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164B1 -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164B1
KR102402164B1 KR1020210105274A KR20210105274A KR102402164B1 KR 102402164 B1 KR102402164 B1 KR 102402164B1 KR 1020210105274 A KR1020210105274 A KR 1020210105274A KR 20210105274 A KR20210105274 A KR 20210105274A KR 102402164 B1 KR102402164 B1 KR 102402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water
fire extinguishing
flam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0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blowing air or gas currents with or without dispers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Apparatus therefor, e.g. f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는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실내의 바닥 또는 벽체에 배치되며, 상기 화재 감지기를 통해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실내에서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화염과 연기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화염 배출부; 상기 화염 배출부에 구비되며, 강제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유동되는 화염 및 연기에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 및, 상기 화염 배출부와 상기 소화수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FIRE EXTINGU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이를 즉시 감지하고, 바닥 또는 벽체에 구비되는 배출관을 통해 화염 및 연기를 외부로 강제배출하되, 관을 통해 배출되는 화염을 관에 구비되는 살수 장치를 사용하여 화염은 진화하면서 연기 및 화재 잔유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실내에서 화재가 번지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에 의해 사람이 질식사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물에는 화재발생시 초기진압을 위해 건축물 내에 소화기,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그 중 스프링클러는 현대사회의건물구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소방설비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건축물 내부의 천장에 고정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하방으로 소화수를 살수하여, 화재가 초기에 진압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건축물의 천장에서 하방으로만 살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경우 효율적이지 못하며, 스프링 클러에 의해 화재가 진압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연기로 인해 사람이 질식사되는 안전 사고의 위험이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8978호(등록일: 2020년 1월 16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이를 즉시 감지하고, 바닥 또는 벽체에 구비되는 배출관을 통해 화염 및 연기를 외부로 강제배출하되, 관을 통해 배출되는 화염을 관에 구비되는 살수 장치를 사용하여 화염은 진화하면서 연기 및 화재 잔유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실내에서 화재가 번지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에 의해 사람이 질식사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를 제공함을 제 1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관을 통해 화염 및 연기 배출로 인해 관 내부에 존재하는 그을음 및 잔유물을 관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퀴지를 사용하여 제거하여, 화염 진화를 하면서 연기를 배출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그을음으로 인해 관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를 제공함을 제 1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는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실내의 바닥 또는 벽체에 배치되며, 상기 화재 감지기를 통해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실내에서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화염과 연기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화염 배출부; 상기 화염 배출부에 구비되며, 강제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유동되는 화염 및 연기에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 및, 상기 화염 배출부와 상기 소화수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염 배출부는,
상기 실내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매립되는 배출관들과,
상기 배출관들에 구비되어 강제 흡입을 형성하는 배출 펌프를 구비하되,
상기 배출관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실내의 바닥 또는 벽체에 형성되는 흡입구들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들의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는,
상기 배출관들 각각의 내부에 소화수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는,
상기 배출관들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홀들과 연결되는 분사 라인들과,
상기 분사 라인들과 연결되는 소화수 공급기와,
상기 분사 라인들 각각에 설치되는 밸브들을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밸브들을 개방하고, 상기 소화수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배출관들 각각의 내부로 소화수를 분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구들 각각에는,
외부로 돌출 가능한 흡입 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흡입 부재는,
중공 형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내열성의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일단에 연결되며,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내경을 이루는 유입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들 각각의 원주에는 신축되는 축을 갖는 엑츄에이터들이 배치되고,
상기 축은, 상기 유입관의 외주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엑츄에이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축을 돌출시켜 상기 주름관을 늘어나게 하여 상기 유입관을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배출관들 각각에는,
상기 스퀴지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스퀴지 장치는,
상기 배출관들 내부에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축이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퀴지 부재와,
상기 배출관들 각각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와인더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와인더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는,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퀴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와인더 중 다른 하나의 와이어는,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퀴지 부재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퀴지 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퀴지 부재의 외주는 상기 배출관들 각각의 중공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스퀴지 부재의 외주에는 브러쉬 부재가 형성된다.
또한 링 형상의 소화수 분사관과, 상기 소화수 분사관의 중심에는 상기 배출관들 각각이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들 각각과 상기 소화수 분사관은 다수의 분사관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분사관들 각각에는, 개폐 밸브들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 밸브들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들 각각에는,
냉각 코일이 매설되고, 상기 냉각 코일은 전류 제공기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일정의 냉각 온도를 이루도록 냉각되고,
상기 배출관들 각각에는,
설정된 위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위치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기설정되는 안전 온도를 이루도록 상기 냉각 코일의 냉각 온도를 상기 온도 센서들이 설치되는 일정의 구획구간 별로 상기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이를 즉시 감지하고, 바닥 또는 벽체에 구비되는 배출관을 통해 화염 및 연기를 외부로 강제배출하되, 관을 통해 배출되는 화염을 관에 구비되는 살수 장치를 사용하여 화염은 진화하면서 연기 및 화재 잔유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실내에서 화재가 번지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에 의해 사람이 질식사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관을 통해 화염 및 연기 배출로 인해 관 내부에 존재하는 그을음 및 잔유물을 관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퀴지를 사용하여 제거하여, 화염 진화를 하면서 연기를 배출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그을음으로 인해 관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부재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는 유입관이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관에 스퀴지 장치가 배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스퀴지 부재와 배출관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면서 그을음을 제거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수 분사관과 배출관이 일체를 이루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발명은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는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100)와, 상기 실내의 바닥(10) 또는 벽체에 배치되며, 상기 화재 감지기(100)를 통해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실내에서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화염과 연기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화염 배출부(200)와, 상기 화염 배출부(200)에 구비되며, 강제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유동되는 화염 및 연기에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300)과, 상기 화염 배출부(200)와 상기 소화수 분사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염 배출부(200)는 상기 실내의 바닥(10) 또는 벽체에 매립되는 배출관들(210)과, 상기 배출관들(210)에 구비되어 강제 흡입을 형성하는 배출 펌프(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들(210)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실내의 바닥(10) 또는 벽체에 형성되는 흡입구들(11)과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들(210)의 타단은, 실외로 노출된다.
상기 소화수 분사부(300)는 상기 배출관들(210) 각각의 내부에 소화수를 분사한다.
그리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300)는 상기 배출관들(210)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홀들(211)과 연결되는 분사 라인들(310)과, 상기 분사 라인들(310)과 연결되는 소화수 공급기(320)와, 상기 분사 라인들(310) 각각에 설치되는 밸브들(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밸브들을 개방하고, 상기 소화수 공급기(320)를 사용하여 상기 배출관들(210) 각각의 내부로 소화수를 분사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부재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는 유입관이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흡입구들(11) 각각에는 외부로 돌출 가능한 흡입 부재(500)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 부재(500)는 중공 형상의 연결관(510)과, 상기 연결관(510)의 일단에 연결되는 내열성의 주름관(520)과, 상기 주름관(520)의 일단에 연결되며,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내경을 이루는 유입관(530)을 구비한다.
상기 흡입구들(11) 각각의 원주에는 신축되는 축(541)을 갖는 엑츄에이터들(540)이 배치된다.
상기 축(541)은, 상기 유입관(530)의 외주에 볼(54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엑츄에이터들(540)을 사용하여 상기 축(541)을 돌출시켜 상기 주름관(520)을 늘어나게 하여 상기 유입관(530)을 돌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11)에는 커버 부재(13)가 배치된다. 상기 커버 부재(13)는 화재 발생으로 인해 실내의 온도가 일정 이상으로 상승되면, 녹는 재질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관에 스퀴지 장치가 배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스퀴지 부재와 배출관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면서 그을음을 제거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배출관들(210) 각각에는 상기 스퀴지 장치(600)가 배치된다.
상기 스퀴지 장치(600)는, 상기 배출관들(210) 내부에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축(610)과, 상기 가이드 축(610)이 관통되는 관통홀(62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축(6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퀴지 부재(620)와, 상기 배출관들(210) 각각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와인더(630)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와인더(630)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631)는, 상기 배출관(210)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퀴지 부재(620)에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와인더(630) 중 다른 하나의 와이어(631)는, 상기 배출관(210)의 타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퀴지 부재(62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퀴지 부재(6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퀴지 부재(620)의 외주는 상기 배출관들(210) 각각의 중공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스퀴지 부재(620)의 외주에는 브러쉬 부재(621)가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수 분사관과 배출관이 일체를 이루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 하면, 링 형상의 소화수 분사관(700)과, 상기 소화수 분사관(700)의 중심에는 상기 배출관들(210) 각각이 배치된다.
상기 배출관들(210) 각각과 상기 소화수 분사관(700)은 다수의 분사관들(71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분사관들(710) 각각에는, 개폐 밸브들(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 밸브들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출관들(210) 각각에는, 냉각 코일이 매설된다. 상기 냉각 코일은 전류 제공기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일정의 냉각 온도를 이루도록 냉각되고, 상기 배출관들(210) 각각에는, 설정된 위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설정된 위치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기설정되는 안전 온도를 이루도록 상기 냉각 코일의 냉각 온도를 상기 온도 센서들이 설치되는 일정의 구획구간 별로 상기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제어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이를 즉시 감지하고, 바닥 또는 벽체에 구비되는 배출관을 통해 화염 및 연기를 외부로 강제배출하되, 관을 통해 배출되는 화염을 관에 구비되는 살수 장치를 사용하여 화염은 진화하면서 연기 및 화재 잔유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실내에서 화재가 번지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에 의해 사람이 질식사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관을 통해 화염 및 연기 배출로 인해 관 내부에 존재하는 그을음 및 잔유물을 관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퀴지를 사용하여 제거하여, 화염 진화를 하면서 연기를 배출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그을음으로 인해 관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화재 감지기
200 : 화염 배출부
300 : 소화수 분사부
400 : 제어부

Claims (4)

  1.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실내의 바닥 또는 벽체에 배치되며, 상기 화재 감지기를 통해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실내에서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화염과 연기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화염 배출부;
    상기 화염 배출부에 구비되며, 강제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유동되는 화염 및 연기에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 및,
    상기 화염 배출부와 상기 소화수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염 배출부는,
    상기 실내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매립되는 배출관들과,
    상기 배출관들에 구비되어 강제 흡입을 형성하는 배출 펌프를 구비하되,
    상기 배출관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실내의 바닥 또는 벽체에 형성되는 흡입구들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들의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는,
    상기 배출관들 각각의 내부에 소화수를 분사하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는,
    상기 배출관들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홀들과 연결되는 분사 라인들과,
    상기 분사 라인들과 연결되는 소화수 공급기와,
    상기 분사 라인들 각각에 설치되는 밸브들을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밸브들을 개방하고, 상기 소화수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배출관들 각각의 내부로 소화수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들 각각에는,
    외부로 돌출 가능한 흡입 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흡입 부재는,
    중공 형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내열성의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일단에 연결되며,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내경을 이루는 유입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들 각각의 원주에는 신축되는 축을 갖는 엑츄에이터들이 배치되고,
    상기 축은, 상기 유입관의 외주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엑츄에이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축을 돌출시켜 상기 주름관을 늘어나게 하여 상기 유입관을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KR1020210105274A 2021-08-10 2021-08-10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KR102402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274A KR102402164B1 (ko) 2021-08-10 2021-08-10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274A KR102402164B1 (ko) 2021-08-10 2021-08-10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164B1 true KR102402164B1 (ko) 2022-05-26

Family

ID=8180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274A KR102402164B1 (ko) 2021-08-10 2021-08-10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16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324B1 (ko) * 2015-03-18 2015-09-10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건물 화재 진압용 복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651844B1 (ko) * 2016-03-02 2016-08-29 (주)세정이에프씨 화재 경보 설비
KR101654596B1 (ko) * 2016-02-19 2016-09-06 (주)세정이에프씨 지하전력구용 화염 확산 방지 설비
KR101793996B1 (ko) * 2016-12-09 2017-11-07 (주)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
KR101936200B1 (ko) * 2018-08-23 2019-01-08 (주)세정이에프씨 건축물용 화재 진압 설비
KR102028880B1 (ko) * 2019-05-20 2019-11-04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068978B1 (ko) 2019-06-25 2020-01-22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KR102236901B1 (ko) * 2020-08-31 2021-04-06 (주)해우이엔지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설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324B1 (ko) * 2015-03-18 2015-09-10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건물 화재 진압용 복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654596B1 (ko) * 2016-02-19 2016-09-06 (주)세정이에프씨 지하전력구용 화염 확산 방지 설비
KR101651844B1 (ko) * 2016-03-02 2016-08-29 (주)세정이에프씨 화재 경보 설비
KR101793996B1 (ko) * 2016-12-09 2017-11-07 (주)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
KR101936200B1 (ko) * 2018-08-23 2019-01-08 (주)세정이에프씨 건축물용 화재 진압 설비
KR102028880B1 (ko) * 2019-05-20 2019-11-04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068978B1 (ko) 2019-06-25 2020-01-22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KR102236901B1 (ko) * 2020-08-31 2021-04-06 (주)해우이엔지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738B1 (ko) 방화구역용 스프링클러 감시 시스템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130997B1 (ko) 초고층 건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20170026154A (ko) 스프링클러 배관의 유수제어기능이 있는 분기용 티 및 그것을 이용한 스키핑 현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 방법
KR101936200B1 (ko) 건축물용 화재 진압 설비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2346594B1 (ko)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
US20200179736A1 (en) Sprinkler system
KR101700142B1 (ko) 건축공간 제연 기능을 갖는 소방방재 장치
KR101793988B1 (ko) 건물 화재 소방용 노즐 헤드 장치
KR1021468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KR102402164B1 (ko)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KR1021760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78368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KR101229517B1 (ko) 타격겸용 소방장치
KR102141942B1 (ko)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10218703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JP5046315B2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KR102621184B1 (ko)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화재 진압 방법
KR10214681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 기구함 장치
KR20020051476A (ko) 전력공동구용 소화시스템
KR1017836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21562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KR102299052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