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189B1 -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189B1
KR102443189B1 KR1020210031186A KR20210031186A KR102443189B1 KR 102443189 B1 KR102443189 B1 KR 102443189B1 KR 1020210031186 A KR1020210031186 A KR 1020210031186A KR 20210031186 A KR20210031186 A KR 20210031186A KR 102443189 B1 KR102443189 B1 KR 102443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irus
blocking
pipe
indo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현
박병연
Original Assignee
박기현
박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현, 박병연 filed Critical 박기현
Priority to KR102021003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08Perforated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은, 실내 공간에서의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으로, 공기를 공급받아 실내 공간에 수직방향의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개인 공간을 개별 분리하는 공간 분리 수단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spread of virus}
본 발명은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개인 공간을 개별 분리하여 실내 공간에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환경 변화 등에 의해 각종 바이러스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바이러스 증가에 따라 다양한 질환들이 발생하고 있다.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생물과 무생물의 특성을 모두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의 세포들은 기존의 세포에서 스스로 복제되는 데 반해, 바이러스는 숙주에 감염된 후 숙주의 복제 시스템을 활용하여 자신의 유전체를 복제하여 증식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숙주가 없는 상태에서 스스로 복제하지 못하고 단순히 단백질과 핵산의 덩어리인 무생물 상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바이러스의 여러 단백질들은 숙주에 효율적으로 감염되고, 숙주의 시스템을 활용하는 데 최적화되도록 진화하였다.
바이러스의 특성상 바이러스 감염은 일반적으로 비말을 통해 전파된다. 대부분의 비말은 공기보다 무거워 중력에 의해 바닥 또는 물체의 표면으로 떨어지지만, 일부 비말은 바이러스를 포함한 체 공기 중을 떠다닐 수 있어, 바이러스는 공기 중 전파 또한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기 중의 바이러스 전파는 특히 실내 공간에서 전파율이 크게 높아지는데, 실내 공간에서의 미세 비말은 실내공기 중의 온도차에 의한 자연대류 또는 에어컨, 선풍기, 공기청정기 등에 의해 강제대류를 타고 운송되어 공기 중을 떠다니는 시간이 실외보다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실내 공간에서의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1234호에서는 사용자 정면에 배치하여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비말을 차단하도록 하는 "바이러스 차단 및 전파 장지 기능을 보유한 안전 파티션"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바이러스 차단 파티션은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비말의 일부를 차단할 뿐, 실내 공간에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는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12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1972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개인 공간을 개별 분리하여 실내 공간에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분리된 개인 공간에 바이러스 차단 부스를 배치하여 실내 공간에서의 바이러스 전파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차단 부스의 둘레를 형성하는 차단벽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관통 영역을 형성하는 3겹 이상의 다중 구조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바이러스 차단 부스에 의해 비말은 차단되지만 공기 또는 사용자의 음성은 원활하게 통과시키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 바이러스 전파 차단을 위해 형성하던 에어커튼을 대신해 비상구로 연결되는 안전한 탈출 경로를 생성하는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이 형성되도록 하여, 화재시 비상구까지 안전하게 대피 가능한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은, 실내 공간에서의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으로, 공기를 공급받아 실내 공간에 수직방향의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개인 공간을 개별 분리하는 공간 분리 수단을 포함하며, 공간 분리 수단은 각각의 개인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공급받은 공기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분출하는 제1 분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1 분출 파이프와, 제1 분출 파이프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제1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흡기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분출 파이프와 흡기 파이프는 상하측에서 서로 간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제1 분출구와 각각의 흡기구는 서로 간에 동일한 수직축 상에서 개별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은 비말이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벽에 의해 둘러싸여 이루어진 바이러스 차단 부스를 더 포함하고, 바이러스 차단 부스는 개별 분리된 개인 공간에 단독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 차단 부스의 둘레를 이루는 차단벽 중 적어도 하나는 3개 이상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중첩되는 다중 구조로 형성되며, 3개 이상의 플레이트에는 이웃한 플레이트 간에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되고, 관통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 영역은 상하 교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 차단 부스는 상면이 개방되며, 제1 분출 파이프는 바이러스 차단 부스를 소정 거리 이내에서 둘러싸도록 실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측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고, 흡기 파이프는 실내 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며 흡기한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도록 건물 외측에 설치되는 환풍구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은 제1 분출 파이프로의 공기 공급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실내 공간 또는 실내 공간이 속하는 건물의 화재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그리고 화재 판단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1 분출 파이프로의 공기 공급 유로가 차단되도록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은 공기 또는 물을 공급받아 실내 공간에 수직방향의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을 형성하여 비상구와 연결된 탈출 경로를 다른 공간과 분리하는 탈출 경로 생성 수단과, 탈출 경로 생성 수단으로의 공기 공급 유로 또는 물 공급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고, 밸브 제어부는 화재 판단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탈출 경로 생성 수단으로의 공기 공급 유로 또는 물 공급 유로가 개방되도록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탈출 경로 생성 수단은 탈출 경로의 일측을 따라 실내 공간의 천장에 배치되고, 공급받은 공기 또는 물을 하측 방향으로 분출하는 제2 분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2 분출 파이프와, 공급받은 공기 또는 물을 탈출 경로에 분출하는 제3 분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3 분출 파이프를 포함하고, 제2 분출 파이프에서 분출한 공기 또는 물은 수직방향의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을 형성하여 탈출 경로를 다른 공간과 분리하며, 제3 분출 파이프에서 분출한 공기 또는 물에 의해 탈출 경로의 압력이 분리된 다른 공간의 압력보다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제3 분출구는 제2 분출구에서 분출한 공기 또는 물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공기 또는 물을 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개인 공간을 개별 분리하여 실내 공간에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된 개인 공간에 바이러스 차단 부스를 배치함으로써, 실내 공간에서의 바이러스 전파 차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 부스의 둘레를 형성하는 차단벽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관통 영역을 형성하는 3겹 이상의 다중 구조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바이러스 차단 부스에 의해 비말은 차단되지만 공기 또는 사용자의 음성은 원활하게 통과시킴으로써, 바이러스 차단 부스 내의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바이러스 전파 차단을 위해 형성하던 에어커튼을 대신해 비상구로 연결되는 안전한 탈출 경로를 생성하는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이 형성되도록 하여, 화재시 비상구까지 안전하게 대피 가능한 탈출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화재시 연기 또는 불길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출 파이프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 파이프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출 파이프에서 분출된 공기가 흡기 파이프로 흡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바닥에 설치된 제1 분출 파이프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천장에 설치된 제1 분출 파이프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차단 부스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차단 부스의 차단벽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에서의 비말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출 경로 생성 수단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의 화재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개인 공간을 개별 분리하여 실내 공간에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장치 시스템은 공기 탱크(t)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실내 공간에 수직방향의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개인 공간을 개별 분리하는 공간 분리 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간 분리 수단(10)은 실내 공간의 천장 또는 바닥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제1 분출 파이프(11)와, 제1 분출 파이프(11)와 대응하는 형태로 실내 공간의 바닥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제1 분출 파이프(11)에서 분출된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 파이프(13), 그리고 흡기 파이프(13)에서 흡기한 공기를 실내 공간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기 파이프(13)와 연결되는 환풍구(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출 파이프(11)에서 분출된 공기가 흡기 파이프(13)를 통해 흡기되는 과정에서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분출 파이프(11)는 공기탱크(t)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도록 일측이 공기탱크(t)와 연결되고 공급받은 공기를 분출하도록 다수개의 분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출 파이프(11)는 실내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개인 공간을 다른 개인 공간 또는 그 외의 공간과 분리하도록 개인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공간이란 실내 공간의 거주자 1인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실내 공간이 교실인 경우 학생 1명의 책걸상이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실내 공간이 극장인 경우 관객 1명의 관람석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리 수단(10)은 실내의 개인 공간을 에어커튼을 통해 분리시킴으로써, 다른 공간의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 비말이 에어커튼에 의해 차단되어 개인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거나 또는 개인 공간 내에서 배출된 비말이 다른 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에어커튼을 통해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바이러스 전파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에어커튼을 통해 차단된 비말은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흡기 파이프로 유입된 후 환기구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 떠다니는 바이러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은 바이러스의 전파 차단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개인 공간에 단독 배치되는 바이러스 차단 부스(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러스 차단 부스(20)는 실내 공간의 비말이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벽에 의해 둘러싸여 이루어지며, 거주자는 이러한 바이러스 차단 부스(20) 내에서 거주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실내 공간이 교실인 경우 바이러스 차단 부스(20) 내에는 학생 1명의 책걸상이 배치되며, 실내 공간이 극장인 경우 바이러스 차단 부스(20) 내에는 관객 1명의 관람석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학생이 수업을 듣거나 관객이 영화를 볼 수 있도록 바이러스 차단 부스(20)의 적어도 일부 면적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 비말은 별도의 강제 대류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바이러스 차단 부스(20) 내부 거주자의 갑갑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이러스 차단 부스(20)의 상면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바이러스 전파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 또는 실내 공간이 속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바이러스 전파 차단을 위해 형성하던 에어커튼을 대신해 비상구로 연결되는 안전한 탈출 경로를 생성하는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이 형성하여, 거주자가 실내 공간에 구비된 비상구(d)까지 안전하게 대비하도록 하는 탈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은 화재시 수직방향의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을 형성하여 비상구(d)와 연결된 탈출 경로를 생성하는 탈출 경로 생성 수단(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출 경로 생성 수단(30)은 실내 공간에서 비상구(d)가 배치된 공간인 탈출 경로와 다른 공간을 상호 분리하도록 천장에 배치되는 제2 분출 파이프(31)와, 탈출 경로의 천장에 배치되고 제2 분출 파이프(3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분출 파이프(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출 파이프(31)는 공기탱크(t)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도록 일측이 공기탱크(t)와 연결되거나,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일측이 물탱크와 연결되거나, 또는 공기탱크(t)와 물탱크로부터 공기와 물을 함께 공급받도록 공기탱크(t)와 물탱크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분출 파이프(31)는 공기 또는 물을 분출하여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은 비상구(d)가 배치된 공간을 다른 공간과 분리함으로써 탈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분출 파이프(33)는 제2 분출 파이프(31)와 마찬가지로, 공기탱크(t)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도록 일측이 공기탱크(t)와 연결되거나,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일측이 물탱크와 연결되거나, 또는 공기탱크(t)와 물탱크로부터 공기와 물을 함께 공급받도록 공기탱크(t)와 물탱크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제3 분출 파이프(33)는 제1 분출 파이프(11)에 의해 생성된 탈출 경로 내에 공급받은 공기 또는 물을 분출하여 탈출 경로 내부 압력을 탈출 경로와 분리된 다른 공간의 압력보다 상승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탈출 경로와 다른 공간 간에 압력차가 발생하고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탈출 경로 내부의 공기는 분리된 다른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탈출 경로 내의 연기 또는 유독 물질이 분리된 다른 공간으로 배출되어 탈출 경로의 공기 오염도가 낮춰질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실내 공간에 거주 중인 거주자들은 생성된 탈출 경로를 따라 연기 또는 불길로부터 안전하게 비상구(d)까지 대피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출 파이프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 파이프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에에 따른 공간 분리 수단(10)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분출 파이프(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탱크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분출한다. 이를 위해, 제1 분출 파이프(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제1 분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출구(111)에서 분출되는 공기가 수직방향으로 분출되도록, 제1 분출 파이프(11)가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제1 분출구(111)는 하측을 향해 배치되고, 제1 분출 파이프(11)가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 제1 분출구(111)는 상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분출 파이프(11)는 상측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바닥(b)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제1 분출 파이프(11)가 바닥(b)에 설치되는 이유는 도 5의 (a)와 (b)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분출 파이프(11)는 제1 분출구(111)가 노출된 상태로 바닥(b)에 매립될 수 있으나, 상황에 따라서 제1 분출 파이프(11)는 매립되지 않고 바닥(b)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분출 파이프(11)가 바닥(b) 위에 배치되는 경우 거주자가 제1 분출 파이프(11)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분출 파이프(11)는 단면이 슬림한 형태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제1 분출 파이프(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개인 공간(s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분출 파이프(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무늬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시공의 편의성과 공간 활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공기탱크로부터 제1 분출 파이프(11)로 공기가 공급되는 유로 상류단에는 제1 분출 파이프(11)로의 공기 공급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솔레노이드 밸브(40)는 관리자에 판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지만, 별도의 제어부의 판단에 의해 자동 조작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흡기 파이프(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분출 파이프(11)에서 분출한 공기를 흡기하고, 흡기한 공기를 환풍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환풍구(15)에는 흡기 파이프(13) 내부의 공기가 건물 외부를 향해 배출되도록 환풍팬(1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건물 외부를 향해 배출되는 공기에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비말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파이프(13)는 제1 분출 파이프(11)에서 분출한 공기를 흡기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흡기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흡기구(131)에는 제1 분출 파이프(11)에서 분출한 공기를 강제 대류시켜 흡기하도록 흡기팬(131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분출 파이프(11)가 천장에 설치되면 흡기 파이프(13)는 바닥에 설치되고, 제1 분출 파이프(11)가 바닥에 설치되면 흡기 파이프(13)는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흡기 파이프(13)는 제1 분출 파이프(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흡기구(131)는 각각의 제1 분출구(111)와 개별 대응되도록 서로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출 파이프에서 분출된 공기가 흡기 파이프로 흡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의 (a)는 바닥에 설치된 제1 분출 파이프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천장에 설치된 제1 분출 파이프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출 파이프(11)에서 공급받은 공기가 제1 분출구(111)를 통해 배출되면, 배출된 공기는 점차 확산되다가 흡기구(131)에서의 강제대류 영향범위 내에서 흡기구(131) 방향으로 점차 수렴되다 흡기구(131)를 통해 흡기 파이프(13)로 흡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분출 파이프(11)에서 분출한 공기가 흡기 파이프(13)로 흡기되는 과정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며, 형성된 에어커튼의 측면 모습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상이 된다. 제1 분출 파이프(11)는 각 개인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1 분출 파이프(11)에서 분출하여 생성되는 에어커튼 역시, 각 개인 공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개인 공간 내에 바이러스 차단 부스(20)가 배치되는 경우 에어커튼이 바이러스 차단 부스와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에어커튼과 바이러스 차단 부스(20)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분출된 공기 일부가 바이러스 차단 부스(20)를 향해 분출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중을 부유하던 미세 비말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공기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분출된 공기가 바이러스 차단 부스(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때, 바이러스 차단 부스(20)의 둘레는 비말이 통과하지 못하는 차단벽에 의해 둘러싸여 이루어지므로, 분출된 공기가 바이러스 차단 부스(20) 측면으로 분출되는 것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러스 차단 부스(20)의 상면은 거주자의 갑갑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상면을 향해 공기가 분출된다면 바이러스 차단 부스(20) 내부에 비말이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제1 분출 파이프(11)가 천장에 배치되지 않고 바닥에 배치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이 상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살펴보면, 제1 분출 파이프(11)가 바닥에 배치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이 상측을 향하는 경우 제1 분출 파이프의 제1 분출구(11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확산된다 하더라도 바이러스 차단 부스(20)의 둘레를 이루는 차단벽에 막혀 바이러스 차단 부스(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하지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출 파이프(11)가 천장에 배치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이 하측을 향하는 경우, 제1 분출구가 바이러스 차단 부스(20)의 바로 위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제1 분출구(11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확산되어 바이러스 차단 부스(2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바이러스 차단 부스(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출 파이프(11)가 천장에 배치되면 자연스럽게 흡기 파이프(13)는 바닥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흡기 파이프(13)가 바닥에 배치되는 경우 흡기구(131)를 통해 공기가 흡기되는 과정에서 함께 흡기구(131)로 유입되는 오염물질(먼지 등)에 의해 흡기구(131) 또는 흡기 파이프(13)의 유로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흡기구(131)에는 흡기팬(131a)이 배치 작동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더욱 가중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분출 파이프(11)는 바닥에 배치되고 흡기 파이프(13)는 천장에 배치되어 상향의 공기흐름을 갖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차단 부스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차단 부스의 차단벽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에서의 비말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러스 차단 부스(20)는 실내 공간의 비말이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벽(21)에 의해 둘러싸여 이루어지며, 상면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이러스 차단 부스(20)는 4개의 차단벽(21-1, 21-2, 21-3, 21-4)에 둘러싸여 이루어지며, 거주자의 출입을 위해 4개의 차단벽 중 하나의 차단벽(21-4)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차단벽 중 하나의 차단벽(21-4)에는 도어가 배치되거나 또는 차단벽(21-4) 자체가 도어 역할을 수행하도록 커튼 방식의 차단벽(21-4)이 구비될 수 있다.
바이러스 차단 부스의 차단벽(21)은 거주자의 갑갑함을 최소화하고 바이러스 차단 부스 내부의 거주자가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생성될 수 있는데, 거주자의 출입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차단벽(21-4)은 개폐 구조에 의해 투명성이 손실될 수 있으므로 거주자의 후방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차단벽(21-4)을 거주자 후방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차단 부스(20)가 교실에 배치되는 경우, 교단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차단벽(21-4)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그런데 실내 공간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는 거주자가 향하는 방향이 고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실내 공간의 사용 목적이 변화하거나 인테리어가 변화하여 거주자가 향하는 방향이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차단벽(21-4)을 거주자의 후방에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바이러스 차단 부스(20)를 재설치하거나 들어서 방향을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번거로움 없이 언제든지 바이러스 차단 부스(20)의 설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바이러스 차단 부스(20)는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러스 차단 부스(20)는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판은 별도의 모터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단순히 회전축만을 구비하여 관리자에 의해 수동 회전될 수 있다. 만약, 회전판이 관리자에 의해 수동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회전판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개폐 가능한 차단벽을 제외한 나머지 차단벽(21-1, 21-2, 21-3)은 비말을 통화하지 못하지만 공기 또는 소리는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 거주자가 외부와의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이러스 차단 부스의 둘레를 이루는 차단벽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불통기성 재질로 제작된 3개 이상의 플레이트(211, 213, 215)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중첩되는 다중 구조로 형성되며, 3개 이상의 플레이트(211, 213, 215)에는 이웃한 플레이트 간에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관통 영역(211a, 213a, 215a)이 형성되고, 관통 영역(211a, 213a, 215a)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211, 213, 215) 간의 이격 공간과 각각의 관통 영역(211a, 213a, 215a)은 바이러스 차단 부스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데, 관통 영역(211a, 213a, 215a)이 서로 간에 중첩되지 않게 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유동 경로가 직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경로 전환 지점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공기의 경우 경로 전환 지점이 형성되더라도 유동 경로를 통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지만, 공기 중의 비말은 경로 전환 지점에서 공기와 함께 경로를 전환하지 못하므로 비말은 유동 경로를 통과하지 못한다.
도 8의 (a)와 (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단벽(21)에서 형성되는 유동 경로는 상향에서 하향 또는 하향에서 상향 경로로 경로가 전환된다. 이때,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는 유동 경로의 경로 전환과 상관없이 자유롭게 유동 경로를 통해 차단벽(21)을 통과할 수 있지만,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플레이트의 관통 영역(211a, 215a)을 통과한 비말은 내측 플레이트(213)에 부딪쳐 차단벽(21) 내부 바닥으로 낙하하게 된다. 즉, 외측 플레이트의 관통 영역(211a, 215a)을 통해 유동 경로로 진입한 비말이 유동 경로를 통과해 나가기 위해서는 경로를 전환하여 내측 플레이트의 관통 영역(213a)을 통과해야 하는데 공기 중의 비말은 급격한 경로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외측 플레이트의 관통 영역(211a, 215a)을 통해 유동 경로로 진입한 비말은 내측 플레이트의 관통 영역(213a)을 통과하여 유동 경로를 빠져나갈 수 없다.
이러한 차단벽(21)은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공기, 소리 등은 자유롭게 통과하면서도 바이러스가 포함된 비말은 차단함으로써 바이러스 차단 부스(20) 내부의 거주자의 갑갑함을 최소화하면서 외부와의 소통은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21)은 경로 전환 지점 수를 최대화하여 이와 같은 비말 차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각각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 영역(211a, 213a, 215a)을 상하 교번 배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단벽(21)에는 3개의 플레이트(211, 213, 215)가 상호 이격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결합 틀(217)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틀(217)은 3개의 플레이트 중 가운데 배치되는 플레이트(213)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외측 플레이트(211, 215)와 대면하는 면에는 외측 플레이트(211, 215)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외측 플레이트(211, 215)가 나사 결합되는 경우 결합 수단은 나사공일 수 있으며, 외측 플레이트(211, 215)가 접착 결합하는 경우 결합 수단은 접착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측 플레이트(211, 215)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결합 수단은 벨크로(217a)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외측 플레이트(211, 215)의 가장자리 둘레에도 벨크로가 부착되어 결합 틀의 벨크로(217a)와 상호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벽의 외측 플레이트(211, 215)는 결합 틀(217)과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비말 차단 과정에서 오염된 유동 경로의 세척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출 경로 생성 수단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의 화재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바이러스 전파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 또는 실내 공간이 속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거주자가 실내 공간에 구비된 비상구(d)까지 안전하게 대비하도록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탈출 경로 생성 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탈출 경로 생성 수단(30)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분출 파이프(31)는 실내 공간에서 비상구(d)가 배치된 공간인 탈출 경로(S2)와 다른 공간(S3)을 상호 분리하도록, 형성하고자 하는 탈출 경로의 경계를 따라 천장(b)에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분출 파이프(31)는 연결된 공기탱크 또는 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은 공기 또는 물을 분출하도록 다수개의 제2 분출구(3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출구(311)에서 분출되는 공기 또는 물은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을 형성하여 비상구(d)와 연결된 탈출 경로(s2)를 다른 공간(s3)과 분리함으로써 다른 공간(s3)의 연기 또는 유해 물질이 탈출 경로(s2)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3 분출 파이프(33)는 제2 분출 파이프(31)와 함께 공기탱크 또는 물탱크와 연결되며 제2 분출 파이프(3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분출 파이프(31)는 탈출 경로(s2)의 천장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분출 파이프(33)는 연결된 공기탱크 또는 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은 공기 또는 물을 분출하도록 다수개의 제3 분출구(331)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분출 파이프(33)에서 분출하는 공기 또는 물은 탈출 경로(s2)의 내부 압력을 다른 공간(s3)의 압력보다 상승시킴으로써, 탈출 경로의 공기(s2)가 다른 공간(s3)을 향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탈출 경로(s2)의 공기는 압력차에 의해 다른 공간(s3)으로 배출되지만 다른 공간(s3)의 공기는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에 의해 차단되어 탈출 경로(s2)로 유입되지 않거나 소량만이 유입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분출 파이프의 제3 분출구(331)는 제2 분출구(311)에서 분출한 공기 또는 물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공기 또는 물을 분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분출구(331)는 탈출 경로(s2)와 다른 공간 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을 향해 공기 또는 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탈출 경로(s2) 내측의 연기 또는 불순물을 다른 공간(s3)을 향해 말어내거나 또는 물에 흡착되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분출구(331)에서는 물이 분출되어 탈출 경로(s2)상에서 화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공간(s3) 상의 연기는 흡기 파이프(13)에 흡기되어 환풍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화재시, 탈출 경로 생성 수단(30)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1 분출 파이프(11)에서 공기가 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시 제1 분출 파이프(11)에서 공기가 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분출되는 공기에 의한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은 제1 분출 파이프(11)로의 공기 공급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40)와, 제2 분출 파이프(31)와 제3 분출 파이프(33)로의 공기 공급 유로 또는 물 공급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50)와, 실내 공간 또는 실내 공간이 속하는 건물의 화재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60), 그리고 화재 판단부(60)에서 판단한 화재 발생 여부에 따라 제1 솔레노이드 밸브(40)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50)를 작동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 판단부(60)는 실내 공간 또는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실내 공간 또는 건물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화재 판단부(60)는 환풍구(15)에 설치되는 별도의 일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로부터 농도 정보를 수신하여 실내 공간의 일산화 탄소 농도가 소정 농도 이상이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화재 판단부(60)는 외부의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외부 서버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밸브 제어부(70)는 화재 판단부(6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은 평시에는 제1 분출 파이프(11)로의 공기 공급 유로가 개방되도록 제1 솔레노이드 밸브(40)를 작동 제어하며, 탈출 경로 생성 수단(30)으로의 공기 공급 유로 또는 물 공급 유로가 차단되도록 제2 솔레노이드 밸브(50)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즉,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시에는 제1 분출 파이프(11)에는 공기가 공급되지만 탈출 경로 생성 수단(30)에 공기 또는 물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밸브 제어부(70)는 화재 판단부(6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1 분출 파이프(11)로의 공기 공급 유로가 차단되도록 제1 솔레노이드 밸브(40)를 작동 제어하며, 탈출 경로 생성 수단(30)으로의 공기 공급 유로 또는 물 공급 유로가 개방되도록 제2 솔레노이드 밸브(50)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즉, 화재가 발생하면 제1 분출 파이프(11)에 공급되던 공기가 차단되도록 하고, 탈출 경로 생성 수단(30)에는 공기 또는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탈출 경로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흡기 파이프의 흡기팬(131a) 또는 환풍구의 환풍팬(151)은 화재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평시에는 환풍구(15)를 통해 신선하지 못한 공기 또는 공기 중의 비말이 배출되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는 환풍구(15)를 통해 연기 및 유독 물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공간 분리 수단
11: 제1 분출 파이프
111: 제1 분출구
13: 흡기 파이프
131: 흡기구
131a: 흡기팬
15: 환풍구
151: 환풍팬
20: 바이러스 차단 부스
21: 차단벽
211, 213, 215: 플레이트
211a, 213a, 215a: 관통 영역
217: 결합 틀
217a: 벨크로
30: 탈출 경로 생성 수단
31: 제2 분출 파이프
33: 제3 분출 파이프
40: 제1 솔레노이드 밸브
50: 제2 솔레노이드 밸브
60: 화재 판단부
70: 밸브 제어부

Claims (10)

  1. 실내 공간에서의 바이러스 전파을 방지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실내 공간에 수직방향의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개인 공간을 개별 분리하는 공간 분리 수단; 및
    비말이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벽에 의해 둘러싸여 이루어진 바이러스 차단 부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분리 수단은
    각각의 상기 개인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공급받은 공기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분출하는 제1 분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1 분출 파이프; 및
    상기 제1 분출 파이프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흡기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러스 차단 부스의 둘레를 이루는 상기 차단벽 중 적어도 하나는 3개 이상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중첩되는 다중 구조로 형성되며, 3개 이상의 상기 플레이트에는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 간에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관통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출 파이프와 상기 흡기 파이프는 상하측에서 서로 간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1 분출구와 각각의 상기 흡기구는 서로 간에 동일한 수직축 상에서 개별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차단 부스는 개별 분리된 상기 개인 공간에 단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상기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관통 영역은 상하 교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차단 부스는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제1 분출 파이프는 상기 바이러스 차단 부스를 소정 거리 이내에서 둘러싸도록 상기 실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측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고, 상기 흡기 파이프는 상기 실내 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며 흡기한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도록 건물 외측에 설치되는 환풍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7. 실내 공간에서의 바이러스 전파을 방지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실내 공간에 수직방향의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개인 공간을 개별 분리하는 공간 분리 수단; 및
    공기 또는 물을 공급받아, 상기 실내 공간에 수직방향의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을 형성하여 비상구와 연결된 탈출 경로를 다른 공간과 분리하는 탈출 경로 생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공간 분리 수단은
    각각의 상기 개인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공급받은 공기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분출하는 제1 분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1 분출 파이프; 및
    상기 제1 분출 파이프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흡기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탈출 경로 생성 수단은
    상기 탈출 경로의 일측을 따라 상기 실내 공간의 천장에 배치되고, 공급받은 공기 또는 물을 하측 방향으로 분출하는 제2 분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2 분출 파이프; 및
    공급받은 공기 또는 물을 상기 탈출 경로에 분출하는 제3 분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제3 분출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출 파이프에서 분출한 공기 또는 물은 수직방향의 에어커튼 또는 워터커튼을 형성하여 상기 탈출 경로를 상기 다른 공간과 분리하며,
    상기 제3 분출 파이프에서 분출한 공기 또는 물에 의해 상기 탈출 경로의 압력이 분리된 상기 다른 공간의 압력보다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은
    상기 제1 분출 파이프로의 공기 공급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실내 공간 또는 상기 실내 공간이 속하는 건물의 화재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및
    상기 화재 판단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분출 파이프로의 공기 공급 유로가 차단되도록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은
    상기 탈출 경로 생성 수단으로의 공기 공급 유로 또는 물 공급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제어부는 상기 화재 판단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탈출 경로 생성 수단으로의 공기 공급 유로 또는 물 공급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분출구는 상기 제2 분출구에서 분출한 공기 또는 물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공기 또는 물을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KR1020210031186A 2021-03-10 2021-03-10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KR10244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186A KR102443189B1 (ko) 2021-03-10 2021-03-10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186A KR102443189B1 (ko) 2021-03-10 2021-03-10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189B1 true KR102443189B1 (ko) 2022-09-15

Family

ID=8328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186A KR102443189B1 (ko) 2021-03-10 2021-03-10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1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6189B2 (ja) * 1990-06-29 1997-07-02 コクヨ株式会社 喫煙装置
JP2001033072A (ja) * 1999-07-16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システム
JP2016029324A (ja) * 2014-07-18 2016-03-03 大成建設株式会社 クリーンブース
KR20160034872A (ko) * 2016-03-11 2016-03-30 안송길 화재 대피장치
KR101671972B1 (ko) 2015-03-13 2016-11-03 (주)아성온 건물 출입구 설치용 방역장치
KR102201234B1 (ko) 2020-05-25 2021-01-08 이상운 바이러스 차단 및 전파방지 기능을 보유한 안전 파티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6189B2 (ja) * 1990-06-29 1997-07-02 コクヨ株式会社 喫煙装置
JP2001033072A (ja) * 1999-07-16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システム
JP2016029324A (ja) * 2014-07-18 2016-03-03 大成建設株式会社 クリーンブース
KR101671972B1 (ko) 2015-03-13 2016-11-03 (주)아성온 건물 출입구 설치용 방역장치
KR20160034872A (ko) * 2016-03-11 2016-03-30 안송길 화재 대피장치
KR102201234B1 (ko) 2020-05-25 2021-01-08 이상운 바이러스 차단 및 전파방지 기능을 보유한 안전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1883A (en) Smoker's booth
US20060035579A1 (en) Ventilating system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CN108507112A (zh) 一种风帘系统及隔离防护装置
WO2021096088A1 (ko) 흡연용 부스
KR102194461B1 (ko) 지하주차장 공기정화 시스템
KR102142196B1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443189B1 (ko) 바이러스 전파 방지 시스템
JP5646698B1 (ja) 火災演習施設の排煙処理システム
KR100947478B1 (ko) 흄 후드의 외부공기 유입 구조
JP5199330B2 (ja) 喫煙室と壁部材
JP2001033072A (ja) 換気システム
JPH02309146A (ja) 換気装置
KR102147799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청정기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KR20140102041A (ko) 흡연용 부스
JP2004085147A (ja) シェルター
JPH10118327A (ja) 遊技機のエア−カ−テン装置
JP2022028621A (ja) ダクトレス吹上型エアーカーテン装置
KR101973938B1 (ko) 배연유로 확보하여 배연성능이 향상된 배연창 및 그 배연방법
US4626262A (en) Exhaust air system for electrostatic air cleaner
JPH02110240A (ja) 排煙システム
JPH01212849A (ja) 部位別ブロー型エアシャワーとその製制方法
KR102575447B1 (ko) 방화 댐퍼의 센서 체결 구조
JP4756975B2 (ja) 住宅換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