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748A -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 Google Patents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748A
KR20200115748A KR1020190033670A KR20190033670A KR20200115748A KR 20200115748 A KR20200115748 A KR 20200115748A KR 1020190033670 A KR1020190033670 A KR 1020190033670A KR 20190033670 A KR20190033670 A KR 20190033670A KR 20200115748 A KR20200115748 A KR 20200115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ipe
coupled
flow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551B1 (ko
Inventor
최영표
Original Assignee
최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표 filed Critical 최영표
Priority to KR1020190033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55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5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05B1/26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05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joints with cut-off devices which can be perfo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에 따른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단이 상기 연장부 타단에 결합되고 하부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제 1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와, 상기 삽입홀에 결합되고 플렉시블하게 절곡가능한 다수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 및 상기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단이 상기 연장부 타단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절곡지게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 및 상기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는 제 1 플로우관과,일단이 상기 제 1 플로우관 타단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절곡지게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플로우관과, 상기 제 2플로우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제 2 플로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 및 상기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열을 감지하는 감열부와 스프링클러 및 디플렉터를 분리시켜 화재구역에 물을 고르게 분사시킬 수 있고, 부가적으로 배관의 길이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OPEN TYPE DRY SPRINKLER HEAD}
본 개시내용은 스프링클러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슬라브와 천장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벽면으로부터 노출되게 설치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살수분포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화재 발생시 정상적으로 살수분포할 수 있도록 한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소화설비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건축물의 상부, 즉 천정, 벽 부분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에 의한 소화감지와 동시에 펌프의 기동 및 경보를 발하게 되며 압력이 가해져 있는 물이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방출되어 초기에 소화하는 설비이다.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는 거감열부의 유무에 따라 개방형과 폐쇄형으로 나누어지는데, 폐쇄형은 이융성 물질로 된 열감지 장치가 분해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서 퓨지블링형(Fusible link type), 메탈 피스형(Metal piece type), 글라스 벌브형(Glass bulb type) 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동파방지용 스프링클러(제 10-120062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급수원과 연결되는 배관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와 일단부가 상기 어댑터의 다른 일단부에 결합되는 중공관 형태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다른 일단부에 연결되며, 온도 변화에 의해 이동하거나 분해되어 물의 유출을 제어하는 밸브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상기 연결관 내부에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밸브체의 작동과 연동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일단부에 상기 어댑터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가 상기 밸브체에 밀착하도록 설치된 피스톤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동파방지용 스프링클러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다만, 종래 기술의 경우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후 주변에 있는 장애물(베란다 천정에 설치되는 빨래건조대, 덕트 배관, 가스배관) 등으로 인해 화재 발생시 정상적인 살수분포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200621호
본 개시내용에 따른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는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후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살수분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단이 상기 연장부 타단에 결합되고 하부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제 1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와, 상기 삽입홀에 결합되고 플렉시블하게 절곡가능한 다수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 및 상기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단이 상기 연장부 타단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절곡지게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 및 상기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는 제 1 플로우관와, 일단이 상기 제 1 플로우관 타단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절곡지게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플로우관과, 상기 제 2플로우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제 2 플로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 및 상기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밀폐부는,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된 액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부는 모서리가 깍인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는 액체유입방지부와, 상기 액체유입방지부와 상기 하우징이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1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 내에 배치되고 일단에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연결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은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내부를 통과하며, 끝단에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관의 내부통로에서 상기 내관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와 상기 내관의 결합부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감열부는 상기 제 1 연결부 끝단 및 상기 홀더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2, 3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연결부와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 내에 배치되고 일단에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연결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은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내부를 통과하며, 끝단에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관의 내부통로에서 상기 내관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와 상기 내관의 결합부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감열부는 상기 연결부 끝단 및 상기 홀더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밀폐부, 제 1 플로우관, 연결부 및 제 2 플로우관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연결되는 제 3 플로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플로우관은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끝단에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 3 플로우관의 내부통로에서 상기 제 3 플로우관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와 상기 제 3 플로우관의 결합부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감열부는 상기 제 2 플로우관 끝단 및 상기 홀더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1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관 끝단과 끼움결합되는 제 1 관과, 상기 제 1 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단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관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 홀더의 단턱이 상기 제 1관의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 2 연결부 끝단에는 상기 살수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가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2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관 끝단과 끼움결합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관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관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 홀더의 단턱이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회전관 끝단에는 상기 살수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가 상기 연결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3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관 끝단과 끼움결합되는 제 1 관과, 상기 제 1 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단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관과, 상기 제 2 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향 절곡지게 형성되는 제 3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관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 홀더의 단턱이 상기 제 1관의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 3 관 끝단에는 상기 살수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가 상기 연결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 1 플로우관의 타단과 끼움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 2 플로우관이 끼움결합되는 제 1 관과, 상기 제 1 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단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관과, 상기 제 2 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향 절곡지게 형성되는 제 3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로우관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플로우관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 홀더의 단턱이 상기 제 2 플로우관의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 4 관 끝단에는 상기 살수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된 액체가 상기 연결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1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열부는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제 1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감열부가 외부로 분리될 때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밀려나면서 상기 밀폐부가 개방되며 상기 외관 및 내관 내부를 따라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2, 3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열부는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감열부가 외부로 분리될 때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밀려나면서 상기 밀폐부가 개방되며 상기 외관 및 내관 내부를 따라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열부는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제 2 플로우관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감열부가 외부로 분리될 때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밀려나면서 상기 밀폐부가 개방되며 상기 제 1 플로우관, 제 2 플로우관 및 제 3 플로우관 내부를 따라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1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살수부는, 상기 연장부,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액체분사부와, 상기 액체분사부 상단에 결합되어 분사되는 액체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디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2, 3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살수부는, 상기 연장부와 연결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액체분사부와, 상기 액체분사부 상단에 결합되어 분사되는 액체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디플렉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살수부는, 상기 제 1 플로우관, 제 2 플로우관, 제 3 플로우관 및 연결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액체분사부와, 상기 액체분사부 상단에 결합되어 분사되는 액체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디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열을 감지하는 감열부와 스프링클러 및 디플렉터를 분리시켜 화재구역에 물을 고르게 분사시킬 수 있고, 부가적으로 배관의 길이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내용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의 살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제 1 실시예의 전체적인 도면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제 2 실시예의 전체적인 도면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제 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제 3 실시예의 전체적인 도면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제 3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의 전체적인 도면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의 단면도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본 개시내용에 따른 권리 범위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성되는", "형성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편의상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의 살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제 1 실시예의 전체적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제 2 실시예의 전체적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제 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제 3 실시예의 전체적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제 3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의 전체적인 도면이고,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제 4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1)가 건물 등의 천정(2)에 설치된 형태가 개시되는데,
천정(2)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 스프링클러의 살수부로부터 액체가 분사되어 화재가 발생한 구역으로 정상적으로 살수됨으로써 화재 진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 분사되는 액체가 도 1과 같이 장애물에 닿아 정상적으로 살수되지 못하고, 화재 진압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살수부(170, 270, 370, 470)와 감열부(160, 260, 360, 460)를 분리시키는 구조를 제시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에 따른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100)의 제 1 실시예가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100)는 건물 등의 천정(2)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110)에 결합되는 밀폐부(120)와, 일단이 밀폐부(120)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130)와, 일단이 연장부(130) 타단에 결합되고 하부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1 연결부(140)와, 제 1 연결부(140)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제 1 연결부(140)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160)와, 삽입홀에 결합되고 다수의 절곡부(180)가 형성되는 제 2 연결부(150) 및 제 2 연결부(150)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17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과 같이 밀폐부(120)는 일단이 외부의 급수장치(110)와 연결되며,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10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연장부(130) 내부로 액체의 침투를 방지하는 구성이다.
밀폐부(120)는 급수장치(110)로부터 공급된 소화액 등의 액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121)과, 상부는 모서리가 깍인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21)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는 액체유입방지부(122)와, 액체유입방지부(122)와 하우징(121)이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는 밀착부(123)를 포함한다.
하우징(121)의 외경에는 도 2, 3과 같이 급수장치(110)의 파이프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액체유입방지부(122)와 하우징(121)이 맞닿는 부분에는 밀착부(123)가 형성되어,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10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액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착부(123)는 오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리콘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연장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1) 및 제 1 연결부(140)와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외관(131)과, 외관(131) 내에 배치되고 일단에 액체유입방지부(122)가 연결되는 내관(132)을 포함한다.
도면상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관(131) 및 내관(132)은 천정(2)의 구조 및 배치에 따라 길이가 짧거나 긴 관으로 변경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내관(132)은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제 1 연결부(140) 내부를 통과하며, 끝단에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내관(132)의 내부통로에서 내관(132)을 지지하는 홀더(13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133)는 감열부(16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끝단에 끼움부가 형성되고 홀더(133)와 내관(132)의 결합부에는 단턱(134)이 형성되며, 감열부(160)는 제 1 연결부(140) 끝단 및 홀더(133)에 각각 끼움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연결부(140)는, 연장부(130)의 외관(131) 끝단과 끼움결합되는 제 1 관(141)과, 제 1 관(141)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단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관(142)을 포함한다.
이 때, 제 1 관(141)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144)가 형성되며, 감열부(160)가 분리되면서 내관(132)이 전진하게 되면 내관(132) 끝에 결합된 홀더(133)의 단턱(134)이 제 1 관(141)의 돌출부(144)와 접촉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4와 같이 감열부(160)가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게 되면, 제 1 연결부(140)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홀더(133)의 단턱(134)이 제 1관(141)의 돌출부(144)와 접촉하여 액체가 감열부(160)가 분리된 부분으로 분출되지 않도록 밀폐한다.
또한, 제 2 관(142) 하단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제 2 연결부(150)가 결합되는데, 제 2 연결부(150)는 유연한 재질의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절곡부(180)를 포함할 수 있어, 플렉시블(Flexible)하게 절곡가능하여 천정(2)의 형상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액체 분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150) 끝단에는 살수부(170)가 나사 결합되어 연장부(130)를 통해 공급된 액체가 제 1 연결부(140) 및 제 2 연결부(150)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으로 감열부(160)가 열을 감지하면서 외부로 분리되게 되면, 급수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액체유입방지부(122)가 밀려나게 되고, 이에 따라 밀폐부(120)가 개방되면서 외관(131), 내관(132), 제 1관(141), 제 2관(142) 및 제 2 연결부(150) 내부를 따라 액체가 공급되게 되며,
이 때, 살수부(170)는 제 2 연결부 끝단에 나사결합되고 액체분사관이 노출된 형태의 액체분사부(171)와 액체분사부(171) 상단에 결합되어 분사되는 액체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디플렉터(172)로 구성되며,
도 4와 같이 감열부(160)가 외부로 분리되면 액체분사부(171)는 연장부(130), 제 1 연결부(140) 및 제 2 연결부(150)를 통해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한다. 외부로 분사되는 액체는 디플렉터(172)에 부딪히면서 상방으로 분사되지 않고 하방으로 분사되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감열부(160)는 제 1 연결부(140)의 끝단에, 액체분사부(171) 및 디플렉터(172)는 제 2 연결부(150) 끝단에 분리배치시킴으로써 천정(2) 근처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액체 분사가 제한되지 않고 원활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에 따른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200)의 제 2 실시예가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200)는 건물 등의 천정(2)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210)에 결합되는 밀폐부(220)와, 일단이 밀폐부(220)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230)와, 연장부(230) 타단에 결합되고 연장부(230)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연결부(240)와, 연결부(240)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연결부(240)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260) 및 연결부(240)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270)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220) 구성은 도 5 및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연장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1) 및 연결부(240)와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외관(231)과, 외관(231) 내에 배치되고 일단에 액체유입방지부(222)가 연결되는 내관(232)을 포함한다.
도면상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관(231) 및 내관(232)은 천정(2)의 구조 및 배치에 따라 길이가 짧거나 긴 관으로 변경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내관(232)은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연결부(240) 내부를 통과하며, 끝단에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내관(232)의 내부통로에서 내관(232)을 지지하는 홀더(23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233)는 감열부(26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끝단에 끼움부가 형성되고 홀더(233)와 내관(232)의 결합부에는 단턱(234)이 형성되며, 감열부(260)는 연결부(240) 끝단 및 홀더(233)에 각각 끼움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240)는 연장부(230)의 외관(231) 끝단과 끼움결합되는 수평관(241)과, 상기 수평관(24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관(242)을 포함한다.
이 때, 수평관(241)과 수평관(241) 끝단에 결합된 감열부(260)는 고정되며, 연장부(230)를 축으로하여 회전관(242)을 회전시킬 수 있고, 건물의 천정(2)의 형태 및 배치에 따라 살수부(270)로부터 분사되는 액체의 분사 각도 및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다.
또한, 수평관(241)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244)가 형성되며, 감열부(260)가 분리되면서 내관(232)이 전진하게 되면 홀더(233)의 단턱(234)이 돌출부(244)와 접촉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7과 같이 감열부(260)가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게 되면 연결부(240)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홀더(233)의 단턱(234)이 수평관(241)의 돌출부(244)와 접촉하여 액체가 감열부(260)가 분리된 부분으로 분출되지 않도록 밀폐한다.
회전관(242) 끝단에는 살수부(270)가 나사 결합되어 연장부(230)를 통해 공급된 액체가 연결부(2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으로 감열부(260)가 열을 감지하면서 외부로 분리되게 되면, 급수장치(2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액체유입방지부(222)가 밀려나게 되고, 이에 따라 밀폐부(220)가 개방되면서 외관(231), 내관(232), 수평관(241), 회전관(242)을 내부를 따라 액체가 공급되게 된다.
이 때, 살수부(270)는 회전관(242) 끝단에 나사결합되고 액체분사관이 노출된 형태의 액체분사부(271)와 액체분사부(271) 상단에 결합되어 분사되는 액체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디플렉터(272)로 구성되며,
도 7과 같이 감열부(260)가 외부로 분리되면 액체분사부(271)는 연장부(230)와 연결부(240)를 통해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한다. 외부로 분사되는 액체는 디플렉터(272)에 부딪히면서 상방으로 분사되지 않고 하방으로 분사되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에 따른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300)의 제 3 실시예가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300)는 건물 등의 천정(2)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320)와, 일단이 밀폐부(320)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330)와, 일단이 연장부(330) 타단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절곡지게 형성되는 연결부(340)와, 연결부(340)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연결부(340)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360) 및 연결부(340)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370)를 포함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320)와 연장부(330) 구성은 도 8 및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 1,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340)는 연장부(330)의 외관(331) 끝단과 끼움결합되는 제 1 관(341)과, 제 1 관(341)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단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관(342)과, 제 2 관(342)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향 절곡지게 형성되는 제 3 관(343)을 포함한다.
이 때, 제 1 관(341)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344)가 형성되며, 감열부(360)가 분리되면서 내관(332)이 전진하게 되면 내관(332) 끝에 결합된 홀더(333)의 단턱(334)이 제 1 관(341)의 돌출부(344)와 접촉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10과 같이 감열부(360)가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게 되면, 연결부(340)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홀더(333)의 단턱(334)이 제 1 관(341)의 돌출부(344)와 접촉하여 액체가 감열부(360)가 분리된 부분으로 분출되지 않도록 밀폐한다.
한편, 도면상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관(342)은 천정(2)의 구조 및 배치에 따라 길이가 짧거나 긴 관으로 변경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관(343) 끝단에는 살수부(370)가 나사 결합되어 연장부(330)를 통해 공급된 액체가 연결부(3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으로 감열부(360)가 열을 감지하면서 외부로 분리되게 되면, 급수장치(3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액체유입방지부(322)가 밀려나게 되고, 이에 따라 밀폐부(320)가 개방되면서 외관(331), 내관(332), 제 1관(341), 제 2 관(342) 및 제 3 관(343) 내부를 따라 액체가 공급되게 되며,
이 때, 살수부(370)는 제 3 관(343) 끝단에 나사결합되고 액체분사관이 노출된 형태의 액체분사부(371)와 액체분사부(371) 상단에 결합되어 분사되는 액체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디플렉터(372)로 구성되며,
도 10와 같이 감열부(360)가 외부로 분리되면 액체분사부(371)는 연장부(330) 및 연결부(340)를 통해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한다. 외부로 분사되는 액체는 디플렉터(372)에 부딪히면서 상방으로 분사되지 않고 하방으로 분사되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에 따른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400)의 제 4 실시예가 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400)는 건물 등의 천정(2)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410)에 결합되는 밀폐부(420)와, 일단이 밀폐부(420)와 결합되는 제 1 플로우관(430)과, 일단이 제 1 플로우관(430) 타단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절곡지게 형성되는 연결부(440)와, 연결부(440)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플로우관(431)과, 제 2플로우관(431)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제 2 플로우관(431)으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460) 및 연결부(440)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470)를 포함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420) 구성은 도 11 및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 1 내지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밀폐부(420), 제 1 플로우관(430), 연결부(440) 및 제 2 플로우관(431) 내부에는 제 3 플로우관(432)이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플로우관(430) 및 제 2 플로우관(431)은 천정(2)의 구조 및 배치에 따라 길이가 짧거나 긴 관으로 변경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3 플로우관(432)의 일단에는 액체유입방지부(422)가 연결되며, 제 3 플로우관(432)은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끝단에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제 3 플로우관(432)의 내부통로에서 제 3 플로우관(432)을 지지하는 홀더(43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433)는 감열부(46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끝단에 끼움부가 형성되고 홀더(433)와 제 3 플로우관(432)의 결합부에는 단턱(434)이 형성되며, 감열부(460)는 제 2 플로우관(431) 끝단 및 홀더(433)에 각각 끼움결합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연결부(440)는 일측이 제 1 플로우관(430)의 타단과 끼움결합되고 타측에 제 2 플로우관(431)이 끼움결합되는 제 1 관(441)과, 제 1 관(441)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단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관(442)과, 제 2 관(442)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향 절곡지게 형성되는 제 3 관(443) 및 제 3 관(443)의 일측에 끼움결합되어 제 2 플로우관(43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4 관(445)을 포함한다.
이 때, 제 2 플로우관(431)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444)가 형성되며, 제 3 플로우관(432)이 전진하게 되면 홀더(433)의 단턱(434)이 제 2 플로우관(431)의 돌출부(444)와 접촉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13과 같이, 감열부(460)가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게 되면, 제 2 플로우관(431)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홀더(433)의 단턱(434)이 제 2 플로우관(431)의 돌출부(444)와 접촉하여 액체가 감열부(460)가 분리된 부분으로 분출되지 않도록 밀폐한다.
한편, 도면상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관(442) 및 제 4 관(445)은 천정(2)의 구조 및 배치에 따라 길이가 짧거나 긴 관으로 변경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4 관(445) 끝단에는 살수부(470)가 나사 결합되어 급수장치(410)로부터 공급된 액체가 연결부(4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으로 감열부(460)가 열을 감지하면서 외부로 분리되게 되면, 급수장치(4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액체유입방지부(422)가 밀려나게 되고, 이에 따라 밀폐부(420)가 개방되면서 제 1 플로우관(430), 제 2 플로우관(431), 제 3 플로우관(432), 제 1 관(441), 제 2 관(442), 제 3 관(443) 및 제 4 관(445) 내부를 따라 액체가 공급되게 되며,
이 때, 살수부(470)는 제 4 관(445) 끝단에 나사 결합되고 액체분사관이 노출된 형태의 액체분사부(471)와 액체분사부(471) 상단에 결합되어 분사되는 액체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디플렉터(472)로 구성되며,
도 13과 같이 감열부(460)가 외부로 분리되면 액체분사부(471)는 제 1 플로우관(430), 제 2 플로우관(431), 제 3 플로우관(432) 및 연결부(440)를 통해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한다. 외부로 분사되는 액체는 디플렉터(472)에 부딪히면서 상방으로 분사되지 않고 하방으로 분사되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처럼 연결부(440)를 상부 배관의 중앙부에 분기시킴으로써, 감열부가(460) 결합된 제 2 플로우관(431)과 살수부(470)가 결합된 제 4 관(445)을 천정(2)에 동시에 관통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제 1 내지 3 실시예와는 달리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400)가 천정(2)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열을 감지하는 감열부와 스프링클러 및 디플렉터를 분리시켜 화재구역에 물을 고르게 분사시킬 수 있고, 부가적으로 배관의 길이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내용의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2 : 천정
100, 200, 300, 400 :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110, 210, 310, 410 : 급수장치 120, 220, 320, 420 : 밀폐부
121, 221, 321, 421 : 하우징 122, 222, 322, 422 : 액체유입방지부
123, 223, 323, 423 : 밀착부 130, 230, 330 : 연장부
430 : 제 1 플로우관 431 : 제 2 플로우관
432 : 제 3 플로우관 131, 231, 331 : 외관
132, 232, 332 : 내관 133, 233, 333, 433 : 홀더
134, 234, 334, 434 : 단턱 140 : 제 1 연결부
150 : 제 2 연결부 240, 340, 440 : 연결부
141, 341, 441 : 제 1 관 142, 342, 442 : 제 2 관
343, 443 : 제 3 관 445 : 제 4관
241 : 수평관 242 : 회전관
144, 244, 344, 444 : 돌출부 160, 260, 360, 460 : 감열부
170, 270, 370, 470 : 살수부 171, 271, 371, 471 : 액체분사부
172, 272, 372, 472 : 디플렉터 180 : 절곡부

Claims (18)

  1.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
    일단이 상기 연장부 타단에 결합되고 하부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제 1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
    상기 삽입홀에 결합되고 플렉시블하게 절곡가능한 다수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2.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 및
    상기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3.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관이 형성되는 연장부;
    일단이 상기 연장부 타단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절곡지게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 및
    상기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4. 건물 등의 천정에 배치되고, 일단이 급수장치에 결합되는 밀폐부;
    일단이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는 제 1 플로우관;
    일단이 상기 제 1 플로우관 타단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절곡지게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플로우관;
    상기 제 2플로우관 타단에 결합되고 열 감지시 상기 제 2 플로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감열부; 및
    상기 연결부 끝단에 결합되고 외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된 액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부는 모서리가 깍인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는 액체유입방지부와,
    상기 액체유입방지부와 상기 하우징이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 내에 배치되고 일단에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연결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은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부 내부를 통과하며, 끝단에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관의 내부통로에서 상기 내관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와 상기 내관의 결합부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감열부는 상기 제 1 연결부 끝단 및 상기 홀더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연결부와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 내에 배치되고 일단에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연결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은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내부를 통과하며, 끝단에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관의 내부통로에서 상기 내관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와 상기 내관의 결합부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감열부는 상기 연결부 끝단 및 상기 홀더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 제 1 플로우관, 연결부 및 제 2 플로우관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연결되는 제 3 플로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플로우관은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끝단에 액체가 분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 3 플로우관의 내부통로에서 상기 제 3 플로우관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와 상기 제 3 플로우관의 결합부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감열부는 상기 제 2 플로우관 끝단 및 상기 홀더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관 끝단과 끼움결합되는 제 1 관과, 상기 제 1 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단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관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 홀더의 단턱이 상기 제 1관의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 2 연결부 끝단에는 상기 살수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가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관 끝단과 끼움결합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관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관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 홀더의 단턱이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회전관 끝단에는 상기 살수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가 상기 연결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관 끝단과 끼움결합되는 제 1 관과, 상기 제 1 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단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관과, 상기 제 2 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향 절곡지게 형성되는 제 3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관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 홀더의 단턱이 상기 제 1관의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 3 관 끝단에는 상기 살수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가 상기 연결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 1 플로우관의 타단과 끼움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 2 플로우관이 끼움결합되는 제 1 관과, 상기 제 1 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단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관과, 상기 제 2 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하향 절곡지게 형성되는 제 3 관 및 상기 제 3관의 일측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제 2 플로우관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4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로우관 끝단 내부에는 쌍방 마주보게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플로우관이 전진하게 되면 상기 홀더의 단턱이 상기 제 2 플로우관의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 4 관 끝단에는 상기 살수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된 액체가 상기 연결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부는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제 1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감열부가 외부로 분리될 때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밀려나면서 상기 밀폐부가 개방되며 상기 외관 및 내관 내부를 따라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1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부는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감열부가 외부로 분리될 때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밀려나면서 상기 밀폐부가 개방되며 상기 외관 및 내관 내부를 따라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부는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제 2 플로우관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감열부가 외부로 분리될 때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액체유입방지부가 밀려나면서 상기 밀폐부가 개방되며 상기 제 1 플로우관, 제 2 플로우관 및 제 3 플로우관 내부를 따라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는,
    상기 연장부,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액체분사부와, 상기 액체분사부 상단에 결합되어 분사되는 액체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디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1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는,
    상기 연장부와 연결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액체분사부와, 상기 액체분사부 상단에 결합되어 분사되는 액체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디플렉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1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는,
    상기 제 1 플로우관, 제 2 플로우관, 제 3 플로우관 및 연결부를 통해 공급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액체분사부와, 상기 액체분사부 상단에 결합되어 분사되는 액체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디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190033670A 2019-03-25 2019-03-25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KR10224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670A KR102243551B1 (ko) 2019-03-25 2019-03-25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670A KR102243551B1 (ko) 2019-03-25 2019-03-25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748A true KR20200115748A (ko) 2020-10-08
KR102243551B1 KR102243551B1 (ko) 2021-04-30

Family

ID=7289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670A KR102243551B1 (ko) 2019-03-25 2019-03-25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5019A (zh) * 2020-11-30 2021-02-05 俞立伟 拼接复合管道
KR20220052551A (ko) 2020-10-21 2022-04-2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와시 플레이트를 이용한 화재진압 스프링클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621B1 (ko) 2010-04-14 2012-11-12 서울메트로 동파방지용 스프링클러
KR101426669B1 (ko) * 2014-01-03 2014-08-06 박득재 스프링클러설비의 동파방지를 위한 연결장치
KR20160002166U (ko) * 2014-12-15 2016-06-23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720080B1 (ko) * 2015-07-13 2017-03-27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KR101943015B1 (ko) * 2017-03-16 2019-01-29 최영표 건식 드라이펜던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621B1 (ko) 2010-04-14 2012-11-12 서울메트로 동파방지용 스프링클러
KR101426669B1 (ko) * 2014-01-03 2014-08-06 박득재 스프링클러설비의 동파방지를 위한 연결장치
KR20160002166U (ko) * 2014-12-15 2016-06-23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720080B1 (ko) * 2015-07-13 2017-03-27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KR101943015B1 (ko) * 2017-03-16 2019-01-29 최영표 건식 드라이펜던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551A (ko) 2020-10-21 2022-04-2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와시 플레이트를 이용한 화재진압 스프링클러
CN112325019A (zh) * 2020-11-30 2021-02-05 俞立伟 拼接复合管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551B1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551B1 (ko)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RU2424838C1 (ru) Спринклер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682902B1 (ko) 분사 각도 조절 및 이동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설비
US5188185A (en) Dry sprinkler
KR20170026154A (ko) 스프링클러 배관의 유수제어기능이 있는 분기용 티 및 그것을 이용한 스키핑 현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 방법
KR20200014424A (ko) 프리액션 스프링클러 밸브 어셈블리, 관련 건식 스프링클러 장치 및 압축식 활성화 메카니즘
KR101793988B1 (ko) 건물 화재 소방용 노즐 헤드 장치
KR101841428B1 (ko)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0936384B1 (ko) 목조문화재용 미분무 소화설비
CN211486297U (zh) 一种带有消防系统的废气处理系统
KR200302317Y1 (ko)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KR101880036B1 (ko)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JPH0833733A (ja) ドレンチャーヘッド
KR200450559Y1 (ko) 내외관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 헤드
KR101053637B1 (ko)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KR101717845B1 (ko) 스프링클러 소화장치
KR101886162B1 (ko) 매립형 스프링클러
CN109663254B (zh) 干式喷头及其启动方法
KR102115224B1 (ko)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KR200384962Y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200388089Y1 (ko) 미세 물분무형 자동 소화장치
KR20220105688A (ko) 순차적으로 화재 제압이 가능한 제어시스템
CA3168993A1 (en) Quick connect sprinkler
CN203447678U (zh) 一种含有组合条状喷嘴的消防水幕喷头
KR200420213Y1 (ko) 기류 감응 확장형 스프링클러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