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183A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183A
KR20090079183A KR1020090056970A KR20090056970A KR20090079183A KR 20090079183 A KR20090079183 A KR 20090079183A KR 1020090056970 A KR1020090056970 A KR 1020090056970A KR 20090056970 A KR20090056970 A KR 20090056970A KR 20090079183 A KR20090079183 A KR 2009007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re
power supply
extinguish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두만
Original Assignee
임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두만 filed Critical 임두만
Priority to KR102009005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183A/ko
Publication of KR2009007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에서 누전이나 강한 전압의 인가로 인해 발화가 시작되었을 때, 화재를 조기 진압하기 위한 소화수단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삽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와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누전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을 소화시키는 소화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함으로써 큰 불이 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콘센트, 소화, 가스

Description

콘센트 {receptacle}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콘센트에서 누전이나 강한 전압의 인가로 인해 발화가 시작되었을 때, 화재를 조기 진압하기 위한 소화수단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건물의 벽면에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가 설치된다. 또한 전기기구의 전선이 콘센트의 설치 위치까지 충분히 연장되지 못하는 경우나, 복수개의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통상 정격전압이 220V이며, 정격전류는 10 ~ 50A이다.
이러한 콘센트에서의 과전압 또는 누전으로 인해 전기 화재 발생이 발생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는 누전이 발생하면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누전차단기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누전의 발생시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나, 누전이나 과전류에 의해 일단 발화가 된 다음에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더라도 발화된 불길은 꺼지지 않기 때문에 화재 사고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발화가 이루어진 후,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콘세트에 소화 기능을 갖는 소화수단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수단을 구비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삽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와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누전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을 소화시키는 소화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소화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압축용기와, 상기 압축용기에 충진되는 소화가스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압축용기에 결합되며, 일정온도 이상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여 상기 압축용기 내부의 소화가스가 외부로 확산되어 발화지점에 산소공급을 차단케 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화수단은 상기 본체가 장착되는 벽체 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압축용기와, 상기 압축용기에 충진되는 소화가스와, 상기 압축용기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압축용기에 충진된 소화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와,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화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를 향해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용기는 상기 소화가스가 배출된 후, 재충진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에 직접 소화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함으로써 큰 불이 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센트(10)는 하부본체(11)와, 하부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본체(17)와, 하부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단자(15)와, 화재 발생시 불길을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수단(20)을 구비한다.
하부본체(11)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는 전력선(13)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력선(13)이 관통홀(12)을 통해 하부본체(11)의 내부공간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본체(11)의 내부 일측에는 설치대(14)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소화수단(20)의 압축용기(21)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압축용기(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압축용기(21)가 원통형이 아닌 다각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설치대(14)가 압축용기(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압축용기(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단자(15)는 하부본체(1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데, 상기 전력선(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 플러그의 삽입단자가 접촉하는 플러그 끼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삽입단자가 양측 플러그 끼움부(16)에 끼워지면 통전이 되어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부본체(17)는 하부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되며 플러그를 장착할 수 있는 플러그 장착부분(18)이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구 콘센트(10)가 적용되었기 때문에 전원공급부가 두 쌍의 플러그 끼움부(16)를 가지며, 상부본체(17)에도 두 개의 플러그 장착부분(18)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플러그 끼움부(16)와, 플러그 장착부분(18)을 가감할 수도 있다.
소화수단(20)은 콘센트(10) 내부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본체(11)의 내부공간에 마련된 상기 설치대(14)에 설치된다. 소화수단(20)은 압축용기(21)와, 압축용기(21)에 충진되는 소화가스와, 압축용기(21)를 개폐하는 차단부재(23)를 구비한다.
압축용기(21)는 하부본체(11)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소화가스가 충진 될 수 있는 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용기(21)의 일측 에는 화재 발생시 소화가스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는 개구부(2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개구부(22)는 차단부재(23)에 의해 폐쇄된다.
차단부재(23)는 개구부(22)를 폐쇄하여 소화가스가 압축용기(21) 내부에 충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소화가스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개구부(22)를 개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부재(23)로서 폴리스틸렌 수지가 적용되었다. 폴리스티렌 수지는 100℃ 이상에서 부드러워지고 185℃ 정도가 되면 점성의 액체가 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불길의 온도에 의해 녹으면서 개구부(22)를 개방해 소화가스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게 한다. 차단부재(23)는 상온에서는 압축용기(21)의 개구부(22)를 안정적으로 폐쇄하지만, 화재 발생시 개구부(22)를 신속하게 개방하여 소화가스가 외부로 분출되게 할 수 있다면 이 외에도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소화가스는 콘센트(1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 발생 지역에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소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압축용기(21) 내부에 압축하여 충진한다.
본 실시예의 소화가스는 할론가스가 적용되었다. 할론가스는 브롬계열의 원소를 함유한 소화제용 가스인데, 프레온가스와 비슷한 물질로, 프레온가스에 함유된 염소 대신 같은 할로겐족 원소인 브롬이 함유되어 있다. 소화 성능이 뛰어나며 대상물을 더럽히지 않는 특성이 있어 특수한 용도의 소화기용 소화제로 많이 사용 된다. 특히, 할론-1301은 컴퓨터실·은행금고실·위험물저장고·전차·잠수함의 소화제, 미사일의 마찰방지제로 사용된다.
압축용기(21)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할론가스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화재 발생으로 차단부재(23)가 녹아 개구부(22)가 개방되면 할론가스는 압축용기(21)의 외부로 분출되며, 화재발생영역에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할론가스는 인체에 무해하므로, 소화를 위해 분출되었을 때, 할론가스가 인체에 해를 입힐 위험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화가스는 할론가스 외에도 이산화탄소와 같이 발화지점의 산소 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다른 종류의 가스가 적용될 수 있다.
소화수단(20)은 필요에 따라 콘센트(10) 내부에 여러 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압축용기(21)의 크기도 소화 성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소화수단(25)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소화수단(25)은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개구부(29)가 형성된 제1, 제2 충진용기(26,27)와, 상기 제1, 제2 충진용기(26,27)의 개구부(29)를 차단하는 차단부재(28)와, 제1, 제2 충진용기(26,27)에 각각 충진되며, 접촉하였을 때, 화학작용으로 거품을 생성하는 황산알루미늄 수용액과 탄화수소나트륨을 포함한다.
차단부재(2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단부재(23)와 같이 화재 발생시 불길의 온도에 의해 녹아 제1, 제2 충진용기(26,27)의 개구부(29)를 개방할 수 있는 폴리스틸렌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제1, 제2 충진용기(26,27)가 개방되면 각각의 충진용기에 충진되어 있던 황산알루미늄 수용액과 탄화수소나트륨이 제1, 제2 충진용기(26,27)로부터 배출되어 콘센트(10) 내부에서 접촉하게 된다. 황산알루미늄 수용액과 탄화수소는 화학반응을 통해 거품을 형성하게 되고, 이 거품이 발화지점에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소화시키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벽체(113)에 고정되는 콘센트(1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100)는 벽체(113)에 형성된 장착홈(114)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삽입구(111)가 마련된 커버(110)와, 상기 장착홈(114)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삽입구(111)를 통해 삽입된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공급단자(112)와, 상기 전원공급단자(112)에서 스파크 또는 화재 발생시, 불길을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수단(12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100)는 소화수단(120)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소화수단(120)은 전원공급단자(112)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온도센서(128)와 이 온도센서(128)의 감지정보에 따라 불길을 소화시키도록 형성되어있다.
소화수단(120)은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121)와,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충진용기(123)와, 충진용기(123)에 충진된 소화가스의 배출을 제어하는 개폐밸브(126)와, 개폐밸브(126)를 개폐하는 제어부(127) 및 제어부(127)와 전 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온도센서(128)를 포함한다.
케이스(121)는 커버(1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벽체(113)에 고정되며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다. 케이스(121)의 전면에는 회동 가능한 개폐도어(122)가 설치되어 있어서 케이스(121)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충진용기(123)는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화용 가스가 충진된다. 충진용기(123)는 재충전할 수 있는 주입구(124)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소화가스가 배출된 뒤에도 케이스(121)를 비롯한 충진용기(123)에 손상이 없을 때에는 주입구(124)를 통해 소화가스를 재충진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다.
충진용기(123)의 일측에는 충진용기(123)에 충진된 소화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125)이 연장되어 있으며, 배출관(125)에는 개폐밸브(126)가 장착되어 있다. 개폐밸브(126)는 배출관(125)을 통해 충진가스가 충진용기(123)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가 화재 발생시 배출관(125)을 개방하여 소화가스가 전원공급부의 화재를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충진용기(123)에 충진되는 소화가스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소화가스와 마찬가지로 하론 가스 또는 이산화 탄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밸브(126)는 제어부(127)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27)는 케이스(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공급단자(112)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온도센서(1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어서, 이 온도센서(128)의 감지정보에 따라 개폐밸브(126)를 작동시킨다. 즉, 온도센서(128)에서 설정된 일정수준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화재발생상황으로 인지하고 개폐밸브(126)를 개방하여 소화가스가 분사 되도록 한다.
온도센서(128)는 전원공급단자(112)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전원공급단자(112)에 화재가 발생할 때, 고열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제어부(127)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제작되어, 온도센서(128)가 화재에 의해 파손될 경우, 제어부(127)에 온도센서(128)만 교체함으로써 케이스(121)와 충진용기(123), 개폐밸브(126) 및 제어부(127)는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관(125)의 단부에는 분사노즐(129)이 설치되어 있어서, 배출관(125)을 통해 배출되는 소화가스는 분사노즐(129)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소화가스는 콘센트(100)를 향해 분사됨으로써 화재 발생지점의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관(125)이 케이스(121)의 측면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케이스(121)의 하부에 다수개의 분사노즐(129)이 설치되고, 각각의 분사노즐(129)이 배출관(125)과 연결되어 있어서, 복수개의 분사 노즐에서 일시에 소화가스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것과는 달리 분사노즐(129)은 전원공급단자(112)에 소화가스를 직접 분사할 수 있도록 장착홈(114)에 인입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화가스가 화재 발생지점에 직접 분사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소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센트는 콘센트에서의 화재발생시 화재를 콘센트 내부에서 소화 함으로써, 대형 화재로 이어질 우려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각 가정용 또는 산업용 콘센트에 직접 이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소화수단을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
도 3은 소화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소화수단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콘센트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센트 11; 하부본체
15; 전원공급단자 17; 상부본체
20; 소화수단 21; 압축용기
22; 개구부 23; 차단부재

Claims (4)

  1.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삽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와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누전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을 소화시키는 소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압축용기와;
    상기 압축용기에 충진되는 소화가스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압축용기에 결합되며, 일정온도 이상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여 상기 압축용기 내부의 소화가스가 외부로 확산되어 발화지점에 산소공급을 차단케 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단은 상기 본체가 장착되는 벽체 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압축용기와;
    상기 압축용기에 충진되는 소화가스와;
    상기 압축용기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압축용기에 충진된 소화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화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를 향해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용기는 상기 소화가스가 배출된 후, 재충진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에 직접 소화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1020090056970A 2009-06-25 2009-06-25 콘센트 KR20090079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970A KR20090079183A (ko) 2009-06-25 2009-06-25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970A KR20090079183A (ko) 2009-06-25 2009-06-25 콘센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904A Division KR101011709B1 (ko) 2007-08-10 2007-08-10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183A true KR20090079183A (ko) 2009-07-21

Family

ID=4133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970A KR20090079183A (ko) 2009-06-25 2009-06-25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1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917B1 (ko) 2016-02-22 2017-03-02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성능기반 안전콘센트
KR102154848B1 (ko) * 2019-12-30 2020-09-1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설비를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20220005971A (ko) 2020-07-07 2022-01-14 (주)파이터코리아 자동 소화 콘센트
KR20220008158A (ko) 2020-07-13 2022-01-20 (주)파이터코리아 자동 소화 멀티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917B1 (ko) 2016-02-22 2017-03-02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성능기반 안전콘센트
KR102154848B1 (ko) * 2019-12-30 2020-09-1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설비를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20220005971A (ko) 2020-07-07 2022-01-14 (주)파이터코리아 자동 소화 콘센트
KR20220008158A (ko) 2020-07-13 2022-01-20 (주)파이터코리아 자동 소화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709B1 (ko) 콘센트
KR101734514B1 (ko) 화재 조기진압용 전원콘센트 장착 소화덮개
JP2012015121A (ja) 電源装置
KR10129504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KR20090079183A (ko) 콘센트
JPH11219732A (ja) 電池用充放電装置
JP2015156947A (ja) 電池キャビネットの消火設備
EP3773937B1 (en) Fire-safety device and system
KR100289966B1 (ko) 가스레인지용 자동 소화장치
KR20180010798A (ko)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CN113679987A (zh) 储能系统的消防控制方法、消防控制装置和储能系统
CN210409296U (zh) 一种安全的微小型灭火装置
KR20100007143U (ko) 샌드위치패널 매립형 소화기
KR20210050399A (ko) 원통형 소공간용 소화장치
KR20230001501U (ko) 멀티 스테이지 에너지 스토리지 소방 시스템
KR101527747B1 (ko) 벽 내장용 소화장치
ES2338410T3 (es) Instalacion de proteccion contra incendios y de extincion de incendios para electrodomesticos de agua.
KR100784980B1 (ko)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기동용 헤드를 구비한 자동식 소화기
CN104623830A (zh) 双箱式二氧化碳灭火装置及方法
JP2006212205A (ja) ガス機器及びその消火システム
JP3162290U (ja) トラッキング火災用消火装置
KR200475363Y1 (ko) 샌드위치판넬의 화재진화장치
KR20170138828A (ko) 배전함용 co2 카트리지 자동 소화기
KR100679670B1 (ko)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소화장치
CN220443075U (zh) 小型全氟己酮非储压式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