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872A - 화재 대피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872A
KR20160034872A KR1020160029495A KR20160029495A KR20160034872A KR 20160034872 A KR20160034872 A KR 20160034872A KR 1020160029495 A KR1020160029495 A KR 1020160029495A KR 20160029495 A KR20160029495 A KR 20160029495A KR 20160034872 A KR20160034872 A KR 20160034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gas
fire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송길
Original Assignee
안송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송길 filed Critical 안송길
Priority to KR102016002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4872A/ko
Publication of KR20160034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7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using more than one jet or band in the air curt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따라 배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유닛;및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체에 의해 화재 연기로부터 보호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분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재 대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 대피장치{DEVICE FOR FIRE ESCAPING}
본 발명은 화재 대피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는 많은 물적, 인적 자원을 앗아간다. 물적 자원은 복구가 가능하나, 인적 자원 즉, 사람의 생명이나 건강은 회복이 어렵다는데에서 화재의 위험성이 더욱 부각된다.
화재로 인해 물적, 인적 손해가 발생되는 장소는 대체로 건물이다. 근래에 들어와서 건물들은 보다 높아지고, 보다 복잡한 구조로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에 따른 고온과 화재 연기에 의해 사람의 신체는 순식간에 손상을 입게 된다.
이러한 화재의 발생 시, 인명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화재 대피 제품들이 도입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화재 안내 장치나, 화재 발생 시 사람들을 비상구로 안내하는 비상구 알림 장치들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알림 장치들은 화재의 발생 사실만을 알려주는 기능에 한정되며, 실질적으로 화재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해주기 위한 장치는 미비한 상황이다.
또한, 대형 건물에는 자동으로 소화액을 분사하는 자동 소화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 또한, 인명의 보호 초점이 맞추어 진 것이 아니라 화재 억제에 대한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화재에 의해 사람의 신체가 심각한 손상을 입는 경우는, 화재의 화염에 의한 손상이 아니라 화재 연기에 의한 손상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화재 연기로부터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이들의 운영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 시 화재 연기로부터 인명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자 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화재 대피장치는, 건물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따라 배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유닛;및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체에 의해 화재 연기로부터 보호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분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기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구;및 상기 분사구의 분사방향을 변화시키도록 형성되는 분사방향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구는, 동일 선상에서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분사유닛을 통해 상기 기체를 분사시키고, 상기 제1 분사구 및 상기 제2 분사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하우징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 분사구 및 제4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분사구 및 상기 제4 분사구는, 각각의 상기 분사구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3 분사구 및 상기 제4 분사구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에서, 서로 수평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체의 분사방향이 변화되도록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에 설치되는 기체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기체를 상기 분사유닛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기체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의 분사 압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분사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승강시키도록 형성되는, 승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기설정된 승강 정보에 따라 상기 승강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어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 분사구 및 제4 분사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체를 분사하는 상기 제3 분사구 및 상기 제3 분사구가 서로 멀어지게 전개되도록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을 따라 설치되어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비상 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상 조명을 점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유닛은, 제1 기체를 분사하여 상기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분사구;및 상기 메인 분사구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간 내부를 향해 제2 기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서브 분사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화재 감지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재 감지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부;및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재 감지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물의 일 공간에 고정 설치되어 기체를 공급하는 제1 기체 저장유닛 및 상기 제1 기체 저장유닛보다 작은 부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기체를 공급하는 제2 기체 저장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체 저장유닛 및 상기 제2 기체 저장유닛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사유닛에 상기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저장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면 상기 공간이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를 제어하는, 화재 대피장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화재 대피장치에 의하면, 화재 발생 시, 화재 연기에 의한 사용자의 손상을 방지하며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부 공간의 크기에 따라 화재 대피장치의 동작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안내 광을 통해 대피 방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로 결합되는 하우징 구조로 다양한 건물 구조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와 연동되어 건물 전체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및 이동형 기체 저장유닛을 구비해 기체 공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재 대피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3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재 대피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로 구성되는 화재 대피장치(4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500)의 승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600)의 기체 저장유닛(650)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화재 대비장치(100)의 전체 구성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비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대비장치(100)는 사용자(U)가 이동하거나 머무르는 건물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장(C)에 설치되어 바닥면(F)을 향하도록 배치되거나, 측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천장(C)에 설치되어 바닥면(C)을 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화재 대피장치(100)는 화재 발생 시, 바닥면(F)을 향해 기체(G)를 분사하여, 화재 연기(S)로부터 격리되어 사용자(U)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인 세이프 존(Z)을 형성할 수 있다. 세이프 존(Z)은 건물 내부에서 건물 외부를 향해 연속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U)는 화재 발생 시, 화재 대피장치(100)에 의해 형성되는 세이프 존(Z)을 따라, 화재 연기(S)의 의한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화재 대피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대피장치(100)는 하우징(110), 분사유닛(130), 및 기체 공급관(1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화재 대피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건물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후술하는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각 하우징(110)이 연속해서 결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하우징(110)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실험 및 적용 구조에 따라 다른 다각형이나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우징(110)은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에서 형체를 유지하기 위해 Ni, Co Fe계 초 내열 합금이나 주조용 및 단조용 합금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우징(110)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화재 대피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해당 재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분사유닛(130)은, 하우징(110)을 따라 배치되어 기체(G)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체(G)는 소정 압력으로 분사되어 세이프 존(Z)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할론(Halon), 아르곤(Argon), 질소(Nitrogen), 및 산소(Oxyge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체(G)는 에어 커튼(Air Curtain)처럼 분사되어 세이프 존(Z)으로 화재 연기(S)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분사유닛(130)을 통해 기체(G)가 분사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세이프 존을 형성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기체(G)나 액체도 분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사유닛(130)은, 분사구(131) 및 분사방향 조절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구(131)는, 기체(G)를 분사하기 위한 수단으로 동일 선상에서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분사구(131a) 및 제2 분사구(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구(131)은 좁은 폭을 가지며 입구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사방향 조절부(133)는, 분사구(131)의 분사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분사구(131a) 및 제2 분사구(131b)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분사방향 조절부(133)는 제1 분사구(131a)와 제2 분사구(131b)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분사유닛(130)은 제1 분사구(131a) 및 제2 분사구(131b)의 기체(G) 분사에 의해 형성되는 세이프 존(Z)을 형성할 수 있다.
기체 공급관(140)은, 분사구(131)에 기체(G)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110)을 따라 배치되어 분사구(131)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분사구(131)와 기체 공급관(140) 사이에는 기체 조절밸브가 배치되어 기체(G)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화재 대피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도 3과 같다.
먼저 도 3a에서처럼 화재 대피장치(100)는 분사구(131)가 건물의 바닥면(F)을 향하도록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분사유닛(130)의 분사구(131)는 바닥면(F)을 향해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화재 대피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 연기(S)가 유입되는 경우, 화재 대피장치(100)는 분사유닛(130)의 분사구(131)를 통해 바닥면(F)을 향해 기체(G)를 분사할 수 있다.
최초에는 도 3a와 같이 동일 선상에서 바닥면(F)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기체(G)가 분사되지만, 상술한 분사방향 조절부(133)에 의해 제1 분사구(131a) 및 제2 분사구(131b)가 기체(G)를 분사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분사구(131a) 및 제2 분사구(131b)가 기체(G)를 분사하며 소정 각도로 전개가 완료되면, 에어 커튼으로 화재 연기(S)를 밀어낸 공간인 세이프 존(Z)이 형성될 수 있다. 세이프 존(Z)은 분사구(131)의 에어 커튼에 의해 화재 연기(S)의 인입이 방지됨과 동시에, 화재 연기(S)를 양방향으로 밀어내며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이때 세이프 존(Z)의 형상은 도면에서와 같이 분사구(131)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는 세이프 존(Z)을 통해 건물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3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재 대피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대피장치(300)는 도 2의 화재 대피장치(도 2, 100)와 다르게, 하우징(310)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 분사구(335) 및 제4 분사구(33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분사유닛(도 2, 130 이하 생략))은 동일 선상에서 분사구(도 2, 131)가 배치되는 분사유닛을 구비하였으나, 본 도면에서는 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제3 분사구(335) 및 제4 분사구(337)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분사구(335, 337)는 개별 분사방향 조절부(333)를 통해 기체(G) 분사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제3 분사구(335) 및 제4 분사구(337)는 최초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화재 발생에 따라 기체(G)를 분사하는 경우, 서로 대면하는 방향에서 서로 수평한 방향, 다시 말해 바닥면(F)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체(G)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대피장치(300)는 제3 분사구(335) 및 제4 분사구(337) 사이에서 바닥면(F)을 향해 기체(G)를 분사하는 서브 분사구(339)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분사구(335) 및 제4 분사구(337)가 세이프 존(Z)을 형성하기 위해 제1 기체(G1)를 분사하는 메인 분사구(338)라고 하는 경우, 서브 분사구(339)는 메인 분사구(338)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세이프 존(Z))을 향해 제2 기체(G2)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체(G1)는 도 2에서 상술한 세이프 존(Z)을 형성하기 위한 기체들일 수 있으며, 제2 기체(G2)는 제1 기체(G1)와 동일하거나, 사용자(U)의 호흡을 도울 수 있는 기체들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재 대피장치(300)의 동작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고하면, 최초 화재 대피장치(300)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에 의한 화재 연기(S)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센서나 사용자 입력부, 통신부 등을 통해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면 서로 대면하게 위치하는 제3 분사구(335) 및 제4 분사구(337)(메인 분사구(338))는 서로를 향해 제1 기체(G1)를 분사함과 동시에 서로 수평되는 방향(바닥면(F)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세이프 존(Z)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서브 분사구(339)은 세이프 존(Z)을 향해 제2 기체(G2)를 분사하여 사용자(U)의 호흡을 돕거나 세이프 존(Z)에 존재할 수 있는 화재 연기(S)를 저면 및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분사구(335) 및 제4 분사구(337)는 하우징(310)의 중심축을 따라 근접하게 각각 일렬로 배치되어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최초 바닥면을 향해 각각 기체를 분사하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 2의 분사유닛처럼 삼각형의 세이프 존을 제3 분사구(335) 및 제4 분사구(337)로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로 구성되는 화재 대피장치(4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대피장치(400)는 복수의 하우징(411, 4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하우징(411) 및 제2 하우징(413)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하우징(411, 413)은 건물에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 결합부(415)를 구비하고, 각 하우징(411, 413)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4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결합부(415)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건물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417)는 나사 결합, 탄성 결합, 및 돌출부-홈부 결합 방식 등으로 제1 하우징(411)과 제2 하우징(413)이 서로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411) 및 제2 하우징(413)은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기체 공급관(441) 및 제2 기체 공급관(443)을 포함하고, 이들 역시 서로 탈착되도록 서로 대면하는 부위에 공급관 결합부(4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모듈 형식으로 구성되는 화재 대피장치(400)에 의하면, 건물의 형태 및 규모에 상관없이 연속되게 배치할 수 있어 적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500)의 승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대피장치(500)는 하우징(5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승강유닛(560)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유닛(560)은 화재 대피장치(550)를 건물로부터 승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건물과 대면하는 하우징(510)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유닛(560)은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하우징(510)를 소정 높이만큼 바닥면(F)을 향해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천장(C)이 높은 건물에서도 화재 시 화재 대피장치가 하강하여 구동됨으로써 기체(G)의 분사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최초 화재 대피장치(500)가 건물의 천장(C)에 설치되어 있어서, 바닥면(F)과 제1 높이(H1)를 유지하다가, 화재 감지정보의 입력에 의해 바닥면(F)를 향해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로 화재 대피장치(5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유닛(560)의 하강 및 상승 높이에 관한 승강 정보는 후술하는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거나, 도시하지 않은 높이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510)은 승강유닛(560)에 의해 승강되어야 하므로, 천장(C)에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가 생략되고, 승강유닛(560)이 천장(C) 및 하우징(5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승강유닛(560)은 하우징(510)과 권선되는 케이블로 결합되어, 화재 감지정보 입력 시, 케이블을 늘려 하우징을 소정 높이로 하강시킬 수 있으며, 화재 연기에 의한 위험이 소멸된 후에는 케이블을 권선하여 원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유닛(560)의 승강구조는 하우징을 승강 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600)의 기체 저장유닛(650)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대피장치(600)는 기체(G)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저장유닛(6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610)은 복수로 구성되어 건물 내부에서 건물의 출입구(E)를 향하도록 연속 결합 배치될 수 있다.
기체 저장유닛(650)은 건물의 일 공간에 고정 설치되어 기체를 공급하는 제1 기체 저장유닛(651) 및 제1 기체 저장유닛(651)보다 작은 부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체를 공급하는 제2 기체 저장유닛(65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체 저장유닛(650)은 다층 건물과 같은 장소에 다수의 화재 대피장치(600)가 설치되는 경우, 지하실과 같은 장소에 대용량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화재 대피장치(600)에 연결되어 기체(G)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기체 저장유닛(650)과 하우징(610)을 서로 연결시키는 기체 공급관(640)에는 기체 조절밸브(641)가 설치되어 각 화재 대피장치(600)로의 기체 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체 저장유닛(650)은 화재 대피장치(600)가 설치되는 각 장소에서 이동 설치 가능한 크기로 설치되는 제2 기체 저장유닛(6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체 저장유닛(653)은 제1 기체 저장유닛(651)보다 크기기 작게 형성되어, 교체 및 이동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기체 저장유닛(653)은 또 다른 기체 공급관(641')을 통해 하우징(6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체 저장유닛(651)은 도 4에서 상술한 제1 기체 및 제2 기체를 각각 공급하도록 그 내부에 서로 다른 기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체 저장유닛(651) 및 제2 기체 저장유닛(653)은 각각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우징(610)에 기체(G)를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고장나지 않은 다른 기체 저장유닛을 통해 기체(G)를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화재 대비장치(100)의 전체 구성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구성 간의 관계에 관한 설명이므로 구조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도 1 내지 도 8의 도면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대피장치(100)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종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화재 대피장치(100)는 분사유닛(130), 기체 저장유닛(150), 승강유닛(160), 연기 감지센서(170), 비상 조명(180), 화재 감지센서(190), 사용자 입력부(210), 분사압력 조절부(220), 통신부(230), 사용자 감지센서(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닛(130), 기체 저장유닛(150), 및 승강유닛(16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연기 감지센서(170)는, 하우징(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화재 연기(S)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비상 조명(180)은,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이미지 또는 텍스트 관련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면(F)을 향하는 하우징(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바닥면(F)을 향해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다.
화재 감지센서(190)는 연기 감지센서(170)와 유사하게 화재 연기(S)뿐 아니라 온도 및 다른 환경 정보들을 통해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승강유닛(560)의 승강 정보, 건물에 대한 건물 정보, 화재 감지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스플레이부와 일체화된 터치스크린이나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10)는 하우징(110)의 외면에 설치되거나, 하우징(110)과 유무선 연결되도록 건물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분사압력 조절부(220)는 분사유닛(130)에서 분사되는 기체(G)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체 공급관(140)이나 분사구(131) 또는 기체 저장유닛(150)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외부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 등으로부터 화재 감지정보 및 각종 설정 정보들을 수신하거나 해당 화재 대피장치(100)에서 감지되는 화재 감지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감지센서(240)은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으로, 동작 센서, 적외선 센서, 음향 센서, 열감지 센서, 및 화상 카메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상술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제어부는 먼저 분사유닛이 각각의 분사구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도 4의 제3 분사구(335) 및 제4 분사구(337)로 구성되는 경우, 연기 감지센서(170) 또는 화재 감지센서(190)로부터 화재 감지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제3 분사구(335) 및 제4 분사구(337)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에서, 서로 수평하는 방향으로 기체(G)의 분사방향이 변화되도록 분사방향 조절부(33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기설정된 승강 정보에 따라 승강유닛(56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승강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하우징(110)의 외면에 배치되는 연기 감지센서(170)로부터 화재 연기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이에 기초하여 승강유닛(56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화재 연기 정보 또는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비상 조명(180)을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건물의 일 공간에 고정 설치되어 기체(G)를 공급하는 제1 기체 저장유닛(651) 및 제1 기체 저장유닛(651)보다 작은 부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체를 공급하는 제2 기체 저장유닛(653)에 대하여,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면 제1 기체 저장유닛(651) 및 제2 기체 저장유닛(653)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분사유닛(130)에 기체(G)를 공급하기 위한 저장유닛(651, 653)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화자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감지센서(240)로부터 건물 내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분사압력 조절부(220)을 통해 분사구의 분사 방향을 사용자측으로 향하도록 제어하여, 세이프 존이 사용자를 중심으로 형성되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부상이나 수면과 같이 주변 상황을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최우선적으로 사용자의 주변에 자동으로 세이프 존을 형성함으로써 화재 연기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재 대피장치(100)에 의하면,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 연기(S)로부터 사용자(U)를 안전하게 대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재 대피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화재 대피장치 180: 비상 조명
110: 하우징 190: 화재 감지센서
130: 분사유닛 210: 사용자 입력부
140: 기체 공급관 220: 분사압력 조절부
150: 기체 저장유닛 230: 통신부
160: 승강유닛 240: 사용자 감지센서
170: 연기 감지센서 250: 제어부

Claims (16)

  1. 건물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따라 배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유닛;및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체에 의해 화재 연기로부터 보호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분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재 대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기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구;및
    상기 분사구의 분사방향을 변화시키도록 형성되는 분사방향 조절부;를 포함하는, 화재 대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동일 선상에서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분사유닛을 통해 상기 기체를 분사시키고, 상기 제1 분사구 및 상기 제2 분사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를 제어하는, 화재 대피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하우징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 분사구 및 제4 분사구를 포함하는, 화재 대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분사구 및 상기 제4 분사구는,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3 분사구 및 상기 제4 분사구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에서, 서로 수평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체의 분사방향이 변화되도록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를 제어하는, 화재 대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에 설치되는 기체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기체를 상기 분사유닛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기체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화재 대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화재 대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분사 압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분사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화재 대피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승강시키도록 형성되는,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재 대피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기설정된 승강 정보에 따라 상기 승강유닛을 제어하는, 화재 대피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어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 분사구 및 제4 분사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체를 분사하는 상기 제3 분사구 및 상기 제3 분사구의 상기 분사구가 서로 멀어지게 전개되도록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를 제어하는, 화재 대피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따라 설치되어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비상 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상 조명을 점등시키는, 화재 대피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제1 기체를 분사하여 상기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분사구;및
    상기 메인 분사구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간 내부를 향해 제2 기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서브 분사구;을 포함하는, 화재 대피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화재 감지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재 감지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부;및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재 감지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화재 대피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일 공간에 고정 설치되어 기체를 공급하는 제1 기체 저장유닛 및 상기 제1 기체 저장유닛보다 작은 부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기체를 공급하는 제2 기체 저장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체 저장유닛 및 상기 제2 기체 저장유닛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사유닛에 상기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저장유닛을 선택하는, 화재 대피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면 상기 공간이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분사방향 조절부를 제어하는, 화재 대피장치.


KR1020160029495A 2016-03-11 2016-03-11 화재 대피장치 KR20160034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95A KR20160034872A (ko) 2016-03-11 2016-03-11 화재 대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95A KR20160034872A (ko) 2016-03-11 2016-03-11 화재 대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872A true KR20160034872A (ko) 2016-03-30

Family

ID=5566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495A KR20160034872A (ko) 2016-03-11 2016-03-11 화재 대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487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8522A (zh) * 2019-04-03 2019-06-21 华平智慧信息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救援线路指引方法及系统
KR20200051293A (ko) * 2018-11-05 2020-05-13 원준호 거실 제연설비 시스템
KR102154848B1 (ko) 2019-12-30 2020-09-1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설비를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20210026470A (ko) * 2019-08-30 2021-03-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443189B1 (ko) * 2021-03-10 2022-09-15 박기현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KR20230073456A (ko) * 2021-11-19 2023-05-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형 공기순환환기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93A (ko) * 2018-11-05 2020-05-13 원준호 거실 제연설비 시스템
CN109908522A (zh) * 2019-04-03 2019-06-21 华平智慧信息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救援线路指引方法及系统
CN109908522B (zh) * 2019-04-03 2021-03-30 华平智慧信息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救援线路指引方法及系统
KR20210026470A (ko) * 2019-08-30 2021-03-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방연설비를 이용한 피난경로 확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154848B1 (ko) 2019-12-30 2020-09-1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설비를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2443189B1 (ko) * 2021-03-10 2022-09-15 박기현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KR20230073456A (ko) * 2021-11-19 2023-05-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형 공기순환환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4872A (ko) 화재 대피장치
JP3218616U (ja) 防火昇降移動装置
KR101381911B1 (ko) 층간 제연 시스템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20070102511A (ko) 화재를 방지하는 불활성화 방법
KR101772023B1 (ko)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KR102377220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KR101997696B1 (ko) 마찰 저감장치를 구비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20130104972A (ko) 산소 공급 승강기
KR101974074B1 (ko) 터널 화재 진압 시스템
KR100898185B1 (ko)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KR20190134354A (ko) 화재 및 지진을 대비하는 대피장치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KR102396887B1 (ko) 고층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1523186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KR102438471B1 (ko) 임시 가설물이나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화재 감시 및 소화 장치
KR102429102B1 (ko) 밸브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271178B1 (ko) 비상 탈출 시스템
JP2009125235A (ja) 消火方法及び消火装置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JPH09150911A (ja) 自動倉庫
JP4789981B2 (ja) 消火用ミスト放出装置
KR101731782B1 (ko)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
KR102419211B1 (ko) 안전형 소방용 제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