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714A -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714A
KR20180082714A KR1020170003729A KR20170003729A KR20180082714A KR 20180082714 A KR20180082714 A KR 20180082714A KR 1020170003729 A KR1020170003729 A KR 1020170003729A KR 20170003729 A KR20170003729 A KR 20170003729A KR 20180082714 A KR20180082714 A KR 20180082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agent
opening
emergency exit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국
양인석
오윤철
송지원
임현정
조영민
김상환
정상귀
Original Assignee
동아화이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화이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화이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3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714A/ko
Publication of KR2018008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1/00Devices for reconditioning breathing air in sealed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4Pipe-line systems pressuris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의 진압을 위한 소화 장비와 재난에 의해 비상구 확보가 불가능할 때에 강제로 비상구를 확보하도록 하는 비상구 개방 수단을 포함하는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공간 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발생 감지기; 소화 약제가 저장되는 소화 약제 저장용기; 상기 소화 약제 저장용기에서 소화 약제 공급 배관을 통해 흐르는 소화 약제를 공간 내로 공급하기 위한 소화 약제 분사 수단; 상기 소화 약제 공급 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 내에 소화 약제를 공급 또는 공급을 중지하도록 개폐되는 소화 밸브; 비상구에 설치되는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소화 약제 공급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 약제가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에 도달하도록 개폐되는 비상구 에어백 밸브; 및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소화 밸브를 작동시키고 비상구 에어백 밸브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INTEGRATED HYBRID FIREFIGHTING SAFETY SYSTEM}
본 발명은 소방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의 진압을 위한 소화 장비와 재난에 의해 비상구 확보가 불가능할 때에 강제로 비상구를 확보하도록 하는 비상구 개방 수단을 포함하는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안전 시스템은 화재 등이 발생하였을 때 화재 발생을 신속하게 알리고 화재를 진압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화재의 신속한 진압과 동시에 차량, 건물 등의 구조물에 있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건물 등에는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그 안에 있던 사람들의 탈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통상의 출입구 외에 비상구 또는 화재 대피구를 따로 마련하고 있다. 다만, 붕괴, 폭발,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했을 때 비상구 등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어 개방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 경우에 심각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종래 기술들은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 장치 또는 소방서, 건물 관리자 등에게 화재 발생을 알리는 알림 장치만을 제시하여 전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고안된 바가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8945호 (공개일자: 2003.08.25) 등록특허공보 제10-1071917호 (등록일자: 2011.10.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경보를 발령하고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는 소화 수단과, 비상탈출구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 비상탈출구를 강제로 개방할 수 있는 수단을 함께 구비하는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소화를 위한 소화 약제를 비상구의 강제 개방을 위한 비상구에 설치되는 에어백의 팽창가스로 이용함으로써, 화재 진압과 탈출구 확보의 두 가지 과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에 산소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하여, 특히 화재 진압 후 비상탈출구가 개방되지 않을 때, 재난이 발생한 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사람들의 생존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은 공간 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발생 감지기; 소화 약제가 저장되는 소화 약제 저장용기; 상기 소화 약제 저장용기에서 소화 약제 공급 배관을 통해 흐르는 소화 약제를 공간 내로 공급하기 위한 소화 약제 분사 수단; 상기 소화 약제 공급 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 내에 소화 약제를 공급 또는 공급을 중지하도록 개폐되는 소화 밸브; 비상구에 설치되는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소화 약제 공급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 약제가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에 도달하도록 개폐되는 비상구 에어백 밸브; 및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소화 밸브를 작동시키고 비상구 에어백 밸브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비상구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그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내의 이산화탄소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에 측정값을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 상기 공간 내에 공급되는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 저장 수단; 상기 산소 저장 수단으로부터 산소가 공간 내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산소 공급 배관; 및 상기 산소 공급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는 산소 공급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화재 발생 감지기가 공간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화재발생 탐지단계; 상기 탐지단계에서 화재 발생이 탐지되는 경우, 소화 밸브를 개방하여 소화 약제를 공간 내에 분사하는 소화약제 분사단계;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이 비상구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비상구 개방 감지단계; 및 상기 감지단계에서 비상구 폐쇄가 감지되는 경우, 에어백 밸브를 개방하여 비상구에 설치된 에어백에 소화 약제를 공급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작동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에어백 작동단계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택일적으로 공간 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비상구를 확보하여 화재가 발생된 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 설비와 비상탈출설비를 조합함으로써, 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종합적인 안전 구난 시스템 기술을 구축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설비와 비상구 개방 수단을 포함한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 안전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재난이 발생한 공간 내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공급 설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설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d는 비상구의 출입문에 에어백이 설치될 수 있는 여러 양태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비상구의 출입문 내측에 형성될 수 있는 그루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이용한 비상구 개방 수단의 작동 방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 안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1)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이를 알리는 경보장치(2a)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장치(2a)는 제어부(24)에 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은 공간 내의 천장, 벽면 등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 감지기(2)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발생 감지기(2)는 제어부(24)에 신호를 전달한다.
화재발생 감지기(2)의 구체적인 유형으로는 주지된 모든 화재 발생 감지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온도 변화에 의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기로서, 실내온도가 급속하게 상승할 때 작동하는 차동식 화재감지기 또는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하는 정온식 화재감지기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화재발생 감지기(2)는 연기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연기감지기로서, 연기에 의해 이온 전류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한 이온화식 감지기 또는 연기에 의해 입사 광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한 광전식 감지기일 수 있다. 또한, 화재발생 감지기(2)는 자외선감지기 등의 불꽃감지기일 수 있다.
화재발생 감지기(2)는 전술한 감지기들 중 한 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여러 종류를 조합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단수 또는 복수의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재발생 감지기(2)는 하나의 공간 내에도 그 공간의 면적 등 설계상 필요에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장소는 벽면, 천장 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를 감지한 화재발생 감지기(2)는 제어부(24)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화재 발생을 알린다. 예를 들어, 화재발생 감지기(2)는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제어부(24)에 화재 발생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24)는 소화 약제가 공간(3) 내에 분사되도록 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제어한다. 소화 약제는 소화 약제 저장용기(4)에 저장되고, 소화 약제 공급 배관(6)을 유동하여 소화 약제 분사 수단(8)에 의해 공간(3) 내로 공급된다. 소화 약제 공급 배관(6)에는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되는 소화 밸브(10)가 설치되며, 소화 약제 분사 수단(8)은 공간(3) 내의 벽면, 천장 등에 설치된다.
제어부(24)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소화 밸브(10)를 구동시키는 소화 밸브 구동기(12)를 작동시키면 소화 밸브(10)가 개방된다. 소화 밸브(10)가 개방되면, 소화 약제 저장용기(4)로부터 소화 약제가 유동하여 소화 약제 분사 수단(8)에 의해 공간(3) 내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약제는 주지된 모든 소화 약제일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압축가스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약제 분사 수단(8)은 공간(3) 내에 소화 약제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는 주지된 이용 가능한 모든 분사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 밸브(1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주지된 이용 가능한 모든 밸브를 포함하며, 특히 선택 밸브 일 수 있다.
도 3에는 소화 약제 저장용기(4), 소화밸브 구동기(12) 등이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함이며 공간의 수 또는 공간의 면적 등에 따라 복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1)은, 건축물의 붕괴 등 외력에 의한 파손 또는 비상구의 오작동 등으로 비상구가 개방되지 않을 때를 대비하여 비상구의 출입문을 강제로 개방할 수 있는 에어백(18)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에어백(18)이 비상구(14)의 출입문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18)은 소화 약제 저장용기(4)에 저장된 소화 약제,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에어백 팽창가스로 사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18)은 소화 약제 공급 배관(6)에 의해 소화 약제 저장 용기(4)와 연결된다. 소화 약제 공급 배관(6)에 설치되는 에어백 밸브(20)의 개방에 의해 소화 약제가 에어백(18)에 공급된다. 에어백 밸브(20)의 개방은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24)는 에어백(18)을 팽창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에어백 밸브 구동기(22)를 작동시키고 에어백 밸브(20)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 밸브(20)는 소화 약제 공급 배관(6)과 연통하여 소화 약제가 비상구(14)의 출입문 내에 접혀 있는 에어백(18)을 팽창시킴으로써 비상구(14)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의해 비상구(14)가 강제적으로 개방되고, 탈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공간(3) 내가 정전 등으로 인해 주변 환경이 시청각적으로 탐지가 어려울 때 에어백의 동작에 의해 비상 통로에 대해 시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의 출입문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에어백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의 두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에어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을 조합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및 두께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에어백이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및/또는 출입문의 재료의 강도, 예산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에어백을 비상구의 출입문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백의 팽창에 의한 비상구의 출입문의 개방이 더욱 용이하도록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의 내측에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의 내측의 그루브는 에어백의 설치 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출입문의 중앙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출입문에 그루브가 형성되는 형태에는 특히 제한이 없다. 도 5a 및 도 5b에는 예시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루브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에어백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출입문에 부착된 채로 유지되므로 에어백의 작동에 의해 파열된 문의 일부 등이 공간 내로 날아들어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에어백이 개방될 때 비상구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이 에어백의 개방에 의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백 개방 알림을 시청각적으로 나타내는 수단, 예를 들어 알람, 형광 사인 등을 비상구 주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들 에어백 개방 알림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에어백 개방 대략 수 초 내지 수 분 전에 수행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은 설치된 비상구의 출입문마다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비상구보다 적게 또는 더 많은 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1)은, 비상구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비상구 개방 감지수단(16)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구 개방 감지수단(16)은 비상구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4)에 개폐여부의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24)가 비상구(14)의 폐쇄신호를 수신하면 에어백 밸브 구동기(22)에 에어백 밸브 개방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비상구 개방 감지수단(16)은 문, 창문 등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주지된 모든 센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상구 출입문의 문틈 등에 설치되어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그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일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1)은, 공간 내에 산소 공급을 위한 산소 저장 수단(28), 산소 저장 수단(28)에 연결되는 산소 공급 배관(30) 및 산소 저장 수단(28)으로부터 산소 공급 배관(30)을 통한 산소의 흐름을 개폐하는 산소 공급 밸브(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를 공간 내에 공급하는 하나의 양태로서, 산소 공급밸브(3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24)가 산소 공급 밸브 구동기(34)에 산소 공급 밸브 개방 신호를 전달하면 산소 공급 밸브(32)가 개방되고, 산소 저장 수단(28)에 저장된 산소는 산소 공급 배관(30)을 유동하여 산소 공급 헤드(36)를 통해 공간(3) 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하여 공간(3) 내에 있는 사람들이 탈출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4)와 신호를 주고 받는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26)에 의해 산소 공급의 필요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진압된 후, 공간(3) 내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26)이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한다. 제어부(24)는, 상기 제어부(24)에 미리 설정된 인간의 호흡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산화탄소 농도 허용치와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26)이 감지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비교 및 산소 공급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공간(3) 내에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산소 공급은 화재 진압 후 비상구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 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이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생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도 2에는 비상구(14)에 소화 약제를 공급하는 수단 등은 생략되어 있다.
산소 저장 수단(28)은 산소 탱크 등 산소를 안전하게 저장하여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모든 수단을 포함하며, 산소 공급 헤드(36)는 공간 내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주지된 모든 산소 공급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1)의 동작방법의 흐름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의 동작방법은 재난 또는 비상상황의 발생시 먼저 화재 발생 감지기(2)에 의해 화재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화재발생 탐지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발생 탐지단계(S10)에서 화재 발생이 탐지되지 않으면, 상기 시스템(1)은 공간 내 인명들의 탈출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16)에 의해 비상구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비상구 개방 감지단계(S30)를 포함한다. 비상구 폐쇄가 감지되면, 제어부(24)는 에어백 밸브(20)에 개방 명령을 내림으로써 소화 약제가 에어백에 공급되어 에어백이 작동되고, 이로 인하여 비상구가 개방되는 에어백 작동단계(S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의 동작방법은 비상구 폐쇄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에어백 작동단계(S40)와 동시에, 순차로 또는 택일적으로 수행되는 산소 공급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비상구 폐쇄가 감지되면 에어백 작동단계(S40)만이 실행될 수도 있고, 에어백 작동단계(S40)와 함께 공간 내의 인명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공급 단계(S50)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비상구 폐쇄가 감지되었을 때, 공간 내의 인명에 산소 공급을 하는 산소공급단계(S50)가 먼저 수행되고 에어백 작동단계(S40)가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 역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1)의 다른 양태로서, 시스템(1)의 동작방법은 재난 또는 비상상황의 발생시 먼저 화재 발생 감지기(2)에 의해 화재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화재발생 탐지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발생 탐지단계(S10)에서 화재 발생이 탐지되면, 상기 시스템(1)은 소화 밸브(10)를 개방하여 소화 약제를 공간(3)내에 분사하는 소화약제 분사단계(S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1)은 공간 내 인명들의 탈출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16)에 의해 비상구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비상구 개방 감지단계(S30)를 포함한다. 비상구 폐쇄가 감지되면, 제어부(24)는 에어백 밸브(20)에 개방 명령을 내림으로써 소화 약제가 에어백에 공급되어 에어백이 작동되고, 이로 인하여 비상구가 개방되는 에어백 작동단계(S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의 동작방법은 비상구 폐쇄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에어백 작동단계(S40)와 동시에, 순차로 또는 택일적으로 수행되는 산소 공급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비상구 폐쇄가 감지되면 에어백 작동단계(S40)만이 실행될 수도 있고, 에어백 작동단계(S40)와 함께 공간 내의 인명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공급 단계(S50)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비상구 폐쇄가 감지되었을 때, 공간 내의 인명에 산소 공급을 하는 산소공급단계(S50)가 먼저 수행되고 에어백 작동단계(S40)가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 역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2: 화재 발생 감지기
2a: 경보장치 3: 공간
4: 소화 약제 저장용기 6: 소화 약제 공급 배관
8: 소화 약제 분사 수단 10: 소화 밸브
12: 소화 밸브 구동기 14: 비상구
16: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 18: 에어백
20: 에어백 밸브 22: 에어백 구동기
24: 제어부 26: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
28: 산소 저장 수단 30: 산소 공급 배관
32: 산소 공급 밸브 34: 산소 공급 밸브 구동기
36: 산소 공급 헤드

Claims (6)

  1.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으로서,
    공간 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발생 감지기;
    소화 약제가 저장되는 소화 약제 저장용기;
    상기 소화 약제 저장용기에서 소화 약제 공급 배관을 통해 흐르는 소화 약제를 공간 내로 공급하기 위한 소화 약제 분사 수단;
    상기 소화 약제 공급 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 내에 소화 약제를 공급 또는 공급을 중지하도록 개폐되는 소화 밸브;
    비상구에 설치되는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소화 약제 공급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 약제가 비상구 개방용 에어백에 도달하도록 개폐되는 비상구 에어백 밸브; 및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소화 밸브를 작동시키고 비상구 에어백 밸브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비상구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그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의 이산화탄소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에 측정값을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레벨 감지 수단;
    상기 공간 내에 공급되는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 저장 수단;
    상기 산소 저장 수단으로부터 산소가 공간 내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산소 공급 배관; 및
    상기 산소 공급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는 산소 공급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화 약제는 이산화탄소인 것인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5.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의 동작방법으로서,
    화재 발생 감지기가 공간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화재발생 탐지단계;
    상기 탐지단계에서 화재 발생이 탐지되는 경우, 소화 밸브를 개방하여 소화 약제를 공간 내에 분사하는 소화약제 분사단계;
    비상구 개방 감지 수단이 비상구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비상구 개방 감지단계; 및
    상기 감지단계에서 비상구 폐쇄가 감지되는 경우, 에어백 밸브를 개방하여 비상구에 설치된 에어백에 소화 약제를 공급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작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의 동작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작동단계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택일적으로 공간 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170003729A 2017-01-10 2017-01-10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KR20180082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29A KR20180082714A (ko) 2017-01-10 2017-01-10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29A KR20180082714A (ko) 2017-01-10 2017-01-10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14A true KR20180082714A (ko) 2018-07-19

Family

ID=6305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729A KR20180082714A (ko) 2017-01-10 2017-01-10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7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24B1 (ko) * 2020-02-21 2020-05-26 (주)세정이에프씨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945A (ko) 2002-02-19 2003-08-25 김상욱 가스계 소화약제의 배관저장형 소화시스템
JP2005005575A (ja) * 2003-06-13 2005-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機器収納用閉鎖パッケージハウス
KR20060025675A (ko) * 2004-09-17 2006-03-22 김순식 비상문 자동 개폐 장치
KR100588693B1 (ko) * 2003-12-16 2006-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수중추락시 도어 개방 장치
KR101071917B1 (ko) 2010-06-11 2011-10-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건물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244426B1 (ko) * 2012-12-03 2013-03-18 (유)성문 화재예방 및 억제장치
KR101647829B1 (ko) * 2015-03-24 2016-08-11 (주)동양공조 과압 배출 댐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945A (ko) 2002-02-19 2003-08-25 김상욱 가스계 소화약제의 배관저장형 소화시스템
JP2005005575A (ja) * 2003-06-13 2005-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機器収納用閉鎖パッケージハウス
KR100588693B1 (ko) * 2003-12-16 2006-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수중추락시 도어 개방 장치
KR20060025675A (ko) * 2004-09-17 2006-03-22 김순식 비상문 자동 개폐 장치
KR101071917B1 (ko) 2010-06-11 2011-10-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건물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244426B1 (ko) * 2012-12-03 2013-03-18 (유)성문 화재예방 및 억제장치
KR101647829B1 (ko) * 2015-03-24 2016-08-11 (주)동양공조 과압 배출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24B1 (ko) * 2020-02-21 2020-05-26 (주)세정이에프씨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6413A (en) Smoke detector-activated door seal
KR101920894B1 (ko) 화재 수신기에 의한 제연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U2020230320A1 (en) Fluid control assemblies for sprinkler systems
JP6978809B2 (ja) 火災避難室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1911B1 (ko) 층간 제연 시스템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WO2016174974A1 (ja) 火災感知装置、火災自動消火装置、及び火災自動消火システム
KR101436471B1 (ko) 질식사고를 방지하는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설비 및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방법
CN109812172B (zh) 防火门控制装置与系统
KR20180082714A (ko)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KR101915551B1 (ko)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KR100671477B1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KR101722090B1 (ko)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46297A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안전 소화 시스템
KR101044021B1 (ko) 제연구역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1355175B1 (ko)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KR101904835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안전 소화 시스템용 통합제어모듈
JP5221463B2 (ja) 避難支援装置
KR20180061814A (ko) 전실화재 방지 시스템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JPH06205851A (ja) 防災監視装置
JPH08131569A (ja) 特別避難階段並びに非常用エレベーター用附室の加圧 給気装置
KR102404409B1 (ko)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JP6463923B2 (ja) 避難設備
KR200410035Y1 (ko) 제연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