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782B1 -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782B1
KR101731782B1 KR1020160129477A KR20160129477A KR101731782B1 KR 101731782 B1 KR101731782 B1 KR 101731782B1 KR 1020160129477 A KR1020160129477 A KR 1020160129477A KR 20160129477 A KR20160129477 A KR 20160129477A KR 101731782 B1 KR101731782 B1 KR 101731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areas
control uni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성
Original Assignee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2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는 건축물의 다수의 영역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다수의 영역에 소방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부와 유로 연결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수 공급부; 및 상기 다수의 영역 각각에 위치되는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소방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소방수를 기설정된 냉각 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다수의 영역 중, 화재가 발생된 영역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소방수 온도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FIREWATER MAN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에서서 화재가 발생됨이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된 영역으로 공급되는 소방수를 화재 발생 영역으로 분사되기 이전에 설정된 냉각 온도로 냉각시켜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화재 초기 진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발생한 화재의 진화는 소화기에 의한 진화, 소화전을 이용한 진화, 소방차와 소방대원에 의한 진화, 그리고 스프링클러 장치에 의한 진화로 구분될 수 있다.
소화기에 의한 진화와 소화전에 의한 진화는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입주자가 소화기 또는 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하는 것으로 초기 진화에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입주자의 연령별 또는 소방교육 이수여부에 따라 소화기 또는 소화전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또한, 계절에 따라 공급되는 소화수의 온도가 천차 만별이라, 초기 화재를 감지하더라도, 이를 효율적으로 진압하지 못함과 아울러, 소화수를 분사하는 장치를 유지 보수를 하는 경우 건축물 내부에 매립되는 관계로 이를 쉽게 유지 보수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1-0033983호와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에서서 화재가 발생됨이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된 영역으로 공급되는 소방수를 화재 발생 영역으로 분사되기 이전에 설정된 냉각 온도로 냉각시켜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화재 초기 진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는 건축물의 다수의 영역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다수의 영역에 소방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부와 유로 연결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수 공급부; 및 상기 다수의 영역 각각에 위치되는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소방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소방수를 기설정된 냉각 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다수의 영역 중, 화재가 발생된 영역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소방수 온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소방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기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분사기는, 분사기 몸체와, 상기 분사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분사팁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팁은, 상기 분사기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팁의 내부에는 냉각 코일이 매설된다.
상기 소방수 온도 제어부는, 상기 소방수 공급부 측의 유로와 연결되는 입구단과 상기 분사부 측 유로와 연결되는 출구단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단을 통해 유입되는 소방수를 설정된 상기 냉각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를 통해 냉각된 상기 소방수를 상기 출구단측으로 배출시키는 펌프와, 상기 냉각 온도가 설정되며, 상기 냉각기와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상기 소방수 온도 제어부는, 상기 유로 상에서 탈착 가능하다.
상기 소방수 온도 제어부는, 상기 영역의 천정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설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영역의 천정부의 설치 공간의 상측부에는, 상기 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가 설치되고, 상기 영역의 천정부에는, 상기 설치 공간을 개폐 시키는 개폐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 도어를 개폐시키고, 상기 승강기를 구동시켜 상기 본체를 상기 영역에 위치되도록 승강시키고, 상기 입구단은, 설정된 길이로 신축되는 제 1주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단은, 설정된 길이로 신축되는 제 2주름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서 화재가 발생됨이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된 영역으로 공급되는 소방수를 화재 발생 영역으로 분사되기 이전에 설정된 냉각 온도로 냉각시켜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화재 초기 진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소방수 온도 제어부를 승강시키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소방수 온도 제어부를 승강시키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는 건축물의 다수의 영역(1)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00)와, 상기 다수의 영역(1)에 소방수를 분사하는 분사부(200)와,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부(200)와 유로(10) 연결되어, 상기 유로(10)를 통해 상기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수 공급부(300)와, 상기 다수의 영역(1) 각각에 위치되는 상기 유로(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소방수 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소방수를 기설정된 냉각 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분사부(200)를 통해 상기 다수의 영역 중, 화재가 발생된 영역(1)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소방수 온도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부(200)는, 상기 소방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기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분사기는, 분사기 몸체(210)와, 상기 분사기 몸체(210)의 단부에 형성되는 분사팁(220)을 구비한다.
상기 분사팁(220)은, 상기 분사기 몸체(2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분사팁(220)의 내부에는 냉각 코일(230)이 매설된다.
상기 소방수 온도 제어부(400)는, 상기 소방수 공급부(400) 측의 유로(10)와 연결되는 입구단(411)과 상기 분사부(200) 측 유로(10)와 연결되는 출구단(412)이 형성되는 본체(410)와, 상기 본체(410)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단(411)을 통해 유입되는 소방수를 설정된 상기 냉각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기(420)와, 상기 냉각기(420)를 통해 냉각된 상기 소방수를 상기 출구단(412) 측으로 배출시키는 펌프(430)와, 상기 냉각 온도가 설정되며, 상기 냉각기(420)와 상기 펌프(4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40)를 구비한다.
상기 소방수 온도 제어부(400)는, 상기 유로(10) 상에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소방수 온도 제어부(400)는, 상기 영역(1)의 천정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설치 공간(a)에 배치된다.
상기 영역(1)의 천정부의 설치 공간(a)의 상측부에는, 상기 본체(410)를 승강시키는 승강기(600)가 설치된다.
상기 영역(1)의 천정부에는, 상기 설치 공간(a)을 개폐 시키는 개폐 도어(50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440)는, 상기 개폐 도어(500)를 개폐시키고, 상기 승강기(600)를 구동시켜 상기 본체(410)를 상기 영역(1)에 위치되도록 승강시킨다.
상기 입구단(411)은, 설정된 길이로 신축되는 제 1주름관을 포함한다.
상기 출구단(412)은, 설정된 길이로 신축되는 제 2주름관을 포함한다.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승강기(600)는 승강되는 승강축(610)을 갖고, 상기 승강축(610)의 하단은 본체(410)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승강기(600)는 제어기(440)의 제어를 통해 제어된다.
상기 개폐 도어(500)는 천정부에 형성되는 개구의 일측 테두리에 힌지(H) 연결되며, 회전 모터(510)의 회전에 의해 상하 개폐 구동된다.
상기 회전 모터(510)는 상기 제어기(4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어기(440)는 외부로부터 점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개폐 도어(500)를 개방하고, 승강기(600)를 구동시켜 상기 소방수 온도 제어부(400)를 개구를 통해 하강으로 하강시킨다.
이때, 제 1,2주름관은 신장되어, 유로(10)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기(440)는 소방수 온도 제어부(400)의 냉각기(420) 및 펌프(430)의 구동을 감시하는 센서(미도시)로부터 이상동작이 감지되면, 지동으로 상기 점검 모드가 강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화재 감지부(100)는, 상기 다수의 영역(1) 중 화재가 발생된 영역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화재 발생 영역을 상기 제어기(44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440)는 상기 설정된 화재 발생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소방수 온도 제어부(400) 및 상기 분사부(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1주름관은, 상기 소방수 공급부(300) 측 유로(10)와 탈착 가능하고, 상기 제 2주름관은, 상기 분사부(200) 측 유로(10)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폐 도어(500)에는, 상기 다수의 보조 분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보조 분사홀은, 상기 개폐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보조 유로는, 상기 분사부 측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소방수를 공급 받을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건축물에서서 화재가 발생됨이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된 영역으로 공급되는 소방수를 화재 발생 영역으로 분사되기 이전에 설정된 냉각 온도로 냉각시켜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화재 초기 진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화재 감지부
200 : 분사부
300 : 소방수 공급부
400 : 소방수 온도 제어부

Claims (4)

  1. 건축물의 다수의 영역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다수의 영역에 소방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부와 유로 연결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수 공급부; 및
    상기 다수의 영역 각각에 위치되는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소방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소방수를 기설정된 냉각 온도로 냉각시켜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다수의 영역 중, 화재가 발생된 영역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소방수 온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는,
    상기 소방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기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분사기는,
    분사기 몸체와, 상기 분사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분사팁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팁은, 상기 분사기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팁의 내부에는 냉각 코일이 매설되고,
    상기 소방수 온도 제어부는,
    상기 소방수 공급부 측의 유로와 연결되는 입구단과 상기 분사부 측 유로와연결되는 출구단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단을 통해 유입되는 소방수를 설정된 상기 냉각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를 통해 냉각된 상기 소방수를 상기 출구단측으로 배출시키는 펌프와,
    상기 냉각 온도가 설정되며, 상기 냉각기와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소방수 온도 제어부는,
    상기 유로 상에서 탈착 가능하고,
    상기 소방수 온도 제어부는, 상기 영역의 천정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설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영역의 천정부의 설치 공간의 상측부에는, 상기 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가 설치되고,
    상기 영역의 천정부에는, 상기 설치 공간을 개폐 시키는 개폐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 도어를 개폐시키고, 상기 승강기를 구동시켜 상기 본체를 상기 영역에 위치되도록 승강시키고,
    상기 입구단은, 설정된 길이로 신축되는 제 1주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단은, 설정된 길이로 신축되는 제 2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29477A 2016-10-07 2016-10-07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 KR101731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477A KR101731782B1 (ko) 2016-10-07 2016-10-07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477A KR101731782B1 (ko) 2016-10-07 2016-10-07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782B1 true KR101731782B1 (ko) 2017-05-02

Family

ID=5874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477A KR101731782B1 (ko) 2016-10-07 2016-10-07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216B1 (ko) * 2019-08-08 2020-03-16 삼흥종합건설(주) 차열 및 방염 공간을 갖는 화재 대비 건축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811B1 (ko) * 2015-02-05 2015-09-07 (주)비엔씨하이텍 안개 분무 시스템
KR101636738B1 (ko) * 2016-02-23 2016-07-20 (주)세정이에프씨 방화구역용 스프링클러 감시 시스템
KR101650279B1 (ko) * 2009-05-15 2016-08-2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가스가 핫 글래스 시트를 스코링하는 공정에 사용된 스프레이 노즐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56361B1 (ko) * 2015-05-27 2016-09-23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 주변 수조(또는 물탱크)내 침수된 열교환기를 이용한 원자로 정지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279B1 (ko) * 2009-05-15 2016-08-2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가스가 핫 글래스 시트를 스코링하는 공정에 사용된 스프레이 노즐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50811B1 (ko) * 2015-02-05 2015-09-07 (주)비엔씨하이텍 안개 분무 시스템
KR101656361B1 (ko) * 2015-05-27 2016-09-23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 주변 수조(또는 물탱크)내 침수된 열교환기를 이용한 원자로 정지냉각장치
KR101636738B1 (ko) * 2016-02-23 2016-07-20 (주)세정이에프씨 방화구역용 스프링클러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216B1 (ko) * 2019-08-08 2020-03-16 삼흥종합건설(주) 차열 및 방염 공간을 갖는 화재 대비 건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902B1 (ko) 분사 각도 조절 및 이동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설비
KR100770655B1 (ko) 화재 진압용 소방로봇
KR101772023B1 (ko)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CA2489074C (en) Method and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KR10167971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123759B1 (ko) 고온 환경하에서의 작업용 로봇의 냉각시스템
KR101700383B1 (ko) 건축물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1982659B1 (ko) 건축물 화재 발생시 긴급 소방지원시스템
JP3686387B2 (ja) トンネル内消火システム
KR101731782B1 (ko)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
KR20160034872A (ko) 화재 대피장치
KR101828250B1 (ko) 건물의 외벽을 통한 화재확산 방지장치
JP5844848B2 (ja) 移動式建築物用消火装置
KR101793988B1 (ko) 건물 화재 소방용 노즐 헤드 장치
KR102353750B1 (ko) 방화셔터용 비상도어
KR101700131B1 (ko)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1880036B1 (ko)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KR200488385Y1 (ko) 소방용수 분사장치
KR102068979B1 (ko) 건축물 화재 진압 소방 장치
KR101700136B1 (ko)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101267421B1 (ko) 드렌처 및 미분무 겸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소방 시스템
JP2006077410A (ja) 屋根の散水装置
CN214912925U (zh) 消防设备及压裂系统
CN112843561B (zh) 消防设备、压裂系统及压裂系统的控制方法
KR20180128270A (ko) 증발 냉방 장치와 연동되는 화재 확산 지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