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572U -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572U
KR20190002572U KR2020180001522U KR20180001522U KR20190002572U KR 20190002572 U KR20190002572 U KR 20190002572U KR 2020180001522 U KR2020180001522 U KR 2020180001522U KR 20180001522 U KR20180001522 U KR 20180001522U KR 20190002572 U KR20190002572 U KR 201900025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fire
pump
sprink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우이엔지
Priority to KR2020180001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572U/ko
Publication of KR20190002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면체의 골조프레임케비넷의 형태로 이루어져 측면상측커버와 측면하측커버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견고할 뿐만 아니라, 밧데리와 펌프 및 방화수압송배관부의 설치가 용이하여 조립과 수리에 편리하도록 된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1000)는, 골조프레임케비넷(1200)가, 수조(1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면서 입수배관부(1160)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수조의 높이보다 낮게 육각형골조로 이루어진 골조프레임(1210)과, 수조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체결부(1220)와, 골조프레임의 상부면에 체결된 골조프레임상부커버(1230)와, 골조프레임의 배면에 체결된 골조프레임배면커버(1240)와, 골조프레임의 중간부쪽으로 밧데리가 안착되는 밧데리안착부(1251)가 구비된 밧데리장착선반(1250)과, 밧데리장착선반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에 펌프(1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골조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펌프의 펌프배관(1310)이 수조의 하부로 연통될 수 있도록 된 펌프고정브라켓(1260)와, 골조프레임의 측면 상측에 체결수단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측면상측커버(1270)와, 골조프레임의 측면 하측에 체결수단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면하측커버(1280)와, 골조프레임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29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SIMPLIFIED SPRINKLER}
본 고안은 주거 또는 상가의 화재 발생시 소화수가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한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면체의 골조프레임케비넷의 형태로 이루어져 측면상측커버와 측면하측커버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견고할 뿐만 아니라, 밧데리와 펌프 및 방화수압송배관부의 설치가 용이하여 조립과 수리에 편리하도록 된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발생시 소방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설비로서, 화재 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소화함과 동시에 경보기능을 가지므로 오동작하는 경우가 적어 백화점, 시장, 호텔, 병원 등 많은 사람이 밀집되는 건물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설비는 건물내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스프링클러 헤드의 주변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스프링클러 헤드가 터지므로 분지관을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사방으로 분사되면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의 구성은 특수합급의 용융성 퓨즈(열감지수단 ) 또는 그 외의 작동매체를 이용하여 압축된 구조로 조립된 부품이 설정된 주위온도에서 퓨즈 또는 그 외 매체의 변화가 시작되어 작동 온도에 도달하면 조립된 부품이 이탈된 후 살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근래 대중이용시설에서도 신속하게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는 간이 스프링클러가 공지되어 있는바, 간이 스프링클러 장치의 저수조는 건축물의 기존 수도배관 또는 별도 물공급 배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 상부 일측으로는 물유입부가 구비되어 있고 몸체 하부 일측으로는 물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의 내측 상부에는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수위조절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조절부는 저수조의 내측 상부에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 되는 물의 양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부구가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저수조의 수위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저수조의 물배출부의 외측으로는 제어부가 화재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하면서 저수조내의 물을 파이프배관을 통해 헤드측으로 압송하는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펌프의 외측으로는 헤드가 터짐에 따라 파이프배관내의 압력이 떨어짐을 감지하여 펌프가 구동되도록 파이프배관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간이 스프링클러는 수조에 파이프가 관통되어 있어서 용접에 의해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용접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다.
또 이러한 간이 스프링클러는 수조의 상부에 펌프와 제어부 및 배관부가 모두 설치되어 있어서, 수조의 상부에 펌프와 제어부 및 배관부를 설치하기가 매우 곤란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간이 스프링클러는 펌프와 제어부 및 배관부를 수조위에 설치하기 위해 수조를 뉘인 상태로 조립한 뒤에 다시 세우려면 무게가 많이 나가서 간이 스프링클러를 세우는 것도 어려운 결점이 있다.
또 이러한 간이 스프링클러는 현장에서 설치할 때 현장의 작업 조건에 따라 분해하여 조립하기 곤란한 구조로 되어 설치시 곤란한 결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디자인등록 제30-0781527호의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가 공지되어 있는바, 철판을 판금으로 제작하여 제어부를 갖춘 보호커버인 캐비넷을 만들어서 물탱크 쪽에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현장에서 설치할 때 물탱크와 캐비넷을 각각 포장하여 이동시켜 물탱크의 측면에 제어부를 갖춘 캐비넷을 조립하게 되는바, 캐비넷의 전방에 설치된 상하 2개의 도어를 열고 체결수단으로 물탱크의 측면에 캐비넷을 조립하고, 또 캐비넷의 내측면에 밧데리와 펌프를 조립하고 배관을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30-0781527호는 캐비넷이 합석판으로 되어 있어서 물탱크와 별도로 이동하여 세워두게 될 때 강성이 약해 잘 넘어지게 되는 결점이 있음은 물론, 합석판을 일체로 절곡하게 되므로 제작이 어려운 결점이 있는 한편, 밧데리와 펌프 및 배관을 설치할 때 캐비넷의 상하 2개의 문을 통해서 조립하고 수리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곤란한 결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226898호 고안의 명칭 "간이 스프링클러"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6071호 발명의 명칭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및 대한민국 디자인등록 제30-0781527호의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어부가 설치되는 쪽에 4각 파이프로 골조프레임을 만들어서 물탱크의 측면에 고정하고, 이 골조프레임의 전면에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함과 더불어, 외측면에는 골조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밧데리와 펌프 및 배관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상하 각각 체결나사로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측면덮게가 설치되는 한편, 후방에는 후방덮게가 고정되어, 물탱크와 별도로 이동하여 세워두게 될 때 제어부가 설치되는 골조프레임의 강성이 우수하여 잘 넘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골조프레임에 각각의 합판재를 고정함과 더불어 측면덮게를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어서 측면덮게를 열고 밧데리와 펌프 및 배관을 설치할 때 조립 및 수리가 매우 용이하도록 된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는, 수조와, 이 수조의 일측면에 설치된 골조프레임케비넷과, 이 골조프레임케비넷에 설치된 제어부와 방화수압송배관부 및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밧데리를 포함하되, 상기 골조프레임케비넷은, 상기 수조의 일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입수배관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수조의 높이보다 낮게 육각형골조로 이루어진 골조프레임과, 상기 수조의 일측면에 체결수단으로 밀착고정하기 위해 수조와 밀착되는 쪽에 골조프레임과 일체로 구성된 체결부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상부면을 덮도록 체결되면서 방화수압송배관부가 설치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된 골조프레임상부커버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배면을 덮도록 체결된 골조프레임배면커버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중간부이면서 수조가 밀착되는 쪽으로 밧데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밧데리안착부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밧데리장착선반과, 상기 밧데리장착선반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에 펌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골조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펌프의 펌프배관이 수조의 하부로 연통될 수 있도록 된 펌프고정브라켓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측면 상측에 체결수단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측면상측커버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측면 하측에 체결수단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면하측커버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상부에는 제어부의 조작패널이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골조프레임은 4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측면상측커버는 소정위치에 측면상측커버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상측커버의 내측면에는 제어부의 콘트롤러가 고정되며, 상기 측면하측커버는 소정위치에 측면하측커버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밧데리장착선반의 일측면으로는 방화수압송배관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배관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에 의하면, 제어부가 설치되는 쪽에 4각 파이프로 골조프레임을 만들어서 물탱크의 측면에 고정하고, 이 골조프레임의 전면에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함과 더불어, 외측면에는 골조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밧데리와 펌프 및 배관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상하 각각 체결나사로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측면덮게가 설치되는 한편, 후방에는 후방덮게가 고정되어, 물탱크와 별도로 이동하여 세워두게 될 때 제어부가 설치되는 골조프레임의 강성이 우수하여 잘 넘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골조프레임에 각각의 합판재를 고정함과 더불어 측면덮게를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어서 측면덮게를 열고 밧데리와 펌프 및 배관을 설치할 때 조립 및 수리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골조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10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조(1100)와, 이 수조의 일측면에 설치된 골조프레임케비넷(1200)과, 이 골조프레임케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하도록 된 펌프(1300)와, 상기 골조프레임케비넷에 설치된 제어부(1400)과, 상기 골조프레임케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펌프(1300)와 연결된 방화수압송배관부(1500)와, 상기 골조프레임케비넷에 설치된 밧데리(1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조(1100)는, 캐비넷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위를 감지하여 급수밸브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플로트스위치(1110)와, 상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손잡이(1120)와, 전면 상부에 설치된 수위계(1130)와, 이 수위계의 옆에 설치된 드레인배관용 소켓(1140)과, 하부면 모서리에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된 바퀴(1150)와, 상기 수위계(1130)가 설치된 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물이 유입되도록 된 입수배관부(1160)와, 하부면에 양단과 중앙에 각각 설치되어 공장의 바닥면에 세워두는 것이 용이하도록 된 받침브라켓(11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수조(1100)의 내부 수위가 낮으면 상기 플로트스위치(111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입수배관부(1160)의 급수밸브를 열어서 수조로 방화수가 유입되고, 수조(1100)의 수위가 일정 높이로 올라가면 플로트스위치(1110)가 이를 감지하여 급수밸브가 닫혀서 방화수의 유입이 차단되며, 상기 손잡이(1120)를 잡고 수조(1100)를 끌고 이동하기 용이하고, 상기 수위계(1130)에 의해 수조내의 수위를 쉽게 볼 수 있으며, 또 상기 드레인배관용 소켓(1140)에 의해 수조내의 용수가 넘치게 되면 배출이 용이하게 되는 한편, 상기 바퀴(1160)에 의해 수조(1100)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180은 수조(1100)의 내부 물을 청소등을 할 때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배수관(1180)이다.
본 고안의 요부인 상기 골조프레임케비넷(1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골조프레임케비넷(1200)은, 상기 수조(1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입수배관부(1160)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수조의 높이보다 낮게 4각파이프에 의해 육각형골조로 이루어진 골조프레임(1210)과, 상기 수조(1100)의 일측면에 체결수단으로 밀착고정하기 위해 수조와 밀착되는 쪽에 골조프레임과 일체로 구비된 체결부(122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상부면을 덮으면서 방화수압송배관부(1500)가 설치되도록 관통구멍(1231)이 형성된 골조프레임상부커버(123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배면을 덮도록 됨과 더불어 전선인입홀(1241)과 손잡이(1242)가 구비된 골조프레임배면커버(124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중간부이면서 수조가 밀착되는 쪽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밧데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밧데리안착부(1251)가 구성되면서 밧데리안착부의 일측면으로는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배관고정부(1252)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밧데리장착선반(1250)과, 상기 밧데리장착선반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에 펌프(1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골조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펌프의 배관(1310)이 수조의 하부로 연통될 수 있도록 된 펌프고정브라켓(126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측면 상측에 체결수단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내측면에는 제어부(1400)의 콘트롤러(1420)가 고정됨과 더불어 손잡이 구멍(1271)이 형성되는 측면상측커버(127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측면 하측에 체결수단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 구멍(1281)이 형성된 측면하측커버(128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상부에는 제어부(1400)의 조작패널(1410)이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손잡이(1291)가 구비된 도어(129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수조(1100)의 일측면에 펌프(1300)와 제어부(1400)과 방화수압송배관부(1500)와 밧데리(1600)를 설치하기 위해 골조프레임케비넷(1200)이 조립되어, 상기 골조프레임케비넷(1200)에 의해 이동시에나 운반시에 펌프(1300)와 제어부(1400)와 방화수압송배관부(1500)와 밧데리(1600)에 외력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상기 골조프레임(1210)은 4각파이프에 의해 육각형골조로 이루어져서 합석판으로 이루어진 것보다 강도가 우수하여 합석판으로만 제조된 골조프레임케비넷에 비하여 매우 견고하게 됨은 물론 제조도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1220)를 수조(1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나사부에 맞추어서 나비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수조와 밀착고정이 용이하게 되며, 상기 골조프레임(1210)은, 상기 골조프레임상부커버(1230)과 골조프레임배면커버(1240) 및 측면상측커버(1270)와 측면하측커버(1280)로 개폐가능하게 조립되므로 종래 합석판으로 골조프레임을 제조할 때와는 달리 제조가 매우 용이하다.
특히 상기 골조프레임(1210)에 설치되는 골조프레임상부커버(1230)는, 상기 콘트롤러(1420)가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나사못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골조프레임(1210)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골조프레임(1210)에 설치된 밧데리장착선반(1250)과 펌프고정브라켓(1260)에 조립되는 밧데리(1600)와 펌프(1300) 및 방화수압송배관부(1500)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측면하측커버(1280)를 골조프레임(1210)에서 분해한 후 밧데리(1600)를 밧데리장착선반(1250)에 안착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또 상기 펌프고정브라켓(1260)에 펌프(1300)을 안착시켜 고정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한편, 상기 방화수압송배관부(1500)를 밧데리장착선반(1250)에 고정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고, 또 펌프(1300)의 펌프배관을 펌프(1300)과 수조(1100)로 연결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펌프(1300)는 상기 수조(1100)의 일측면 하부에 설치되고, 수조의 하부와 연결된 펌프배관(1310)으로 연결되어, 건물내의 화재에 의해 헤드가 터져서 배관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제어부(1400)의 신호를 받아서 작동시 펌프배관(1310)을 통해서 수조의 소화용수를 방화수압송배관부(1500)로 압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1300)는 상기 방화수압송배관부(1500)에 설치된 압력스위치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1400)의 신호를 받아서 온(ON)되어 수조(1100)내의 소화용수를 방화수압송배관부(1500)를 통해 건물내의 배관을 거쳐 분사되게 되고, 또 상기 방화수압송배관부(1500)에 설치된 패들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제어부(1400)로 신호를 보내 오프(OFF)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0)은, 상기 펌프(1300)와 같은 쪽으로 상부에 설치되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골조프레임케비넷(1200)의 골조프레임(1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290)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평상시 교류전원으로 사용하고, 비상시는 또는 수조(1100)의 측면이면서 상기 골조프레임케비넷(1200)에 설치된 밧데리장착선반(12500)에 고정한 밧데리(1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되어, 상기 펌프(1300)는 물론 상기 입수배관부(1160)와 방화수압송배관부(1500)에 설치된 각각의 전자제어 밸브와 스위치의 신호를 받아 제어하게 된다.
또 상기 방화수압송배관부(1500)는, 상기 펌프(1300)와 같은 쪽으로 배치되도록 수조(1100)의 일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펌프(1300)에서 골조프레임케비넷(1200)의 상부로 설치됨은 물론, 상기 입수배관부(1160)와도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1300)와 입수배관부(1160) 및 건물내의 배관과 연결되는 방화수압송배관부(1500)의 구성 요소들은 공지 기술로서, 각각의 니플과 유니온, 체크밸브, 티, 크로스티, 압력스위치, 압력계, 엘보, 시험밸브, 원터치엘보, 시험배관호스 및 패들스위치를 하나 이상 사용하여 연결구성된다.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내의 스프링클러 헤드가 터져서 배관내의 압력이 내려가면 이를 감지한 압력스위치가 제어부(1400)에 신호를 보내 펌프(1300)를 작동시키고, 상기 수조(1100)의 용수가 모두 토출되어 더 이상 용수가 배출되지 않으면 패들스위치는 펌프(1300)의 동작을 멈추게 된다. 또 수조(1100)의 용수가 일정 높이로 올라가면 플로스위치(1110)에 의해 물의 급수를 자동으로 정지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1100 : 수조
1200 : 골조프레임케비넷 1210 : 골조프레임
1220: 체결부 1230: 골조프레임상부커버
1240: 골조프레임배면커버 1250: 밧데리장착선반
1260: 펌프고정브라켓 1270: 측면상측커버
1280: 측면하측커버 1290: 도어
1300 : 펌프 1400 : 제어반(제어부)
1500 : 방화수압송배관부 1600 : 밧데리

Claims (5)

  1. 수조와, 이 수조의 일측면에 설치된 골조프레임케비넷과, 이 골조프레임케비넷에 설치된 제어부와 방화수압송배관부 및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밧데리를 포함하는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상기 골조프레임케비넷(1200)은, 상기 수조(1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입수배관부(1160)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수조의 높이보다 낮게 육각형골조로 이루어진 골조프레임(1210)과,
    상기 수조(1100)의 일측면에 체결수단으로 밀착고정하기 위해 수조와 밀착되는 쪽에 골조프레임과 일체로 구성된 체결부(122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상부면을 덮도록 체결되면서 방화수압송배관부(1500)가 설치되도록 관통구멍(1231)이 형성된 골조프레임상부커버(123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배면을 덮도록 체결된 골조프레임배면커버(124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중간부이면서 수조가 밀착되는 쪽으로 밧데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밧데리안착부(1251)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밧데리장착선반(1250)과,
    상기 밧데리장착선반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에 펌프(1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골조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펌프의 펌프배관(1310)이 수조의 하부로 연통될 수 있도록 된 펌프고정브라켓(126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측면 상측에 체결수단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측면상측커버(127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측면 하측에 체결수단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면하측커버(1280)와,
    상기 골조프레임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상부에는 제어부(1400)의 조작패널(1410)이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손잡이(1291)가 구비된 도어(1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프레임(1210)은 4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상측커버(1270)는 소정위치에 측면상측커버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구멍(1271)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상측커버(1270)의 내측면에는 제어부(1400)의 콘트롤러(1420)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하측커버(1280)는 소정위치에 측면하측커버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구멍(128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장착선반(1250)의 일측면으로는 방화수압송배관부(15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배관고정부(125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KR2020180001522U 2018-04-05 2018-04-05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KR201900025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22U KR20190002572U (ko) 2018-04-05 2018-04-05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22U KR20190002572U (ko) 2018-04-05 2018-04-05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72U true KR20190002572U (ko) 2019-10-15

Family

ID=6816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522U KR20190002572U (ko) 2018-04-05 2018-04-05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57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09U (ko) * 2019-12-24 2021-07-02 이행월 캐비넷형 간이 스프링클러장치
KR20210095489A (ko) * 2020-01-23 2021-08-02 이행월 스프링클러 소화수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09U (ko) * 2019-12-24 2021-07-02 이행월 캐비넷형 간이 스프링클러장치
KR20210095489A (ko) * 2020-01-23 2021-08-02 이행월 스프링클러 소화수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5595B2 (en) Self-testing and self-calibrating fire sprinkler system, method of installation and method of use
US4923013A (en) Fire sprinkler system and automatic shut-off valve therefor
US4361189A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nd alarm system for mobile homes
JP5204705B2 (ja) 消火栓装置
US8573315B1 (en) Self-testing and self-calibrating fire sprinkler system, method of installation and method of use
KR20190002572U (ko) 소방용 간이 스프링클러
CA2331983A1 (en) Fire-suppression sprinkle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and retrofit
KR101796309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WO2005110550A1 (en)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KR10178368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KR101701454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개폐밸브 감지 스위치
JP3540467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4210821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0456071B1 (ko)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CN213407535U (zh) 施工现场临时用房防火装置
KR200497999Y1 (ko) 경광등 연동 급수직결형 스프링클러 소화박스
CN205659292U (zh) 一种用于模块化数据中心的柜式七氟丙烷气体灭火装置
CN212466925U (zh) 一种加固支撑的消防用报警阀
KR102491588B1 (ko) 스프링클러 소화수 공급장치
JP2570267Y2 (ja) シャワー装置
CN217105341U (zh) 一种稳压型消火栓
JP3009190U (ja) 一斉開放弁
JP2589095Y2 (ja) 掃除流し水栓
EP4079378A1 (en) Firefighting water system for closed structures having a lengthy extension, in particular road tunnels
KR102628915B1 (ko) 일체형 성능시험 토출기능이 있는 토출배관을 갖는 소방펌프 통합시스템 및 그 통합시스템에 사용되는 내진 성능을 갖는 소방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