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512B1 -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512B1
KR101685512B1 KR1020160086734A KR20160086734A KR101685512B1 KR 101685512 B1 KR101685512 B1 KR 101685512B1 KR 1020160086734 A KR1020160086734 A KR 1020160086734A KR 20160086734 A KR20160086734 A KR 20160086734A KR 101685512 B1 KR101685512 B1 KR 101685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re
ventilation window
jetting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진
Original Assignee
(주)한양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양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한양기술단
Priority to KR102016008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F24F2011/009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수펌프(90)와;
소화수펌프(90)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는 소방배관(100)과;
제1내벽(W1)과, 제1내벽(W1)과 이어지는 제2내벽(W2) 및, 천장(W3)에 설치되며, 소방배관(100)과 연결되는 연결관(10)과;
일단이 소방배관(100) 및 연결관(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소화수펌프(90)와 연결되는 회수관(120)과;
소방배관(100) 및 연결관(10) 및 회수관(120)의 연결 지점에 설치되며, 제어유닛(110)에 의해 제어되어 소화수펌프(90)로부터의 소화수의 경로를 변경하는 자동밸브(130)와;
제1내벽(W1)과 대향 되는 외벽(W4)의 상부에 설치된 제1환기창문틀(20)과;
제1환기창문틀(20)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환기창문틀(20)을 개폐하는 제1환기창문(30)과;
제1환기창문틀(2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내측 면에 설치되는 제1환기구동장치(41) 및, 제1환기구동장치(41)에 설치되며 제1환기구동장치(41)의 구동에 의해 제1환기창문(30)의 상부를 외벽(W4)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 제1환기창문틀(20)이 개방되도록 하는 푸쉬바(42)를 갖춘 제1환기창문개방기기(40)와;
제1환기창문틀(20)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환기창문틀(50)과;
제2환기창문틀(50)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환기창문틀(50)을 개폐하는 제2환기창문(60)과;
제2환기창문틀(5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내측 면에 설치되는 제2환기구동장치(71) 및, 일단이 제2환기창문틀(50)의 하부에 연결되며 제2환기구동장치(71)의 구동에 의해 제2환기창문(60)을 외벽(W4)의 내측 방향으로 당겨 제2환기창문틀(50)이 개방되도록 하는 와이어(72)를 갖춘 제2환기창문개방기기(70)와;
일측이 연결관(1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연결관(10)과 연통되는 연결부(81a), 연결부(81a)와 연통되어 분사관(81)의 원주면 방향으로 개구되되 개구각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1분사부(81b), 연결부(81a)의 타측과 연통되며 다수의 제1분사부(81b) 중 가장 측방에 위치한 제1분사부(81b)보다 분사관(81)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여 분사관(81)의 타측 방향으로 개구된 제2분사부(81c)를 갖춘 분사관(81)과, 분사관(8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이동에 따라 분사관(81)의 제1분사부(8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관(82) 및, 개폐관(8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2분사부(81c)를 개폐하는 개폐부재(83)를 갖추고서, 분사기구(80)가 제1내벽(W1)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가 천장(W3) 및 제1환기창문(30)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폐쇄하며, 분사기구(80)가 제2내벽(W2)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가 제1환기창문(30)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폐쇄하며, 분사기구(80)가 천장(W3)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 모두를 폐쇄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개폐관(82)과 분리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개방하도록, 각각의 연결관(10)에 각각 설치되는 분사기구(80)와;
제어유닛(11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소화수펌프(90)에서 배출된 소화수의 유량을 계측하는 제1유량계측기(140)와;
제어유닛(11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회수관(120)으로 회수된 소화수의 유량을 계측하는 제2유량계측기(150) 및;
천장(W3)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환기구동장치(41) 및 제2환기구동장치(71)를 구동하여 제1환기창문틀(20) 및 제2환기창문틀(50)을 개방하면서, 회수관(120)이 닫히고 연결관(10)이 열리도록 자동밸브(130)를 제어하고 소화수펌프(90)를 구동하여 연결관(10)으로 소화수가 흐르도록 하는 한편, 회수관(120)으로 소화수가 흐르도록 설정될 시 제1유량계측기(140) 및 제2유량계측기(150)를 구동하여 제1유량계측기(140)에 따른 소화수 유량 값과 제2유량계측기(150)에 따른 소화수 유량 값의 차이가 기준 값을 벗어나면 누수가 감지됐다는 누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FIRE FIGHTING EQUIPMEN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발생시 초기진압을 위해 건축물 내에 소화기,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그 중 스프링클러는 현대사회의 건물구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소방설비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소방배관과 연결되어 건축물 내부의 천장에 설치되며, 소방배관으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아, 화재 발생시 하방으로 소화수를 살수하여, 화재가 초기에 진압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누수가 발생하는 소방배관이 수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진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건축물의 천장에서 하방으로만 살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축물의 천장 및 내부 벽면에서 진행하는 화염을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없었다.
한편, 종래에는 화재발생시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없어, 화재 발생시 화재구역을 신속하게 빠져나가지 못한 조난자가 유독가스에 질식될 위험에 노출되기 쉬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8-0651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하며, 화재 진압을 초기에 효과적으로 하고, 연기의 배출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화수펌프(90)와;
소화수펌프(90)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는 소방배관(100)과;
제1내벽(W1)과, 제1내벽(W1)과 이어지는 제2내벽(W2) 및, 천장(W3)에 설치되며, 소방배관(100)과 연결되는 연결관(10)과;
일단이 소방배관(100) 및 연결관(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소화수펌프(90)와 연결되는 회수관(120)과;
소방배관(100) 및 연결관(10) 및 회수관(120)의 연결 지점에 설치되며, 제어유닛(110)에 의해 제어되어 소화수펌프(90)로부터의 소화수의 경로를 변경하는 자동밸브(130)와;
제1내벽(W1)과 대향 되는 외벽(W4)의 상부에 설치된 제1환기창문틀(20)과;
제1환기창문틀(20)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환기창문틀(20)을 개폐하는 제1환기창문(30)과;
제1환기창문틀(2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내측 면에 설치되는 제1환기구동장치(41) 및, 제1환기구동장치(41)에 설치되며 제1환기구동장치(41)의 구동에 의해 제1환기창문(30)의 상부를 외벽(W4)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 제1환기창문틀(20)이 개방되도록 하는 푸쉬바(42)를 갖춘 제1환기창문개방기기(40)와;
제1환기창문틀(20)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환기창문틀(50)과;
제2환기창문틀(50)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환기창문틀(50)을 개폐하는 제2환기창문(60)과;
제2환기창문틀(5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내측 면에 설치되는 제2환기구동장치(71) 및, 일단이 제2환기창문틀(50)의 하부에 연결되며 제2환기구동장치(71)의 구동에 의해 제2환기창문(60)을 외벽(W4)의 내측 방향으로 당겨 제2환기창문틀(50)이 개방되도록 하는 와이어(72)를 갖춘 제2환기창문개방기기(70)와;
일측이 연결관(1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연결관(10)과 연통되는 연결부(81a), 연결부(81a)와 연통되어 분사관(81)의 원주면 방향으로 개구되되 개구각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1분사부(81b), 연결부(81a)의 타측과 연통되며 다수의 제1분사부(81b) 중 가장 측방에 위치한 제1분사부(81b)보다 분사관(81)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여 분사관(81)의 타측 방향으로 개구된 제2분사부(81c)를 갖춘 분사관(81)과, 분사관(8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이동에 따라 분사관(81)의 제1분사부(8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관(82) 및, 개폐관(8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2분사부(81c)를 개폐하는 개폐부재(83)를 갖추고서, 분사기구(80)가 제1내벽(W1)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가 천장(W3) 및 제1환기창문(30)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폐쇄하며, 분사기구(80)가 제2내벽(W2)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가 제1환기창문(30)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폐쇄하며, 분사기구(80)가 천장(W3)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 모두를 폐쇄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개폐관(82)과 분리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개방하도록, 각각의 연결관(10)에 각각 설치되는 분사기구(80)와;
제어유닛(11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소화수펌프(90)에서 배출된 소화수의 유량을 계측하는 제1유량계측기(140)와;
제어유닛(11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회수관(120)으로 회수된 소화수의 유량을 계측하는 제2유량계측기(150) 및;
천장(W3)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환기구동장치(41) 및 제2환기구동장치(71)를 구동하여 제1환기창문틀(20) 및 제2환기창문틀(50)을 개방하면서, 회수관(120)이 닫히고 연결관(10)이 열리도록 자동밸브(130)를 제어하고 소화수펌프(90)를 구동하여 연결관(10)으로 소화수가 흐르도록 하는 한편, 회수관(120)으로 소화수가 흐르도록 설정될 시 제1유량계측기(140) 및 제2유량계측기(150)를 구동하여 제1유량계측기(140)에 따른 소화수 유량 값과 제2유량계측기(150)에 따른 소화수 유량 값의 차이가 기준 값을 벗어나면 누수가 감지됐다는 누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 주기적으로 소방배관(100)의 누수 여부를 감지하여, 소방배관(100)의 누수를 검사함으로써, 소방배관(100)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내벽(W1), 제2내벽(W2), 천장(W3)에 설치된 각각의 연결관(10)에 연결되는 분사기구(80)를 통해 실내에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발생하면 제1환기창문틀(20) 및 제2환기창문틀(50)이 개방되고, 실내와 실외의 기압 차이에 의해 제2환기창문틀(50)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제1환기창문틀(20)로 연기가 배출되어, 연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특히 제1내벽(W1), 제2내벽(W2)에 설치된 각각의 연결관(10)에 연결되는 분사기구(80)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가 실내의 연기를 제1환기창문틀(20)을 향해 밀어내어 보다 신속하게 실내의 연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분사기구(80)를 제1내벽(W1), 제2내벽(W2), 천장(W3)에 설치된 각각의 연결관(10)에 설치할 시, 각각의 분사기구(80)의 소화수 분사각 또는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화재 진압 및 연기 방출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에서 소화수의 흐름 및 전기 제어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실선은 소화수의 흐름 라인, 점선은 제어라인)이고,
도 3은 도 1에서 제1내벽에 설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분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천장에 설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분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서 제1환기창문 및 제1환기창문개방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서 제2환기창문 및 제2환기창문개방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환기창문 및 제1환기창문개방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1내벽에 설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분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는 도 8에서 제2내벽에 설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분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에서 소화수의 흐름 및 전기 제어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실선은 소화수의 흐름 라인, 점선은 제어라인)이고, 도 3은 도 1에서 제1내벽에 설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분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천장에 설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분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서 제1환기창문 및 제1환기창문개방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서 제2환기창문 및 제2환기창문개방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환기창문 및 제1환기창문개방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1내벽에 설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분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는 도 8에서 제2내벽에 설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분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는, 소화수펌프(90)와, 소방배관(100)과, 연결관(10)과, 회수관(120)과, 자동밸브(130)와, 제1환기창문틀(20)과, 제1환기창문(30)과, 제1환기창문개방기기(40)와, 제2환기창문틀(50)과, 제2환기창문(60)과, 제2환기창문개방기기(70)와, 분사기구(80)와, 제1유량계측기(140)와, 제2유량계측기(150) 및, 제어유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소화수펌프(90)는, 연결관(10)과 연결되며 소화수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화수펌프(90)는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위치면 건축물 내부의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소화수란 불을 끄기 위한 물이라는 뜻에서 소화수라고 한다.
상기 소방배관(100)은,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며, 소화수펌프(90)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연결관(10)은, 제1내벽(W1)과, 제1내벽(W1)과 이어지는 제2내벽(W2) 및, 천장(W3)에 설치되며, 소방배관(10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내벽(W1)과 제2내벽(W2)는 'ㄱ'자로 이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관(10)은 제1내벽(W1), 제2내벽(W2), 천장(W3)을 관통하여, 소방배관(100)과 연결된다.
상기 회수관(120)은,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소방배관(100) 및 연결관(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소화수펌프(90)와 연결된다.
상기 자동밸브(130)는, 소방배관(100) 및 연결관(10) 및 회수관(120)의 연결 지점에 설치되며, 제어유닛(110)에 의해 제어되어 소화수펌프(90)로부터의 소화수의 경로를 변경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밸브(130)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환기창문틀(20)은, 제1내벽(W1)과 대향 되는 외벽(W4)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환기창문틀(20)은 사각 틀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제1환기창문틀(20)의 상부 내측 면에는 자석(M)이 구비되고, 제1환기창문(30)의 상단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제1환기창문(30)이 제1환기창문틀(20)을 폐쇄할 시 제1환기창문(30)이 제1환기창문틀(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환기창문(30)이 제1환기창문틀(20)을 폐쇄할 시, 제1환기창문(30)과 제1환기창문틀(20)의 마찰력에 의해 제1환기창문(30)이 제1환기창문틀(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환기창문(30)은, 제1환기창문틀(20)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환기창문틀(20)을 개폐한다.
상기 제1환기창문개방기기(40)는, 제1환기창문틀(2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내측 면에 설치되는 제1환기구동장치(41) 및, 제1환기구동장치(41)에 설치되며 제1환기구동장치(41)의 구동에 의해 제1환기창문(30)의 상부를 외벽(W4)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 제1환기창문틀(20)이 개방되도록 하는 푸쉬바(4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1환기창문개방기기(40)는 실린더 구조나 솔레노이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환기구동장치(41)는, 푸쉬바(42)가 제1환기창문(30)을 미는 힘이 제1환기창문(30)과 자석(M)의 고정력보다 크게 되도록, 푸쉬바(42)를 구동한다.
상기 제2환기창문틀(50)은, 제1환기창문틀(20)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환기창문틀(50)은 사각 틀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환기창문(60)은, 제2환기창문틀(50)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환기창문틀(50)을 개폐한다.
상기 제2환기창문개방기기(70)는, 제2환기창문틀(5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내측 면에 설치되는 제2환기구동장치(71) 및, 일단이 제2환기창문틀(50)의 하부에 연결되며 제2환기구동장치(71)의 구동에 의해 제2환기창문(60)을 외벽(W4)의 내측 방향으로 당겨 제2환기창문틀(50)이 개방되도록 하는 와이어(7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2환기창문개방기기(70)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72)를 감거나 풀 수 있다.
상기 분사기구(80)는, 분사관(81)과, 개폐관(82) 및, 개폐부재(83)를 갖춘다.
상기 분사관(81)은, 일측이 연결관(1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연결관(10)와 연통되는 연결부(81a)와, 연결부(81a)와 연통되어 분사관(81)의 원주면 방향으로 개구되되 개구각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1분사부(81b) 및, 연결부(81a)의 타측과 연통되며 다수의 제1분사부(81b) 중 가장 측방에 위치한 제1분사부(81b)보다 분사관(81)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여 분사관(81)의 타측 방향으로 개구된 제2분사부(81c)를 갖춘다.
상기 개폐관(82)는, 분사관(8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이동에 따라 분사관(81)의 제1분사부(8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개폐부재(83)는, 개폐관(8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2분사부(81c)를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분사기구(80)는, 분사기구(80)가 제1내벽(W1)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가 천장(W3) 및 제1환기창문(30)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상기 분사기구(80)의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폐쇄하며, 분사기구(80)가 제2내벽(W2)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가 제1환기창문(30)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폐쇄하며, 분사기구(80)가 천장(W3)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 모두를 폐쇄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과 분리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개방하도록, 각각의 연결관(1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유량계측기(140)는, 제어유닛(11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소화수펌프(90)로부터 배출되는 소화수의 유량을 계측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유량계측기(140)는 소화수펌프(90)와 소방배관(100)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유량계측기(150)는, 제어유닛(11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회수관(120)으로 회수된 소화수의 유량을 계측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유량계측기(150)는 소화펌프(90)와 회수관(120)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유닛(110)은, 천장(W3)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환기구동장치(41) 및 제2환기구동장치(71)를 구동하여 제1환기창문틀(20) 및 제2환기창문틀(50)을 개방하면서, 회수관(120)이 닫히고 연결관(10)이 열리도록 자동밸브(130)를 제어하고 소화수펌프(90)를 구동하여 연결관(10)으로 소화수가 흐르도록 하는 한편, 회수관(120)으로 소화수가 흐르도록 설정될 시 제1유량계측기(140) 및 제2유량계측기(150)를 구동하여 제1유량계측기(140)에 따른 소화수 유량 값과 제2유량계측기(150)에 따른 소화수 유량 값의 차이가 기준 값을 벗어나면 누수가 감지됐다는 누수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110)은 상기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건축물 내부의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하여 소방배관의 누수 검사를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6은 도 1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12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서 소화수의 분사각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소방배관(100)의 누수를 감지하여 소방배관(100)의 누수 검사를 하기 위해서, 소화수펌프(90)로부터 소방배관(100)으로 유입된 소화수가 회수관(120)으로 흘러 다시 소화수펌프(90)로 들어가도록 자동밸브(130)를 설정한다. 즉 자동밸브(130)는 회수관(120)을 열고 연결관(10)을 닫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소화수펌프(90)를 구동하면, 도 11과 같이 소화수가 소방배관(100)과 회수관(120)을 경유하여 다시 소화수펌프(90)로 들어온다. 이때 제1유량계측기(140)는 소화수펌프(90)로부터 배출되는 소화수의 유량을 계측하고, 제2유량계측기(150)는 소화수펌프(90)로 다시 들어오는 소화수의 유량을 계측한다. 그리고 제어유닛(110)은 제1유량계측기(140)의 유량 값과 제2유량계측기(150)의 유량 값을 비교하여, 제1유량계측기(140)의 유량 값 및 제2유량계측기(150)의 유량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나면, 소방배관(100)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경고장치(미도시)에 누수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경고장치는 관리자에게 소방배관(100)에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는 경고를 한다. 이후 관리자는 소방배관(100)에 대해 정밀 검사를 하며, 이때 관리자는 회수관(120)에 대해서도 정밀 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제어유닛(110)은 화재감지센서로부터의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유닛(110)은 소화수펌프(90)를 구동하면서, 회수관(120)이 닫히고 연결관(10)이 열리도록 자동밸브(130)를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제1환기구동장치(41) 및 제2환기구동장치(71)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제1환기창문개방기기(40)의 푸쉬바(42)는, 제1환기구동장치(41)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환기창문(30)을 밀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제1환기창문(30)이 외벽(W4)의 외측 방향으로 밀리도록 한다. 또한 제2환기창문개방기기(70)의 와이어(72)는 제1환기구동장치(71)에 의해 감기면서 제2환기창문(60)을 당겨, 도 12 및 도 14와 같이 제2환기창문(60)이 외벽(W4)의 내측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그러면 제2환기창문틀(50)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제1환기창문틀(20)으로 연기가 배출되어, 화재가 발생한 실내의 환기(도 12의 일점쇄선 화살표 방향 참조)가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내벽(W1)에 설치된 연결관(10)으로부터의 소화수는 도 12 및 도 15와 같이 분사기구(80)를 통해 천장(W3)을 향해 분사되면서, 실내의 연기를 천장(W3) 및 제1환기창문틀(20)을 향해 밀어 올려 연기가 제1환기창문틀(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천장(W3)으로 진행하는 화염을 진화한다.
또한, 상기 천장(W3)에 설치된 연결관(10)으로부터의 소화수는 도 16과 같이 하방으로 분사되어, 실내의 화염을 진화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10)에 연결된 분사기구(80)의 분사관(81)은, 개폐부재(83)가 분리된 상태에서 개폐관(81)이 결합되어, 개폐관(82)에 의해 제1분사부(81b)가 폐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관(10)으로부터의 소화수가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통해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2내벽(W2)에 설치된 연결관(10)으로부터의 소화수는 도 17 및 도 18과 같이 분사기구(80)를 통해 제1환기창문틀(20)을 향해 분사되어, 실내의 화염을 진화하면서 실내의 연기가 제1환기창문틀(20)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도 19와 같이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의 위치를 조절하면, 분사기구(80)의 다수의 제1분사부(81b) 중 개방되는 제1분사부(81b)의 수가 조절되어, 소화수의 분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천장(W3)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연결된 분사기구(80) 및, 제2내벽(W2)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연결된 분사기구(80) 또한 상기와 같이 각각의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의 위치조절을 통해 소화수의 분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분사기구(80)의 소화수 분사각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 주기적으로 소방배관(100)의 누수 여부를 감지하여, 소방배관(100)의 누수를 검사함으로써, 소방배관(100)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내벽(W1), 제2내벽(W2), 천장(W3)에 설치된 각각의 연결관(10)에 연결되는 분사기구(80)를 통해 실내에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발생하면 제1환기창문틀(20) 및 제2환기창문틀(50)이 개방되고, 실내와 실외의 기압 차이에 의해 제2환기창문틀(50)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제1환기창문틀(20)로 연기가 배출되어, 연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특히 제1내벽(W1), 제2내벽(W2)에 설치된 각각의 연결관(10)에 연결되는 분사기구(80)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가 실내의 연기를 제1환기창문틀(20)을 향해 밀어내어 보다 신속하게 실내의 연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분사기구(80)를 제1내벽(W1), 제2내벽(W2), 천장(W3)에 설치된 각각의 연결관(10)에 설치할 시, 각각의 분사기구(80)의 소화수 분사각 또는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화재 진압 및 연기 방출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연결관 20; 제1환기창문틀
30; 제1환기창문 40; 제1환기창문개방기기
50; 제2환기창문틀 60; 제2환기창문
70; 제2환기창문개방기기 80; 분사기구
90; 소화수펌프 100; 소방배관
110; 제어유닛 120; 회수관
130; 자동밸브 140; 제1유량계측기
150; 제2유량계측기

Claims (1)

  1. 소화수펌프(90)와;
    소화수펌프(90)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는 소방배관(100)과;
    제1내벽(W1)과, 제1내벽(W1)과 이어지는 제2내벽(W2) 및, 천장(W3)에 설치되며, 소방배관(100)과 연결되는 연결관(10)과;
    일단이 소방배관(100) 및 연결관(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소화수펌프(90)와 연결되는 회수관(120)과;
    소방배관(100) 및 연결관(10) 및 회수관(120)의 연결 지점에 설치되며, 제어유닛(110)에 의해 제어되어 소화수펌프(90)로부터의 소화수의 경로를 변경하는 자동밸브(130)와;
    제1내벽(W1)과 대향 되는 외벽(W4)의 상부에 설치된 제1환기창문틀(20)과;
    제1환기창문틀(20)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환기창문틀(20)을 개폐하는 제1환기창문(30)과;
    제1환기창문틀(2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내측 면에 설치되는 제1환기구동장치(41) 및, 제1환기구동장치(41)에 설치되며 제1환기구동장치(41)의 구동에 의해 제1환기창문(30)의 상부를 외벽(W4)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 제1환기창문틀(20)이 개방되도록 하는 푸쉬바(42)를 갖춘 제1환기창문개방기기(40)와;
    제1환기창문틀(20)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환기창문틀(50)과;
    제2환기창문틀(50)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환기창문틀(50)을 개폐하는 제2환기창문(60)과;
    제2환기창문틀(5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외벽(W4)의 내측 면에 설치되는 제2환기구동장치(71) 및, 일단이 제2환기창문틀(50)의 하부에 연결되며 제2환기구동장치(71)의 구동에 의해 제2환기창문(60)을 외벽(W4)의 내측 방향으로 당겨 제2환기창문틀(50)이 개방되도록 하는 와이어(72)를 갖춘 제2환기창문개방기기(70)와;
    일측이 연결관(1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연결관(10)과 연통되는 연결부(81a), 연결부(81a)와 연통되어 분사관(81)의 원주면 방향으로 개구되되 개구각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1분사부(81b), 연결부(81a)의 타측과 연통되며 다수의 제1분사부(81b) 중 가장 측방에 위치한 제1분사부(81b)보다 분사관(81)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여 분사관(81)의 타측 방향으로 개구된 제2분사부(81c)를 갖춘 분사관(81)과, 분사관(8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이동에 따라 분사관(81)의 제1분사부(8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관(82) 및, 개폐관(8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2분사부(81c)를 개폐하는 개폐부재(83)를 갖추고서, 분사기구(80)가 제1내벽(W1)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가 천장(W3) 및 제1환기창문(30)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폐쇄하며, 분사기구(80)가 제2내벽(W2)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가 제1환기창문(30)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폐쇄하며, 분사기구(80)가 천장(W3)에 설치된 연결관(10)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관(82)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1분사부(81b) 모두를 폐쇄하고 상기 분사기구(80)의 개폐부재(83)가 개폐관(82)과 분리되어 상기 분사기구(80)의 제2분사부(81c)를 개방하도록, 각각의 연결관(10)에 각각 설치되는 분사기구(80)와;
    제어유닛(11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소화수펌프(90)에서 배출된 소화수의 유량을 계측하는 제1유량계측기(140)와;
    제어유닛(11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회수관(120)으로 회수된 소화수의 유량을 계측하는 제2유량계측기(150) 및;
    천장(W3)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환기구동장치(41) 및 제2환기구동장치(71)를 구동하여 제1환기창문틀(20) 및 제2환기창문틀(50)을 개방하면서, 회수관(120)이 닫히고 연결관(10)이 열리도록 자동밸브(130)를 제어하고 소화수펌프(90)를 구동하여 연결관(10)으로 소화수가 흐르도록 하는 한편, 회수관(120)으로 소화수가 흐르도록 설정될 시 제1유량계측기(140) 및 제2유량계측기(150)를 구동하여 제1유량계측기(140)에 따른 소화수 유량 값과 제2유량계측기(150)에 따른 소화수 유량 값의 차이가 기준 값을 벗어나면 누수가 감지됐다는 누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KR1020160086734A 2016-07-08 2016-07-08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KR101685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734A KR101685512B1 (ko) 2016-07-08 2016-07-08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734A KR101685512B1 (ko) 2016-07-08 2016-07-08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512B1 true KR101685512B1 (ko) 2016-12-14

Family

ID=5757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734A KR101685512B1 (ko) 2016-07-08 2016-07-08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5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964A (ko) 2017-11-09 2019-05-17 김원겸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KR20210138962A (ko) * 2020-05-13 2021-11-22 지엔에스엠 주식회사 수계 소화설비 동결 방지 시스템
KR20220099627A (ko)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누수 감지 알람 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7257U (ko) * 1987-04-02 1988-10-14
KR19980065105A (ko) 1998-06-26 1998-10-07 김정혁 아파트 건축물의 소방설비중 스프링쿨러 배관의 상층부 온돌층및 스리브 통과후 하향식스프링쿨러설치.
US20070114046A1 (en) * 2005-11-18 2007-05-24 Munroe David B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628027B1 (ko) * 2015-01-14 2016-06-08 장현실 소화 및 방화에 사용하는 회전형 노즐을 이용한 워터셔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7257U (ko) * 1987-04-02 1988-10-14
KR19980065105A (ko) 1998-06-26 1998-10-07 김정혁 아파트 건축물의 소방설비중 스프링쿨러 배관의 상층부 온돌층및 스리브 통과후 하향식스프링쿨러설치.
US20070114046A1 (en) * 2005-11-18 2007-05-24 Munroe David B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628027B1 (ko) * 2015-01-14 2016-06-08 장현실 소화 및 방화에 사용하는 회전형 노즐을 이용한 워터셔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964A (ko) 2017-11-09 2019-05-17 김원겸 내진용 소방 배관 플랜지
KR20210138962A (ko) * 2020-05-13 2021-11-22 지엔에스엠 주식회사 수계 소화설비 동결 방지 시스템
KR102445684B1 (ko) * 2020-05-13 2022-09-23 지엔에스엠 주식회사 수계 소화설비 동결 방지 시스템
KR20220099627A (ko)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누수 감지 알람 밸브
KR102480885B1 (ko) * 2021-01-07 2022-12-26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누수 감지 알람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52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CA2762561C (en) Fire sprinkler system having combined detection and distribution piping
US10870028B2 (en) Sprinkler system with a pre-action sprinkler head
KR101685512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JP6510320B2 (ja) トンネル内非常用設備
CN203325336U (zh) 一种建筑物消防教学模型
KR101753809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개폐 밸브 감지 스위치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94327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JP5399878B2 (ja) 消火栓装置点検システム
KR101685524B1 (ko) 건축물의 제연이 가능한 소방방재장치
KR10173887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20200092619A (ko)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20070016590A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178368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KR20080001532U (ko)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KR101685521B1 (ko) 건축물 화재진압용 살수장치
JP6580463B2 (ja) 泡消火設備
JP2016140414A (ja) 自動火災報知消火システム
KR102008618B1 (ko) 소방설비의 선로저항측정기
JP5046315B2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CN117437819A (zh) 用于消防训练的模拟燃烧装置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JPH10248954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17836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