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036B1 -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0036B1 KR101880036B1 KR1020180021706A KR20180021706A KR101880036B1 KR 101880036 B1 KR101880036 B1 KR 101880036B1 KR 1020180021706 A KR1020180021706 A KR 1020180021706A KR 20180021706 A KR20180021706 A KR 20180021706A KR 101880036 B1 KR101880036 B1 KR 1018800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wall
- unit
- apparatus body
- vertical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를 감지하고, 소화전을 벽체의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 화재로부터 보호하며, 벽체에 마련되는 분사홀을 통해 소화수를 분사하되, 온도에 비례하여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화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소화수가 장치몸체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본체부를 보호하기 위한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를 감지하고, 소화전을 벽체의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 화재로부터 보호하며, 벽체에 마련되는 분사홀을 통해 소화수를 분사하되, 온도에 비례하여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화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소화수가 장치몸체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본체부를 보호하기 위한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내에 설치되는 소화전이라 불리는 화재발생표시 및 진압박스는 건축물의 각 층 외측벽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건축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 발생을 알리며, 화재가 난 지점으로 물을 뿌릴 수 있는 소방호스를 수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재발생표시 및 진압박스는 화재발생시, 자동적으로 화재 발생을 알리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 내에 있는 사람들의 빠른 대피를 유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화재발생표시 및 진압박스는 화재 발생과 같이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경우, 비상전원 배터리를 사용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비상전원 배터리는 12V용 배터리로써, 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용량이 작아 화재진압과 관련된 동작을 정상적으로 실행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신호에 따라 화재경보기를 구동시켜 외부로 화재 발생을 안내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스프링쿨러, 비상용 셔터, 비상사다리, 뎀버,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구동시켜 화재를 진압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그 지점에 위치되는 소화장치를 구동시킬 뿐, 화재 진압박스 자체를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없기 때문에 박스 자체가 손상되는 경우 소방장치들을 오작동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72023호(2017.08.28.)에는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는 소화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소화수가 장치몸체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면서 장치본체부에 구비되는 각종 장비에 대한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를 감지하고, 소화전을 벽체의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 화재로부터 보호하며, 벽체에 마련되는 분사홀을 통해 소화수를 분사하되, 온도에 비례하여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화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소화수가 장치몸체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본체부를 보호하기 위한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100)의 외측부에 배치되며, 소화수 분사부(210)가 설치되는 장치몸체부(200); 상기 장치몸체부(200)에 설치되며,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센서부(300); 및 상기 벽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재센서부(300)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장치몸체부(200)를 상기 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 배치시키는 이동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100)는, 전면에 상기 장치몸체부(200)가 배치되는 설치홀(110) 및 상기 설치홀(110)의 일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홀(120)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설치홀(110)과 연결되면서 상기 장치몸체부(200)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상기 벽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400)는, 설정된 길이를 이루어 상기 이동공간에 설치되는 이동레일(410); 상기 이동레일(410)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레일(410)에 레일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몸체부(200)를 상기 설치홀(110)을 통해 상기 벽체(10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하거나, 상기 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배치시키는 실린더(430); 및 상기 화재센서부(300)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장치몸체부(200)를 상기 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 배치시키도록 상기 실린더(43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440)를 구비하며, 상기 소화수 분사부(210)는,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과 개별적으로 가요성의 분사관(211)으로 연결되어 소화수를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기(440)는, 상기 화재센서부(300)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소화수 분사부(210)를 구동시키고, 상기 벽체(100)는, 외부에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을 커버하는 회전커버(500)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커버(500)는, 회전축(510)에 의해 상기 벽체(100)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510)은, 상기 제어기(4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모터(52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커버(50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기(440)는, 상기 회전모터(5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회전커버(500)의 회전각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수는, 상기 회전커버(500)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분사 방향이 안내되는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분사부(210)에서 분사되는 소화수가 상기 장치몸체부(20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설치홀(110)과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100)에 구비되는 수직바(610); 상기 수직바(610)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호판(620); 및 상기 보호판(620)을 상기 수직바(610)에 연결하는 연결수단(63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630)은, 일단부가 상기 수직바(6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호판(620)을 통과하는 복수의 연결바(631); 상기 각 연결바(631)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632); 상기 수직바(610)와 상기 보호판(6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연결바(6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633)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633)은, 상기 보호판(620)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를 감지함과 아울러, 소화전을 벽체의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 화재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벽체에 마련되는 분사홀을 통해 소화수를 분사하되, 온도에 비례하여 소화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소화수가 장치몸체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본체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에서 회전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안내홈의 형상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보호판의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에서 회전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안내홈의 형상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보호판의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772023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772023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772023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는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로 대체하고, 소화수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소화수가 장치몸체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772023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는 벽체(100)의 외측부에 배치되는 장치몸체부(200)와, 상기 장치몸체부(200)에 설치되며,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센서부(300)와, 상기 벽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재센서부(300)로부터 화재를 감지함에 따르는 화재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장치몸체부(200)를 상기 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 배치시키는 이동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100)에는, 상기 장치몸체부(200)가 배치되는 설치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벽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벽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장치몸체부(200)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홀(110)과 이동공간은 연결된다.
상기 이동부(400)는, 설정된 길이를 이루어 이동공간에 설치되는 이동레일(410)과, 상기 이동레일(410)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레일(410)에 레일 연결되는 연결부재(미도시)와,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몸체부(200)를 상기 설치홀(110)을 통해 상기 벽체(10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하거나, 상기 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배치시키는 실린더(430)와, 화재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장치몸체부(200)를 상기 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 배치시키도록 상기 실린더(43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44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4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배터리(4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실린더(430)는 장치몸체부(200)의 후면부에 연결되어 전후방으로 신축되는 축(431)을 갖는다.
상기 설치홀(110)에는 상하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설치홀(110)을 개폐하는 커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어기(4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실린더(미도시)에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40)는 상기 장치몸체부(200)가 상기 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 배치된 이후에, 상기 승강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커버를 하강시켜 상기 설치홀(110)을 밀폐한다.
상기 벽체(100)에는 상기 벽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장치몸체부(200)에는 소화수 분사부(210)가 설치된다.
상기 소화수 분사부(210)는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과 개별적으로 가요성의 분사관(211)으로 연결되어 소화수를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을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관(211)에는 소화수의 분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212)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440)는 화재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소화수 분사부(210)를 구동시킨다.
상기 벽체(100)에는 상기 이동레일(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30)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센서(130)의 위치는 상기 제어기(440)에 기 설정된다.
상기 제어기(440)에는 온도에 따라 상기 소화수 분사부(210)에서의 분사 유량이 기설정된다.
상기 제어기(440)는 화재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온도센서(130)로부터 온도를 전달받아 기설정되는 소화수의 분사 유량을 이루도록 상기 유량조절기(212)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벽체(100)는 외부에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을 커버하는 회전커 버(50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커버(500)는 회전축(510)에 의해 상기 벽체(100)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510)은 상기 제어기(4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모터(52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커버(500)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기(440)는 상기 회전모터(5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회전커버(500)의 회전각을 제어한다.
여기서, 다수의 분사홀(120)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수는 상기 회전커버(500)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분사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커버(500)의 내측면에는 소화수의 분사를 안내하는 안내홈(550)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550)은 상기 회전커버(500)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는 화재 발생시 화재를 감지함과 아울러, 소화전을 벽체의 내부로 수용하여 외부 화재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벽체에 마련되는 다수의 분사홀을 통해 소화수를 분사하되, 온도에 비례하여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수 분사부(210)에서 분사되는 소화수가 상기 장치몸체부(20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6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가 상기 장치몸체부(20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장치몸체부(200)에 구비되는 각종 장비에 대한 보호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설치홀(110)과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100)에 구비되는 수직바(610), 상기 수직바(610)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호판(620) 및 상기 보호판(620)을 상기 수직바(610)에 연결하는 연결수단(6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바(610)의 타측은 상기 분사홀(120)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그리고 일측은 그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바(610)는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과 상기 설치홀(11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100)에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직바(610)는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 중 상기 설치홀(110)과 이웃하는 분사홀과 상기 설치홀(11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100)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바(610)는 상기 장치몸체부(20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단부가 상기 벽체(100)로 매립되면서 상기 벽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판(6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610)와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 간에 배치되면서 상기 분사홀(120)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가 상기 장치몸체부(20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판(620)은 상부가 상기 분사홀(120) 방향으로 라운딩되면서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판(620)은 일측 표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보호판(620)의 표면에 존재하는 소화수가 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호판(620)은 후단부에 실리콘패드(미도시)가 구비되면서 상기 벽체(100)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패드는 외력에 의한 상기 보호판(620)의 좌우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대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630)은 일단부가 상기 수직바(6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호판(620)을 통과하는 복수의 연결바(631), 상기 각 연결바(631)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632) 및 상기 수직바(610)와 상기 보호판(6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연결바(6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633)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631)는 타단부가 상기 수직바(610)에 연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보호판(620)을 통과하면서 상기 수직바(6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배치된다.
상기 연결바(6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63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바(631)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스프링(633)은 상기 보호판(620)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상기 보호판(620)은 상기 연결바(631)의 타단부가 통과하는 통공(621)이 복수 형성되며, 상기 각 통공(621)은 상기 연결바(631)의 직경보다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호판(620)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보호판(620)이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부재(632)는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바(631)의 길이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보호판(620)이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재(632)는 상기 보호판(620)이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가 상부보다 상기 수직바(610)에 가까워지도록 하면서 상기 보호판(62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판(620)으로 분사되는 소화수의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32)는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바(631)의 길이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스프링(633)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연결바(631)의 타단부로 결합되는 보호캡(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640)은 상기 연결바(631)로부터 상기 고정부재(631)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가 상기 장치몸체부(20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치몸체부(200)에 구비되는 각종 장비에 대한 보호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0 : 벽체 200 : 장치몸체부
300 : 화재센서부 400 : 이동부
500 : 회전커버 600 : 보호부
610 : 수직바 620 : 보호판
621 : 통공 630 : 연결수단
631 : 연결바 632 : 고정부재
633 : 스프링 640 : 보호캡
300 : 화재센서부 400 : 이동부
500 : 회전커버 600 : 보호부
610 : 수직바 620 : 보호판
621 : 통공 630 : 연결수단
631 : 연결바 632 : 고정부재
633 : 스프링 640 : 보호캡
Claims (1)
- 벽체(100)의 외측부에 배치되며, 소화수 분사부(210)가 설치되는 장치몸체부(200);
상기 장치몸체부(200)에 설치되며,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센서부(300); 및
상기 벽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재센서부(300)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장치몸체부(200)를 상기 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 배치시키는 이동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100)는,
전면에 상기 장치몸체부(200)가 배치되는 설치홀(110) 및 상기 설치홀(110)의 일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홀(120)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설치홀(110)과 연결되면서 상기 장치몸체부(200)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상기 벽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400)는,
설정된 길이를 이루어 상기 이동공간에 설치되는 이동레일(410);
상기 이동레일(410)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레일(410)에 레일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몸체부(200)를 상기 설치홀(110)을 통해 상기 벽체(10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하거나, 상기 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배치시키는 실린더(430); 및
상기 화재센서부(300)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장치몸체부(200)를 상기 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 배치시키도록 상기 실린더(43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440)를 구비하며,
상기 소화수 분사부(210)는,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과 개별적으로 가요성의 분사관(211)으로 연결되어 소화수를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기(440)는,
상기 화재센서부(300)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소화수 분사부(210)를 구동시키고,
상기 벽체(100)는,
외부에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을 커버하는 회전커버(500)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커버(500)는,
회전축(510)에 의해 상기 벽체(100)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510)은,
상기 제어기(4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모터(52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커버(50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기(440)는,
상기 회전모터(5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회전커버(500)의 회전각을 제어하되,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수는,
상기 회전커버(500)의 내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분사 방향이 안내되는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분사부(210)에서 분사되는 소화수가 상기 장치몸체부(20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설치홀(110)과 상기 다수의 분사홀(1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100)에 구비되는 수직바(610);
상기 수직바(610)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호판(620); 및
상기 보호판(620)을 상기 수직바(610)에 연결하는 연결수단(63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630)은,
일단부가 상기 수직바(6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호판(620)을 통과하는 복수의 연결바(631);
상기 각 연결바(631)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632);
상기 수직바(610)와 상기 보호판(6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연결바(6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633)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633)은,
상기 보호판(620)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1706A KR101880036B1 (ko) | 2018-02-23 | 2018-02-23 |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1706A KR101880036B1 (ko) | 2018-02-23 | 2018-02-23 |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0036B1 true KR101880036B1 (ko) | 2018-07-19 |
Family
ID=6305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1706A KR101880036B1 (ko) | 2018-02-23 | 2018-02-23 |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003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8963B1 (ko) | 2018-04-25 | 2018-11-15 |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시스템 |
CN113018723A (zh) * | 2021-04-12 | 2021-06-25 | 董媛媛 | 一种森林防护用阻火板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5660B1 (ko) * | 2008-04-28 | 2011-07-01 | 조주호 |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
KR20120005653U (ko) * | 2011-01-28 | 2012-08-07 | 고현 | 물튀김방지구 |
JP5757654B2 (ja) * | 2011-05-16 | 2015-07-29 | 大成建設株式会社 | 散水設備 |
KR101674445B1 (ko) * | 2016-07-13 | 2016-11-09 | (주)대성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공간 소방용 경보장치 |
KR101700383B1 (ko) * | 2016-07-05 | 2017-02-13 | (주)대성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
KR101772023B1 (ko) | 2017-02-10 | 2017-08-28 |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
-
2018
- 2018-02-23 KR KR1020180021706A patent/KR1018800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5660B1 (ko) * | 2008-04-28 | 2011-07-01 | 조주호 |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
KR20120005653U (ko) * | 2011-01-28 | 2012-08-07 | 고현 | 물튀김방지구 |
JP5757654B2 (ja) * | 2011-05-16 | 2015-07-29 | 大成建設株式会社 | 散水設備 |
KR101700383B1 (ko) * | 2016-07-05 | 2017-02-13 | (주)대성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
KR101674445B1 (ko) * | 2016-07-13 | 2016-11-09 | (주)대성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공간 소방용 경보장치 |
KR101772023B1 (ko) | 2017-02-10 | 2017-08-28 |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8963B1 (ko) | 2018-04-25 | 2018-11-15 |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시스템 |
CN113018723A (zh) * | 2021-04-12 | 2021-06-25 | 董媛媛 | 一种森林防护用阻火板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2659B1 (ko) | 건축물 화재 발생시 긴급 소방지원시스템 | |
KR101772023B1 (ko) |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 |
KR101679713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 |
KR102308608B1 (ko)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 |
KR101259478B1 (ko) |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 |
KR101553775B1 (ko) |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장치 | |
KR101836117B1 (ko) | 공동주택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 |
KR20120037332A (ko) |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 |
KR101880036B1 (ko) |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 |
KR101761721B1 (ko) |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 |
KR102037710B1 (ko) | 화재 방지 시스템 | |
KR100709382B1 (ko) | 소방용 관창 | |
KR102068978B1 (ko) |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 |
KR20200102082A (ko) | 엔진룸 온도감지 및 소화시스템 | |
KR101828250B1 (ko) | 건물의 외벽을 통한 화재확산 방지장치 | |
KR101062677B1 (ko) | 초고층건물 화재진압장치 | |
KR102402164B1 (ko) |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 |
JP2006305173A (ja) | 防災装置 | |
KR101918963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시스템 | |
KR20140035162A (ko) |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 형성 시스템 | |
KR101679708B1 (ko) | 탈출이 용이한 소방용 완강기 | |
KR102243551B1 (ko) |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 |
KR20200030323A (ko) | 발전소 외부화재 진압설비 및 이를 이용한 발전소 외부화재 진압방법 | |
KR101731782B1 (ko) |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 | |
KR20170009206A (ko) | 스프링클러 소화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