해 우천 시에도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하지만 설치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 기밀부재(50)의 기밀부(52)와 케이스(10)의 상면 사이의 밀착이 느슨해지면, 침투수는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침투수는 도 10과 같이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기밀부재(50)의 경사부(53)를 따라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침투수는 배전선(L)을 따라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낙수유도부재(42)의 낙수유도부(42b)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어 계속해서 하방으로 낙하된다.
한편, 상기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침투수 중 일부는 도 11과 같이 케이스(10)의 상면을 따라 측방으로 흐르려고 한다.
이때, 상기 침투수는 누수차단부재(60)의 스펀지체(62)에 의해 흡수되어, 측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며, 스펀지체(62)에 흡수된 침투수는 시간이 경과하면 자중에 의해 도 11과 같이 누수차단부재(60)의 배수홀(61b)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침투수가 케이스(10)의 내부 후방으로 낙수 될 경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습도가 증가한다.
이렇게, 습도가 증가할 경우 배전반(100)에 구비된 전기소자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0) 내부에 습도가 증가했다는 판단이 들 경우, 작업자는 히터체(102)의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면상발열체(102a)가 발열하도록 한다.
그러면, 면상발열체(102a)는 도 12와 같이 배전패널(101)의 개구홈(101d)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 후방으로 열을 발산하며, 이로 인해 케이스(10) 내부 후방의 습기가 제거됨과 함께 전체적으로 케이스(10) 내부의 습도가 낮아진다.
이때, 배전반(100)은 전기소자를 다수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열에 취약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면상발열체(102a)를 통해 발산되는 열은 단열재질인 배전패널(101)에 의해 차단되어 배전반(100)의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할 때, 즉각적으로 외부에 알릴 수 있어, 화재발생에 대한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100)에 화재가 발생할 시 화염이 케이스(10) 외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초기에 진화하여 대형 화재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10)의 삽입홀(11)로 유입되는 침투수를 기밀부재(50)의 기밀부(52)로 1차 저지하고, 1차 저지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침투수를 기밀부재(50)의 경사부(53)를 통해 하방으로 유도하여, 배전반(100)으로 침투수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낙수유도부재(42)를 통해 상기 경사부(53)에 의해 유도된 침투수가 배전반(100)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누수차단부재(60)를 통해, 상기 1차 저지를 통과한 침투수가 케이스(10)의 내부 상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배전반(100)으로 낙하하는 것을 2차 저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침투수를 단계적으로 차단하여, 침투수가 배전반(100)으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전기합선과 같은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100)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케이스(10) 내부의 습도를 낮출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도어(20)의 개폐시 자동 잠금기능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도어(20)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하여 내장된 배전반(100)이 수분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13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는 도 1의 형상과 달리 케이스(10)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장변 중 일측은 경첩과 같은 힌지(HIN)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힌지(HIN) 반대쪽 장변측에는 상하로 각각 움직일 수 있는 록커(200)가 구비되고, 상기 록커(200)의 각 일단에는 래크(210)가 형성되며, 상기 래크(210)는 피니언(220)과 치결합된다.
이때, 상기 래크(210)는 상기 피니언(220)과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치결합되며, 록커(200)는 상측부재(202)와 하측부재(204)로 분할되어 상호 나사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래크(210)는 하측부재(204) 상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록커(200)는 사각막대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록커(200)의 상측부재(202) 상단부에는 상측부재(202)의 직경보다 큰 플랜지 형태의 걸림편(206)이 형성되어 상측부재(202)의 상단 일부만이 케이스(10)의 걸림홈(GO)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측부재(202)에는 코일스프링(SP)이 끼워져 코일스프링(SP)의 일단이 상기 걸림편(206)의 하측면에 걸림되게 함으로써 상기 상측부재(202), 즉 록커(200)를 항상 밀어 올리도록 구성되며, 이와 대칭되게 케이스(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코일스프링(SP)이 상기 록커(200)를 항상 밀어 내리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SP)의 타단은 도 17과 같은 끼움편(350)의 상면에 걸림된다.
따라서, 상기 록커(200)는 항상 케이스(10)의 걸림홈(GO)에 걸려 있는 상태, 즉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것은 자동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의 힌지(HIN) 반대측 장변 일부는 내부가 빈 설치공간(300)이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공간(300)은 도어(2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20)의 양측면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설치공간(300)과 연통되는 관통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10)의 측방, 즉 상기 도어(20)의 일측단면에는 'ㄷ' 형상으로 절개된 설치안내구멍(320)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안내구멍(320)은 피니언(220)을 포함한 핸들(HAN, 도 16 참고), 가이드원판(CT, 도 16 참고)으로 된 회전체(RT, 도 16 참고)의 설치를 쉽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회전체(RT)는 도 16에서와 같이, 가이드원판(CT)의 중심에서 돌출된 원판축(SF1)이 피니언(22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피니언축(SF2)과 서로 끼움 조립되게 분할되어 있으며, 두 개의 축(SF1,SF2)이 서로 끼워진 후에는 피니언(220)측에서 체결볼트(BT)로 체결하여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체결볼트(BT)는 상기 피니언축(S2F)의 일단면을 관통하여 원판축(SF1)에 볼트 체결됨으로써 분할되어 있는 가이드원판(CT)과 피니언(220)을 상호 결속하여 하나의 회전체(RT)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RT)를 조립할 때는 가이드원판(CT)과 피니언(220)이 분리된 상태에서 가이드원판(CT)은 도어(20)의 일측면에서 원판축(SF1)을 관통공(310)에 관통시켜 설치공간(300) 상에 노출되게 하고, 피니언(220)은 설치안내구멍(320)을 통해 설치공간(300)으로 곧바로 삽입한 상태에서 피니언축(SF2)을 반대쪽 관통공(310)으로 관통시켜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상태에서 원판축(SF1)과 피니언축(SF2)을 끼워 맞춘 다음 피니언축(SF2)의 외측에서 피니언축(SF2)을 관통하여 상기 원판축(SF1)에 볼트 체결되게 체결볼트(BT)를 조임으로써 회전체(RT)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조립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회전체(RT)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설치안내구멍(320)은 마감편(360)을 고정하여 마감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31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칭되게 도어(20)의 폭방향으로 한 쌍의 슬릿(330)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330)에는 끼움편(350)이 각각 끼워진다. 여기에서는 도시상 상측에 형성된 슬릿만 도시 설명하였다.
상기 끼움편(350)은 대략 'ㄴ' 형상의 부재이며, 수평면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록커관통공(352)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끼움편(350)이 끼워진 상태에서 록커(200)의 하단, 즉 하측부재(204)를 록커관통공(252)에 관통시켜 배치하되, 하측부재(204)에 형성된 래크(210)가 각각 상기 피니언(220)과 치결합되게 배치하며, 그 상태에서 하측부재(204)의 상단에 상측부재(202)를 나사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하나의 록커(200)를 구성하되 이때 상측부재(202)에 코일스프링(SP)을 끼우고 상단은 케이스(10)의 걸림홈(GO)에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조립한다.
그러면, 코일스프링(SP)의 상단은 플랜지형 걸림편(206)에 걸림되고, 하단은 상기 끼움편(350)의 상면에 안착되어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록커(200)는 하단이 피니언(220)에 치결합된 상태에서 일부는 록커관통공(352)에 끼워져 가이드가능하게 유지된 채 상단은 걸림홈(GO)에 걸려 있는 상태, 즉 코일스프링(SP)에 의해 록커(200)의 상단이 항상 걸림홈(GO) 속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하방향을 향해 설치된 록커는 상술한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고 항상 하향이동된 상태가 될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라 하겠다.
이때, 상기 설치공간(300)은 덮개편(340)에 의해 덮여 마감된다. 때문에, 덮개편(340)에도 록커(200)가 이동할 수 있는 록커구멍(342)이 관통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게 되면, 평상시에는 코일스프링(SP)의 탄성팽창력에 의해 상측에 설치된 록커(200)는 상방향으로 이동할려고 하므로 상측에 구비된 걸림홈(GO)에 항상 걸려 있는 형태가 되고, 반대로 하측에 설치된 록커(200)는 하방향으로 이동할려고 하므로 하측에 구비된 걸림홈(GO)에 항상 걸려 있는 형태가 되므로 자동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20)를 열고자 하면, 작업자가 핸들(HAN)을 잡고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핸들(HAN)이 고정된 가이드원판(CT)이 회전되고, 가이드원판(CT)의 원판축(SF1)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축(SF2)이 동시 회전되면서 피니언(220)을 회전시키므로 결국 피니언(220)과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치결합되어 있던 래크(210)가 움직이게 되는데, 상측의 록커는 하방향으로 움직이고, 하측의 록커는 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걸림홈(GO)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도어(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므로 도어(20)를 열 수 있게 된다.
이후, 작업완료 후 다시 핸들(HAN)을 돌린 상태에서 도어(20)를 닫고 핸들(HAN)을 놓게 되면 코일스프링(SP)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각 록커(200)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면서 각 단부가 걸림홈(GO)에 끼워지면서 자동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20)의 개폐시 자동 잠금기능을 갖출 수 있어 도어(20) 개폐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고, 도어(20)을 닫기만 하면 항상 자동으로 잠금되므로 불측의 원인에 의해 도어(20)가 열리는 일이 없으므로 내장된 배전반(100)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케이스 20: 도어
30: 이격부재 40: 전선고정기구
50: 기밀부재 60: 누수차단부재
70: 소화기구

Claims (1)

  1. 배전선(L)을 수용하는 관 형상의 배전선보호관본체(P)를 포함하는 배전선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는, 하단 내부에 체결홈(P1)이 단턱져 형성되고, 측면에 설치홀(P2)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판 후방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삽입홀(11)과,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홀(12)을 갖춘 케이스(10): 힌지(HIN)를 매개로 케이스(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 일단이 케이스(10)의 내부 후면에 설치되는 이격부재(30): 패널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0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되는 가이드홀(101b)이 상기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홀(101c)이 가이드홀(101b)에 이웃되게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홈(101d)이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단열재질의 배전패널(101);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면이 상기 개구홈(101d)을 통해 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면상발열체(102a)와, 면상발열체(102a)에 설치되며 면상발열체(102a)를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삽입할 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를 따라 삽입되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갖춘 히터체(102); 배전패널(101)의 삽입홀(10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에 삽입된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지지하는 고정체(103); 배전패널(101)의 전면에 설치되는 차단기(104);를 갖춘 배전반(100):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41a)을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선인입체(41); 일단이 배전패널(101)의 상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선인입체(41)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전패널(101)에 전선인입체(41)를 고정하며, 전선인입체 인입홀(4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선인입체 인입홀(41a)로 인입되는 전선(L)을 상기 인입홀(41a)로 안내하는 고정부(42a)와,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인입홀(42b1)과 제1인입홀(42b1)과 이웃되게 상하 관통형성되며 제1인입홀(42b1)을 통과한 전선(L)이 하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인입홀(42b2)을 구비하며, 일단이 고정부(42a)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전반(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경사지는 낙수유도부(42b)를 구비한 낙수유도부재(42);를 갖춘 전선고정기구(40): 케이스(10)의 삽입홀(1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단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체결홈(P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51); 결합부(5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P1)의 하부에 위치하며, 케이스(10)의 상면에 밀착되는 기밀부(52); 결합부(51)의 하단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부(53);를 갖추며,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배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54)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이 통과하는 통과홀(55)이 관통형성되는 기밀부재(50): 상방으로 개구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체설치홈(61a)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61b)을 구비하여,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환형상의 체결부(61); 스펀지체설치홈(6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스펀지체(62);를 갖춘 누수차단부재(60): 전선인입체(41)의 인입홀(41a)과 연통되어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연통홀(71a1)을 구비하며, 낙수유도부재(42)의 고정부(42a)에 대향되게 전선인입체(41) 및 배전패널(101)에 맞대어져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는 측판(71a)과, 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홀(71b1)을 구비하며, 전선(L)이 인출되는 하판(71b)을 갖추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소화기구본체(71); 소화기구본체(7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72); 내부에 소화물질이 충진되며, 화염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기구본체(7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화체(73);를 갖춘 소화기구(70):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80):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설치홀(P2)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화재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기(9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케이스(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힌지(HIN) 반대쪽 상면 및 하면에는 동일 형상의 걸림홈(GO)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GO)이 형성된 쪽 도어(20)의 내부에는 핸들(HAN) 조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홈(GO)에 끼워졌다 빠졌다하면서 잠금 및 해제되는 한 쌍의 록커(200)를 구비하되, 상기 록커(200)는 핸들(HAN)에 연결된 회전체(RT)에 의해 서로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각각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록커(200)의 각 일단에는 래크(21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RT)는 도어(20)의 일측면에 접지되는 가이드원판(CT)과, 가이드원판(CT)의 중심에서 돌출된 원판축(SF1)과, 두 개의 래크(210)가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치결합되는 피니언(220)과, 피니언(22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원판축(SF1)에 일단이 끼워지는 피니언축(SF2)과, 피니언축(SF2)을 관통하여 원판축(SF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T)로 구성되며; 록커(200)는 상측부재(202)와 하측부재(204)로 분할되어 상호 나사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래크(210)는 하측부재(204) 상에 형성되며, 상측부재(202) 상단부에는 상측부재(202)의 직경보다 큰 플랜지 형태의 걸림편(206)이 형성되어 상측부재(202)의 상단 일부만이 케이스(10)의 걸림홈(GO)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측부재(202)에는 코일스프링(SP)이 끼워져 코일스프링(SP)의 일단이 상기 걸림편(206)의 하측면에 걸림되게 구성되며; 상기 도어(20)의 힌지(HIN) 반대측 장변 일부는 내부가 빈 설치공간(300)이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공간(300)은 도어(2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도어(20)의 양측면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설치공간(300)과 연통되는 관통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10)의 측방인 상기 도어(20)의 일측단면에는 'ㄷ' 형상으로 절개된 설치안내구멍(320)이 형성되고, 가이드원판(CT)과 피니언(220)이 분리된 상태에서 가이드원판(CT)은 도어(20)의 일측면에서 원판축(SF1)을 관통공(310)에 관통시켜 설치공간(300) 상에 노출되게 하고, 피니언(220)은 설치안내구멍(320)을 통해 설치공간(300)으로 곧바로 삽입한 상태에서 피니언축(SF2)을 반대쪽 관통공(310)으로 관통시켜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상태에서 원판축(SF1)과 피니언축(SF2)을 끼워 맞춘 다음 피니언축(SF2)의 외측에서 피니언축(SF2)을 관통하여 상기 원판축(SF1)에 볼트 체결되게 체결볼트(BT)를 조여 설치하며; 상기 관통공(31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칭되게 도어(20)의 폭방향으로 한 쌍의 슬릿(330)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330)에는 끼움편(350)이 각각 끼워지며; 상기 끼움편(350)은 'ㄴ' 형상의 부재이고, 수평면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록커관통공(352)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300)은 덮개편(340)에 의해 덮여 마감되되, 덮개편(340)에는 록커(200)가 이동할 수 있는 록커구멍(342)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20150139392A 2015-10-02 2015-10-02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626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92A KR101626610B1 (ko) 2015-10-02 2015-10-02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392A KR101626610B1 (ko) 2015-10-02 2015-10-02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610B1 true KR101626610B1 (ko) 2016-06-01

Family

ID=5613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392A KR101626610B1 (ko) 2015-10-02 2015-10-02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962B1 (ko) * 2020-06-02 2020-11-23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734B1 (ko) * 2008-03-22 2008-09-03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공동주택의 배전용 배선라인 체결구를 갖춘 배전장치
KR101329799B1 (ko) 2013-08-14 2013-11-15 주식회사 세명전기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734B1 (ko) * 2008-03-22 2008-09-03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공동주택의 배전용 배선라인 체결구를 갖춘 배전장치
KR101329799B1 (ko) 2013-08-14 2013-11-15 주식회사 세명전기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962B1 (ko) * 2020-06-02 2020-11-23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799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BRPI0808431A2 (pt) Sistema de supressão de fogo e sistema de anunciação de emergência
KR102316190B1 (ko)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316192B1 (ko)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1715252B1 (ko) 공동주택 실내 전기공급 배전단자
US8791362B2 (en) Shutter do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panel
KR101352073B1 (ko) 지하에 매설되는 배전용 지중전선 연결관
KR20160005480A (ko) 수배전반의 도어 개폐장치
KR101626610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2339920B1 (ko) 화재 소화 모듈과 연동하는 배전선로 수배전반 제어 방법
KR101775793B1 (ko) 전기설비함의 방열공 자동닫힘장치
RU178576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078631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KR20200131493A (ko) 케이블용 소화장치
KR101190175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638937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559832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장치
JP6154723B2 (ja) 消火栓装置
KR101824868B1 (ko)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101544525B1 (ko)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KR101625085B1 (ko) 공동주택의 배전선 이탈방지 전용 위치고정식 고정구
KR101717157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KR20190064414A (ko) 제어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홀딩 장치를 구비한 가열 장치
KR101619339B1 (ko)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JP2007173151A (ja) 誘導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