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353B1 -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 Google Patents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353B1
KR102210353B1 KR1020200167795A KR20200167795A KR102210353B1 KR 102210353 B1 KR102210353 B1 KR 102210353B1 KR 1020200167795 A KR1020200167795 A KR 1020200167795A KR 20200167795 A KR20200167795 A KR 20200167795A KR 102210353 B1 KR102210353 B1 KR 10221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rotation shaft
rotary shaft
lock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대영
Original Assignee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16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out-buildings or cellars; Other simple closures not designed to be close-fi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05Y2900/6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실내 내벽에 형성된 매립 공간의 내측에 삽입되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이며,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방이 개방된 전면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와, 함체의 전방 일측에 힌지축을 매개체로 힌지결합되며, 힌지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하여 함체의 전면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 및 함체의 내부 수용공간을 향해 커버를 수평으로 관통하되, 일단은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커버의 전방으로 노출된 회전축과, 회전축이 정역회전되도록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된 수동 핸들과, 회전축에 직교한 상태로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잠금봉을 구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함체에는 전면 개구부의 내측 테두리에서 함체의 중앙을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걸림턱의 전면에 커버의 후면 테두리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축이 일방향 회전되면 걸림턱의 후방에 잠금봉의 끝단이 위치하며, 함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내측 테두리에는 근접 센서가 장착되어 근접 센서에 의해 커버의 개폐 여부가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커버의 전방에서 회전축을 회전시켜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잠금봉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커버의 잠금 또는 커버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옥내 소화전 내부에 수용된 소화용 기구의 도난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Indoor fire hydrant for building}
본 발명은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 내부의 화재 발생시 신속히 화재를 진화하기 위해 건축물의 실내 벽면에 매립되는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은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법정 시설물로서, 소화전에 구비된 비상 발신기를 통해 건축물에 발생한 화재 사실을 해당 건축물의 거주자들에게 알리는 기능과 더불어 방수구, 소방 호스 및 관창 등의 소화용 기구가 내부에 설치되어 신속한 응급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화전을 옥내 소화전 또는 소형 소화전이라 지칭하는데, 이러한 옥내 소화전은 건축물 내부의 복도 또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소화전 함체 내부에 방수구, 소방 호스 및 관창 등의 소화용 기구가 수용되어 있다.
이에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옥내 소화전의 비상 발신기를 눌러 알람 등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비상 상황을 인지시키고 소화전의 커버를 개방하여 방수구의 밸브를 열고, 소방 호스를 이용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한다.
한편, 종래의 옥내 소화전은 소화전 함체의 전면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가 소화전 함체에 힌지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화전 함체에 힌지결합된 커버는, 평상시 별도의 잠금장치에 의해 잠금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커버를 개방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렇게 아무나 옥내 소화전의 커버를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소화전 함체 내부에 구비된 고가의 소화용 기구의 분실 또는 훼손 우려가 있고, 화재 상항이 발생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들이 장난으로 소화용 기구를 조작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9439호(2019년 12월 26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커버의 전방에서 회전축을 회전시켜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잠금봉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커버의 잠금 또는 커버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된 잠금부재의 요홈에 지렛대 운동되는 잠금바가 안착되도록 하여 회전축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으로서, 건축물의 실내 내벽에 형성된 매립 공간의 내측에 삽입되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이며,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방이 개방된 전면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전방 일측에 힌지축을 매개체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하여 함체의 전면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 및 상기 함체의 내부 수용공간을 향해 상기 커버를 수평으로 관통하되, 일단은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커버의 전방으로 노출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정역회전되도록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된 수동 핸들과, 회전축에 직교한 상태로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잠금봉을 구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함체에는 상기 전면 개구부의 내측 테두리에서 함체의 중앙을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전면에 상기 커버의 후면 테두리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이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걸림턱의 후방에 상기 잠금봉의 끝단이 위치하며, 상기 함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내측 테두리에는 근접 센서가 장착되어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가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마련되며, 압축 공기가 내부에 저장되고 외측면에는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공기 탱크, 상기 공기 탱크에 구비된 배출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일단이 연결되어 압축 공기가 이송되며, 타단에는 분사 노즐이 장착되어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하기 이송 배관 내부로 압축 공기가 하향 분사되는 주름 호스, 상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하가 개방되고 횡단면이 사각인 중공의 이송 배관, 상기 이송 배관의 하단 테두리 일측에 힌지축을 매개체로 힌지결합되며, 이송 배관 내부로 하향 분사되는 압축 공기의 분사 압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지렛대 운동되는 잠금바 및 상기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의 내측에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가 상기 잠금부재의 요홈의 내측에 안착되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제한되고, 잠금바의 타단부가 압축 공기에 의해 하향 가압되어 잠금바의 일단부가 잠금부재의 요홈에서 상향 이탈되면, 회전축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는 상기 공기 탱크의 배출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체의 외측에 구비된 작동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온(On) 동작 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가동되어 상기 공기 탱크의 배출부가 개방되며,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근접 센서에 상기 커버가 비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의 가동이 중단되어 상기 공기 탱크의 배출부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커버의 전방에서 회전축을 회전시켜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잠금봉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커버의 잠금 또는 커버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옥내 소화전 내부에 수용된 소화용 기구의 도난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된 잠금부재의 요홈에 압축 공기에 의해 지렛대 운동되는 잠금바가 안착되도록 하여 회전축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 상황시에서만 커버가 개방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을 나타낸 내부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에서 개폐수단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 및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을 나타낸 작동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에서 제어부와 각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을 나타낸 내부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에서 개폐수단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 및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을 나타낸 작동 상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에서 제어부와 각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은, 함체(10), 커버(20) 및 개폐수단(3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함체(10)는,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방이 개방된 전면 개구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이다. 이때, 함체(10)는 폭 보다 상하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함체(10)는 건축물의 실내 내벽에 형성된 매립 공간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함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방수구, 소방 호스 및 관창 등의 소화용 기구가 수용된다.
그리고, 함체(10)의 외측 상부에는 기동장치(P형 발신기), 적색표시등, 펌프기동 표시기등 및 음향장치 등이 구비된 컨트롤러 박스가 함체(10)와 마찬가지로 매립 공간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함체(10)에는 전면 개구부의 내측 테두리에서 함체(10)의 중앙을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된 걸림턱(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11)의 전면에 후술하는 커버(20)의 후면 테두리가 접촉되면서 함체(10)의 전면 개구부가 폐쇄되는 것이다.
커버(20)는, 함체(10)의 전면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함체(10)의 전방 일측에 힌지축(h1)을 매개체로 함체(10)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커버(20)는 힌지축(h1)을 회동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함체(10)의 전면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이때, 함체(10)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내측 테두리에는 근접 센서(12)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근접 센서(12)에 의해 커버(20)의 개폐 여부가 감지되는 것이다.
부연하면, 커버(20)에 의해 함체(10)의 전면 개구부가 폐쇄되면 커버(20)의 외측 테두리가 근접 센서(12)에 의해 감지되고, 반대로 함체(10)의 전면 개구부가 개방되면 커버(20)의 외측 테두리가 근접 센서(12)에 의해 비 감지되는 것이다.
개폐수단(30)은, 커버(20)를 함체(10)에 잠금시키거나 함체(10)에서 커버(2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31)과 수동 핸들(32)과 잠금봉(33)을 구비한다.
회전축(31)은, 함체(10)의 내부 수용공간을 향해 커버(2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커버(2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렇게 커버(20)를 관통한 회전축(31)의 일단은 커버(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축(31)의 타단은 커버(2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로 커버(20)에 장착된다.
수동 핸들(32)은, 사용자가 커버(20)의 전방에서 회전축(31)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커버(20)의 전방으로 노출된 회전축(31)의 타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수동 핸들(32)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좀 더 용이하게 수동 핸들(3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돌부(32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잠금봉(33)은, 회전축(31)에 직교한 상태로 회전축(31)에 일체로 형성되며 커버(20)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잠금봉(33)은 회전축(3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부연하면, 커버(20)가 함체(10)의 전면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20)의 전방에서 수동 핸들(32)을 파지한 다음 회전축(31)을 일방향 회전시켜 걸림턱(11)의 후방에 잠금봉(33)의 끝단을 위치시키면, 사용자가 수동 핸들(32)을 잡아당겨 커버(20)를 열고자 하더라도 잠금봉(33)의 끝단이 함체(10)에 형성된 걸림턱(11)에 걸려 커버(20)가 열리지 않는 잠금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커버(20)에 의해 함체(10)의 전면 개구부가 폐쇄된 잠금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20)의 전방에서 수동 핸들(32)을 파지한 다음 회전축(31)을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턱(11)의 후방에 위치한 잠금봉(33)의 끝단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커버(20)를 열 수 있는 커버(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은, 공기 탱크(40), 솔레노이드 밸브(50), 주름 호스(60), 이송 배관(70), 잠금바(80) 및 잠금부재(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 탱크(40)는, 함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마련되며, 압축 공기가 내부에 저장된다. 이러한 공기 탱크(40)의 외측면에는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41)가 구비된다.
솔레노이드 밸브(50)는, 공기 탱크(40)에 구비된 배출부(41)에 장착되며, 공기 탱크(4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부(4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50)의 흡기구에 배출부(41)가 결합된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50)에는 공기 탱크(40)의 배출부(41)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50)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함체(10)의 외측의 컨트롤러 박스에 구비된 작동 스위치(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커버(20)에 의해 함체(10)의 전면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110)를 온(On) 동작시키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50)가 가동되어 공기 탱크(40)의 배출부(41)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110)를 오프(Off) 동작시키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50)의 가동이 중단되어 공기 탱크(40)의 배출부(41)가 폐쇄되는 것이다.
주름 호스(60)는, 길이가 신축 연장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50)의 배기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주름 호스(60)를 통해 압축 공기가 이송된다.
그리고, 주름 호스(60)의 타단에는 이송되는 압축 공기가 외부로 분사되는 분사 노즐(61)이 장착된다. 이러한 분사 노즐(61)을 통해 후술하는 이송 배관(70)의 내부로 압축 공기가 하향 분사되는 것이다.
이송 배관(70)은, 커버(2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하가 개방되고 횡단면이 사각인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잠금바(80)는, 이송 배관(70)의 하단 테두리 일측에 힌지축(h2)을 매개체로 수평하게 힌지결합된다. 여기서 일측이란 커버(20)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이송 배관(70) 하단의 전면 테두리를 지칭한다.
부연하면, 잠금바(80)는 이송 배관(7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축(h2)을 기준으로 잠금바(80)의 일단부의 길이 보다 잠금바(80)의 타단부의 길이가 더 짧은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잠금바(80)의 일단부의 높이 보다 타단부의 높이가 더 높은 위치가 된다.
즉, 이송 배관(70)의 상측 개구부에 위치한 분사 노즐(61)을 통해 이송 배관(70) 내부로 하향 분사되는 압축 공기의 분사 압력에 의해 잠금바(80)는 상하 방향으로 지렛대 운동되는 것이다.
잠금부재(90)는, 회전축(31)의 외측을 감싸는 원기둥의 형태로 회전축(31)에 일체로 형성되며 커버(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잠금부재(90)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9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요홈(91)의 내측에 잠금바(80)의 일단부가 자중에 의해 안착된다. 즉, 잠금부재(90)의 상측에 이송 배관(70)의 하단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잠금바(80)의 일단부가 잠금부재(90)의 요홈(91)의 내측에 자중에 의해 안착되면, 잠금바(80)에 의해 회전축(31)의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이렇게 커버(20)에 의해 함체(10)의 전면 개구부가 폐쇄되고 회전축(31)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110)를 온(On) 동작시키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50)가 가동되어 공기 탱크(40)의 배출부(41)가 개방되고, 주름 호스(60)의 분사 노즐(61)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 공기가 이송 배관(70)의 내부로 하향 분사되면, 잠금바(80)의 타단부가 압축 공기에 의해 하향 가압되어 잠금바(80)의 일단부는 잠금부재(90)의 요홈(91)에서 상향 이탈된다.
이렇게 잠금바(80)의 지렛대 운동으로 잠금부재(90)의 요홈(91)에서 잠금바(80)의 일단부가 상향 이탈되면 회전축(31)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회전축(31)을 회전시켜 커버(20)를 열 수 있게 된다.
이때, 근접 센서(12)는 제어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근접 센서(12)에 커버(20)가 비 감지되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50)의 가동이 중단되어 공기 탱크(40)의 배출부(41)가 폐쇄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함체(10)에서 커버(20)가 열리면, 근접 센서(12)에 커버(20)의 외측 테두리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게 되고, 이러한 비 감지 신호가 제어부(100)에 수신되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50)의 가동이 중단되면서 공기 탱크(40)의 배출부(41)가 폐쇄되어 공기 탱크(40)에서 압축 공기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함체 11: 걸림턱
12: 근접 센서 20: 커버
30: 개폐수단 31: 회전축
32: 수동 핸들 33: 잠금봉
40: 공기 탱크 41: 배출부
50: 솔레노이드 밸브 60: 주름 호스
61: 분사 노즐 70: 이송 배관
80: 잠금바 90: 잠금부재
91: 요홈 100: 제어부
110: 작동 스위치 h1, h2: 힌지축

Claims (4)

  1. 건축물의 실내 내벽에 형성된 매립 공간의 내측에 삽입되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이며,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방이 개방된 전면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전방 일측에 힌지축을 매개체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하여 함체의 전면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 및
    상기 함체의 내부 수용공간을 향해 상기 커버를 수평으로 관통하되, 일단은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커버의 전방으로 노출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정역회전되도록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된 수동 핸들과, 회전축에 직교한 상태로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잠금봉을 구비한 개폐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함체에는 상기 전면 개구부의 내측 테두리에서 함체의 중앙을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전면에 상기 커버의 후면 테두리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이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걸림턱의 후방에 상기 잠금봉의 끝단이 위치하며,
    상기 함체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의 내측 테두리에는 근접 센서가 장착되어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가 감지되며,
    상기 함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마련되며, 압축 공기가 내부에 저장되고 외측면에는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공기 탱크;
    상기 공기 탱크에 구비된 배출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일단이 연결되어 압축 공기가 이송되며, 타단에는 분사 노즐이 장착되어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하기 이송 배관 내부로 압축 공기가 하향 분사되는 주름 호스;
    상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하가 개방되고 횡단면이 사각인 중공의 이송 배관;
    상기 이송 배관의 하단 테두리 일측에 힌지축을 매개체로 힌지결합되며, 이송 배관 내부로 하향 분사되는 압축 공기의 분사 압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지렛대 운동되는 잠금바; 및
    상기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의 내측에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잠금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가 상기 잠금부재의 요홈의 내측에 안착되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제한되고, 잠금바의 타단부가 압축 공기에 의해 하향 가압되어 잠금바의 일단부가 잠금부재의 요홈에서 상향 이탈되면, 회전축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는 상기 공기 탱크의 배출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체의 외측에 구비된 작동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위치가 온(On) 동작 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가동되어 상기 공기 탱크의 배출부가 개방되며,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근접 센서에 상기 커버가 비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의 가동이 중단되어 상기 공기 탱크의 배출부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KR1020200167795A 2020-12-03 2020-12-03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KR102210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95A KR102210353B1 (ko) 2020-12-03 2020-12-03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95A KR102210353B1 (ko) 2020-12-03 2020-12-03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353B1 true KR102210353B1 (ko) 2021-02-01

Family

ID=7457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795A KR102210353B1 (ko) 2020-12-03 2020-12-03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444B1 (ko) 2022-10-04 2023-07-03 주식회사 반석기술단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70B1 (ko) * 2006-05-16 2006-12-05 (주)현대정밀 도어의 잠금장치
KR101443866B1 (ko) * 2013-08-27 2014-09-23 중경기술주식회사 소방함
KR102059439B1 (ko) 2018-03-10 2019-12-26 임성호 소화교육용 옥내 소화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70B1 (ko) * 2006-05-16 2006-12-05 (주)현대정밀 도어의 잠금장치
KR101443866B1 (ko) * 2013-08-27 2014-09-23 중경기술주식회사 소방함
KR102059439B1 (ko) 2018-03-10 2019-12-26 임성호 소화교육용 옥내 소화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제10-0653970호(2006.12.05.)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1443866호(2014.09.23.)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444B1 (ko) 2022-10-04 2023-07-03 주식회사 반석기술단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0319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
KR102210353B1 (ko)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JP6095061B2 (ja) 消火栓装置
KR100921788B1 (ko) 도로터널용 소화전함
KR101443866B1 (ko) 소방함
KR102217553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JP5015864B2 (ja) 消火栓装置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JP6258631B2 (ja) 消防用設備及び消火栓装置
JP2010038397A (ja) 換気口の開閉機構
KR102462628B1 (ko) 소화수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소방 경보장치
KR101839105B1 (ko) 회전식 노브를 구비한 소형 소화기
JP7026722B2 (ja) 消火栓装置
JP2010057778A (ja) 消火装置
JP7262555B2 (ja) 放水銃装置
JP2013022343A (ja) 消火栓装置及び消火栓弁
JP2011050414A (ja) 消火装置
JP5161679B2 (ja) 消火栓装置
US20210187335A1 (en) Small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rotary knob at the top
JP2619690B2 (ja) 消火栓用ノズルの構造
JP2005171615A (ja) 施錠装置
JP2001009052A (ja) トンネル用消火栓装置
CN111022391B (zh) 出渣门联锁气动控制系统
KR200448696Y1 (ko) 옥내소화전 방수구
JP3799569B2 (ja) 消火用ノズルを備えた消火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