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224B1 -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224B1
KR102115224B1 KR1020200021588A KR20200021588A KR102115224B1 KR 102115224 B1 KR102115224 B1 KR 102115224B1 KR 1020200021588 A KR1020200021588 A KR 1020200021588A KR 20200021588 A KR20200021588 A KR 20200021588A KR 102115224 B1 KR102115224 B1 KR 10211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uilding
spaces
mal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정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200021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buildings or installations in fire sto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blowing air or gas currents with or without dispers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Apparatus therefor, e.g. f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9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에 배치되며, 상가 공간들을 형성하는 상가동과, 상기 상가동의 상부에 배치되는 주거동을 포함하는 주상복합건물; 상기 상가 공간들 중, 상기 지상의 외부에 인접한 외곽 상가 공간들에 배치되어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의 벽체를 설정된 기준 온도로 이루도록 하는 온도 유지부;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의 내부를 환기시키는 환기부;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과, 상기 주거동의 일정 위치를 연결하여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부; 상기 주거동에서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주거동 및 상기 상가동에 설치되며,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 및,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통로부를 개방하여, 산소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통로부의 내부에 일정량의 산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화재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APPARATUS FOR EXTINGUISHING AND SENSING FIRE OF BUILDING}
본 발명은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상복합건물의 상가동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을 화재를 대비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 및 환기를 항상 유지함과 아울러, 주거동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주거동의 화재를 진압하면서 주거동과 상가동의 정해진 영역을 연결하는 비상통로를 강제로 개방하여, 주거동의 대피 영역으로 용이하게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화재 위험에서의 부상과 죽음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불에 타는 것이 아닌 연기로부터 유발된 질식이다. 화재 시, 사람들은 종종 빌딩에서 외부로의 대피를 시도한다. 외부로 탈출할 때, 아마도 화재에 의해 생성된 연기 때문에 질식에 의한 부상과 죽음이 종종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로 탈출하는 중에 사람들이 의식을 잃고 불타 죽을 수 있다.
그러므로, 특히 주상복합과 같은 주거와 상가 건물이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건물에서는, 사람들이 효율적으로 대피하여 부상과 죽음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즉, 화재에 갇힌 사람들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화재화재 인명-구조 시스템) 또는 방법을 고안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0383호 (2017.01.20)가 있다.
본 발명은 주상복합건물의 상가동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을 화재를 대비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 및 환기를 항상 유지함과 아울러, 주거동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주거동의 화재를 진압하면서 주거동과 상가동의 정해진 영역을 연결하는 비상통로를 강제로 개방하여, 주거동의 대피 영역으로 용이하게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가동의 내부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해 일정 이상의 온도 또는 일정 농도 이상의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비상 상태를 알림과 아울러 상가동의 벽체의 일부분을 개방하도록 구현함으로서 화재 대피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가동이 주거동의 하부에 배치되는 건물이며, 상기 상가동과 주거동의 사이에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주거동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 발생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단차 영역의 다수 위치에 설치된 소화 장치를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시켜,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즉시 진압하도록 할 수 있는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상에 배치되며, 상가 공간들을 형성하는 상가동과, 상기 상가동의 상부에 배치되는 주거동을 포함하는 주상복합건물; 상기 상가 공간들 중, 상기 지상의 외부에 인접한 외곽 상가 공간들에 배치되어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의 벽체를 설정된 기준 온도로 이루도록 하는 온도 유지부;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의 내부를 환기시키는 환기부;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과, 상기 주거동의 일정 위치를 연결하여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부; 상기 주거동에서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주거동 및 상기 상가동에 설치되며,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 및,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통로부를 개방하여, 산소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통로부의 내부에 일정량의 산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화재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 유지부는,
상기 벽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냉각 코일과,
상기 냉각 코일에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냉각 코일을 냉각시키는 전류 제공기와,
상기 벽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전류 제공기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에 이르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냉각 코일은,
상기 벽체의 내부에 매설된 콘크리트 철근의 외주에 감겨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주거동의 일정 위치와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을 연결하는 통로들과,
상기 통로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들 각각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의 하단은,
상기 통로들 각각의 천정에 힌지부를 통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는 모터의 회전축과 축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개폐 도어를 개폐하되,
상기 개폐 도어의 양측면부에는, 분사기들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기들과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내열성의 튜브를 통해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기와 연결되고,
상기 화재 제어부는,
상기 개폐 도어가 회전되어 상기 통로들이 개방되면, 상기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소화수를 상기 분사기들을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의 입구부에는,
상기 통로들과 격리시키는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에어 커튼부가 형성되되,
상기 입구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에어 커튼부의 에어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들은, 다수의 열을 이루어 배치되어, 분사되는 상기 에어가 다중으로 분사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화재 제어부는,
상기 산소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 각각에 산소를 일정량으로 공급하고,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배출 라인들을 통해, 외곽 상가 공간들 내부의 화재로 인한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은 외부로 강제 배출되고,
상기 배출 라인에는 배출 펌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단차 영역의 다수 위치에는
소화 장치들이 설치되되,
상기 소화 장치들 각각은,
상기 단차 영역 상에 배치되며, 승강되는 다단의 축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다단의 축 상단에 설치되는 소화수 분사기와,
상기 소화수 분사기와 상기 소화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구비하되,
상기 화제 제어부는
상기 주거동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축을 상승시켜 상기 소화수 분사기를 통해 화재가 발생된 주거동에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재 제어부에는,
상기 주거동들의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주거동들 각각의 내부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제 2화재 감지부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 2화재 감지부들 각각은 화재가 발생된 위치 정보를 상기 화제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화재 제어부는,
상기 주거동들의 위치 정보 중, 화재가 발생된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상기 위치 정보에 이르는 위치로 상기 다단의 축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소화수 공급부를 사용하여 상기 소화수 분사기를 통해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단의 축의 상단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는 연결바와,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키는 제 2모터와,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설치되며, 끝단이 뾰족한 타격체를 구비하되,
상기 화제 제어부는,
상기 다단의 축이 상기 선정된 상기 위치 정보에 이르면, 상기 제 2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타격체의 단부가 상기 상기 주거동의 창 유리를 타격하도록 상기 연결바를 회전시켜 타격체를 회전시킨다.
상기 외곽 상가 공간의 상기 벽체의 일부분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는,
메쉬 와이어가 매설되고 제 1두께를 이루는 외벽체가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설치되고,
제 2두께를 이루도록 상기 외벽체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화재에 따르는 일정 온도에 노출되면, 녹아 흘러 상기 외벽체를 상기 외곽 상가 공간의 내부에 노출시키는 내벽체를 갖고,
상기 화재 제어부는,
상기 외벽체가 상기 외곽 상가 공간의 내부에 노출되면,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외벽체를 이동시켜 상기 개구를 개방하도록 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주상복합건물의 상가동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을 화재를 대비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 및 환기를 항상 유지함과 아울러, 주거동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주거동의 화재를 진압하면서 주거동과 상가동의 정해진 영역을 연결하는 비상통로를 강제로 개방하여, 주거동의 대피 영역으로 용이하게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가동의 내부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해 일정 이상의 온도 또는 일정 농도 이상의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비상 상태를 알림과 아울러 상가동의 벽체의 일부분을 개방하도록 구현함으로서 화재 대피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가동이 주거동의 하부에 배치되는 건물이며, 상기 상가동과 주거동의 사이에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주거동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 발생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단차 영역의 다수 위치에 설치된 소화 장치를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시켜,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즉시 진압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가동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외곽 상가 공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로에 소화수가 분사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에어 커튼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차 위치에 소화장치가 설치되는 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가동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외곽 상가 공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는 지상에 배치되며, 상가 공간들(110)을 형성하는 상가동(100)과, 상기 상가동(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주거동(200)을 포함하는 주상복합건물(1)과, 상기 상가 공간들(110) 중, 상기 지상의 외부에 인접한 외곽 상가 공간들(120)에 배치되어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120)의 벽체(121)를 설정된 기준 온도로 이루도록 하는 온도 유지부(300)와,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120)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120)의 내부를 환기시키는 환기부(400)와,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120)과, 상기 주거동(200)의 일정 위치를 연결하여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부(500)와, 상기 주거동(200)에서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600)와, 상기 주거동(200) 및 상기 상가동(100)에 설치되며,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700)와,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통로부(500)를 개방하여, 산소 공급기(810)를 사용하여 상기 통로부의 내부에 일정량의 산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화재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부(400)는 벽체에 설치되는 덕트(410)와, 덕트(410) 상에 설치된 팬(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팬(420)은 외기를 외곽 상가 공간(120)으로 유입하고, 덕트(41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를 시킨다.
상기 소화수 분사부(700)는 각각의 주거동(200) 내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관(710)과, 상기 관(710)에 설치되어 소화수를 분사하는 스프링 클러들(72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온도 유지부(300)는, 상기 벽체(121)의 내부에 매설되는 냉각 코일(310)과, 상기 냉각 코일(310)에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냉각 코일(310)을 냉각시키는 전류 제공기(320)와, 상기 벽체(12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330)와, 상기 전류 제공기(320)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에 이르도록 제어하는 제어기(340)를 구비한다.
상기 냉각 코일(310)은, 상기 벽체(121)의 내부에 매설된 콘크리트 철근의 외주에 감겨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로에 소화수가 분사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통로부(500)는 주거동(200)과 외곽 상가 공간(120)을 연결하는 통로 및 계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부(500)는 상기 주거동(200)의 일정 위치와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120)을 연결하는 통로들(510)과, 상기 통로들(510)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들(510) 각각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520)를 갖는다.
상기 개폐 도어(520)의 하단은, 상기 통로들(510) 각각의 천정에 힌지부(530)를 통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530)는 모터(540)의 회전축과 축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 제어부(800)는, 상기 모터(540)의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개폐 도어(520)를 개폐하되,
상기 개폐 도어(520)의 양측면부에는, 분사기들(550)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 도어(520)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기들(550)과 연결되는 유로(55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551)는 내열성의 튜브를 통해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기(560)와 연결되고,
상기 화재 제어부(800)는, 상기 개폐 도어(520)가 회전되어 상기 통로들(510)이 개방되면, 상기 공급기(560)를 사용하여, 상기 소화수를 상기 분사기들(550)을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도 7은 에어 커튼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또한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120)의 입구부(122)에는, 상기 통로들(510)과 격리시키는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에어 커튼부(900)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부(122)의 상단부에는 상기 에어 커튼부(900)의 에어홀들(910)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홀(910)은 에어 분사 유로(920)와 연결되고, 상기 에어 분사 유로(920)는 에어 공급부(930)와 연결된다. 에어 공급부(930)는 화재 제어부(8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에어홀들(910)은, 다수의 열을 이루어 배치되어, 분사되는 상기 에어가 다중으로 분사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화재 제어부(800)는, 상기 산소 공급기(810)를 사용하여,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120) 각각에 산소를 산소공급기 및 산소공급관을 통해 일정량으로 공급하고,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120)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배출 라인들(123)을 통해, 외곽 상가 공간들(120) 내부의 화재로 인한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은 외부로 강제 배출되고, 상기 배출 라인(123)에는 배출 펌프(124)가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차 위치에 소화장치가 설치되는 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특히, 상기 단차 영역의 다수 위치에는 소화 장치들(1000)이 설치된다.
상기 소화 장치들(1000) 각각은, 상기 단차 영역 상에 배치되며, 승강되는 다단의 축(1110)을 갖는 실린더(1100)와, 상기 다단의 축(1110) 상단에 설치되는 소화수 분사기(1200)와, 상기 소화수 분사기(1200)와 상기 소화수 공급부(700)를 연결하는 연결관(1210)을 구비한다.
상기 화제 제어부(800)는 상기 주거동(200)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축(1110)을 상승시켜 상기 소화수 분사기(1200)를 통해 화재가 발생된 주거동(200)에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재 제어부(800)에는, 상기 주거동들(200)의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다.
상기 주거동들(200) 각각의 내부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제 2화재 감지부들(210)이 설치된다.
상기 제 2화재 감지부들(210) 각각은 화재가 발생된 위치 정보를 상기 화제 제어부(800)로 전송한다.
상기 화재 제어부(800)는, 상기 주거동들(200)의 위치 정보 중, 화재가 발생된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상기 위치 정보에 이르는 위치로 상기 다단의 축(1110)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실린더(110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소화수 공급부(700)를 사용하여 상기 소화수 분사기(1200)를 통해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단의 축(1110)의 상단에는, 힌지축(1300)과, 일단이 상기 힌지축(1300)에 연결되는 연결바(1400)와, 상기 힌지축(1300)을 회전시키는 제 2모터(1600)와, 상기 연결바(1400)의 타단에 설치되며, 끝단이 뾰족한 타격체(1500)를 구비한다.
상기 화제 제어부(800)는, 상기 다단의 축(1110)이 상기 선정된 상기 위치 정보에 이르면, 상기 제 2모터(1600)를 사용하여 상기 타격체(1500)의 단부가 상기 상기 주거동(200)의 창 유리를 타격하도록 상기 연결바(1400)를 회전시켜 타격체(1500)를 회전시킨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곽 상가 공간(120)의 상기 벽체(121)의 일부분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에는, 메쉬 와이어가 매설되고제 1두께를 이루는 외벽체가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제 2두께를 이루도록 상기 외벽체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화재에 따르는 일정 온도에 노출되면, 녹아 흘러 상기 외벽체를 상기 외곽 상가 공간의 내부에 노출시키는 내벽체를 갖는다.
상기 화재 제어부(800)는, 상기 외벽체가 상기 외곽 상가 공간(120)의 내부에 노출되면,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외벽체를 이동시켜 상기 개구를 개방하도록 한다. 상기 외벽체는 개구에서 좌우로 슬리이딩이동되어 개방되는 레일 이동 방식이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은 주상복합건물의 상가동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을 화재를 대비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 및 환기를 항상 유지함과 아울러, 주거동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주거동의 화재를 진압하면서 주거동과 상가동의 정해진 영역을 연결하는 비상통로를 강제로 개방하여, 주거동의 대피 영역으로 용이하게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가동의 내부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해 일정 이상의 온도 또는 일정 농도 이상의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비상 상태를 알림과 아울러 상가동의 벽체의 일부분을 개방하도록 구현함으로서 화재 대피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가동이 주거동의 하부에 배치되는 건물이며, 상기 상가동과 주거동의 사이에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주거동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 발생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단차 영역의 다수 위치에 설치된 소화 장치를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시켜,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즉시 진압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상가동
200 : 주거동
300 : 온도 유지부
400 : 환기부
500 : 통로부
600 : 화재 감지부
700 : 소화수 분사부
800 : 화재 제어부

Claims (4)

  1. 지상에 배치되며, 상가 공간들을 형성하는 상가동과, 상기 상가동의 상부에 배치되는 주거동을 포함하는 주상복합건물;
    상기 상가 공간들 중, 상기 지상의 외부에 인접한 외곽 상가 공간들에 배치되어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의 벽체를 설정된 기준 온도로 이루도록 하는 온도 유지부;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의 내부를 환기시키는 환기부;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과, 상기 주거동의 일정 위치를 연결하여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부;
    상기 주거동에서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주거동 및 상기 상가동에 설치되며,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 및,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통로부를 개방하여, 산소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통로부의 내부에 일정량의 산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화재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 유지부는,
    상기 벽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냉각 코일과,
    상기 냉각 코일에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냉각 코일을 냉각시키는 전류 제공기와,
    상기 벽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전류 제공기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측정되는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에 이르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냉각 코일은,
    상기 벽체의 내부에 매설된 콘크리트 철근의 외주에 감겨 설치되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주거동의 일정 위치와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을 연결하는 통로들과,
    상기 통로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들 각각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의 하단은,
    상기 통로들 각각의 천정에 힌지부를 통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는 모터의 회전축과 축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개폐 도어를 개폐하되,
    상기 개폐 도어의 양측면부에는, 분사기들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기들과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내열성의 튜브를 통해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기와 연결되고,
    상기 화재 제어부는,
    상기 개폐 도어가 회전되어 상기 통로들이 개방되면, 상기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소화수를 상기 분사기들을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의 입구부에는,
    상기 통로들과 격리시키는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에어 커튼부가 형성되되,
    상기 입구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에어 커튼부의 에어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들은, 다수의 열을 이루어 배치되어, 분사되는 상기 에어가 다중으로 분사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화재 제어부는,
    상기 산소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 각각에 산소를 일정량으로 공급하고,
    상기 외곽 상가 공간들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배출 라인들을 통해, 외곽 상가 공간들 내부의 화재로 인한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은 외부로 강제 배출되고,
    상기 배출 라인에는 배출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KR1020200021588A 2020-02-21 2020-02-21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KR10211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588A KR102115224B1 (ko) 2020-02-21 2020-02-21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588A KR102115224B1 (ko) 2020-02-21 2020-02-21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224B1 true KR102115224B1 (ko) 2020-05-26

Family

ID=7091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588A KR102115224B1 (ko) 2020-02-21 2020-02-21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050B1 (ko) * 2021-01-25 2021-09-07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66A (ko) * 2010-03-11 2011-09-19 문진식 수로관 내장 장치(水路管內裝裝置)
KR20180082714A (ko) * 2017-01-10 2018-07-19 동아화이어테크 주식회사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KR102068978B1 (ko) * 2019-06-25 2020-01-22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66A (ko) * 2010-03-11 2011-09-19 문진식 수로관 내장 장치(水路管內裝裝置)
KR20180082714A (ko) * 2017-01-10 2018-07-19 동아화이어테크 주식회사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KR102068978B1 (ko) * 2019-06-25 2020-01-22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050B1 (ko) * 2021-01-25 2021-09-07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700383B1 (ko) 건축물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CA1238708A (en) Fireproof protection system for electronic equipment
KR102028880B1 (ko)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217555B1 (ko)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1968080B1 (ko) 화재 대피실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1119665B1 (ko)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KR101793992B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2115224B1 (ko)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KR102068978B1 (ko)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KR102154848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설비를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2462045B1 (ko) 화재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101532953B1 (ko) 방화 영역별 스프링 클러 모니터링 장치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1785392B1 (ko) 제연기를 구비한 건물 소방방재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물 소방방재 방법
KR102236901B1 (ko)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설비
KR20190038050A (ko) 소방 대피로용 산소 통로 공급장치
US7040978B2 (en) Sliding door device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JP4656749B2 (ja) 開閉体装置
KR102089216B1 (ko) 차열 및 방염 공간을 갖는 화재 대비 건축물
JP5046315B2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KR10232035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매연을 제거하는 매연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