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185B1 -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185B1
KR100898185B1 KR1020070065640A KR20070065640A KR100898185B1 KR 100898185 B1 KR100898185 B1 KR 100898185B1 KR 1020070065640 A KR1020070065640 A KR 1020070065640A KR 20070065640 A KR20070065640 A KR 20070065640A KR 100898185 B1 KR100898185 B1 KR 100898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door
elevator
fire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349A (ko
Inventor
김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07006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1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발생시에 엘리베이터 내부로 침입하는 연기와 유독가스와 화염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엘리베이터의 탑승객을 안전하게 대피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와,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정차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통로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구비하며, 승강장 도어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승강통로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과, 승강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각 층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수단과; 화재감지수단으로부터 화재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는 틈새차단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EMERGENCY ELEVATOR}
도 1은 종래의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를 구성하는 하측틈새차단장치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를 구성하는 배출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엘리베이터 승강장 3: 엘리베이터 통로
5: 승강통로 10: 승강장 도어
12: 도어프레임(Door Frame) 14: 도어
20: 엘리베이터 카 40: 화재감지수단
50: 제어부 60: 좌측틈새차단장치
62: 차단부재 64: 운동수단
70: 우측틈새차단장치 72: 차단부재
74: 운동수단 80: 상측틈새차단장치
82: 차단부재 84: 운동수단
90: 하측틈새차단장치 92: 차단홈
94: 연장부 96: 보조차단브라켓
97: 보조차단수단 97a: "ㅜ"자형 홈
97b: "ㅜ"자형 돌기 100: 에어커튼(Air Curtain)장치
101: 압축가스 저장용기 103: 개폐밸브
105: 압송라인 107: 분사노즐
110: 경고램프 120: 경고부저
130: 비상조명등 140: 소화수 분사장치
142: 소화수 저장용기 144: 펌프
146: 압송라인 148: 분사노즐
150: 배수펌프 160: 방화도어
162: 도어프레임
본 발명은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에 엘리베이터 내부로 침입하는 연기와 유독가스와 화염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엘리베이터의 탑승객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는 비상시 탈출과 구난을 위한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이하, "엘리베이터"라 약칭함)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1)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10)와,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1)에 정차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통로(3)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20)로 구성된다.
특히, 승강장 도어(10)는, 엘리베이터 승강장(1)에 정차한 엘리베이터 카(20)의 카도어(22)와 정렬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1)의 승강통로(5)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12)과, 승강통로(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1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4)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어(14)는 좌측도어(15)와 우측도어(16)로 구성되며, 이들 좌,우측도어(15, 16)는 양쪽으로 열리거나 닫히면서 승강통로(5)를 개폐한다.
이러한 구성의 엘리베이터는, 건물내에서 가장 안전하고 대피하기 좋은 위치에 설치되며, 건물 내,외부의 위험요소로부터 격리 및 보호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화재발생시, 화재의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보호 및 격리된다. 그리고 별도의 유무선 통신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비상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승강장 도어(10)를 통해 화재의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가 침투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20)의 탑승객이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에 노출될 우려가 있고, 침투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가 다른 층으로 확산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승강장 도어(10)에는 많은 틈새가 있다. 예를 들면, 도어(14)의 상,하측과 도어프레임(12)과의 사이 및, 도어(14)의 양쪽과 도어프레임(12)과의 사이에는 넓은 틈새가 있으며, 이러한 틈새를 통해 화재의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가 침투하고, 침투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가 엘리베이터 통로(3)로 유입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통로(3)로 유입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가 엘리베이터 통로(3)를 통해 다른 층으로 확산되고, 엘리베이터 카(2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내부의 탑승객을 질식시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도어(14)와 도어프레임(12)의 사이에 고무재질의 기밀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 기술은, 도어(14)와 도어프레임(12)의 사이에 기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도어(14)와 도어프레임(12)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고, 차단된 틈새를 통해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투를 차폐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어(14)와 기밀부재간의 잦은 마찰접촉으로 인해 기밀부재가 손상 및 파손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도어(14)와 도어프레임(12) 사이의 밀폐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온의 화염에 의해 기밀부재가 열화 및 손상될 우려가 있고, 그로 인해 도어(14)와 도어프레임(12) 사이의 밀폐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어(14)와 도어프레임(12) 사이를 밀폐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2)과 도어(14)와의 사이에 "ㄷ"자형 차단통로(T)를 형성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도어프레임(12)과 도어(14)와의 사이에 "ㄷ"자형 차단통로(T)를 형성함으로써,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투를 최대한 억제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어프레임(12)과 도어(14)와의 사이에 여전히 "ㄷ"자형 통로(T)가 존재하므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차폐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화재의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가 엘리베이터 통로(3)로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차단효율을 높임으로써, 화재 발생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에만, 도어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와의 불필요한 마찰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마찰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틈새의 밀폐효율의 저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차폐효율을 최대한 향상시킴으로써,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가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고,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와,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정차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통로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장 도어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승강통로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승강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각 층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수단과; 상기 화재감지수단으로부터 화재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는 틈새차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틈새차단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도어의 좌측과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좌측틈새차단장치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도어의 우측과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우측틈새차단장치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도어의 상측과 상기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상측틈새차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1)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10)와,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1)에 정차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통로(3)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20)를 구비한다.
승강장 도어(10)는, 엘리베이터 승강장(1)의 승강통로(5)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12)과, 승강통로(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12)에 설치되는 도어(14)를 구비한다.
도어프레임(12)은, 좌측프레임부(12a)와, 우측프레임부(12b) 및, 상측프레임부(12c)와, 하측프레임부(12d)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어(14)는 좌측도어(15)와 우측도어(16)로 구성되며, 이들 좌,우측도어(15, 16)는 양쪽으로 열리거나 닫히면서 승강통로(5)를 개폐한다.
엘리베이터 카(20)는, 엘리베이터 통로(3)를 따라 상,하 승강운동하며, 각 층의 승강장 도어(10)와 정렬될 수 있는 카도어(22)를 갖추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승강장 도어(10)의 도어프레임(12)과 좌,우측도어(15, 16)의 표면에 내화재층(도시하지 않음)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20)의 표면에도 내화재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내화재층은, 도어프레임(12)과 좌,우측도어(15, 16)의 표면 및, 엘리베이터 카(20)의 표면에 내화재질의 세라믹타일을 부착하거나 또는 세라믹용액을 소정의 두께로 코팅함에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내화재층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화염과 열기로부터 승강장 도어(10)와 엘리베이터 카(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승강장 도어(10)와 엘리베이터 카(20)가 화재의 열로 인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카(20)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화재감지수단(40)을 구비한다.
화재감지수단(40)은, 화재의 연기 또는 화염 또는 타는 냄새를 감지하는 가스센서(Gas Sensor)로 구성되며, 건물내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화재로 인한 연기와 화염과 타는 냄새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50)에 입력시킨다.
이러한 화재감지수단(40)은, 건물의 각 층마다 모두 설치된다. 따라서, 건물의 각 층에 발생하는 화재를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제어부(50)를 구비한다. 제어부(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화재감지수단(4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후술하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도어(14)와 도어프레임(12) 사이에 형성된 틈새(t1, t2, t3, t4)를 차단하는 틈새차단수단을 더 구비한다.
틈새차단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도어(14)의 좌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1)를 차단하는 좌측틈새차단장치(60)와, 도어(14)의 우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2)를 차단하는 우측틈새차단장치(70)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4)의 상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3)를 차단하는 상측틈새차단장치(80)를 구비한다.
좌측틈새차단장치(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2)의 좌측프레임부(12a)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재(62)와,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부재(62)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64)을 구비한다.
차단부재(62)는, 좌측프레임부(12a)를 따라 아래위로 길게 설치되며, 좌측프레임부(12a) 내측의 준비위치("A")로부터 외측의 차단위치("B")로 돌출되면서 도어(14)의 전면에 밀착된다. 특히, 좌측도어(15)의 전면(15a)에 밀착된다. 따라서, 좌측도어(15)와 도어프레임(12)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1)를 차단하며, 이에 따라, 틈새(t1)를 통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입을 차폐한다.
이러한 차단부재(62)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마찰특성이 좋은 재질, 예를 들어 카본(Carbon)재질의 소결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고온의 화염에도 변형 및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도어(14)와의 마찰접촉시에도 마모 및 손상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카본 재질의 소결체는 자기윤활성을 갖추고 있어서 우수한 마찰특성을 가짐은 물론 강한 내열성도 갖추고 있다.
운동수단(64)은, 솔레노이드식 액츄에이터(Solenoid Type Actuator)로 구성되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차단부재(62)를 준비위치("A")에서 차단위치("B")로 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62)가 도어(14)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좌측틈새차단장치(60)에 의하면,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도어(14)의 좌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1)를 차단하므로, 틈새(t1)를 통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입을 차폐한다. 따라서, 화재의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가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고, 엘리베이터 카(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우측틈새차단장치(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2)의 우측프레임부(12b)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재(72)와,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부재(72)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74)을 구비한다.
차단부재(72)는, 우측프레임부(12b)를 따라 아래위로 길게 설치되며, 우측프레임부(12b) 내측의 준비위치("A")로부터 외측의 차단위치("B")로 돌출되면서 도 어(14)의 전면에 밀착된다. 특히, 우측도어(16)의 전면(16a)에 밀착된다. 따라서, 우측도어(16)와 도어프레임(12)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2)를 차단하며, 이에 따라, 틈새(t2)를 통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입을 차폐한다.
이러한 차단부재(72)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마찰특성이 좋은 재질, 예를 들어 카본(Carbon)재질의 소결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수단(74)은, 솔레노이드식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차단부재(72)를 준비위치("A")에서 차단위치("B")로 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72)가 도어(14)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우측틈새차단장치(70)에 의하면,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도어(14)의 우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2)를 차단하므로, 틈새(t2)를 통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입을 차폐한다. 따라서, 화재의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가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고, 엘리베이터 카(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상측틈새차단장치(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2)의 상측프레임부(12c)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재(82)와,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부재(82)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84)을 구비한다.
차단부재(82)는, 상측프레임부(12c)를 따라 좌,우 길게 설치되며, 상측프레임부(12c) 내측의 준비위치("A")로부터 외측의 차단위치("B")로 돌출되면서 도어(14)의 전면에 밀착된다. 특히, 좌,우측도어(15, 16)의 전면(15a, 16a)에 밀착된 다. 따라서, 좌,우측도어(15, 16)와 도어프레임(12)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3)를 차단하며, 이에 따라, 틈새(t3)를 통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입을 차폐한다.
이러한 차단부재(82)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마찰특성이 좋은 재질, 예를 들어 카본(Carbon)재질의 소결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수단(84)은, 솔레노이드식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차단부재(82)를 준비위치("A")에서 차단위치("B")로 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82)가 도어(14)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측틈새차단장치(80)에 의하면,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도어(14)의 상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3)를 차단하므로, 틈새(t3)를 통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입을 차폐한다. 따라서, 화재의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가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고, 엘리베이터 카(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다시,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도어(14)의 하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4)를 차단하는 하측틈새차단장치(90)를 구비한다.
하측틈새차단장치(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2)의 하측프레임부(12d)에 형성되는 차단홈(92)과, 차단홈(9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도어(14)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94)로 구성된다.
차단홈(92)은, 도어(14)의 하단에 대응되도록 하측프레임부(12d)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
연장부(94)는, 차단홈(92)에 끼워지며, 이렇게 끼워진 연장부(94)는 차단홈(92)을 "ㄷ"자형 차단통로(95)로 만들어준다. 따라서, 도어(14)의 하측과 하측프레임부(12d)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4)를 없애주며, 이에 따라, 도어(14) 외측의 연기와 유독가스가 도어(14)의 하측과 하측프레임부(12d) 사이의 틈새(t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하측틈새차단장치(90)는, 도어(14)의 하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4)를 차단하므로, 틈새(t4)를 통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입을 차폐한다. 따라서, 화재의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가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고, 엘리베이터 카(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한편, 하측틈새차단장치(90)의 연장부(94)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마찰특성이 좋은 재질, 예를 들어 카본(Carbon)재질의 소결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고온의 화염에도 변형 및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차단홈(92)의 내벽과의 마찰접촉시에도 마모 및 손상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하측틈새차단장치(90)는, 도어(14)의 하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4)를 차단하도록 도어(14)의 후면(14a)에 설치되는 보조차단브라켓(96)을 더 구비한다.
보조차단브라켓(96)은, 도어(14)의 후면(14a)을 따라 길게 설치되며, 도어(14)의 하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에 형성된 틈새(t4)를 추가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틈새(t4)의 차단효율을 극대화시키며, 이에 따라,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차폐효율을 더욱 높여준다.
이러한 보조차단브라켓(96)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마찰특성이 좋은 재질, 예를 들어 카본(Carbon)재질의 소결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a와 도 6b에는, 하측틈새차단장치(9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변형예의 하측틈새차단장치(90)는, 차단홈(92)과 연장부(94) 사이에 형성된 틈새, 즉, "ㄷ"자형 차단통로(95)를 더 차단해주는 보조차단수단(97)을 구비한다.
보조차단수단(97)은, 연장부(94)의 밑면에 형성되는 "ㅜ"자형 홈(97a)과, "ㅜ"자형 홈(97a)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차단홈(9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ㅜ"자형 돌기(97b)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차단수단(97)은, 차단홈(92)과 연장부(94) 사이에 형성된 "ㄷ"자형 차단통로(95) 상에 "ㅜ자형 보조차단통로"를 더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차단홈(92)과 연장부(94) 사이의 틈새를 더 복잡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입효율을 최대한 낮추어 주며, 이에 따라,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차폐효율을 극대화시킨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다른 변형예의 하측틈새차단장치(90)는, 차단홈(92)을 구비하되, 상기 차단홈(92)이 "⊥"자형으로 구성되고, 차단홈(92)에 끼워져 결합되는 연장부(94)도 차단홈(92)에 대응되도록 "⊥"자형으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하측틈새차단장치(90)는, 차단홈(92)과 연장부(94) 사이에 형성된 틈 새의 형상을 더 복잡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입효율을 최대한 낮추어 주며, 이에 따라,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의 차폐효율을 극대화시킨다.
다시,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승강통로(5)에 에어커튼(Air Curtain)막을 형성하는 에어커튼장치(100)를 구비한다.
에어커튼장치(100)는, 고압의 압축가스를 저장하는 압축가스 저장용기(101)와, 압축가스 저장용기(101)의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103)와, 압축가스 저장용기(101)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의 가스를 승강통로(5)의 상측으로 압송하는 압송라인(105)과, 압송된 고압의 가스를 승강통로(5)의 하측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07)을 구비한다.
특히, 분사노즐(107)은, 승강통로(5)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 고압의 가스를 승강통로(5)의 하측으로 분사한다. 따라서, 승강통로(5) 상에 에어커튼막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에어커튼장치(100)는, 승강통로(5)상에 에어커튼막을 형성함으로써, 화염과 연기와 유독가스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화염과 연기와 유독가스를 차단함으로써, 승강장 도어(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화염과 연기와 유독가스를 차폐한다.
한편, 이러한 에어커튼장치(100)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며, 승강장 도어(10)가 개방될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승강장 도어(10)와 엘리베이터 카(20)의 카도어(22)가 동시에 개방될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이는, 엘리베이터 카(20)가 개방된 후, 탑승객이 승,하차할 경우에만 에어커튼막을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압축가스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에어커튼장치(100)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데, 경우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층에서는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이는, 화재 발생 층에서는 화염과 연기와 유독가스의 침입확율이 매우 높기 때문이며, 따라서, 에어커튼막을 계속적으로 형성하여, 화염과 연기와 유독가스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에어커튼장치(100)는, 에어커튼막에 사용되는 압축가스로서, 이산화탄소(CO2)가스를 사용한다. 이는 이산화탄소가스가 소화(消火)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에어커튼막에 사용되는 압축가스로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공기는, 엘리베이터 승강장(1)에 대기하는 탑승객에게 산소를 제공하여 탑승객의 호흡을 도와준다. 따라서, 연기와 질식사고의 우려를 줄여준다.
그리고 에어커튼장치(100)의 각 부품들, 예를 들면, 압송라인(105), 분사노즐(107) 등은, 모두 불연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화재의 열기로부터 각 부품들이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화재의 발생시, 화재의 발생을 경고해주는 경고램프(110)와 경고부저(120)를 구비한다.
경고램프(110)는, 도어프레임(12)의 상측프레임부(12c)와 좌,우측프레임 부(12a, 12b)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화재의 발생시,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면서 점멸(點滅)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장(1) 주위의 탑승객에게 화재의 발생을 경고해준다.
이러한 경고램프(110)는, 내화유리재질의 커버(112)로 덮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경고램프(110)는 비상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다.
경고부저(120)는, 도어프레임(12)의 상측프레임부(12c)에 설치되며, 화재의 발생시,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면서 경고음을 발생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장(1) 주위의 탑승객에게 화재의 발생을 경고해준다.
이러한 경고부저(120)는,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경고부저(120)는 비상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화재의 발생시, 엘리베이터 승강장(1)을 비상 조명해주는 비상조명등(130)을 구비한다.
비상조명등(130)은, 도어프레임(12)의 상측프레임부(12c)에 설치되며, 화재의 발생시,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1) 주위를 조명한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건물 내부의 사람들을 엘리베이터 승강장(1) 주위로 유도하고, 아울러 엘리베이터 승강장(1) 주위의 탑승객에게 시야를 확보해준다.
이러한 비상조명등(130)은, 비상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다. 아울러 비상조명등(130)은 내화유리재질의 커 버(132)로 덮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화재의 발생시, 승강통로(5)의 주변부에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장치(140)를 구비한다.
소화수 분사장치(140)는, 소화수, 예를 들면 물, 소화액, 등을 저장하는 소화수 저장용기(142)와, 소화수 저장용기(142)의 소화수를 펌핑하는 펌프(144)와, 펌프(144)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소화수를 승강통로(5)의 둘레로 압송하는 압송라인(146)과, 압송된 고압의 소화수를 승강통로(5)의 주변부에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48)을 구비한다.
특히, 분사노즐(148)은, 도어프레임(12)의 상측프레임부(12c)와 좌,우측프레임부(12a, 12b)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고압의 소화수를 승강통로(5)의 주변부에 분사한다.
따라서, 승강통로(5) 주변부의 화염을 소화하고, 화염의 열기를 차단하며, 이에 따라, 승강통로(5)에 대기하는 탑승객이 안전하게 엘리베이터 카(20)에 탑승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소화수 분사장치(140)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데, 화재가 발생된 층에서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소화수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소화수 분사장치(140)의 각 부품들, 예를 들면, 압송라인(146), 분사노즐(148) 등은, 모두 불연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화재의 열기로부터 각 부품들이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소화수 분사장치(140)는, 엘리베이터 통로(3)로 유입된 소화수 분사장치(140)의 소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더 구비한다.
배출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통로(3)로 유입된 후, 바닥면에 수집된 소화수를 건물의 외부로 펌핑하는 배수펌프(150)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수펌프(150)는, 엘리베이터 통로(3)의 바닥면에 수집된 소화수를 건물의 외부로 펌핑함으로써, 수집된 소화수를 건물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소화수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한편, 소화수 분사장치(140)의 각 부품들은 방수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소화수로 인해 발생되는 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방지된다.
이 밖에도, 엘리베이터 카(20)를 승강시키는 승강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엘리베이터 카(20)에 설치되는 각종 스위치류 및, 각종 배선과 배관, 정션박스(Junction Box)등도 방수 처리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20)의 천장도 소화수가 침투할 수 없도록 방수처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도어프레임(12)과 도어(14) 사이에 형성되는 모든 틈새를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화재 발생시,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를 효율좋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에만, 도어프레임(12)과 도어(14)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각 부품간의 불필요한 마찰접촉을 방지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마찰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명저하 현상과 밀폐효율의 저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의 사실을 건물 내부의 사람들에게 신속하게 경고하고, 엘리베이터 승강장(1)으로 유도하는 구조이므로,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화재발생시, 승강통로(5)에 에어커튼막을 형성하고, 소화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염과 연기와 유독가스가 엘리베이터 통로(3)와 엘리베이터 카(2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20)의 탑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8과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는, 승강장 도어(10)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방화도어(160)를 더 구비한다.
방화도어(160)는, 승강통로(5)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162)과, 승강통로(5)의 입구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162)에 설치되는 도어(164)로 구성된다. 특히, 도어(164)는, 좌측도어(165)와 우측도어(166)로 구성되며, 이들 좌,우측도어(165, 166)는 양쪽으로 열리거나 닫히면서 승강통로(5)의 입구측을 개폐한다.
이러한 방화도어(160)는, 승강장 도어(10)에 앞부분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승강장 도어(10)로 번지는 화재의 화염과 열기 및, 연기와 유독가스를 사전에 차단한다. 따라서, 화염과 연기와 유독가스로부터 승강장 도어(10)와 엘리베이터 카(20)를 보호한다.
여기서, 방화도어(160)의 표면에는 내화재층(도시하지 않음)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내화재층은, 내화재질의 세라믹타일을 부착하거나 또는 세라믹용액을 소정의 두께로 코팅함에 따라 형성되며, 외부의 화염으로부터 방화도어(160)를 보호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도어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는 모든 틈새를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화재 발생시,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와 화염과 유독가스를 효율좋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에만, 도어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각 부품간의 불필요한 마찰접촉을 방지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마찰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명저하 현상과 밀폐효율의 저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의 사실을 건물 내부의 사람들에게 신속하게 경고하고,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 유도하는 구조이므로,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발생시, 승강통로에 에어커튼막을 형성하고, 소화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염과 연기와 유독가스가 엘리베이터 통로와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며,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엘리베이터 승강장(1)의 승강통로(5)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12)과, 상기 승강통로(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12)에 설치되는 도어(14)를 포함하는 승장장 도어(10)와;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1)에 정차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통로(3)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20)와; 각 층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수단(40)과; 상기 화재감지수단(40)으로부터 화재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도어(14)의 좌측과 상기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1)를 차단하는 좌측틈새차단장치(60)와; 상기 도어(14)의 우측과 상기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2)를 차단하는 우측틈새차단장치(70)와; 상기 도어(14)의 상측과 상기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3)를 차단하는 상측틈새차단장치(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좌측틈새차단장치(60)는, 상기 도어프레임(12) 내측의 준비위치("A")로부터 외측의 차단위치("B")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14)의 전면 좌측에 밀착되어 틈새(t1)를 차단하는 차단부재(62)와,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62)를 준비위치("A")에서 차단위치("B")로 운동시키는 액츄에이터(64)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틈새차단장치(70)는, 상기 도어프레임(12) 내측의 준비위치("A")로부터 외측의 차단위치("B")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14)의 전면 우측에 밀착되어 틈새(t2)를 차단하는 차단부재(72)와,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72)를 준비위치("A")에서 차단위치("B")로 운동시키는 액츄에이터(74)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틈새차단장치(80)는, 상기 도어프레임(12) 내측의 준비위치("A")로부터 외측의 차단위치("B")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14)의 전면 상측에 밀착되어 틈새(t3)를 차단하는 차단부재(82)와,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82)를 준비위치("A")에서 차단위치("B")로 운동시키는 액츄에이터(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62, 72, 82)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마찰특성이 좋은 카본(Carbon)재질의 소결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4)의 하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에 형성된 틈새(t4)를 차단하는 하측틈새차단장치(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틈새차단장치(90)는,
    상기 도어(14)의 하측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12)에 설치되는 차단홈(92)과, 상기 차단홈(92)에 끼워지면서 도어(14)의 하측과의 틈새(t4)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4)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차단홈(92)으로 연장되는 연장부(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홈(92)과 상기 연장부(94) 사이의 틈새를 더 차단해주는 보조차단수단(97)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차단수단(97)은, 상기 연장부(94)의 밑면에 형성되는 ㅜ자형 홈(97a)과, 상기 ㅜ자형 홈(97a)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차단홈(9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ㅜ자형 돌기(9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4)의 하측과 도어프레임(12) 사이의 틈새(t4)를 추가적으로 차단하도록 도어(14)의 후면(14a)에 설치되는 보조차단브라켓(9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94)와 상기 보조차단브라켓(96)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마찰특성이 좋은 카본 재질의 소결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통로(5)로 침입하는 화염과 연기와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통로(5)에 에어커튼(Air Curtain)막을 형성하는 에어커튼장치(1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에어커튼장치(100)는, 고압의 압축가스를 저장하는 압축가스 저장용기(101)와, 상기 압축가스 저장용기(101)의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103)와, 상기 압축가스 저장용기(101)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의 가스를 승강통로(5)의 상측으로 압송하는 압송라인(105)과, 압송된 고압의 가스를 상기 승강통로(5)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장치(100)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승강장 도어(10)가 개방될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스 저장용기(101)에 저장되는 압축가스는, 이산화탄소(CO2)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13. 제 3항에 있어서,
    화재의 발생시,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멸(點滅)되면서 화재의 발생을 경고해주는 경고램프(110) 및,
    화재의 발생시,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하면서 화재의 발생을 경고해주는 경고부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화재의 발생시,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1)을 비상 조명해주는 비상조명등(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15. 제 3항에 있어서,
    화재의 발생시,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통로(5)의 주변부에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장치(14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소화수 분사장치(140)는, 소화수를 저장하는 소화수 저장용기(142)와, 상기 소화수 저장용기(142)의 소화수를 펌핑하는 펌프(144)와, 상기 펌프(144)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소화수를 승강통로(5)의 둘레로 압송하는 압송라인(146)과, 압송된 고압의 소화수를 상기 승강통로(5)의 주변부에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통로(3)로 유입된 소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통로(3)의 바닥면에 수집된 소화수를 건물의 외부로 펌핑하는 배수펌프(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10)로 침입하는 화염과 연기와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장 도어(10)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방화도어(1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10)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20)와, 상기 방화도어(160)의 각 표면에는 내화재층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재층은, 내화재질의 세라믹타일을 부착하거나 또는 세라믹용액을 소정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2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틈새차단장치(90)의 차단홈(92)은, ⊥자형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차단홈(92)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기 연장부(94)는 상기 차단홈(9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KR1020070065640A 2007-06-29 2007-06-29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KR100898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640A KR100898185B1 (ko) 2007-06-29 2007-06-29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640A KR100898185B1 (ko) 2007-06-29 2007-06-29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349A KR20090001349A (ko) 2009-01-08
KR100898185B1 true KR100898185B1 (ko) 2009-05-19

Family

ID=4048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640A KR100898185B1 (ko) 2007-06-29 2007-06-29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8995B (zh) * 2016-08-23 2018-01-16 北京艾科斯玛特自动化控制技术有限公司 自动检测门窗故障的方法和机构
KR200485697Y1 (ko) * 2016-11-21 2018-02-08 윤호원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
KR200485696Y1 (ko) * 2016-11-21 2018-02-08 윤호원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
KR101874040B1 (ko) 2017-11-13 2018-08-0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밀폐장치
US10843897B2 (en) 2018-05-30 2020-11-24 Songsan Special Elevators Co., Ltd. Emergency elevator
RU2760059C2 (ru) * 2018-05-30 2021-11-22 Сонсан Спешл Элеваторс Ко., Лтд. Аварийный лифт
KR102257464B1 (ko) 2020-12-08 2021-05-31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3시간 이상의 방화성능을 갖는 밀폐식 이중 홀 도어를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68U (ko) * 1980-05-28 1982-01-05
JP2003040548A (ja) * 2001-07-26 2003-02-13 Howa:Kk エレベータ前両開き防火子扉付両引き防火戸
JP2004217353A (ja) * 2003-01-14 2004-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防煙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68U (ko) * 1980-05-28 1982-01-05
JP2003040548A (ja) * 2001-07-26 2003-02-13 Howa:Kk エレベータ前両開き防火子扉付両引き防火戸
JP2004217353A (ja) * 2003-01-14 2004-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防煙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349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185B1 (ko) 비상 구난용 엘리베이터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863067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753116B1 (ko)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CN205743588U (zh) 一种安全通道防火门
KR102257464B1 (ko) 3시간 이상의 방화성능을 갖는 밀폐식 이중 홀 도어를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KR101523659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KR20060109400A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20160034872A (ko) 화재 대피장치
KR102377220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CN104548396A (zh) 一种管状逃生滑道结构
KR200415901Y1 (ko) 계단 핸드레일을 이용한 피난유도시스템
KR20200096436A (ko) 이동식 산불 진화 시설 겸용 대피소
KR101565596B1 (ko) 터널의 확연 확산 방지장치
KR101190156B1 (ko)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KR101551626B1 (ko) 지하전력구내 화염 확산 방지구조
CN205419430U (zh) 防火电梯
KR102069292B1 (ko) 화재 및 비상시 피난을 위한 유도난간
KR101523186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KR100566486B1 (ko) 화재 진화 방법 및 장치
KR100421805B1 (ko) 제연방법
JP3390772B2 (ja) 非常用エレベーターの附室の加圧給気装置
JP3283950B2 (ja) 防煙装置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089216B1 (ko) 차열 및 방염 공간을 갖는 화재 대비 건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7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