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747B1 - 벽 내장용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벽 내장용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747B1
KR101527747B1 KR1020130112456A KR20130112456A KR101527747B1 KR 101527747 B1 KR101527747 B1 KR 101527747B1 KR 1020130112456 A KR1020130112456 A KR 1020130112456A KR 20130112456 A KR20130112456 A KR 20130112456A KR 101527747 B1 KR101527747 B1 KR 101527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topper
extinguishing agent
wal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016A (ko
Inventor
여강용
Original Assignee
(주)범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범진산업 filed Critical (주)범진산업
Priority to KR102013011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7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내장되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내장재의 둘레에 삽입되고 내부에 화재 진압용 소화제(消火劑)가 수용되고 내부가 고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내장재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부를 막고있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부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노출 및 지속되면 상기 개방부가 용융 또는 파괴되면서 상기 분사부가 개방되어 상기 분사부로부터 상기 소화제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내장용 소화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실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일정한 온도 이상의 열에 노출 및 지속되면 벽면에서 자동으로 소화제(消火劑)가 실내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 내장용 소화장치{Fire-extinguishing device for built-in wall}
본 발명은 벽면에 내장되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내장재의 하나인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어 단열재와 단열재를 연결하고, 실내에 불이난 경우 소화기가 작동하여 불을 끄는 벽 내장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 불이나면 경보기가 작동하여 불이난 것을 알려주거나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여 불을 끄도록 되어있다. 또는 사용자가 소화기를 들고 소화기를 작동시켜 불을 끈다.
종래에는 소화기를 일정한 장소에 비치하거나 소화기를 수용할 공간을 따로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소화기는 자동으로 작동하지 않아서 불이나면 바로 진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천장에 달려있는 스프링클러의 경우 수도관과 반드시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설치가 까다롭고, 한번 작동하면 분사되는 물 때문에 전자제품이 손상되거나 2차로 감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일정한 온도 이상의 열에 노출 및 지속되면 벽면에서 자동으로 소화제(消火劑)가 실내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고,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단열재와 단열재를 서로 연결하는 인서트 역할을 할 수 있는 벽 내장용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내장재의 둘레에 삽입되고 내부에 화재 진압용 소화제(消火劑)가 수용되고 내부가 고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내장재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부를 막고있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부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노출 및 지속되면 상기 개방부가 용융 또는 파괴되면서 상기 분사부가 개방되어 상기 분사부로부터 상기 소화제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내장용 소화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분사부는,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일단이 개방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둘레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막고있는 마개부 및 상기 분사부에 삽입되어 상기 마개부를 밀고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마개부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노출 및 지속되면 상기 마개부의 강성이 약해지고, 강성이 약해진 마개부를 상기 스프링이 밀어서 상기 마개부를 파괴시켜 상기 하우징의 개구 및 상기 분사노즐이 개방될 수 있다.
또, 상기 마개부는,
일면에 상기 노즐을 막도록 일 영역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을 벽면에 내장할 수 있어서 별도의 소화기 수용공간을 생략할 수 있다.
특히,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제(消火劑)가 자동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가지고 단열재와 단열재를 연결하는 인서트 역할도 할 수 있어서 일석이조의 기능을 발휘한다.
게다가, 본 발명을 벽면에 복수로 설치할 수 있어서, 화재가 발생한 근처의 벽면에서 소화제가 분사되어 부분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또한, 단열재에 내장시킬 수 있어서 벽면의 내벽에 언제든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 내장용 소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 내장용 소화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벽 내장용 소화장치를 단열재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벽 내장용 소화장치 및 단열재가 콘크리트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및 도 6은 본 발명이 단열재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 내장용 소화장치(1)는, 본체(11), 분사부(13) 및 개폐부(12)를 포함한다.
본체(11)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소화분말, 소화가스 등의 소화제(消火劑)(미도시)가 수용되며, 본체(11)의 내부는 고압으로 형성된다. 즉, 후술할 분사노즐(131)에서 소화제를 분사하기 위해서 본체(11)의 내부는 고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는 단열재(2)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21)에 삽입된다.
상술한 소화제는 주지된 제품을 이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분사부(13)는, 본체(11)에 수용된 소화제를 분사하는 것으로, 분사노즐(131) 및 하우징(132)을 포함한다.
분사노즐(131)은, 대략 절두된 원뿔 형태로 본체(11)의 중앙 정면에 설치되고 본체(11)의 내부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체(11)에 수용된 소화제는 분사노즐(131)을 통해서 분사된다.
하우징(132)은, 대략 원통형으로 전방이 개구되되 분사노즐(131)의 둘레에 배치되어 본체(11)에 고정 설치되며, 전단이 내측을 향해 소정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개폐부(12)는, 분사노즐(131)을 개폐하는 것으로, 마개부(123), 스프링(121) 및 와셔(122)를 포함한다.
마개부(123)는, 대략 원판형태로 형성되되 분사노즐(131)의 입구에 삽입되도록 후면 일 영역이 돌출 형성되고, 둘레가 하우징(132)의 내경에 대응하며 하우징(132)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마개부(123)가 하우징(132)의 전방 개구에 걸려서 하우징(132)의 전방을 막고, 마개부(123)의 후면에 돌출된 부분이 분사노즐(131)에 삽입되어 분사노즐(131)을 폐쇄한다.
여기서 마개부(123)는, 상온에서는 후술할 스프링(121)의 탄성력보다 높은 강성을 유지하지만 설정온도 이상의 열 즉, 60℃~70℃에 노출 및 지속되면 강성이 약해져 쉽게 파괴되거나 용융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스프링(121)은, 하우징(132)에 삽입되되 평상시에 마개부(123)를 밀고 있도록 마개부(123)와 본체(11)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121)은 항상 마개부(123)를 밀고 있어서 마개부(123)가 하우징(132)의 전방 개구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와셔(122)는, 마개부(123)와 스프링(121) 사이에 배치되되 마개부(123)의 후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는, 스프링(121)의 탄성력이 마개부(123)의 한 부분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마개부(123)의 강성이 약해졌을 때 스프링(121)이 마개부(123)를 밀고 있으면 스프링(121)이 마개부(123)에 밀착된 부분부터 파괴되면서 일부만 파괴되고, 하우징(132)의 전방 개구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서 분사노즐(131)에서 분사되는 소화제가 마개부(123)에 걸려서 소화제의 분사를 방해할 수 있다. 하지만, 와셔(122)가 마개부(123)의 후면에 부착되면 스프링(121)의 탄성력이 와셔(122)를 거쳐 마개부(123)에 전달되기 때문에 마개부(123)가 약해졌을 때, 와셔(122)에 의해서 마개부(123)의 대부분이 떨어져 나가고, 이에 따라 소화제 분사에 방해되는 방해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면서 하우징(132)의 전방이 완전하게 개방된다.
상술한 개폐부(12) 및 분사부(13)는 단열재(2)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화재 발생시 마개부(123)가 제거되면서 분사부(13)를 통해서 분사되는 소화제가 실내로 분사될 수 있도록 개폐부(12) 및 분사부(13)를 단열재(2)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 내장용 소화장치(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단열재(2)의 둘레에 본 발명을 삽입한 후 단열재(2)를 콘크리트벽(C.W)면에 설치한다.
단열재(2)가 콘크리트벽(C.W)면에 설치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지를 단열재(2)에 부착한다.
벽지가 단열재(2)에 부착되면 실내가 완성된다.
이때,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실내 온도가 상승한다.
여기서, 화재가 발생한 근처는 실내 온도 더욱 높은 온도로 상승하고 화재로 인한 열이 화재 발생지로부터 가장 가까운 벽면에 설치된 본 발명을 전달된다.
전달되는 열이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마개부(123)가 용융되거나 마개부(123)의 강성이 약해져 스프링(121)이 마개부(123)를 밀어서 마개부(123)를 파손시킨다.
마개부(123)는 스프링(121)에 의해서 하우징(132)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동시에 분사노즐(131)에서 소화제가 분사된다.(도 7 참조)
분사된 소화제는 화재를 진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열재(2)의 둘레에 본 발명을 삽입하여 단열재(2)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면서 화재가 발생한 곳에 소화제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한다. 즉, 화재가 발생하면 모든 소화장치가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가 발생한 곳부터 순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어서 최소한의 소화제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화제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쉽게 언제든지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소화기를 수용할 수용공간이 필요치 않아서 더욱 넓은 실내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직접 소화제를 분사할 필요가 없고, 특히 사람이 없는 실내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소화제가 자동으로 분사되므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벽 내장용 소화장치
11; 본체
12; 개폐부
121; 스프링
122; 와셔
123; 마개부
13; 분사부
131; 분사노즐
132; 하우징
2; 단열재
21; 삽입홈
C.W; 콘크리트벽

Claims (4)

  1.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내장재의 둘레에 삽입되고 내부에 화재 진압용 소화제(消火劑)가 수용되고 내부가 고압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내장재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부를 막고있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개방부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노출 및 지속되면 상기 개방부가 용융 또는 파괴되면서 상기 분사부가 개방되어 상기 분사부로부터 상기 소화제가 분사되고,
    상기 내장재에는 이웃하는 내장재와의 마주하는 면에 삽입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마주하는 내장재의 삽입홈의 사이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내장용 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일단이 개방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둘레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내장용 소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분사노즐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막고있는 마개부; 및
    상기 분사부에 삽입되어 상기 마개부를 밀고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마개부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노출 및 지속되면 상기 마개부의 강성이 약해지고, 강성이 약해진 마개부를 상기 스프링이 밀어서 상기 마개부를 파괴시켜 상기 하우징의 개구 및 상기 분사노즐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내장용 소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일면에 상기 노즐을 막도록 일 영역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내장용 소화장치.
KR1020130112456A 2013-09-23 2013-09-23 벽 내장용 소화장치 KR101527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456A KR101527747B1 (ko) 2013-09-23 2013-09-23 벽 내장용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456A KR101527747B1 (ko) 2013-09-23 2013-09-23 벽 내장용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16A KR20150033016A (ko) 2015-04-01
KR101527747B1 true KR101527747B1 (ko) 2015-06-10

Family

ID=5303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456A KR101527747B1 (ko) 2013-09-23 2013-09-23 벽 내장용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7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459A (ko) 2015-07-08 2017-01-18 김병열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KR20200021238A (ko) 2018-08-20 2020-02-28 유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벽 내장용 소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502U (ko) * 1998-02-23 1999-09-27 송수근 소화기용 자동분사장치
KR20040039239A (ko) * 2004-04-07 2004-05-10 김찬열 고압케이블 접속부 전용 자동확산 소화기
KR20100007143U (ko) * 2009-01-02 2010-07-12 박춘오 샌드위치패널 매립형 소화기
KR20130034384A (ko) * 2011-09-28 2013-04-05 주식회사 하이텍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502U (ko) * 1998-02-23 1999-09-27 송수근 소화기용 자동분사장치
KR20040039239A (ko) * 2004-04-07 2004-05-10 김찬열 고압케이블 접속부 전용 자동확산 소화기
KR20100007143U (ko) * 2009-01-02 2010-07-12 박춘오 샌드위치패널 매립형 소화기
KR20130034384A (ko) * 2011-09-28 2013-04-05 주식회사 하이텍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459A (ko) 2015-07-08 2017-01-18 김병열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KR20200021238A (ko) 2018-08-20 2020-02-28 유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벽 내장용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16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514B1 (ko) 화재 조기진압용 전원콘센트 장착 소화덮개
CN104511114B (zh) 喷洒头的保护罩以及喷洒头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KR20110060906A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1011709B1 (ko) 콘센트
KR101870907B1 (ko) 삽입형 건식 드라이펜던트
KR101527747B1 (ko) 벽 내장용 소화장치
WO2018016995A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и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установки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719492B1 (ko)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AU2014220580B2 (en) Sprinkler comprising a member held by a fusible member and ejection means acting in a pulling sense on the member
KR20070016590A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1414949B1 (ko) 유리벌브형 스프링클러
KR102362891B1 (ko) 원통형 소공간용 소화장치
KR20040098747A (ko) 소화기의 자동 소화 시스템
KR200327645Y1 (ko) 소화기
KR20090079183A (ko) 콘센트
KR20150017064A (ko) 건물의 소화장치
KR101179547B1 (ko) 소화장치가 구비된 도어
KR101915549B1 (ko) 디플렉터 소화기
KR102159957B1 (ko) 주방용 자동 방재 시스템
KR200475363Y1 (ko) 샌드위치판넬의 화재진화장치
KR20100012195A (ko) 스프링클러 헤드
KR20060039611A (ko)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의 분사헤드
CN214596931U (zh) 灭火器
KR20090120145A (ko) 스프링클러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