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162B1 - 매립형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매립형 스프링클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162B1
KR101886162B1 KR1020170078372A KR20170078372A KR101886162B1 KR 101886162 B1 KR101886162 B1 KR 101886162B1 KR 1020170078372 A KR1020170078372 A KR 1020170078372A KR 20170078372 A KR20170078372 A KR 20170078372A KR 101886162 B1 KR101886162 B1 KR 10188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re
ceiling
rotating piece
j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민영
정지형
강승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이엔씨
진민영
정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이엔씨, 진민영, 정지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07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05B1/26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천장과 천장마감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건물에 설치된 소화용수관과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 또는 축소되고 상기 천장마감재로부터 돌출되면 소화용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마련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용수를 흩뿌리는 비산부 및 상기 천장마감재로부터 분사부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스프링클러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천장에 완전히 매립되고, 화재 발생시 천장으로부터 스프링클러가 자동 돌출되면서 소화용수가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립형 스프링클러{Buried type sprinkler}
본 발명은 소방용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 내의 천장면이나 벽면에 설치되고, 일단(一端)에 급수원(給水源)으로 연결된 배관과 접속 가능한 노즐(nozzle)을 구비하고, 타단(他端)에는 감열작동부(感熱作動部)가 설치되어 있다. 평상 시에 있어서 감열작동부는 노즐을 폐쇄하는 밸브체(valve體)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일례로서, 천장면이나 벽면에 매립된 상태에서 설치되고, 스프링클러 헤드를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로 덮어서 숨긴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concealed型 sprinkler head)가 있다.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의장성(意匠性)이 우수한 스프링클러 헤드로서 사용되고 있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급수배관(給水配管)과 접속되는 본체의 외부에 통부재(筒部材)가 설치되어 있고, 통부재의 내부에 체결공구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구의 결합부는, 보호캡을 통부재에 부착한 상태에서 체결공구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보호캡을 떼어내지 않고 체결공구와 결합할 수 있고, 보호캡이 부착되어 있는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에 체결공구를 결합시켜서 급수배관에 나사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천장마감재에 고루 분포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급수배관의 배치가 복잡한데다 배관이 길어져서 수압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급수배관의 설치가 복잡해지면 천장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배관 및 전선들의 배치 또한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천장마감재에 고루 분포되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는 문제도 발생한다.
국제공개 제2011/05838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천장에 완전히 매립되고, 화재 발생시 천장으로부터 스프링클러가 자동 돌출되어 소화용수가 건물의 벽 쪽에서 실내로 분사되며, 소화용수를 전방으로 더욱 멀리 분사할 수 있는 매립형 스프링클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천장과 천장마감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건물에 설치된 소화용수관과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 또는 축소되고 상기 천장마감재로부터 돌출되면 소화용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마련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용수를 흩뿌리는 비산부 및 상기 천장마감재로부터 분사부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스프링클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분사부가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분사부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의 끝단에 설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와 상기 잠금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되 화재 발생시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커버부와 상기 잠금부를 분리시키는 감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감열부는,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를 상기 건물의 벽면 또는 상기 천장에 고정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의 내부에 상기 본체와 상기 분사부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을 개폐하는 볼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볼 밸브는,
상기 비산부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밸브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클러를 천장마감재에 완전히 매립할 수 있고, 화재 발생시 돌출되면서 소화용수를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소화용수를 측 방향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스프링클러를 건물의 벽 쪽에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소화용수관의 길이를 줄이면서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수압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깔끔한 천장마감재의 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에 의해서 소화용수를 전방으로 더욱 멀리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오작동으로 인해 스프링클러가 작동되면 볼 밸브를 회전시켜서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멈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에서 커버부 및 감열부를 생략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에서 감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는, 본체(1), 분사부(2), 비산부(3) 및 커버부(4)를 포함한다. 여기에, 스토퍼(5), 잠금부(6), 감열부(7), 브래킷(8) 및 개폐밸브(9)를 더 포함한다.
본체(1)는, 대략 "ㄱ" 모양의 파이프 형태로, 건물의 천장(미도시)과 천장마감재(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에는 소화용수관(P)과 연결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배출구(12)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는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13)가 본체(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가이드(13)의 상단 일부분이 본체(1)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가이드(13)는, 내측면 중간 부분에 후술할 스토퍼(5)가 끼워지도록 결합홈(131)이 각각 형성되고, 하단에 후술할 잠금부(6)의 제2힌지부(61)에 대응하는 제1힌지부(14)가 마련된다.
분사부(2)는, 본체(1)의 하단에 끼워져 본체(1)로부터 배출되는 소화용수를 분사하는 것으로, 대략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단 둘레에 소화용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22)이 마련된다. 이때, 분사부(2)와 본체(1)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분사부(2)와 본체(1) 사이는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2)는 상단둘레에 걸림편(23)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고, 양측 둘레에 본체(1)의 가이드(13)에 대응하는 안내홈(21)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분사부(2)는 본체(1)의 가이드(13)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비산부(3)는, 분사노즐(22)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용수를 흩뿌리는 것으로, 프레임(31), 결합축(32), 확산판(33) 및 반사판(34)을 포함한다.
프레임(31)은, 대략 평면의 형상이 "U"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분사노즐(22)의 둘레에 끼워져 배치된다.
결합축(32)은, 대략 환봉 형태로, 프레임(31)이 분사노즐(22)의 둘레에 배치된 상태에서 프레임(31) 및 분사노즐(22)을 관통하여 끼워지되 프레임(31)을 분사노즐(22)에 고정한다.
확산판(33)은, 분사노즐(22)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용수를 확산시키는 것으로,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되 둘레에 요철이 형성되고, 후면이 프레임(31)의 전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분사노즐(22)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용수는 확산판(33)에 부딪쳐 방사상으로 비산된다. 여기서, 확산판(33)은 주지 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사판(34)은, 확산판(33)에 부딪쳐 산개하는 소화용수를 전방으로 더욱 멀리 이동시키는 것으로, 대략 직사각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확산판(33)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되 한 쌍의 폴대에 의해서 프레임(31)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분사노즐(22)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용수가 반사판(34)에 부딪혀서 소화용수가 전방으로 더욱 멀리까지 분사된다.
커버부(4)는, 스프링클러가 천장마감재로부터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대략 직사각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천장마감재의 천공(미도시)된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커버부(4)는 상면에 프레임(31)이 쳐지지 않도록 프레임(31)을 떠받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편(41)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지지편(41)의 후방에 결합편(42)이 돌출형성된다. 이때, 결합편(42)에는 후술할 감열부(7)에 대응하는 제1결합공(421)이 전후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상술한 천장마감재의 천공은 스프링클러가 설치되기 위한 자명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술한 천공은 커버부(4)의 크기에 대응한다.
여기서, 커버부(4)는 후술할 감열부(7)로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바닥면에 결합편(42)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5)는, 본체(1)로부터 분사부(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대략 링 모양으로 형성되되 반 고리형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양 끝단이 결합홈(131)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스토퍼(5)는 본체(1)에 분사부(2)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홈(131)에 설치한다.
이에 따라, 본체(1)로부터 분사부(2)가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분사부(2)의 걸림편(23)이 스토퍼(5)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된다.
잠금부(6)는, 본체(1)에 분사부(2)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것으로, 제1회전편(62), 제2회전편(63), 제2힌지부(61) 및 힌지축(64)을 포함한다.
제1회전편(62)은, 일단에 제1힌지부(14)에 대응하는 제2힌지부(61)가 마련되고, 타단은 대략 쐐기 모양으로 형성되며, 본체(1)의 좌측 가이드(13)의 하단에 마련된 제1힌지부(14)와 결합하되 힌지축(64)에 의해 제1힌지부(14)와 제2힌지부(61)가 결합한다.
이에 따라, 제1회전편(62)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회전편(63)은, 일단에 제1힌지부(14)에 대응하는 제2힌지부(61)가 마련되고, 타단은 제1회전편(62)의 타단과 대칭되 모양으로 형성되며, 본체(1)의 우측 가이드(13)의 하단에 마련된 제1힌지부(14)와 결합하되 힌지축(64)에 의해 제1힌지부(14)와 제2힌지부(61)가 결합한다. 이에 따라, 제1회전편(62)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편(63)은 제1회전편(62)보다 길게 형성되며, 타단 부분에 후술할 감열부(7)에 대응하는 제2결합공(631)이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감열부(7)는, 커버부(4)와 잠금부(6)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대략 밀폐된 원통형의 감열몸체(71) 내부에 열에 반응하는 반응물질(72)이 채워지며, 제1결합공(421) 및 제2결합공(631)에 끼워진다. 즉, 제2회전편(63)이 회전하여 분사부(2)의 하단에 밀착된 후 제1회전편(62)이 회전하여 분사부(2)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감열부(7)를 제1결합공(421) 및 제2결합공(631)에 끼우면 커버부(4)가 잠금부(6)에 고정된다.
여기서, 감열몸체(71)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고, 반응물질(72)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쉽게 팽창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열부(7)가 열에 노출되어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반응물질(72)이 팽창하고, 반응물질(72)이 팽창함으로써 감열몸체(71)가 파손되어 커버부(4)와 잠금부(6)가 서로 분리된다.
상술한 감열부(7)는 주지 또는 공지된 감열체(Glass Bulb)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브래킷(8)은, 본체(1)를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하는 것으로, 대략 좌측면의 형상이 "ㄱ" 모양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본체(1)의 둘레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브래킷(8)을 통해 본체(1)를 천장 또는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소화용수 분사시 본체(1)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개폐밸브(9)는, 배출구(12)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면 일 영역은 절두된 반구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사부(2)의 하단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에 따라, 분사부(2)가 상부로 이동하면 개폐밸브(9)가 본체(1)의 배출구(12)를 막아 차단하고, 분사부(2)가 하부로 이동하면, 개폐밸브(9)가 분사부(2)와 함께 이동하면서 본체(1)의 배출구(12)가 자동으로 열린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는 볼 밸브(10) 및 작동수단(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볼 밸브(10)는, 분사노즐을 개폐하는 것으로, 분사노즐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술한 결합축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프레임, 결합축 및 볼 밸브(10)가 함께 회전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작동수단(20)은, 볼 밸브(1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레버(201) 및 당김줄(202)을 포함한다.
레버(201)는, 대략 바(bar) 형태로, 후방으로 돌출되되 프레임의 후단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레버(201)를 회전시키면 프레임, 결합축 및 볼 밸브(10)가 함께 회전한다.
당김줄(202)은, 레버(201)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레버(201)의 후단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커버부의 바닥에 놓여있다가 커버가 이탈하면 당김줄(202)이 내려오고, 당김줄(202)을 잡아당기면 레버(201)가 회전하면서 볼 밸브(10)가 회전하여 분사노즐이 차단된다. 이는 스프링클러가 오작동하면 당김줄(202)을 잡아당겨 분사노즐을 수동으로 차단함으로써, 분사된 소화용수로부터 실내의 가전이나 가구 및 집기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본체(1)와 분사부(2) 사이, 결합축(32)과 볼 밸브(10) 사이 및 분사노즐(22)과 결합축(32) 사이는 밀폐되고, 이에 따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밀폐구조는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스프링클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회전편(62) 및 제2회전편(63)이 분사부(2)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감열부(7)를 제1결합공(421) 및 제2결합공(631)에 끼워서 커버부(4)를 잠금부(6)에 고정한다.
이때, 제1회전편(62)과 제2회전편(63)은 커버부(4)의 바닥에 밀착된다.
더욱 상하게는, 제1회전편(62)의 타단이 제2회전편(63)의 타단을 구속하고 있고, 잠금부(6)에 의해 제2회전편(63)과 커버부(4)는 서로 고정돼 있는데, 제1회전편(62)이 커버부(4)와 밀착돼 있기 때문에 제2회전편(63)이 회전하기 전에는 제1회전편(62)이 회전할 수 없다. 게다가 제2회전편(63)은 제1회전편(62)에 구속돼 있어서 제2회전편(63)은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커버부(4)는 잠금부(6)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커버부(4)가 잠금부(6)에 고정되면, 지지편(41)이 프레임(31)을 받치고 있어서 비산부(3)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커버부(4)의 온도가 상승하고, 커버부(4)의 온도가 상승하면 감열부(7)의 온도 또한 상승한다.
감열부(7)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반응물질(72)이 팽창하고, 이로 인해 감열부(7)의 감열몸체(71)가 파손되어 전단된다. 따라서, 잠금부(6)로부터 커버부(4)가 떨어져 나간다.
커버부(4)가 떨어져 나간 후에는 수압에 의해서 분사부(2)가 하부로 이동하려 하고 이 힘에 의해서 제1회전편(62) 및 제2회전편(63)이 회전하면서 본체(1)의 양측으로 벌어진다.
제1회전편(62) 및 제2회전편(63)이 본체(1)의 양측으로 벌어지면 분사부(2)가 하부로 이동하여 천장마감재의 하부로 돌출된다.
분사부(2)가 하부로 이동하면, 본체(1)의 배출구(12)가 개방되어 소화용수가 분사노즐(22)을 통해 분사된다.
분사노즐(22)을 통해 분사된 소화용수는 확산판(33)에 부딪혀서 확산판(33) 주변으로 퍼져 나가고 소화용수의 일부는 반사판(34)에 부딪혀서 전방으로 더욱 멀리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만약,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감열부(7)가 파손되거나 초기 화재 진압이 매우 빠르게 진행된 경우에는 소화용수가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당김줄(202)을 잡아당겨서 분사노즐(22)을 차단한다. 왜냐하면, 소화용수가 계속해서 분사되면 실내에 비치된 가전, 가구 또는 사무기기 등이 소화용수로 인해서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를 벽 쪽에 배치함으로써, 소화용수관의 배치가 간소화되고,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 및 전선의 배치가 손쉬워지며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소화용수관의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분사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게다가, 수동으로 스프링클러를 차단할 수 있어서 소화용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본체
11; 유입구
12; 배출구
13; 가이드
131; 결합홈
14; 제1힌지부
2; 분사부
21; 안내홈
22; 분사노즐
23; 걸림편
3; 비산부
31; 프레임
32; 결합축
33; 확산판
34; 반사판
4; 커버부
41; 지지편
42; 결합편
421; 제1결합공
5; 스토퍼
6; 잠금부
61; 제2힌지부
62; 제1회전편
63; 제2회전편
631; 제2결합공
64; 힌지축
7; 감열부
71; 감열몸체
72; 반응물질
8; 브래킷
9; 개폐밸브
10; 볼 밸브
20; 작동수단
201; 레버
202; 당김줄
P; 소화용수관

Claims (11)

  1. 건물 천장과 천장마감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건물에 설치된 소화용수관과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 또는 축소되고 상기 천장마감재로부터 돌출되면 소화용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마련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용수를 흩뿌리는 비산부; 및
    상기 천장마감재로부터 분사부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산부는,
    양단이 상기 분사노즐의 둘레에 끼워져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이 분사노즐의 둘레에 배치된 상태에서 프레임 및 분사노즐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결합축;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용수를 확산시키는 확산판; 및
    상기 확산판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확산판에 부딪혀 산개하는 소화용수를 전방으로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서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분사부가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분사부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의 끝단에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잠금부는 제1회전편, 제2회전편, 제2힌지부 및 힌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편 및 제2회전편은 일단에 상기 본체의 좌, 우측 하단에 형성되는 제1힌지부에 대응하는 제2힌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편의 타단은 쐐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편의 타단은 상기 제1회전편의 타단과 대칭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편 및 제2회전편은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2회전편은 제1회전편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편의 타단 부분에는 제2결합공이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잠금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되 화재 발생시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커버부와 상기 잠금부를 분리시키는 감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열부는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파손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지지편의 후방에 결합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는 상기 감열부로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바닥면에 결합편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에는 상기 제2결합공과 대응하는 제1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관통된 제1, 2 결합공에 상기 감열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부가 잠금부에 고정되고,
    상기 분사노즐을 개폐하는 볼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 밸브는 상기 비산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볼 밸브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수단은 레버 및 당김줄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당김줄은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레버의 후단에 연결되며, 당김줄이 잡아 당겨질 경우 상기 레버가 회전하면서 볼 밸브가 연동 회전하여 상기 분사노즐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스프링클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상기 건물의 벽면 또는 상기 천장에 고정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스프링클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의 내부에 상기 본체와 상기 분사부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스프링클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078372A 2017-06-21 2017-06-21 매립형 스프링클러 KR10188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72A KR101886162B1 (ko) 2017-06-21 2017-06-21 매립형 스프링클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72A KR101886162B1 (ko) 2017-06-21 2017-06-21 매립형 스프링클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162B1 true KR101886162B1 (ko) 2018-09-06

Family

ID=6359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372A KR101886162B1 (ko) 2017-06-21 2017-06-21 매립형 스프링클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7994A (zh) * 2019-03-29 2019-06-28 花王生态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生态景观型竞技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712A (ja) * 2003-06-16 2005-01-13 Nohmi Bosai Ltd 消火設備
KR20100006171U (ko) *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알파티엔씨 헤드에 배수장치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KR20110018932A (ko) * 2011-01-19 2011-02-24 송준영 길이조절용 스프링클러헤드
WO2011058382A1 (en) 2009-11-16 2011-05-19 Groveley Detection Limited Detector heating and/or cooling
KR20120075655A (ko) * 2010-12-29 2012-07-09 김교연 매립형 스프링클러 헤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712A (ja) * 2003-06-16 2005-01-13 Nohmi Bosai Ltd 消火設備
KR20100006171U (ko) *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알파티엔씨 헤드에 배수장치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WO2011058382A1 (en) 2009-11-16 2011-05-19 Groveley Detection Limited Detector heating and/or cooling
KR20120075655A (ko) * 2010-12-29 2012-07-09 김교연 매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20110018932A (ko) * 2011-01-19 2011-02-24 송준영 길이조절용 스프링클러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7994A (zh) * 2019-03-29 2019-06-28 花王生态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生态景观型竞技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013B1 (ko) 발포 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화문
KR101658935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1287348B1 (ko)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KR20080114460A (ko) 패널형 소화장치
KR100709382B1 (ko) 소방용 관창
KR101886162B1 (ko) 매립형 스프링클러
KR101062239B1 (ko) 천정 부착 타입형 자동소화장치
KR10173887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CN109488177B (zh) 门栓自栓式防火门
KR101730108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의 연결장치
KR20110021450A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20160054366A (ko) 방화창 유니트
US956824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679708B1 (ko) 탈출이 용이한 소방용 완강기
KR20200115748A (ko)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KR200384962Y1 (ko) 스프링클러 헤드
US956231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635081B1 (ko) 스프링클러
KR100496416B1 (ko) 스프링클러 자동 작동장치
KR20050079609A (ko) 제연기능성 방화문
KR100679670B1 (ko)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소화장치
KR102328691B1 (ko) 자동으로 전개되는 화재 진압 스프링클러
KR20140141318A (ko) 스프링클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