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798A -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798A
KR20180010798A KR1020160093492A KR20160093492A KR20180010798A KR 20180010798 A KR20180010798 A KR 20180010798A KR 1020160093492 A KR1020160093492 A KR 1020160093492A KR 20160093492 A KR20160093492 A KR 20160093492A KR 20180010798 A KR20180010798 A KR 2018001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extinguishing agent
hood
exhaust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우
신덕하
Original Assignee
장승우
신덕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우, 신덕하 filed Critical 장승우
Priority to KR102016009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0798A/ko
Publication of KR2018001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62C35/15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with a system for topping-up the supply of extinguishing material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는, 조리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연기를 이동시키는 배기관;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이동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팬이 구비된 배기부; 상기 배기관의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소화약제를 보관하는 소화약제탱크와, 상기 소화약제탱크로부터 상기 배기관의 일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소화약제를 상기 배기관으로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소화약제부;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배기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분사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를 구비한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Automatic fire extinguisher apparatus for restaurant hood}
본 발명은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부의 사용에 따른 온도의 변화와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약제를 분출시킴과 동시에 연기배출 후드를 차단시킴으로써 조리부에서 발생하는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는 우리 주거 생활에 있어서 꼭 필요한 연료로서 매일같이 쓰면서도 늘 가스 사고에 대한 공포심을 불러일으켜 왔으며, 주택이나 아파트 같은 곳에서의 가스 화재에 따른 인명피해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현재 고층 아파트의 주방 또는 영업장의 주방 등과 같은 화기 사용지역에 의무적으로 자동식 소화기를 설치하도록 소방법상 이를 명시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가정 및 식당 등의 주방에서 화재 발생의 위험이 높은 가스레인지 상부 또는 레인지 후드 등에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기 위한 자동식 소화기의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방의 자동식 소화기는 보통 가스레인지 상부의 레인지 후드 상에 설치되는 노즐부와 일 측의 공간에 설치되는 소화기 본체가 소화액 이송용 파이프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레인지가 인화되어 화재가 발생하면 이때의 화염이나 연기는 바로 위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레인지후드로 가장 먼저 전달되어지고 동시에 레인지후드 내부에 설치된 퓨즈브링크와 연기감지 센서에도 그 화염이나 연기가 전달된다.
이렇게 화염에 의해 과열된 퓨즈브링크는 납의 용융작용을 통하여 그 두 부분으로 용단되고 이와 동시에 그때까지 스프링의 당김력에 대응하면서 와이어에 작용되어 있는 장력이 해체되면서 즉, 와이어가 끊어지면서 소화기 본체의 작동 레버는 스프링의 작용력에 의해 아래로 당겨지게 되고 따라서 소화기 본체내의 소화분말은 파이프를 따라 유동되면서 노즐부를 통해서 분사가 이루어져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와이어의 또 다른 일정부위를 구성하고 있는 와이어 단속부는, 솔레노이드 부재 상호간의 미끄럼 유동을 통하여 단선된 와이어와 일체로 일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퓨즈브링크가 절단되기 위한 납의 융융 온도는 30℃ 내지 400℃로 조절이 가능하나 통상적으로 72℃∼75℃ 로 설정되어 그 용융 온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퓨즈브링크에 화염이 전달되자마자 신속한 진화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스레인지의 레인지후드 일측에 설치된 연기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와이어의 단선을 단속하게 되는 와이어 단속부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연기감지센서가 화재발생시의 연기를 감지하게 되면 이때의 감지된 신호는 솔레노이드로의 입력을 통하여 작동편을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편이 상방향으로 빠지면서 암·수 결합부재간의 상호 결속상태가 끊어져 와이어에 작용되어 있던 장력이 해제되므로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노즐부를 통한 소화 분말의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와이어 단속부가 상기한 퓨즈브링크에 의한 와이어의 단선작용은 그 순서에 관계없이 각각 별개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재로 인한 화염이나 연기를 상기 퓨즈브링크나 상기 연기 감지센서 중 화재의 발생을 먼저 감지하는 쪽에 의해서 우선적으로 와이어의 단선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단속부의 솔레노이드는 상부의 수동 레버에 의해서 그 수동조작이 가능하므로 정전 또는 단전으로 인해 와이어 단속부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수동 레버를 당겨서 와이어의 일정 부분을 단선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전술한 종래 기술의 가스레인지용 자동 소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① 가스레인지의 상부의 레인지 후드부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가 오동작하여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도 소화 약재가 방출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가스레인지의 사용도중 연기가 다량 발생하는 조리를 할 경우 그 연기에 의하여 연기 감지가 작동을 하게 되고, 연기 감지기에서 발생한 화재 신호로 인하여 소화기의 소화액이 분출되게 된다. 그러면, 실재로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는데도 소화 약재가 분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 사용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② 가스레인지 상부에 설치된 퓨즈브링크가 부식(corrosion) 및 노화(老化)로 인하여 장력에 견디지 못하고 절단되는 단점이 있다.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때 음식물의 조리 연기 및 불순물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연기는 가스레인지 상부에 설치된 레인지 후드를 통하여 배출되며, 레인지 후드에 설치된 상기 퓨즈브링크는 그 연기 및 가스에 의하여 부식될 수 있는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퓨즈브링크가 부식 및 노화되면 인장 강도의 저하 및 용융 온도가 저하되어 조그만 외부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절단되는 불량이 발생한다.
③ 가스 누출 사고에 대비할 수 없다.
가스레인지에서 종종 발생하는 가스 누출 사고는 가스관의 부식 및 가스레인지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으며, 가스가 누출되었을 경우 점화원이 그 누출 가스 주변에 존재하게 되면 폭발 및 대형 화재로 발전하고, 정화원이 없을 경우 가스 질식 등의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연기 감지기로는 가스 누출을 감지할 수 없어 가스 누출 사고에 무방비 상태로 있는 단점이 있다.
④ 화재가 발생되어도 가스 누출을 차단하지 못하여 충분한 소화 작업이 불가능하다.
즉, 가스레인지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소화 약재가 분사되어도 가스레인지에서 발생한 화재가 가스관을 파손시켜 가스가 계속적으로 누출되는 경우, 그 계속 누출되는 가스를 차단하지 못하여 심부(深部)화재로 진행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기술이 공개되어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0214092호 “가스레인지용 자동식 소화기”에는 소화약제가 충진되어 있고, 상부면에 압력 감지기, 압력 게이지, 제어박스 및 연결부를 갖고 있는 소화기 본체; 상기 연결부와 기계적으로 체결되는 방출도관을 구비하고, 그 방출도관과 체결된 노즐 및 제1온도 감지기와 제2온도 감지기가 장착되어 레인지 후드에 설치되는 압출바; 가스레인지 주변에 설치되는 가스 누설 경보기; 가스 공급 배관에 설치되는 가스 차단기; 및 상기 압력 감지기, 제2온도 감지기, 가스 차단기 및 가스 누설 경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스레인지용 자동식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 감지기는 온도 감지 범위가 78℃내지 82℃인 전자식 온도 감지기이고, 강기 제2온도 감지기는 100℃내지 104℃에서 용융되고 상기 제어 박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퓨즈브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자동식 소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가정용 가스레인지이며 온도감지범위가 매우 낮아 음식점 등에 적용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국내등록특허 제 10-0300544호 “후드일체형가스레인지용자동소화장치”에는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등을 실외로 배출시키는 후드와, 가스레인지 주변의 온도가 화제로 인해 소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작동하여 화재를 소화시키는 자동 소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바닥판 상방부로 안치공이 천공된 고정판을 설치하여 소화기 용기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소화기 용기의 개구부에 설치된 체크밸브에 일단부가 결합된 도관의 타단부에는 분사노즐을 직접 고정 설치하되, 가스레인지의 중앙부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판과 후드의 바닥판상에는 각각 통공을 천공하여 상기 도관 및 노즐이 수직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후드의 조작부상에는 소화장치의 조작에 필요한 노브들을 일체로 설치하여, 후드 및 소화장치의 설치시간 및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또 그릇 수납장과 같은 부엌가구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납장의 사용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주방가구들의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시킬 수 있고, 후드의 필터를 쉽게 교환할 수 있으며, 화제발생시 소화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제품의 생산원가는 절감시키는 가운데 신뢰도는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후드일체형 자동소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의 경우 소화기가 후드의 바로 윗편에 위치하고 있어 가정의 가스레인지에 활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으나, 화력이 비교적 센 음식점에서 활용하기에는 적용이 다소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조리부의 사용에 따른 온도의 변화와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약제를 분출시킴과 동시에 연기배출 후드를 차단시킴으로써 조리부에서 발생하는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자동 소화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식점의 연기배출후드에서 화재발생 시 소화가 가능하도록 소화약제를 보관 및 분사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점의 특성 상 화재가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에서 좁은 범위의 화재 및 넓은 범위의 화재를 모두 진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는, 조리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연기를 이동시키는 배기관;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이동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팬이 구비된 배기부; 상기 배기관의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소화약제를 보관하는 소화약제탱크와, 상기 소화약제탱크로부터 상기 배기관의 일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소화약제를 상기 배기관으로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소화약제부;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배기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분사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를 구비한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소화약제부로 유입되는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하는 댐퍼 차단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배기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기감지센서의 연기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연기정보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배기팬의 on/off를 제어하는 배기팬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배기관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초기상태로부터 하강하여상기 배기관을 막아 연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확산방지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기감지센서의 연기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연기정보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확산방지셔터의 승하강구동을 제어하는 셔터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관의 일 측이자, 상기 분사장치가 부착된 주변영역을 투명 재질로 형성한 내부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의 일 측면에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 상기 조리부에서 발생하는 열로부터 보호하는 단열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 정보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온도 정보 및 기 저장된 고온안내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안내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탱크는, 분말 및 액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소화약제가 보관된 제1 탱크와, 분말, 액체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소화약제가 보관된 제2 탱크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장치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탱크로부터 상기 배기관의 일 측까지 연장된 제1 분사관과, 상기 제2 탱크로부터 상기 흡입부의 일 측까지 연장된 제2 분사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상기 배기관의 일 단 하면에 연결되도록 상부로 연장되는 원통관 형상의 후드 연결부와, 상기 후드 연결부의 하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후드 본체부와, 상기 후드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후드 연결부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중심부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된 직립 원통관 형상의 상부편과, 상기 상부편의 중심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복수의 원통관 형상의 연장기둥이 승하강 되도록 접철되며 일 단은 상기 제2 분사관의 단부와 결합되는 중앙편과, 상기 중앙편의 측면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심부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된 경사 원통관형상의 하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편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후드 연결부는, 상기 중앙편이 접철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승하강 가능하게 돌출된 복수개의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고정핀의 승하강여부를 제어하는 고정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기둥은, 다른 연장기둥과 접철 및 승하강될 수 있도록 일 단은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마개부를 형성하고, 타 단은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걸림부를 형성하되, 상기 마개부에는 복수개의 관통홈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걸림부의 단부에는, 다른 연장기둥의 내주면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연장된 경사걸림면을 더 형성하고, 상기 경사걸림면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에 의하면,
1) 음식점의 연기배출후드에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연기를 이동시키는 배기관의 일 측에 소화약제를 보관 및 분사하는 소화약제부를 구비하고,
2) 화재를 감지하는 온도 및 연기센서를 활용하여 온도와 연기의 감지를 통해 자동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3) 소화약제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흡입부에 고유의 형상을 적용하여 두 가지의 소화약제 분사범위를 갖는 구조를 형성하여 화염을 빠르게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흡입부에 디스플레이모듈을 장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소화약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흡입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흡입부가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중앙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는 조리부(10)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00); 상기 흡입부(100)에서 흡입된 연기를 이동시키는 배기관(200); 상기 배기관(200)으로부터 이동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팬(310)이 구비된 배기부(300); 상기 배기관(200)의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소화약제를 보관하는 소화약제탱크(410)와, 상기 소화약제탱크(410)로부터 상기 배기관(200)의 일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소화약제를 상기 배기관(200)으로 분사하는 분사장치(420)를 포함하는 소화약제부(400); 상기 흡입부(100) 및 상기 배기부(3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510)를 포함하는 센서모듈(500); 상기 온도감지센서(510)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분사장치(420)의 on/off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610)를 구비한 컨트롤러(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부(100)는 음식점이나 주방 등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갓 형상의 후드 외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조리가 진행되는 조리부(10)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최초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연기는 온도에 의해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부(10)의 상부면에 위치한 흡입부(100)에 자연스럽게 흡입될 수도 있으나, 후술할 배기부(300)의 배기팬(310)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기류의 흐름을 통해 연기가 흡입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배기관(200)은 흡입부(100)와 배기부(300)를 연결하는 관으로서, 흡입부(100)를 통해 흡입된 연기가 배기관(200)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배기부(300)를 거쳐 외부로 흘러 나가도록 하는 교두보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기관(200)은 일직선형태의 관 뿐만 아니라 꺾인 형태나 자바라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기부(300)는 내부에 배기팬(310)이 구비된 것으로서, 연기를 외부로 방출한다.
다음으로, 소화약제부(400)는 배기관(200)의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소화약제를 보관하는 소화약제탱크(410)와, 소화약제탱크(410)로부터 배기관(200)의 일 측까지 연장되어 소화약제를 배기관(200)으로 분사하는 분사장치(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화약제라고 함은 분말소화약제와 액체소화약재, 가스소화약제로 구분되며, 연소물을 냉각, 질식 또는 두 가지를 중복한 효과에 의해 불을 끌 수 있는 약제를 의미하며, 분말소화약제의 경우, 중탄산칼륨 및 중탄산나트륨을 주제로 한 BC분말소화약제와, 제1 인산암모늄을 주제로 한 ABC분말소화약제로 나눌 수 있고, 액체소화약제의 경우 황산알루미늄의 A제와 중탄산나트륨의 B제로 구성되는 화학포소화약제와 다량의 물에 포소화약제원액을 녹인 포수용액을 발포기에 의해 기계적인 수단으로 공기와 혼합 교반하여 거품을 발생시킨 기계포소화약제, 포소화약제를 K급화재에 활용할 수 있도록 변형한 강화액소화약제 및 10도씨까지 얼지 않도록 한 침윤제소화약제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가스계소화약제는 대표적인 것으로 하론소화약제를 들 수 있으며, 하론 1201, 1211, 1301, 2402를 사용하는 1세대 가스계소화약제와 HCFC-123, HCFC-124를 사용하는 1.5세대 가스계소화약제, HFC-227ea, HFC-23, HFC-236fa, HFC-125, FC-3-1-10 등을 사용하는 2세대 가스계소화약제와 CF3I를 사용하는 3세대 가스계소화약제 및 불활성가스를 활용하는 불활성가스류로 나뉜다. 이러한 소화약제는 소화약제탱크(410)에 보관되며, 분사장치(420)를 통해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유사시에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센서모듈(500)은 흡입부(100) 및 배기부(3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510)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조리에 사용되는 온도는 일반적으로 200도씨 이하의 온도이므로, 200도씨 정도의 온도를 기준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온도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온도감지센서(510)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분사장치(420)의 on/off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610)를 구비한 컨트롤러(600)를 더 포함한다. 즉, 200도씨 이상의 온도가 발생한다면, 이미 요리를 위한 불씨가 아닌, 제어할 수 없는 불길이 된 상태이므로, 이 때 소화약제탱크(410)에 보관된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장치(420)를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화약제탱크(410)가 흡입부(100)의 바로 상단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센서모듈(500)은 배기부(300)에 위치하는 배기팬(310)의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 또한 감지할 수 있다. 배기팬(310)의 경우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시 회전하고 있으며, 이 때 배출중인 연기 또한 상당한 고온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팬(310)은 그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충분한 열을 버틸 수 있도록 금속몸체와 열반사수단 등을 구비하지만, 장시간 배기팬(310)이 사용되는 경우나 화재가 발생하여 과열되는 경우에는 배기팬(310) 또한 화재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부(300)에 센서모듈(500)이 위치하는 경우, 배기팬(31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감시 할 수 있게된다.
여기에 더하여 분사장치(420)에는 상기 소화약제부(400)로 유입되는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하는 댐퍼 차단기(42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댐퍼 차단기(421)는 일종의 화염의 출입을 방지하는 판으로서, 화염이나 연기가 직접 소화약제부(40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소화약제가 평소에는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막는 역할도 갖는다. 화재가 크게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약제부(400)로 화염이나 연기가 유입되는 것이 상관이 없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이 소화약제부(400)로 유입되는 경우, 보관된 소화약제가 변질되거나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420)가 막혀 필요 시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소화약제부(400)로 유입되는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하는 댐퍼 차단기(42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는 댐퍼 차단기(421)의 주변영역에 송풍장치를 더 장착할 수도 있는데, 이 송풍장치는 댐퍼 차단기(421)가 기름때나 연기 그을림 등이 눌러 붙어 댐퍼 차단기(421)의 동작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주기적으로 송풍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모듈(500)은 상기 흡입부(100) 및 상기 배기부(3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5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600)는 상기 연기감지센서(520)의 연기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연기정보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배기팬(310)의 on/off를 제어하는 배기팬제어부(62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 질식을 피하기 위해서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좋다. 다만, 화재발생구역이 크기 않은 경우라면 오히려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면 더욱 신선한 산소가 화염으로 제공되어 오히려 화재를 키우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520)를 더 포함하되, 연기감지센서(520)로부터 연기의 양을 측정한 연기 정보를 전달받아 일정 수준 이상의 연기가 발생하는 시점부터는 배기팬(310)을 off상태로 제어함으로써 화재를 키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배기관(200)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부(30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초기상태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배기관(200)을 막아 연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확산방지셔터(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600)는 상기 연기감지센서(520)의 연기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연기정보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확산방지셔터(210)의 승하강구동을 제어하는 셔터제어부(6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확산방지셔터(210)는 배기팬(310)을 제어하는 방법을 통해 배기팬(310)을 멈추더라도 이미 충분히 화염이 거세어진 경우 화염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초기상태에는 확산방지셔터(210)가 승강되어있어 연기의 흐름을 유지시키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연기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확산방지셔터(210)를 하강시켜 물리적으로 배기관(200)의 통로를 막게 되므로 연기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시키도록 한 것이다.
배기관(200)은 상기 배기관(200)의 일 측이자, 상기 분사장치(420)가 부착된 주변영역을 투명 재질로 형성한 내부확인부(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투명재질의 경우 연기나 화염에 충분히 강한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투명재질의 내부확인부(220)를 통해 내부에서 소화약제가 분출되고 있는 상황 및 내부로 유입된 화염이 소화되는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연기배출 후드의 내부에서 소화가 완료될 때 까지 무리하게 얼굴이나 손 등을 흡입부(100)에 가져다 대지 않을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운영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흡입부에 디스플레이모듈을 장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흡입부(100)의 일 측면이자 자동 소화장치의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는 디스플레이(141)와, 디스플레이(141)를 감싸 조리부(10)에서 발생하는 열로부터 보호하는 단열커버(14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모듈(140)이 더 포함된다. 디스플레이(141)의 경우 LCD, LED, OLED,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등 일반적으로 문자 및 멀티미디어의 표시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41)는 조리부(10)의 바로 상부에 위치하는 흡입부(100)의 일 측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조리부(10)에서 발생하는 열을 그대로 전달받게 되어 수명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141)를 감싸 조리부(10)에서 발생하는 열로부터 디스플레이(141)를 보호하는 단열커버(142)가 더 추가된다. 단열커버(142)는 방열재로서 널리 활용되는 방열실리콘이나 우레탄, 팽창흑연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그 외부에는 열반사코팅이 더욱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모듈(140)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조리부(1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문자나 그래픽 등으로 쉽게 알리기 위함이며, 따라서, 디스플레이모듈(140)에서 표시될 온도 정보 및 안내메시지를 생성 및 제공할 장치가 추가적으로 더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600)는 온도감지센서(510)의 온도 정보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경우 측정된 온도 정보와 기 저장된 고온안내메시지를 디스플레이(141)로 제공하는 안내제공부(6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 때, 컨트롤러(600)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rfid, 유선연결 등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141)와 연동될 수 있는 것이며, 더 나아가 해당 온도 정보 및 고온안내메시지를 외부로 출력하는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조리부(10)를 사용 중인 사용자의 휴대단말로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이나 휴대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별도의 통신단말을 통해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 등이 활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소화약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소화약제부(400)를 설명하면, 소화약제탱크(410)는 분말 및 액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소화약제가 보관된 제1 탱크(411)와, 분말, 액체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소화약제가 보관된 제2 탱크(412)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사장치(4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탱크(411)로부터 상기 배기관(200)의 일 측까지 연장된 제1 분사관(422)과, 상기 제2 탱크(412)로부터 상기 흡입부(100)의 일 측까지 연장된 제2 분사관(4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화약제탱크(410)는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분말, 액체,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다만, 분말의 경우 보관이 쉽고 분사가 용이하나 화재진압 이후 후처리가 어렵고, 액체의 경우 전기를 사용하는 전열기구(예를 들어 자이글이나 인덕션레인지 등)에 사용하기 어려우며, 기체의 경우 소화능력은 뛰어나지만 부작용으로서 기체 자체의 독성이 강하거나 실내의 산소를 소비하는 특성이 있어 사용 후 신속한 대피가 필요하다. 즉, 소화약제는 모두 특정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일 소화약제를 사용한다면, 조리시설 주변의 환경변화에 따라 소화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고, 화재상황이 급격하게 변화하여 갑자기 큰 불이 발생하는 경우 소화작업을 수행할 수 없거나 소화 효과가 미미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소화약제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탱크를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 분말 및 액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소화약제가 보관된 제1 탱크(411)와, 분말, 액체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소화약제가 보관된 제2 탱크(412)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 제1 탱크(411)와 제2 탱크(412)는 후술하겠지만 최종적으로 연결된 부위가 달라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소화약재가 각각 보관되어야 한다. 먼저, 제1 탱크(411)의 경우 분말이나 액체 형태의 소화약제가 보관되는 것으로서, 이 제1 탱크(411)는 바로 배기관(200)으로 직접 분사되어 배기관(200) 내부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할 뿐만 아니라, 배기관(200)을 타고 이동하여 흡입부(100)를 통해 넓은 범위로 퍼져나가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제1 탱크(411)의 경우 기체형태의 소화약제를 사용하게 된다면 소화약제가 불필요하게 주변으로 퍼져 나가 소화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나아가 소화약제를 통해 주변 산소가 소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함부로 사용된 경우에는 연기배출 후드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탱크(411)에는 분말 또는 액체 형태의 소화약제를 포함시키며 이러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것으로 흡입부(100)를 통해 소화약제가 넓게 분사되어 넓은 범위의 소화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2 탱크(412)의 경우 분말, 액체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소화약제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탱크(412)는 후술하겠지만 흡입부(100)의 일 측까지 연장된 제2 분사관(423)을 통해 분사되어 직접 흡입부(100)를 통해 좁은 범위로 분사되도록 한다. 따라서, 좁은 범위에서 최대 효율을 가져올 수 있는 소화약제가 이 제2 탱크(412)에 보관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앞서 소화약제탱크(410)가 두 개의 공간으로 나뉜다고 하였는데, 이에 따라 분사장치(420) 또한 제1 탱크(411)로부터 배기관(200)의 일 측까지 연장된 제1 분사관(422)과, 제2 탱크(412)로부터 흡입부(100)의 일 측까지 연장된 제2 분사관(4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제1 탱크(411)에 보관된 소화약제는 바로 배기관(200)으로 분사될 수 있고, 제2 탱크(412)에 보관된 소화약제는 바로 흡입부(100)에서 분사되도록 할 수 잇다. 따라서, 제2 탱크(412)에 보관된 소화약제는 좁은 범위의 화염을 제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5는 흡입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흡입부(100)는 다음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관(200)의 일 단 하면에 연결되도록 상부로 연장되는 원통 관형상의 후드 연결부(110)와, 상기 후드 연결부(110)의 하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후드 본체부(120)와, 상기 후드 본체부(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후드 연결부(110)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중심부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된 직립 원통 관형상의 상부편(121)과, 상기 상부편(121)의 중심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복수의 원통 관형상의 연장기둥(700)이 승하강 되도록 접철되고 일 단이 상기 제2 분사관(423)의 단부와 결합되는 중앙편(122)과, 상기 중앙편(122)의 측면에서 연장된 연장부(124)를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심부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된 경사 원통관 형상의 하부편(123)으로 구성된다.
즉, 흡입부(100)의 형태는 일종의 환기구 또는 배기구와 유사한 것으로서, 배기관(200)의 하면에 연결되도록 상부로 연장된 원통관 형상의 후드 연결부(110)와 후드 연결부(110)의 하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후드 본체부(120)가 형성된다. 이 후드 연결부(110)와 후드 본체부(120)만을 놓고 본다면, 일종의 응원용 고깔과 같은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 후드 본체부(120)의 내부에는 후드 연결부(110)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중심부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된 직립 원통관 형상의 상부편(121)이 위치한다. 이러한 상부편(121)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겹쳐진 복수개의 원통형 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 원통형 관 하나하나마다 후술할 중앙편(122)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볼 때 복수개의 응원용 고깔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겹쳐져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한다.
상부편(121)의 중심부에는 복수의 원통관 형상의 연장기둥(700)이 승하강되도록 접철되며, 그 일 단은 제2 분사관(423)의 단부와 결합되는 중앙편(122)이 위치하게 된다. 이 중앙편(122)은 제2 분사관(423)과 연결된 것으로서, 제2 분사관(423)을 통해 이동된 소화약제를 최종적으로 분사시키는 배출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중앙편(122)은 설명한 바와 같이 망원경의 경통과 같은 접철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후술하겠지만,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편(122)을 접철상태에서 고정을 해제시켜 화재가 발생한 아랫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소화약제를 화염에 가까운 위치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 중앙편(122)의 단부는 관통되어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별도로 복수개의 작은 관통공이 형성된 뚜껑을 달아 활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중앙편(122)의 측면에서 연장된 연장부(124)를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심부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된 경사 관통형상의 하부편(123)이 구비된다. 이 하부편(123)은 앞선 상부편(121)이나 중앙편(122)과 달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데, 경사면이 형성된 각도나 방향은 크게 상관이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조리부(10)에 가깝게 경사면을 형성한다면,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약제가 배기관(200)을 따라 제공되었을 때, 하부편(123)의 경사면을 통해 보다 넓은 범위에 소화약제를 배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소화약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앞서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편(122)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125)이 더 형성되고, 상기 후드 연결부(110)는 상기 중앙편(122)이 접철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홈(125)에 대응되는 위치로 승하강 가능하게 돌출된 복수개의 고정핀(11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60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510)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고정핀(111)의 승하강여부를 제어하는 고정제어부(6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중앙편(122)의 승하강은 접철된 상태로 고정핀(1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가 고정핀(111)이 고정홈(12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으로서 중력에 의해 자동 하강되도록 하고, 다시 원상복구 시에는 별도의 다른 기구나 사람의 손을 직접 활용하여 원래 상태인 접철도니 상태로 고정핀(111)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동력원을 적용하여 자동 승하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은 화재가 발생한 것을 온도의 변화를 통해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접철된 상태로 중앙편(122)을 고정시키는 고정핀(111)의 고정홈(125)과의 결합을 해제시켜 중앙편(122)이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향해 하강하도록 한 것이다.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조리부(10)와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서 소화약제를 분사한다면 화염으로 발생한 열풍 등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소화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흡입부가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중앙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연장기둥(700)에는 다른 연장기둥(700)과 접철 및 승하강될 수 있도록 일 단은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마개부(126)를 형성하고, 타 단은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걸림부(128)를 형성하되, 상기 마개부(126)에는 복수개의 관통홈(127)을 추가로 형성하며, 이 걸림부(128)의 단부에는 다시 다른 연장기둥(700)의 내주면까지 상기 배기관(20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된 경사걸림면(129)을 더 형성하고, 상기 경사걸림면(129)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130)을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연장기둥(700)의 일 단이자 바람직하게는 조리부(10)와 가까운 위치인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마개부(126)가 형성된다. 이 마개부(126)는 연장기둥(700)이 다른 연장기둥(700)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접철될 때, 다른 연장기둥(700)의 마개부(126)가 연장기둥(700)의 측면을 둘러싸는 위치까지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서, 연장기둥(700)간의 사이공간을 막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 마개부(126)에는 관통홈(127)이 형성되어 이 관통홈(127)을 통해 소화약제가 일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타 단이자 조리부(10)와 먼 위치인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걸림부(128)가 더 형성된다. 걸림부(128)는 앞서 설명한 마개부(126)에 걸려지도록 한 것이다.
이 때 걸림부(128)가 단순하게 절곡 연장된 경우라면 연장기둥(700)의 승하강 시 연장기둥(700)의 내주면을 긁거나 걸려 잘 승하강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걸림부(128)의 단부에는 다른 연장기둥(700)의 내주면까지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경사걸림면(129)을 추가로 구성하되, 이 경사걸림면(129)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130)을 부착하여 휠(130)을 통해 용이하게 승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6을 살펴보면, 상기한 구조를 통해 화재 발생 시 중앙편(122)이 화염을 향해 하강하게 되고, 제2 분사관(423)과 직접 연결된 중앙편(122)에서는 제2 탱크(412)에서 분사된 소화약제를 분사하게 되고, 제1 탱크(411)에서 분사된 소화약제의 경우 후드 본체부(120)와 하부편(123)의 사이공간 또는 하부편(123) 간의 사이공간을 통해 분사되는 것이다. 단, 제2 탱크(412)에서 분사된 소화약제의 경우 마개부(126)에 형성된 관통홈(127)을 통해 하단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측방향으로도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편(122)을 통한 좁은 범위로의 소화약제 분사 뿐만 아니라 하부편(123)을 통한 넓은 범위로의 소화약제 분사가 가능하므로 하나의 소화장치 구성으로 다양한 화재상황에 대응하여 소화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조리부 100: 흡입부
110: 후드 연결부 111: 고정핀
120: 후드 본체부 121: 상부편
122: 중앙편 123: 하부편
124: 연장부 125: 고정홈
126: 마개부 127: 관통홈
128: 걸림부 129: 경사걸림면
130: 휠 140: 디스플레이모듈
141: 디스플레이 142: 단열커버
200: 배기관 210: 확산방지셔터
220: 내부확인부 300: 배기부
310: 배기팬 400: 소화약제부
410: 소화약제탱크 411: 제1 탱크
412: 제2 탱크 420: 분사장치
421: 댐퍼 차단기 422: 제1 분사관
423: 제2 분사관 500: 센서모듈
510: 온도감지센서 520: 연기감지센서
600: 컨트롤러 610: 분사제어부
620: 배기팬제어부 630: 셔터제어부
640: 고정제어부 650: 안내제공부
700: 연장기둥

Claims (11)

  1.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로서,
    조리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연기를 이동시키는 배기관;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이동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팬이 구비된 배기부;
    상기 배기관의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소화약제를 보관하는 소화약제탱크와, 상기 소화약제탱크로부터 상기 배기관의 일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소화약제를 상기 배기관으로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소화약제부;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배기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분사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분사제어부를 구비한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소화약제부로 유입되는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하는 댐퍼 차단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배기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기감지센서의 연기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연기정보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배기팬의 on/off를 제어하는 배기팬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초기상태로부터 하강하여상기 배기관을 막아 연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확산방지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기감지센서의 연기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연기정보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확산방지셔터의 승하강구동을 제어하는 셔터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관의 일 측이자, 상기 분사장치가 부착된 주변영역을 투명 재질로 형성한 내부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일 측면에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 상기 조리부에서 발생하는 열로부터 보호하는 단열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 정보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온도 정보 및 기 저장된 고온안내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안내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약제탱크는,
    분말 및 액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소화약제가 보관된 제1 탱크와,
    분말, 액체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소화약제가 보관된 제2 탱크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장치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탱크로부터 상기 배기관의 일 측까지 연장된 제1 분사관과,
    상기 제2 탱크로부터 상기 흡입부의 일 측까지 연장된 제2 분사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배기관의 일 단 하면에 연결되도록 상부로 연장되는 원통관 형상의 후드 연결부와,
    상기 후드 연결부의 하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후드 본체부와,
    상기 후드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후드 연결부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중심부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된 직립 원통관 형상의 상부편과,
    상기 상부편의 중심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복수의 원통관 형상의 연장기둥이 승하강 되도록 접철되며 일 단은 상기 제2 분사관의 단부와 결합되는 중앙편과,
    상기 중앙편의 측면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심부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된 경사 원통관형상의 하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편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후드 연결부는,
    상기 중앙편이 접철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승하강 가능하게 돌출된 복수개의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고정핀의 승하강여부를 제어하는 고정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기둥은,
    다른 연장기둥과 접철 및 승하강될 수 있도록 일 단은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마개부를 형성하고, 타 단은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걸림부를 형성하되,
    상기 마개부에는 복수개의 관통홈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단부에는,
    다른 연장기둥의 내주면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연장된 경사걸림면을 더 형성하고,
    상기 경사걸림면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KR1020160093492A 2016-07-22 2016-07-22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KR20180010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92A KR20180010798A (ko) 2016-07-22 2016-07-22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92A KR20180010798A (ko) 2016-07-22 2016-07-22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98A true KR20180010798A (ko) 2018-01-31

Family

ID=6108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492A KR20180010798A (ko) 2016-07-22 2016-07-22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07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4961A (zh) * 2020-02-19 2020-05-22 中国民用航空飞行学院 一种手持式低压双流体细水雾锂电池火灭火器
CN112802296A (zh) * 2021-04-07 2021-05-14 南昌旭码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火灾报警传感装置
KR20220011332A (ko) 2020-07-21 2022-01-28 최지훈 연통 화재 방지 장치
CN115426836A (zh) * 2022-08-16 2022-12-02 海安天一智控设备有限公司 一种连续生产线智能化的电控系统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4961A (zh) * 2020-02-19 2020-05-22 中国民用航空飞行学院 一种手持式低压双流体细水雾锂电池火灭火器
KR20220011332A (ko) 2020-07-21 2022-01-28 최지훈 연통 화재 방지 장치
CN112802296A (zh) * 2021-04-07 2021-05-14 南昌旭码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火灾报警传感装置
CN112802296B (zh) * 2021-04-07 2021-12-14 徐丹 一种室内火灾报警传感装置
CN115426836A (zh) * 2022-08-16 2022-12-02 海安天一智控设备有限公司 一种连续生产线智能化的电控系统设备
CN115426836B (zh) * 2022-08-16 2023-10-13 海安天一智控设备有限公司 一种连续生产线智能化的电控系统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0798A (ko)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KR101766350B1 (ko) 전개형 방염천을 이용한 소방시스템
US20120048577A1 (en) Fire suppression device
US7182143B2 (en) Automatic appliance fire extinguisher system
KR101599680B1 (ko) 주방용 자동식 소화기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CN204648467U (zh) 使用可燃性制冷剂的空调器
KR101011709B1 (ko) 콘센트
KR102026969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
KR101784290B1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KR100760178B1 (ko) 자동소화기가 구비된 레인지후드
KR10178368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KR200447990Y1 (ko) 자동확산 소화기
KR100815931B1 (ko) 방화스크린이 구비된 가스레인지용 자동소화장치
JP4585874B2 (ja) ガス機器及びその消火システム
CN215675543U (zh) 空调器
KR102050140B1 (ko) 버스엔진룸 화재진압용 하이브리드 소화시스템
KR100214092B1 (ko) 가스레인지용 자동식 소화기
KR20090079183A (ko) 콘센트
KR101717845B1 (ko) 스프링클러 소화장치
KR100784980B1 (ko)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기동용 헤드를 구비한 자동식 소화기
JP2023088690A (ja) 自動消火装置
KR100362691B1 (ko) 가스누설 감지 및 화재 진압 기능을 갖춘 레인지후드
KR100968064B1 (ko) 화재로 인한 재해 방지 소화 시스템 및 소화 방법
KR1017836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