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131B1 -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 Google Patents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131B1
KR101700131B1 KR1020160086556A KR20160086556A KR101700131B1 KR 101700131 B1 KR101700131 B1 KR 101700131B1 KR 1020160086556 A KR1020160086556 A KR 1020160086556A KR 20160086556 A KR20160086556 A KR 20160086556A KR 101700131 B1 KR101700131 B1 KR 10170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ater
fighting water
room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8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을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은 실내의 바닥부에 배치되며, 설정된 길이의 소방수 튜브가 권취되는 권취부와; 상기 실내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소방수 튜브로 설정된 압력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수 공급부와; 상기 소방수 튜브에 형성되며, 공급되는 상기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소방수를 상기 실내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와; 상기 권취부 및 상기 소방수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HOSE REEL FOR FIRE FIGHTING BOX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전 권취된 상태로 수용되고, 화재가 발생되면 소방수 공급으로 인한 압력을 통해 실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를 통해 펼쳐지면서 소방수를 분사하되, 다수의 위치에서 돌출되는 분사부들을 통해 소방수를 회전하면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는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물 내 구비된 소화전 박스에는 메인밸브와 연결된 소방호스가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지그재그로 차곡 차곡 쌓여져 있다.
이때,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소방호스를 화재가 난 위치까지 끌고가 메인밸브를 열어 물을 공급한 상태에서 사용한 후, 다시 소화전 박스 내에 쌓아둘 때에는 상기 사용한 소방호스 내의 물을 빼내면서 여러 사람이 차곡차곡 쌓아두게 된다.
그런데, 소화전박스에서 호스를 화재 현장까지 끌고 갈 때, 꼬이기도 하며, 또, 소방호스를 사용하고 난 후 소화전 박스 내 에 다시 보관하게 될 때에는 여러 사람이 작업을 함께해야 하는 것은 물론, 소방호스 내에 남아 있는 물을 일일이 빼내면서 쌓아두어야 함에 따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8345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 전 권취된 상태로 수용되고, 화재가 발생되면 소방수 공급으로 인한 압력을 통해 실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를 통해 펼쳐지면서 소방수를 분사하되, 다수의 위치에서 돌출되는 분사부들을 통해 소방수를 회전하면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는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을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은 실내의 바닥부에 배치되며, 설정된 길이의 소방수 튜브가 권취되는 권취부와; 상기 실내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소방수 튜브로 설정된 압력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수 공급부와; 상기 소방수 튜브에 형성되며, 공급되는 상기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소방수를 상기 실내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와; 상기 권취부 및 상기 소방수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방수 튜브는, 상기 소방수가 공급됨에 따르는 상기 압력을 통해 상기 실내의 바닥부를 따라 펼쳐진다.
상기 실내의 바닥부에는, 상기 권취부의 일측부에서 설정된 길이 및 깊이를 갖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상기 소방수 튜브는, 상기 가이드 홈의 내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펼쳐진다.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부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힌지단을 통해 상기 가이드 홈을 회전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 각각의 상기 힌지단은, 각각의 회전 모터와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회전 모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를 회전 개폐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재 발생시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홈을 개방하도록 상기 각각의 회전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에는, 상기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가 설정된 화재 온도에 이르면, 상기 소방수 공급부를 통해 상기 소방수를 상기 소방수 튜브로 공급하도록 하고, 각각의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가 설정된 화재 온도 이하를 이루면, 상기 소방수 공급부를 통한 상기 소방수의 공급을 중지한다.
이어, 상기 권취부를 사용하여 상기 소방수 튜브를 강제 권취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홈을 폐쇄한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전 권취된 상태로 수용되고, 화재가 발생되면 소방수 공급으로 인한 압력을 통해 실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를 통해 펼쳐지면서 소방수를 분사하되, 다수의 위치에서 돌출되는 분사부들을 통해 소방수를 회전하면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에만, 바닥부에 설치되는 계폐 도어를 개방하고, 이에 개방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소방수 튜브의 팽창을 안내함과 아울러, 소방수를 회전 분사시킴으로써, 종래의 소방수 튜브를 사용함에 따르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사용자가 직접 튜브를 들고 소화를 시킴에 따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부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사부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은 실내의 바닥부(10)에 배치되며, 설정된 길이의 소방수 튜브(50)가 권취되는 권취부(100)와, 상기 실내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소방수 튜브(50)로 설정된 압력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수 공급부(200)와, 상기 소방수 튜브(50)에 형성되며, 공급되는 상기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소방수를 상기 실내로 사방을 따라 회전되면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300)와, 상기 권취부(100) 및 상기 소방수 공급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소방수 튜브(50)는, 상기 소방수가 공급됨에 따르는 상기 압력을 통해 상기 실내의 바닥부(10)를 따라 펼쳐진다.
상기 실내의 바닥부(10)에는, 상기 권취부(100)의 일측부에서 설정된 길이 및 깊이를 갖는 가이드 홈(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요성의 소방수 튜브(50)는, 소방수 공급에 따르는 압력을 통해 상기 가이드 홈(11)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홈(11)을 따라 펼쳐진다.
상기 가이드 홈(11)의 양측부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힌지단(510)을 통해 상기 가이드 홈(11)을 회전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 도어(500)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500) 각각의 상기 힌지단(510)은, 각각의 회전 모터(600)와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회전 모터(600)는,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500)를 회전 개폐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회재 발생시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홈(11)을 개방하도록 상기 각각의 회전 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500)에는, 상기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52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각각의 상기 온도 센서(520)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가 설정된 화재 온도에 이르면, 상기 소방수 공급부(200)를 통해 상기 소방수를 상기 소방수 튜브(50)로 공급하도록 하고, 각각의 상기 온도 센서(520)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가 설정된 화재 온도 이하를 이루면, 상기 소방수 공급부(200)를 통한 상기 소방수의 공급을 중지한다.
이어, 제어부(400)는 상기 권취부(100)를 사용하여 상기 소방수 튜브(50)를 강제 권취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 모터(600)를 사용하여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500)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홈(11)을 밀폐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다수의 분사부(300) 각각은, 연결로드(310)와 상기 연결로드(310)의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 분사 부재(320)와, 상기 연결 로드(3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분사판(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판(330)에는 다수의 분사홀(33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로드(310)는 소방수 튜브(50)의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설치홀들(311) 각각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전 분사 부재(320)는 소방수 튜브(50)의 외부에 위치되고, 분사판(330)은, 소방수 튜브(50)의 내부에서 설치홀(51)에 걸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연결 로드(310)는 설치홀(51)에 끼워지는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다.
이의 상태에서, 소방수가 상기 소방수 튜브(50)로 공급되고, 상기 소방수 튜브(50)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소방수 튜브(50)의 내부에는 설정된 압력을 이루어 소방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에 의해, 다수의 분사판(330)은 상승되어 설치홀(51)의 외곽에 밀착된다.
이때, 다수의 분사홀(311)은 설치홀(51)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이들을 통해 소방수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분사판(330)의 상승으로 인해, 연결로드(310) 역시 상승되며, 이에 따라 회전 분사 부재(320) 역시 설치홀(51)로부터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승된다.
상기 회전 분사 부재(320)는, 연결 로드(310)의 상단에 회전 기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회전 분사 부재(320)의 하단면은, 상기 회전 분사 부재(320)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면(321)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설치홀(51)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가 상기 회전 분사 부재(320)의 경사지는 하단면에 분사되면서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 분사 부재(320)는 상기 경사면(321)에 압력이 형성됨에 따라 이의 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분사 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소방수는 사방으로 회전되면서 분사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화재 발생 전 권취된 상태로 수용되고, 화재가 발생되면 소방수 공급으로 인한 압력을 통해 실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를 통해 펼쳐지면서 소방수를 분사하되, 다수의 위치에서 돌출되는 분사부들을 통해 소방수를 회전하면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화재 발생시에만, 바닥부에 설치되는 계폐 도어를 개방하고, 이에 개방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소방수 튜브의 팽창을 안내함과 아울러, 소방수를 회전 분사시킴으로써, 종래의 소방수 튜브를 사용함에 따르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사용자가 직접 튜브를 들고 소화를 시킴에 따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Claims (4)

  1. 실내의 바닥부에 배치되며, 설정된 길이의 가요성의 소방수 튜브가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실내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소방수 튜브로 설정된 압력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수 공급부;
    상기 소방수 튜브에 형성되며, 공급되는 상기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소방수를 상기 실내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
    상기 권취부 및 상기 소방수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방수 튜브는, 상기 소방수가 공급됨에 따르는 상기 압력을 통해 상기 실내의 바닥부를 따라 펼쳐지되,
    상기 실내의 바닥부에는,
    상기 권취부의 일측부에서 설정된 길이 및 깊이를 갖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방수 튜브는, 상기 가이드 홈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펼쳐지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부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힌지단을 통해 상기 가이드 홈을 회전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 도어가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 각각의 상기 힌지단은, 각각의 회전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회전 모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를 회전 개폐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시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홈을 개방하도록 상기 각각의 회전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에는, 상기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가 설정된 화재 온도에 이르면, 상기 소방수 공급부를 통해 상기 소방수를 상기 소방수 튜브로 공급하도록 하고,
    각각의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가 설정된 화재 온도 이하를 이루면, 상기 소방수 공급부를 통한 상기 소방수의 공급을 중지하고,
    상기 권취부를 사용하여 상기 소방수 튜브를 강제 권취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한 쌍의 개폐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홈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86556A 2016-07-08 2016-07-08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170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56A KR101700131B1 (ko) 2016-07-08 2016-07-08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56A KR101700131B1 (ko) 2016-07-08 2016-07-08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131B1 true KR101700131B1 (ko) 2017-02-13

Family

ID=5815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556A KR101700131B1 (ko) 2016-07-08 2016-07-08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1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992B1 (ko) * 2017-04-27 2017-11-06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1926083B1 (ko) * 2018-04-20 2018-12-06 (주)경문기술단 공동주택 세대별 소방 호스릴
KR20200008419A (ko) * 2018-07-16 2020-01-28 최용찬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20200062407A (ko) * 2018-11-26 2020-06-04 주식회사 나브텍 헬리데크용 소화노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439A (ja) * 1996-04-16 1997-10-28 Hochiki Corp ラージドロップ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072155B1 (ko) * 2009-11-09 2011-10-10 윤성균 자바라식 물분무소화장치
KR20140084967A (ko) * 2012-12-27 2014-07-07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화재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439A (ja) * 1996-04-16 1997-10-28 Hochiki Corp ラージドロップ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072155B1 (ko) * 2009-11-09 2011-10-10 윤성균 자바라식 물분무소화장치
KR20140084967A (ko) * 2012-12-27 2014-07-07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화재 방지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992B1 (ko) * 2017-04-27 2017-11-06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1926083B1 (ko) * 2018-04-20 2018-12-06 (주)경문기술단 공동주택 세대별 소방 호스릴
KR20200008419A (ko) * 2018-07-16 2020-01-28 최용찬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102117113B1 (ko) * 2018-07-16 2020-05-29 최용찬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20200062407A (ko) * 2018-11-26 2020-06-04 주식회사 나브텍 헬리데크용 소화노즐
KR102138024B1 (ko) * 2018-11-26 2020-07-28 주식회사 나브텍 헬리데크용 소화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131B1 (ko)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1832712B1 (ko) 건물화재 진압시스템
JP6510319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
KR101926083B1 (ko) 공동주택 세대별 소방 호스릴
KR101793992B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1700383B1 (ko) 건축물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1866462B1 (ko) 소방호스 릴 구조
KR102068978B1 (ko)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KR102353750B1 (ko) 방화셔터용 비상도어
CN110284685B (zh) 一种防火型地板
KR101703291B1 (ko) 화염 감지 및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건축용 방화문틀
KR200488385Y1 (ko) 소방용수 분사장치
KR101343779B1 (ko) 이동식 건축물용 소방장치
KR20160054366A (ko) 방화창 유니트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20060116144A (ko)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JP2751006B2 (ja) 消火用放水機
CN207768994U (zh) 一种可防止内部受潮且自动收卷的消防卷盘
KR102210353B1 (ko)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KR101731782B1 (ko)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 소방 수처리 장치
KR10191896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시스템
KR102055834B1 (ko) 벽걸이 소화장치
KR102028881B1 (ko) 공동주택 소화전 소방 호스릴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KR102346596B1 (ko) 초고층 건물용 화재 감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