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868B1 -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868B1
KR101824868B1 KR1020170071465A KR20170071465A KR101824868B1 KR 101824868 B1 KR101824868 B1 KR 101824868B1 KR 1020170071465 A KR1020170071465 A KR 1020170071465A KR 20170071465 A KR20170071465 A KR 20170071465A KR 101824868 B1 KR101824868 B1 KR 101824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fire door
pip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용
Original Assignee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07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는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일 단에는 일 단에는 간격을 두고 힌지부와 물 공급통로가 형성되며, 타 단방향에는 개폐작동을 위한 손잡이가 장착되고, 내부 동일선상에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방화문; 상기 외부 패널의 상부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상부 수평 소화부, 우측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우측 수직 소화부, 좌측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좌측 수직 소화부로 구성되는 소화수단; 외부에 위치하는 수관 또는 물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주 공급배관, 상기 주 공급배관에 일 단이 결합되고 반대 측에는 물 공급통로와 대응하는 배출관이 연결된 분배관, 상기 배출관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상부 수평 소화부와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 상기 배출관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우측 수직 소화부와 연결되는 우측면 연결관, 상기 배출관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좌측 수직 소화부에 연결되는 좌측면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물 공급수단; 상기 외부 패널의 이동통로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회전작동을 위하여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구가 장착되는 외부 비상문과 전면에 간격을 두고 손잡이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가압스프링이 장착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이 형성되는 내부 비상문으로 구성되는 비상문; 상기 내부 패널의 이동통로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하부 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며, 내부에는 화재발생시 사용되는 비상도구가 장착되는 하부 보관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는 화재발생시 방화문에 설치되는 소화수단을 통해 주변의 물을 소화시키면서도 비상문을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시간 대피시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Apartment house fire door structur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 방화문 주변의 불을 소화시키면서도 비상문을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화재발생시 연기와 열기의 침입 또는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방화문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현관이나 빌딩 사무실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한다.
한편, 방화문의 문틀은 화재에 강한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방화문의 어느 한쪽에 전달된 열기가 다른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내부에 단열부재가 채워진다.
그리고 일반적인 방화문은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문틀인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사각구조에서 일 측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삽입된 하나 이상의 힌지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방화문의 전·후면에는 돌출된 손잡이가 각각 설치되며, 전면 또는 후면의 일 측 가장자리에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힌지를 통해 회동된다.
즉, 상기 방화문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상기 방화문을 밀거나 당기면 상기 힌지가 결합되지 않은 타측 가장자리는 원거리로 회전되어 부채꼴형상으로 상기 방화문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일 예로 종래의 방화문을 살펴보면, 상기 방화문은 방화문의 정면을 형성하는 제1판재와 방화문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2판재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판재와 제2판재는 서로 맞물려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문은 어느 한편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접합부위를 통해 화재의 열기가 반대편으로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화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재가 방화문의 일측 편에서 일어나도 상당한 시간이 지나면 화재의 열기가 방화문의 반대편으로 전달되어 방화문의 반대편에 위치한 물질을 발화시킴에 따라 화재의 확산을 확실하게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852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811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방화문에 설치되는 소화수단을 통해 주변의 물을 소화시키면서도 비상문을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방화문에 장착되는 알림 수단을 통해 화재 발생시 내부의 상태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는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일 단에는 일 단에는 간격을 두고 힌지부와 물 공급통로가 형성되며, 타 단방향에는 개폐작동을 위한 손잡이가 장착되고, 내부 동일선상에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방화문; 상기 외부 패널의 상부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상부 수평 소화부, 우측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우측 수직 소화부, 좌측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좌측 수직 소화부로 구성되는 소화수단; 외부에 위치하는 수관 또는 물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주 공급배관, 상기 주 공급배관에 일 단이 결합되고 반대 측에는 물 공급통로와 대응하는 배출관이 연결된 분배관, 상기 배출관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상부 수평 소화부와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 상기 배출관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우측 수직 소화부와 연결되는 우측면 연결관, 상기 배출관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좌측 수직 소화부에 연결되는 좌측면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물 공급수단; 상기 외부 패널의 이동통로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회전작동을 위하여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구가 장착되는 외부 비상문과 전면에 간격을 두고 손잡이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가압스프링이 장착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이 형성되는 내부 비상문으로 구성되는 비상문; 상기 내부 패널의 이동통로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하부 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며, 내부에는 화재발생시 사용되는 비상도구가 장착되는 하부 보관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부 패널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온도 감지 센서와 상기 외부 패널에 장착되는 경보등 또는 알람 또는 경보등 및 알람과, 상기 내부 패널의 일 측에 장착되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한 설정 온도 이상 감지되면 상기 경보등 또는 알람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알림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패널 상부에는 소정구간 격자형상의 연통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통로의 후방에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 전달시 작동되는 전원부가 구비된 송풍기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는 화재발생시 방화문에 설치되는 소화수단을 통해 주변의 물을 소화시키면서도 비상문을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시간 대피시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는 방화문에 장착되는 알림 수단을 통해 화재 발생시 내부의 상태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을 대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구성하는 방화문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구성하는 물 공급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구성하는 비상문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구성하는 하부 보관함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구성하는 알림 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구성하는 방화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구성하는 물 공급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구성하는 비상문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구성하는 하부 보관함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구성하는 알림 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원발명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100)는 방화문(200), 소화수단(300), 물 공급수단(400), 비상문(500), 하부 보관함(600), 알림 수단(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화문(200)은 공동주택의 현관에 설치되고 내부와 외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화문(200)은 내부 패널(210)과 외부 패널(220)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일 단에는 간격을 두고 힌지부(230)와 물 공급통로(240)가 형성되며, 타 단방향에는 개폐작동을 위한 손잡이(250)가 장착되고, 내부 동일선상에는 이동통로(26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방화문(200)는 내부 패널(210)과 외부 패널(220)을 결합한 후, 일 단으로 회전작동을 위한 힌지부(230)와 소화수단(3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 공급통로(240)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내부 동일선상에는 비상문(500)의 장착을 위한 이동통로(26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화문(200)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화문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상기 이동통로(260)는 사람의 이동을 위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소화수단(300)은 방화문(200)의 외부 패널(22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수단(300)은 외부 패널(220)의 상부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340)이 구비된 상부 수평 소화부(310), 우측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340)이 구비된 우측 수직 소화부(320), 좌측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340)이 구비된 좌측 수직 소화부(3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소화수단(300)은 방화문(200)을 구성하는 외부 패널(220)의 상부에 상부 수평 소화부(310)를 장착하고, 우측에 수직방향으로 우측 수직 소화부(320)를 장착하며, 좌측에 수직방향으로 좌측 수직 소화부(330)를 장착하여, 화재발생시 전방으로 물 공급수단(4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게 된다.
이를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상부 수평 소화부(310)는 내부 패널(2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우측 수직 소화부(320)는 내부 패널(210)에 " ㄱ "자 형상으로 장착되며, 상기 좌측 수직 소화부(330)는 내부 패널(210)에 " l "자 형상으로 장착되어, 상기 내부 패널(210)의 전방으로 물 공급수단(4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화부(310, 320, 330)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노즐(340)의 각도는 방화문(200)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물 공급수단(400)은 화재발생시 소화수단(3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 공급수단(400)은 자체 감지 센서 또는 외부 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 공급수단(400)은 외부에 위치하는 수관(410) 또는 물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주 공급배관(420), 상기 주 공급배관(420)에 일 단이 결합되고 반대 측에는 물 공급통로(240)와 대응하는 배출관(440)이 연결된 분배관(430), 상기 배출관(440)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상부 수평 소화부(310)와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450), 상기 배출관(440)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우측 수직 소화부(320)와 연결되는 우측면 연결관(460), 상기 배출관(440)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좌측 수직 소화부(330)에 연결되는 좌측면 연결관(47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물 공급수단(400)은 수관(410)에 또는 물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주 공급배관(420)을 통해 방화문(200)의 근처까지 공급한 후, 상기 분배관(430)을 통해 분배한 다음, 상기 배출관(440)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수평 소화부(310), 우측 수직 소화부(320), 좌측 수직 소화부(330)와 연결된 상부 연결관(450), 우측면 연결관(460), 좌측면 연결관(47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배관(430)과 연결관(450, 460, 470)을 연결하는 배출관(440)은 방화문(200)의 회전작동시 대응할 수 있도록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440)이 외부에는 상기 방화문(200)의 회전작동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 커버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비상문(500)은 방화문(200)의 이동통로(260)에 장착된다.
즉, 상기 비상문(500)은 내부 패널(210)의 이동통로(260)에 장착되어 화재발생시 개방되어 비상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문(500)은 상기 외부 패널(220)의 이동통로(260)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회전작동을 위하여 힌지부(52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구(524)가 장착되는 외부 비상문(520)과, 전면에 간격을 두고 손잡이 장착홈(54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가압스프링(544)이 장착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546)이 형성되는 내부 비상문(54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비상문(500)은 외부 패널(220)의 이동통로(260)에 외부 비상문(520)을 장착하고, 내부 패널(210)의 이동통로(260)에 내부 비상문(540)을 장착하여, 화재발생시 상기 내부 비상문(540)은 이통통로(260)에 분리되고, 외부 비상문(520)은 내부를 향해 회전작동시켜 이동통로(260)를 개방하게 된다.
이를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외부 비상문(520)은 상부에 장착되는 고정구(524)를 제거 또는 분리하면, 상기 외부 비상문(520)은 자중에 의해 힌지부(522)를 중심으로 내부를 향해 회전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 비상문(540)은 손잡이 장착홈(542)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에 장착되는 가압 스프링(544)보다 강한 외력을 전달하면, 상기 내부 비상문(540)은 상부로 이동하면서 내부 패널(210)에 고정된 고정돌기(546)가 분리되어 상기 이동통로(260)에 내부 비상문(540)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 비상문(520)을 고정하는 고정구(524)는 공지된 고정핀이나 회전축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보관함(600)은 방화문(20)의 내부 패널(21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보관함(600)은 내부 패널(210)의 이동통로(260)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하부 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며, 내부에는 화재발생시 사용되는 비상도구가 장착된다.
즉, 상기 하부 보관함(600)은 하부에 장착되는 힌지부(620)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작동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장갑, 마스크, 손수건을 통해 화재발생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보관함(600)의 상부나 측면에는 내부 패널(2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이 구비된 고정판(640) 장착된다.
상기 알림 수단(700)은 방화문(200)에 장착되는 화재발생시 외부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알림 수단(700)은 내부 패널(210)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온도 감지 센서(720)와 상기 외부 패널(220)에 장착되는 경보등(740) 또는 알람 또는 경보등(740) 및 알람과, 상기 내부 패널(210)의 일 측에 장착되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720)를 통한 설정 온도 이상 감지되면 상기 경보등(740) 또는 알람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7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알림 수단(700)은 온도 감지 센서(720)를 통해 내부 실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760)를 통한 설정 값의 온도보다 높으면 이를 판단하여, 상기 경보등(740)과 알람을 작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패널(210)의 상부에는 소정구간 격자형상의 연통통로(270)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통로(270)의 후방에는 상기 제어부(760)의 신호 전달시 작동되는 전원부가 구비된 송풍기(78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패널(210)의 상부에는 알림 수단(700)을 구성하는 제어부(760)를 통해 신호 전달시 방화문(200)으로 전달되는 공기를 내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송풍기(78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780)를 회전작동시키는 전원부는 공지된 배터리 이외에도 상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부 패널(210)과 외부 패널(220)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일 단에는 간격을 두고 힌지부(230)와 물 공급통로(240)가 형성되며, 타 단방향에는 개폐작동을 위한 손잡이(250)가 장착되고, 내부 동일선상에는 이동통로(260)가 형성되는 방화문(20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방화문(200)으로 외부 패널(220)의 상부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340)이 구비된 상부 수평 소화부(310), 우측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340)이 구비된 우측 수직 소화부(320), 좌측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340)이 구비된 좌측 수직 소화부(330)로 구성되는 소화수단(3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화문(200)과 간격을 두고 외부에 위치하는 수관(410) 또는 물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주 공급배관(420), 상기 주 공급배관(420)에 일 단이 결합되고 반대 측에는 물 공급통로(240)와 대응하는 배출관(440)이 연결된 분배관(430), 상기 배출관(440)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상부 수평 소화부(310)와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450), 상기 배출관(440)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우측 수직 소화부(320)와 연결되는 우측면 연결관(460), 상기 배출관(440)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좌측 수직 소화부(330)에 연결되는 좌측면 연결관(470)으로 구성되는 물 공급수단(4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패널(220)의 이동통로(260)로 하부에 회전작동을 위하여 힌지부(52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구(524)가 장착되는 외부 비상문(520)과, 전면에 간격을 두고 손잡이 장착홈(54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가압스프링(544)이 장착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546)이 형성되는 내부 비상문(540)으로 구성되는 비상문(5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패널(210)의 이동통로(260)와 간격을 두고 하부 방향으로 회전작동되고 내부에는 화재발생시 사용되는 비상도구가 장착되는 하부 보관함(6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방화문(200)으로 내부 패널(210)에 간격을 온도 감지 센서(720)와 상기 외부 패널(220)에 장착되는 경보등(740) 또는 알람 또는 경보등(740) 및 알람과, 상기 내부 패널(210)의 일 측에 장착되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720)를 통한 설정 온도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등(740) 또는 알람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760)로 구성되는 알림 수단(700)을 장착하면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상기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100)의 방화문(200)은 일반 방화문과 같이 내부와 외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이후, 사무실이나 집안으로 내부로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알람 수단(700)은 온도 감지 센서(720)를 통해 내부 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제어부(76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760)는 전달된 신호 값과 설정 값을 바탕으로 내부의 화재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60)는 물 공급수단(400)에 물 공급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물 공급수단(400)은 수관(410)에 또는 물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주 공급배관(420)을 통해 방화문(200)의 근처까지 공급한 후, 상기 분배관(430)을 통해 분배한 다음, 상기 배출관(440)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수평 소화부(310), 우측 수직 소화부(320), 좌측 수직 소화부(330)와 연결된 상부 연결관(450), 우측면 연결관(460), 좌측면 연결관(47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수단(300)은 상부 수평 소화부(310), 우측 수직 소화부(320), 좌측 수직 소화부(330)를 통해 상기 물 공급수단(400)에서 공급되는 물을 전방에 분사하게 된다.
다음으로, 내부자는 상기 방화문(20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보관함(600)을 개방하여 손수건, 장갑 등을 인출한 후 화재 대피를 준비하게 된다.
이후, 내부자가 외부로 탈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 패널(210)에 장착되는 내부 비상문(540)을 제거한 후 상기 외부 패널(220)에 장착되는 외부 비상문(520)을 회전작동시 이통통로(260)을 확보한 후 외부로 탈출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는 화재발생시 일정 시간 방화문의 전방 부분을 소화를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자를 외부로 빠르게 외부로 대피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200 : 방화문
210 : 내부 패널 220 : 외부 패널
230 : 힌지부 240 : 물 공급통로
250 : 손잡이 260 : 이동통로
300 : 소화수단 310 : 상부 수평 소화부
320 : 우측 수직 소화부 330 : 좌측 수직 소화부
340 : 노즐 400 : 물 공급수단
410 : 수관 또는 물 저장탱크 420 : 주 공급배관
430 : 분배관 440 : 배출관
450 : 상부 연결관 460 : 우측면 연결관
470 : 좌측면 연결관 500 : 비상문
520 : 외부 비상문 522 : 힌지부
524 : 고정구 540 : 내부 비상문
542 : 손잡이 장착홈 544 : 가압스프링
546 : 고정돌기 600 : 하부 보관함
620 : 힌지구 640 : 고정판
700 : 알림 수단 720 : 온도 감지 센서
740 : 경보등 760 : 제어부
780 : 송풍기

Claims (3)

  1. 공동주택의 현관에 설치되는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에 있어서,
    내부 패널(210)과 외부 패널(220)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일 단에는 일 단에는 간격을 두고 힌지부(230)와 물 공급통로(240)가 형성되며, 타 단방향에는 개폐작동을 위한 손잡이(250)가 장착되고, 내부 동일선상에는 이동통로(260)가 형성되는 방화문(200);
    상기 외부 패널(220)의 상부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340)이 구비된 상부 수평 소화부(310), 우측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340)이 구비된 우측 수직 소화부(320), 좌측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노즐(340)이 구비된 좌측 수직 소화부(330)로 구성되는 소화수단(300);
    외부에 위치하는 수관(410) 또는 물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주 공급배관(420), 상기 주 공급배관(420)에 일 단이 결합되고 반대 측에는 물 공급통로(240)와 대응하는 배출관(440)이 연결된 분배관(430), 상기 배출관(440)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상부 수평 소화부(310)와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450), 상기 배출관(440)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우측 수직 소화부(320)와 연결되는 우측면 연결관(460), 상기 배출관(440)에 일 측이 연결되고 반대 측은 좌측 수직 소화부(330)에 연결되는 좌측면 연결관(470)으로 구성되는 물 공급수단(400);
    상기 외부 패널(220)의 이동통로(260)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회전작동을 위하여 힌지부(52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구(524)가 장착되는 외부 비상문(520)과 전면에 간격을 두고 손잡이 장착홈(54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가압스프링(544)이 장착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546)이 형성되는 내부 비상문(540)으로 구성되는 비상문(500);
    상기 내부 패널(210)의 이동통로(260)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하부 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며, 내부에는 화재발생시 사용되는 비상도구가 장착되는 하부 보관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패널(210)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온도 감지 센서(720)와 상기 외부 패널(220)에 장착되는 경보등(740) 또는 알람 또는 경보등(740) 및 알람과, 상기 내부 패널(210)의 일 측에 장착되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720)를 통한 설정 온도 이상 감지되면 상기 경보등(740) 또는 알람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760)로 구성되는 알림 수단(7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 패널(210)의 상부에는 소정구간 격자형상의 연통통로(270)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통로(270)의 후방에는 상기 제어부(760)의 신호 전달시 작동되는 전원부가 구비된 송풍기(780)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70071465A 2017-06-08 2017-06-08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10182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465A KR101824868B1 (ko) 2017-06-08 2017-06-08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465A KR101824868B1 (ko) 2017-06-08 2017-06-08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868B1 true KR101824868B1 (ko) 2018-02-02

Family

ID=6122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465A KR101824868B1 (ko) 2017-06-08 2017-06-08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8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8086A (zh) * 2018-11-19 2019-03-29 江苏峰汇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消防门
CN110778258A (zh) * 2019-11-27 2020-02-11 南京瑟路绅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逃生疏散功能的超大防火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035B1 (ko) * 2005-05-03 2005-11-09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KR101163079B1 (ko) * 2008-11-05 2012-07-20 손기택 비상탈출용 방화문
KR101382469B1 (ko) * 2012-09-06 2014-04-10 박동수 안전 방화문
KR101714738B1 (ko) * 2016-04-26 2017-03-09 (주)한동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035B1 (ko) * 2005-05-03 2005-11-09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KR101163079B1 (ko) * 2008-11-05 2012-07-20 손기택 비상탈출용 방화문
KR101382469B1 (ko) * 2012-09-06 2014-04-10 박동수 안전 방화문
KR101714738B1 (ko) * 2016-04-26 2017-03-09 (주)한동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8086A (zh) * 2018-11-19 2019-03-29 江苏峰汇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消防门
CN110778258A (zh) * 2019-11-27 2020-02-11 南京瑟路绅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逃生疏散功能的超大防火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013B1 (ko) 발포 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화문
KR101658935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US10870027B2 (en) Structurally-installed access device for accepting connection by a fire hose nozzle to introduce firefighting fluid into an enclosed space of a structure
KR101824868B1 (ko)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101585378B1 (ko)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KR101718326B1 (ko)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101943334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168552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CN106703642A (zh) 一种多重防火门
KR101794327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KR101669808B1 (ko) 공동주택의 화염확산 방지를 위한 밀폐식 제연도어
KR101730106B1 (ko) 공동주택의 소방기능을 갖춘 창호장치
KR101714738B1 (ko)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20200092619A (ko)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KR200185266Y1 (ko)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JP2022060304A (ja) 防音室の火災対策構造
KR102349379B1 (ko)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
KR101886162B1 (ko) 매립형 스프링클러
KR20200124393A (ko)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KR200497704Y1 (ko)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KR102299570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무선시스템
KR200363470Y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의 화재 감지 및 대피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