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683B1 -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683B1
KR101783683B1 KR1020170066954A KR20170066954A KR101783683B1 KR 101783683 B1 KR101783683 B1 KR 101783683B1 KR 1020170066954 A KR1020170066954 A KR 1020170066954A KR 20170066954 A KR20170066954 A KR 20170066954A KR 101783683 B1 KR101783683 B1 KR 101783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upply
opening
valv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식
Original Assignee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6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방의 냉수공급관에 연결되는 급수관과, 급수관에 연결되어 랜지후드의 하면 양측에 설치되고 수직분사공과 수평분사공 및 경사분사공이 구비된 분사관과,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와, 분사관의 분사공들을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급수밸브와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가스랜지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구의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수돗물을 가스랜지의 양측 부분을 향하여 수직으로 분사함과 동시에 가스랜지의 상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분사함으로써 가스랜지에서 발생한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돗물을 수평으로 분사하여 가스랜지에서 발생한 화재가 랜지후드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발생 초기에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 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분사공이 폐색되지 않아 만일의 화재에 확실하게 대비할 수 있으며, 급수계통을 실질적으로 점검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오동작 없는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firefighting equipment using electric device of building}
본 발명은 전기소방 분야 기술 중에서,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스랜지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구의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수돗물을 가스랜지의 양측 부분을 향하여 수직으로 분사함과 동시에 가스랜지의 상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분사함으로써 가스랜지에서 발생한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돗물을 수평으로 분사하여 가스랜지에서 발생한 화재가 랜지후드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발생 초기에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 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분사공이 폐색되지 않아 만일의 화재에 확실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하며, 급수계통을 실질적으로 점검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오동작 없는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발생한 화재의 진화는 소화기에 의한 진화, 소화전을 이용한 진화, 소방차와 소방대원에 의한 진화, 그리고 스프링클러 장치에 의한 진화로 구분될 수 있다.
소화기에 의한 진화와 소화전을 이용한 진화는 건축물의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세대 거주자가 소화기 또는 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하는 것으로 초기 진화에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세대 거주자들의 연령별 또는 소방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소화기 또는 소화전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각 소방대에서는 화재발생초기의 진화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소위 화재골든타임이라고 하는 5~10분이내의 진화를 목표로 정하고 만전을 기하고 있다.
그러나 소방차와 소방대원에 의한 진화는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신고가 접수된 후 소방차와 소방대원이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초기 진화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고층 건축물에는 스프링클러 설비 등의 소방설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동 2004년 이전 시행된 동 법률에서는 고층 건축물을 16층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었으나,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현행 법률에서는 고층 건축물을 11층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고층 건축물에 포함되지 않는 저층 건축물에는 통상적으로 스프링클러 장치 등의 소방설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소화전과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스프링클러 장치가 설치된 건축물의 경우에는 상술한 진화 외에 스프링클러 장치에 의한 진화가 추가적으로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장치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화용 저수조(1)와, 저수조(1)에 연결되며 건축물의 세대 간에, 또는 세대 외벽에 설치되는 파이프 덕트 내에 설치되는 입상관을 포함하는 1차 배관(2), 1차 배관(2)에 개폐밸브(3)를 통해 연결되어 천장 내에 설치되는 2차 배관(4), 2차 배관(4)에 설치되어 천장에서 하향 노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5)를 포함하며, 1차 배관(2)에는 저수조(1) 내의 물을 펌핑하는 가압펌프(6)와 압력탱크(7)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장치는 세대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감지기(미도시)의 작동으로 개폐밸브(3)가 개방되어 저수조(1)에 저장된 물이 1차 배관(2)과 2차 배관(4)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5)에 이르게 되고, 스프링클러 헤드(5)에 구비된 퓨즈(미도시)의 작동으로 스프링클러 헤드(5)가 개방되면, 1차 배관(2)과 2차 배관(4)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분사되며, 스프링클러 헤드(5)의 하단에 구비된 디플렉터(미도시)에 의하여 확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장치는 화재발생기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제1 배관(2)에 소화수가 공급되어 채워지고, 개폐밸브(3)가 개방되어 제2 배관(4)에도 소화수가 공급되어 채워지지만, 스프링클러 헤드(5)에 구비된 퓨즈(미도시)가 통상적으로 100도씨 이상이 되었을 때 녹으면서 탈락한 후에야 비로소 살수가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가스레인지 설치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스프링클러 헤드(5)에서 살수되는 소화수는 디플렉터에 의하여 확산되기 때문에 발화점, 즉 가스레인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소화수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에서의 화재발생 원인은 여러 종류가 있겠으나, 주방의 가스랜지로 조리를 하는 과정에서 조리용기가 과열됨에 따른 화재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고층 건축물의 경우에도 주방의 가스랜지를 이용한 조리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하더라도 가스랜지를 향하여 집중적으로 살수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화재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가스레인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기후드는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성분이 부착되어 있어 불이 붙을 경우 배기덕트를 타고 급속도로 확산될 여려가 있는 부분인바,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분사되는 소화수는 배기후드에 대해서는 분사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5)에서 살수되는 소화수에 의하여 초기 진화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소화수가 가스레인지 주변의 가구 또는 전자제품에도 분사되기 때문에 가구와 전자제품의 침수로 인한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레인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가스레인지 화재 진화 전용 스프링클러를 설치할 경우, 천장반자를 들어내고 배관작업을 수행한 다음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고, 천장반자를 다시 설치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가스레인지 상부에는 배기후드가 설치되는 관계로 전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전용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더라도 배기후드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화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0108호(2017.04.19. 등록)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의 연결장치"(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는 가스레인지에 근접한 싱크대의 냉수공급관에 연결되는 전자밸브와, 전자밸브에 연결되며 가스레인지를 향하는 수평분사공과 배기후드를 향하는 상향분사공을 가지는 분사노즐과, 가스레인지 상부에 설치되는 배기후드의 하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의 감지온도에 따라 전자밸브를 개폐구동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스프링클러 장치의 설치와 무관하게 가스레인지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배기후드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게 되며, 진화 과정에서 가구와 전자제품의 침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신속, 간편하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게 되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가스랜지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구의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가스랜지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는 싱크대의 냉수공급관에 연결되며 가스랜지를 향하는 수평분사공과 배기후드를 향하는 상향분사공을 가지는 분사노즐을 구비한 것으로, 분사되는 수돗물이 발화점에 대하여 측방에서 분사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스랜지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구의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수돗물이 가스랜지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범위에 걸쳐서 하향분사되도록 함과 아울러 배기후드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 초기에 효과적인 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설치 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분사공이 폐색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만일의 화재에 확실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5247호(1999.05.29. 등록) "소방설비용 개폐밸브의 개폐감지장치"(이하, '선행기술2'라 함)는 개폐밸브의 축봉에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축봉의 높낮이에 따라 개폐밸브의 개폐상태가 감시제어반에 나타나도록 하는 구조로, 종래와 같이 축봉이 손잡이 상부로 돌출된 상태여부로 밸브의 개폐상태를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직접 확인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또한 감지수단을 축봉에 설치 및 해체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한 것으로써 그 주요구성을 보면 상기 감지수단은 개폐밸브의 축봉에 구비되어 축봉을 감싸는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케이스와 체결 밴드로 이루어지며 리미트스위치 선단에 구비된 레버의 눌림 및 해제 상태로 개폐여부가 감시제어반에 감응되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는 개폐밸브의 축봉이 승강하게 되면, 감시제어반에서는 개폐밸브가 정상적인 것으로 인식되지만 축봉과 밸브콘이 단절되어 있는 경우에는 축봉이 승강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개폐밸브의 내부에 설치된 밸브콘에 의한 개폐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개폐밸브에 대한 감시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급수계통을 실질적으로 점검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오동작 없는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0108호(2017.04.19. 등록)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의 연결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5247호(1999.05.29. 등록) "소방설비용 개폐밸브의 개폐감지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랜지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구의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수돗물을 가스랜지의 양측 부분을 향하여 수직으로 분사함과 동시에 가스랜지의 상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분사함으로써 가스랜지에서 발생한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돗물을 수평으로 분사하여 가스랜지에서 발생한 화재가 랜지후드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발생 초기에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분사공이 폐색되지 않아 만일의 화재에 확실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급수계통을 실질적으로 점검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오동작 없는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가스랜지가 설치되는 가스대와 대응하는 전면벽에 냉수공급관과 온수공급관에 연결되는 냉온수혼합밸브가 설치된 싱크대가 설치되고, 가스랜지의 상부에 랜지후드가 설치된 주방 구조에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로서, 상기 냉수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랜지후드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급수관)과; 상기 랜지후드의 하면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폐쇄되며, 수돗물을 수직하방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수직분사공과,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어 수돗물을 수평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수평분사공 및 수돗물을 가스랜지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분사하는 복수개의 경사분사공이 형성된 한 쌍의 분사관과;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급수밸브와; 상기 분사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분사관과 수평분사관 및 경사분사관을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급수밸브와 개폐수단을 개폐상태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급수관은 상기 냉수공급관 하단이 연결되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랜지후드의 후단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에 중간부가 연결되어 상기 랜지후드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분사관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분사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분사공, 수평분사공 및 경사분사공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랜지후드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을 회동시키는 개폐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판은 상기 분사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원통체를 절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수직분사공, 수평분사공 및 경사분사공을 모두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체에서 120도만큼 절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판은 전면측 단부에 형성된 모터연결부가 상기 개폐모터의 모터축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개폐모터는 상기 랜지후드에 고정되는 모터마운트를 통하여 랜지후드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마운트는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랜지후드의 전면과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모터가 장착되는 장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랜지후드의 하면에 구비되어 가스랜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와, 상기 화재감지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에 대한 밸브제어명령과 상기 개폐모터에 대한 모터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밸브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에 대한 밸브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급수밸브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의 모터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개폐모터에 대한 모터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개폐모터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급수계통을 점검수단과, 상기 점검수단을 제어하는 점검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점검수단은 상기 수평관과 분기관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개수대로 연장되는 제1 배수관과, 상기 수평관과 분기관의 연결부 및 제1 배수관 사이에 설치되는 3방밸브와, 상기 가스대 상에 거치 가능하며 상기 분사관의 수직분사관, 수평분사공 및 경사분사공에서 분사되는 수돗물을 집수하는 집수함과, 상기 집수함의 바닥에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개수대로 연장되는 제2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배수관은 상기 3방밸브에 연결되는 상측수평부와, 상기 상측수평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대 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수대로 연장되는 하측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3방밸브는 상기 수평관과 분기관의 연결부 및 제1배수관의 상측수평관에 연결되며 내부에 밸브시트와 밸브콘을 구비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자적인 신호에 의하여 밸브콘을 작동시키는 전자식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수함은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에 배수공이 형성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집수함의 하면에는 가스대 상에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각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배수관은 상기 배수공에 상단이 연결되어 가스대 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수대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검제어수단은 상기 급수밸브와 수직관과 수평관 및 3방밸브를 점검하는 1단계점검모드와, 상기 3방밸브와 분기관과 연결관 및 분사관을 점검하는 2단계점검모드 및, 평상모드가 입력되는 점검모드입력부와, 상기 점검모드입력부에 1단계점검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급수밸브개방제어명령과 3방밸브가 상기 수평관과 제1 배수관을 연결하도록 하는 3방밸브1단계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점검모드입력부에 2단계점검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급수밸브개방제어명령과 3방밸브가 상기 수평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도록 하는 3방밸브2단계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개폐모터가 상기 개폐판을 상기 수직분사공, 수평분사공 및 경사분사공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분사관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점검모드입력부에 평상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3방밸브가 상기 수평관과 분기관을 연결되도록 하는 3방밸브평상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점검제어부와, 상기 점검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에 대한 급수밸브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급수밸브구동부와, 상기 점검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개폐모터에 대한 모터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개폐모터구동부과, 상기 점검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3방밸브에 대한 3방밸브구동신호를 송출하는 3방밸브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에 의하면 주방의 냉수공급관에 연결되는 급수관과, 급수관에 연결되어 랜지후드의 하면 양측에 설치되고 수직분사공과 수평분사공 및 경사분사공이 구비된 분사관과,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와, 분사관의 분사공들을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급수밸브와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가스랜지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구의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수돗물을 가스랜지의 양측 부분을 향하여 수직으로 분사함과 동시에 가스랜지의 상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분사함으로써 가스랜지에서 발생한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돗물을 수평으로 분사하여 가스랜지에서 발생한 화재가 랜지후드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발생 초기에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고, 설치 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분사공이 폐색되지 않아 만일의 화재에 확실하게 대비할 수 있으며, 급수계통을 실질적으로 점검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오동작 없는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분사관과 개폐판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제어수단의 기능블록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설치상태 사시도,
도 7은 점검상태 사시도,
도 8은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어수단의 기능블록도,
도 1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는 도 1 내지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랜지(GR)가 설치되는 가스대(11)와 대응하는 전면벽(W1)에 냉온수혼합밸브(20)가 설치된 개수대(12)를 포함하는 싱크대(10)가 설치되고, 가스랜지(GR)의 상부에 랜지후드(RH)가 설치된 주방에 적용한 것이다.
상기 냉온수혼합밸브(20)는 냉수공급관(31)과 온수공급관(32)에 연결되는 밸브본체(21)와, 상기 밸브본체(21)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는, 상기 냉수공급관(31)에 연결되어 상기 랜지후드(RH)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급수관(100)과; 상기 랜지후드(RH)의 하면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급수관(100)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폐쇄되며, 수돗물을 수직하방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수직분사공(210)과,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어 수돗물을 수평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수평분사공(220) 및 수돗물을 가스랜지(RH)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분사하는 복수개의 경사분사공(230)이 형성된 한 쌍의 분사관(200)과; 상기 급수관(100)에 설치되는 급수밸브(300)와; 상기 분사관(2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분사공(210)과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400); 및 상기 급수밸브(300)와 개폐수단(400)을 개폐상태로 제어하는 제어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수관(100)은 상기 냉수공급관(31)에 하단이 연결되는 수직관(110)과, 상기 수직관(1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랜지후드(RH)의 후단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관(120)과, 상기 수평관(120)에 중간부가 연결되어 상기 랜지후드(RH)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분기관(130)과, 상기 분기관(130)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분사관(20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관(1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관(110)은 상기 냉수공급관(31)와 냉온수혼합밸브(20)의 사이에 T형 관조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직관(110)과 수평관(120)은 엘보형 관조인트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밴딩 또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분기관(130)의 중간부에 연결부(131)를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하고, 이 연결부(131)를 수평관(120)은 엘보형 관조인트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130)과 연결관(140)은 상기 분기관(130)과 연결관(140)는 밴딩 또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40)과 분사관(200)은 밴딩 또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관(140)과 분사관(200)은 엘보형 관조인트를 통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급수밸브(300)는 상기 수직관(110)의 도중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수직관(110)을 절단하고 그 사이에 급수밸브(30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300)는 내부에 밸브시트와 밸브콘(미도시)을 구비한 밸브본체(310)와, 상기 밸브본체(3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자적인 신호에 의하여 밸브콘을 작동시키는 전자식 구동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수밸브(300)의 밸브본체(310)와 전자식 구동부(320)은 통상적인 전자밸브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며, 어느 한 종류의 전자밸브로 특정할 필요는 없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폐수단(400)은 상기 분사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을 개폐하는 개폐판(410)과,
상기 랜지후드(RH)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410)을 회동시키는 개폐모터(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판(410)은 상기 분사관(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원통체를 절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을 모두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체에서 120도만큼 절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410)의 전면측 단부에는 모터연결부(411)를 형성하여 상기 개폐모터(420)의 모터축(미도시)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개폐모터(420)는 상기 랜지후드(RH)에 고정되는 모터마운트(430)를 통하여 랜지후드(RH)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모터마운트(430)는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랜지후드(RH)의 전면과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431)와, 상기 고정부(4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모터(420)가 장착되는 장착부(43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431)는 볼트/너트 또는 스크루(미도시)에 의하여 랜지후드(RH)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모터(420)는 상기 장착부(432)를 관통하는 스크루(미도시)를 개폐모터(420)의 전면에 형성된 스크루체결공(미도시)에 의하여 장착부(432)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랜지후드(RH)의 하면에 구비되어 가스랜지(GR)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510)와, 상기 화재감지기(5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300)에 대한 밸브제어명령과 상기 개폐모터(420)에 대한 모터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520)와, 상기 제어부(520)의 밸브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300)에 대한 급수밸브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급수밸브구동부(530) 및, 상기 제어부(520)의 모터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개폐모터(420)에 대한 모터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개폐모터구동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20)의 밸브제어명령은 상기 화재감지기(5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급수밸브(300)를 폐쇄하는 밸브폐쇄제어명령과, 상기 화재감지기(5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300)를 개방하는 밸브개방제어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20)의 모터제어명령은 상기 화재감지기(5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개폐모터(420)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폐쇄방향회전제어명령과, 상기 화재감지기(5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개폐모터(420)를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개방방향회전제어명령을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스랜지(GR)에서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화재감지기(510)에 의한 화재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제어부(520)가 밸브폐쇄제어명령을 출력하고 급수밸브구동부(530)가 밸브폐쇄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급수밸브(30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어부(520)가 모터폐쇄방향회전제어명령을 출력하고 개폐모터구동부(540)가 모터폐쇄방향회전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개폐모터(420)에 의하여 구동되는 개폐판(410)이 분사관(200)의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급수관(100)을 통한 분사관(200)에 대한 급수가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며, 분사관(200)의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이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하여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만일의 화재에 확실하게 대비할 수 있게 된다.
가스랜지(GR)에서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감지기(510)의 화재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20)가 밸브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고 급수밸브구동부(530)가 밸브개방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급수밸브(300)가 개방되고, 제어부(520)가 모터개방방향회전제어명령을 출력하고 개폐모터구동부(540)가 모터개방방향회전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개폐모터(420)에 의하여 구동되는 개폐판(410)이 회전하여 분사관(200)의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을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수공급관(31)의 수돗물이 급수밸브(300), 급수관(100)을 통해 분사관(200)으로 급수되고,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을 통해 분사되어 가스랜지(GR)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직분사공(210)에서 수직으로 분사되는 수돗물은 가스랜지(GR)의 양측 부분을 향하여 분사되고, 경사분사공(230)에서 경사지게 분사되는 수돗물은 가스랜지(GR)의 상면을 향하여 분사되므로 가스랜지(GR)에서 발생한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화하게 된다.
한편, 수평분사공(220)에서 수평으로 분사되는 수돗물은 랜지후드(RH)의 하단 개방부를 차단하는 워터커튼을 형성하게 되어 가스랜지(GR) 측에서의 화염이 랜지후드(RH)의 내부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가스랜지(GR)에서 발생한 화재가 랜지후드(GR)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랜지(GR)에서 발생한 화재를 직접 진화함과 아울러 화재가 랜지후드(RH)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화재 초기에 효과적인 진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계통을 점검수단(600)과, 상기 점검수단(600)을 제어하는 점검제어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점검수단(600)은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의 연결부(131)에 연결되어 개수대(12)로 연장되는 제1 배수관(610)과,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의 연결부(131) 및 제1 배수관(610) 사이에 설치되는 3방밸브(620)와, 상기 가스대(11) 상에 거치 가능하며 상기 분사관(200)의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에서 분사되는 수돗물을 집수하는 집수함(630)과, 상기 집수함(630)의 바닥에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개수대(12)로 연장되는 제2 배수관(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배수관(610)은 상기 3방밸브(620)에 연결되는 상측수평부(611)와, 상기 상측수평부(611)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대(11) 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612) 및 상기 수직부(612)에 연결되어 상기 개수대(12)로 연장되는 하측수평부(6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수평부(611)와 수직부(612)는 밴딩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하거나 엘보형 관조인트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부(612)와 하측수평부(613)는 밴딩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하거나 엘보형 관조인트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하측수평부(613)에는 배수되는 수돗물을 상기 개수대(12)로 유도하기 위한 배수용 엘보(614)가 연결된다.
상기 3방밸브(620)는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의 연결부(131) 및 제1배수관(610)의 상측수평관(611)에 연결되며 내부에 밸브시트와 밸브콘(미도시)을 구비한 밸브본체(621)와, 상기 밸브본체(6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자적인 신호에 의하여 밸브콘을 작동시키는 전자식 구동부(6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수함(630)은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631)에 배수공(632)이 형성된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수함(630)의 하면에는 가스대(11) 상에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각(633)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배수관(640)은 상기 배수공(632)에 상단이 연결되어 가스대(11) 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641)와, 상기 수직부(641)에 연결되어 상기 개수대(12)로 연장되는 수평부(6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642)에는 배수되는 수돗물을 상기 개수대(12)로 유도하기 위한 배수용 엘보(643)가 연결된다.
상기 점검제어수단(700)은 상기 급수밸브(300)와 수직관(110)과 수평관(120) 및 3방밸브(620)를 점검하는 1단계점검모드와, 상기 3방밸브(620)와 분기관(130)과 연결관(140) 및 분사관(200)을 점검하는 2단계점검모드 및, 평상모드가 입력되는 점검모드입력부(710)와, 상기 점검모드입력부(710)에 1단계점검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300)가 개방되도록 하는 급수밸브개방제어명령과 3방밸브(620)가 상기 수평관(120)과 제1 배수관(610)을 연결하도록 하는 3방밸브1단계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점검모드입력부(710)에 2단계점검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300)가 개방되도록 하는 급수밸브개방제어명령과 3방밸브(620)가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을 연결하도록 하는 3방밸브2단계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개폐모터(420)가 상기 개폐판(410)을 상기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분사관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점검모드입력부(710)에 평상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3방밸브(620)가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을 연결되도록 하는 3방밸브평상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점검제어부(720)와, 상기 점검제어부(7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730)에 대한 급수밸브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급수밸브구동부(730)와, 상기 점검제어부(7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개폐모터(420)에 대한 모터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개폐모터구동부(740)과, 상기 점검제어부(7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3방밸브(620)에 대한 3방밸브구동신호를 송출하는 3방밸브구동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점검제어수단(700)과 상기 제어수단(500)은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점검제어수단(700)의 점검모드입력부(710)에 평상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수단(50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에 의하여 점검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검모드입력부(710)에 1단계점검모드가 입력되면, 점검제어부(720)가 상기 급수밸브(300)가 개방되도록 하는 급수밸브개방제어명령과 3방밸브(620)가 상기 수평관(120)과 제1 배수관(610)을 연결하도록 하는 3방밸브1단계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점검제어부(720)의 제어명령에 따라 급수밸브구동부(730)가 급수밸브(300)에 대한 급수밸브개방구동신호를 송출하여 급수밸브(300)가 개방됨과 아울러 3방밸브구동부(740)가 수평관(120)과 제1배수관(610)을 연결하도록 하는 3방밸브1단계개방구동신호를 송출하여 3방밸브(620)가 수평관(120)과 제1배수관(610)을 연결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급수밸브(300)와 3방밸브(620), 수직관(110) 및 수평관(120)이 정상적인 상태일 경우에는 냉수공급관(31)의 수돗물이 급수밸브(300), 수직관(110), 수평관(120), 3방밸브(620)을 통하여 급수되고, 제1배수관(610)을 통하여 개수대(12)로 배수된다.
한편, 급수밸브(300)와 3방밸브(620), 수직관(110) 및 수평관(120)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에는 수돗물이 개수대(12)로 배수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급수밸브(300), 3방밸브(620), 수직관(110) 및 수평관(120)에 대한 1차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점검모드입력부(710)에 2단계점검모드가 입력되면, 점검제어부(720)가 상기 급수밸브(300)가 개방되도록 하는 급수밸브개방제어명령과 3방밸브(620)가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을 연결하도록 3방밸브2단계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점검제어부(720)의 제어명령에 따라 급수밸브구동부(730)가 급수밸브(300)에 대한 급수밸브개방구동신호를 송출하여 급수밸브(300)가 개방됨과 아울러 3방밸브구동부(750)가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을 연결하도록 하는 3방밸브2단계개방구동신호를 송출하여 3방밸브(620)가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을 연결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급수밸브(300)와 3방밸브(620), 수직관(110), 수평관(120), 분기관(130), 연결관(140), 분사관(200)이 정상적인 경우에는 냉수공급관(31)의 수돗물이 급수밸브(300), 수직관(110), 수평관(120), 분기관(130), 연결관(140)을 통하여 분사관(200)으로 급수되고, 분사관(200)의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을 통하여 분사된다.
이때, 점검입력부(710)에 2단계점검을 입력하기 전에 제1배수관(640)이 연결된 집수함(630)을 미리 가스대(11) 상에 거치하여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에서 분사되는 수돗물이 주변으로 비산되지 않고 집수함(630)에 집수될 수 있도록 한다.
집수함(630)에 집수된 수돗물은 제2배수관(640)을 통해 개수대(12)로 배수된다.
한편, 급수밸브(300)와 3방밸브(620), 수직관(110), 수평관(120), 분기관(130), 연결관(140), 분사관(200)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수돗물이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을 통하여 분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급수밸브(300)와 3방밸브(620), 수직관(110), 수평관(120), 분기관(130), 연결관(140), 분사관(200)에 대한 2차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급수계통에 대한 실질적인 점검이 가능하게 되어 화재발생시 오동작 없는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싱크대 20: 냉온수혼합밸브
31: 냉수공급관 100: 급수관
110: 수직관 120: 수평관
130: 분기관 140: 연결관
200: 분사관 210: 수직분사공
220: 수평분사공 230: 경사분사공
300: 급수밸브 400: 개폐수단
410: 개폐판 411: 모터연결부
420: 개폐모터 430: 모터마운트
431: 고정부 432: 장착부
500: 제어수단 510: 화재감지기
520: 제어부 530: 급수밸브구동부
540: 개폐모터구동부 600: 점검수단
610: 제1 배수관 611: 상측수평부
612: 수직부 613: 하측수평부
614: 배수용 엘보 620: 3방밸브
630: 집수함 640: 제2 배수관
641: 수직부 642: 수평부
643: 배수용 엘보 700: 점검제어수단
710: 점검입력부 720: 점검제어부
730: 급수밸브구동부 740: 개폐모더구동부
750: 3방밸브구동부

Claims (1)

  1. 가스랜지(GR)가 설치되는 가스대(11)와 대응하는 전면벽(W1)에 냉수공급관(31)과 온수공급관(32)에 연결되는 냉온수혼합밸브(20)가 설치된 싱크대(10)가 설치되고, 가스랜지(GR)의 상부에 랜지후드(RH)가 설치된 주방 구조에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로서,
    상기 냉수공급관(31)에 연결되어 상기 랜지후드(RH)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급수관(100)과; 상기 랜지후드(RH)의 하면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급수관(100)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폐쇄되며, 수돗물을 수직하방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수직분사공(210)과,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어 수돗물을 수평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수평분사공(220) 및 수돗물을 가스랜지(RH)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분사하는 복수개의 경사분사공(230)이 형성된 한 쌍의 분사관(200)과; 상기 급수관(100)에 설치되는 급수밸브(300)와; 상기 분사관(2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분사공(210)과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400); 및 상기 급수밸브(300)와 개폐수단(400)을 개폐상태로 제어하는 제어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급수관(100)은 상기 냉수공급관(31)에 하단이 연결되는 수직관(110)과, 상기 수직관(1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랜지후드(RH)의 후단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관(120)과, 상기 수평관(120)에 중간부가 연결되어 상기 랜지후드(RH)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분기관(130)과, 상기 분기관(130)의 양단과 상기 한 쌍의 분사관(20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관(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수단(400)은 상기 분사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을 개폐하는 개폐판(410)과, 상기 랜지후드(RH)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410)을 회동시키는 개폐모터(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판(410)은 상기 분사관(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원통체를 절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을 모두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체에서 120도만큼 절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판(410)은 전면측 단부에 형성된 모터연결부(411)가 상기 개폐모터(420)의 모터축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개폐모터(420)는 상기 랜지후드(RH)에 고정되는 모터마운트(430)를 통하여 랜지후드(RH)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마운트(430)는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랜지후드(RH)의 전면과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431)와, 상기 고정부(4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모터(420)가 장착되는 장착부(432)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랜지후드(RH)의 하면에 구비되어 가스랜지(GR)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510)와, 상기 화재감지기(5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300)에 대한 밸브제어명령과 상기 개폐모터(420)에 대한 모터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520)와, 상기 제어부(520)의 밸브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300)에 대한 밸브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급수밸브구동부(530) 및, 상기 제어부(520)의 모터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개폐모터(420)에 대한 모터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개폐모터구동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급수계통을 점검수단(600)과, 상기 점검수단(600)을 제어하는 점검제어수단(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점검수단(600)은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의 연결부(131)에 연결되어 개수대(12)로 연장되는 제1 배수관(610)과,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의 연결부(131) 및 제1 배수관(610) 사이에 설치되는 3방밸브(620)와, 상기 가스대(11) 상에 거치 가능하며 상기 분사관(200)의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에서 분사되는 수돗물을 집수하는 집수함(630)과, 상기 집수함(630)의 바닥에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개수대(12)로 연장되는 제2 배수관(6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배수관(610)은 상기 3방밸브(620)에 연결되는 상측수평부(611)와, 상기 상측수평부(611)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대(11) 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612) 및 상기 수직부(612)에 연결되어 상기 개수대(12)로 연장되는 하측수평부(6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3방밸브(620)는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의 연결부(131) 및 제1배수관(610)의 상측수평관(611)에 연결되며 내부에 밸브시트와 밸브콘을 구비한 밸브본체(621)와, 상기 밸브본체(6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자적인 신호에 의하여 밸브콘을 작동시키는 전자식 구동부(6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수함(630)은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631)에 배수공(632)이 형성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집수함(630)의 하면에는 가스대(11) 상에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각(633)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배수관(640)은 상기 배수공(632)에 상단이 연결되어 가스대(11) 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641)와, 상기 수직부(641)에 연결되어 상기 개수대(12)로 연장되는 수평부(6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검제어수단(700)은
    상기 급수밸브(300)와 수직관(110)과 수평관(120) 및 3방밸브(620)를 점검하는 1단계점검모드와, 상기 3방밸브(620)와 분기관(130)과 연결관(140) 및 분사관(200)을 점검하는 2단계점검모드 및, 평상모드가 입력되는 점검모드입력부(710)와,
    상기 점검모드입력부(710)에 1단계점검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300)가 개방되도록 하는 급수밸브개방제어명령과 3방밸브(620)가 상기 수평관(120)과 제1 배수관(610)을 연결하도록 하는 3방밸브1단계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점검모드입력부(710)에 2단계점검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300)가 개방되도록 하는 급수밸브개방제어명령과 3방밸브(620)가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을 연결하도록 하는 3방밸브2단계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개폐모터(420)가 상기 개폐판(410)을 상기 수직분사공(210), 수평분사공(220) 및 경사분사공(23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분사관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점검모드입력부(710)에 평상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3방밸브(620)가 상기 수평관(120)과 분기관(130)을 연결되도록 하는 3방밸브평상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점검제어부(720)와,
    상기 점검제어부(7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300)에 대한 급수밸브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급수밸브구동부(730)와,
    상기 점검제어부(7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개폐모터(420)에 대한 모터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개폐모터구동부(740)과,
    상기 점검제어부(7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3방밸브(620)에 대한 3방밸브구동신호를 송출하는 3방밸브구동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KR1020170066954A 2017-05-30 2017-05-30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KR101783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954A KR101783683B1 (ko) 2017-05-30 2017-05-30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954A KR101783683B1 (ko) 2017-05-30 2017-05-30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683B1 true KR101783683B1 (ko) 2017-11-06

Family

ID=6038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954A KR101783683B1 (ko) 2017-05-30 2017-05-30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6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33B1 (ko) * 2020-03-10 2020-11-03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KR102232707B1 (ko) * 2020-07-24 2021-03-2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복합 소화 시스템
KR102359472B1 (ko) * 2021-05-21 2022-02-09 주식회사 건일씨엠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제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206B1 (ko) 2005-08-02 2006-04-24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소화 수압을 이용한 가스차단장치
KR100810750B1 (ko) 2007-10-05 2008-03-10 전후식 건축물의 실내소방설비
US20120018179A1 (en) 2009-01-16 2012-01-26 Benjamin Adair Munro Fire suppresion
KR101720102B1 (ko) 2016-09-22 2017-04-10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소방 장치
KR101730108B1 (ko) 2016-05-06 2017-04-2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206B1 (ko) 2005-08-02 2006-04-24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소화 수압을 이용한 가스차단장치
KR100810750B1 (ko) 2007-10-05 2008-03-10 전후식 건축물의 실내소방설비
US20120018179A1 (en) 2009-01-16 2012-01-26 Benjamin Adair Munro Fire suppresion
KR101730108B1 (ko) 2016-05-06 2017-04-2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의 연결장치
KR101720102B1 (ko) 2016-09-22 2017-04-10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소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33B1 (ko) * 2020-03-10 2020-11-03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KR102232707B1 (ko) * 2020-07-24 2021-03-2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복합 소화 시스템
KR102359472B1 (ko) * 2021-05-21 2022-02-09 주식회사 건일씨엠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제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935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178368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KR101720102B1 (ko) 공동주택 전기기기의 소방 장치
CA1151746A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nd alarm system for mobile homes
CN202479171U (zh) 一种餐饮业油烟道自动清洗及防灭火系统
KR10173887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20130015056A (ko) 화재진압장치
KR101730108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의 연결장치
CN107233686A (zh) 一种灭火系统防误喷控制方法
KR20180010798A (ko)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KR1017836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218703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21760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CN212746614U (zh) 一种具有自动灭火功能的排油烟装置
KR101685512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KR102621184B1 (ko)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화재 진압 방법
KR101193053B1 (ko) 알람밸브 조립체
KR20190002572U (ko)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CN209865110U (zh) 一种自动灭火装置
KR100679672B1 (ko)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소화장치
KR102140406B1 (ko) 자동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 공급장치
JP5046315B2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JP3210496U (ja) 消火水の供給設備
KR10228509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감시 시스템
CN209612048U (zh) 一种扑救仪控电子控制柜间火灾的消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