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970B1 - 도어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970B1
KR100653970B1 KR1020060043903A KR20060043903A KR100653970B1 KR 100653970 B1 KR100653970 B1 KR 100653970B1 KR 1020060043903 A KR1020060043903 A KR 1020060043903A KR 20060043903 A KR20060043903 A KR 20060043903A KR 100653970 B1 KR100653970 B1 KR 100653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rotary rod
locking member
rot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덕
Original Assignee
(주)현대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정밀 filed Critical (주)현대정밀
Priority to KR102006004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넷 도어의 핸들 잠금 구조가 개선된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는 설치홀이 형성된 도어 외면에 고정되며 중공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설치홀을 통과하여 도어의 내면으로 관통되는 회전로드와, 회전로드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가이드로드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로드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걸림부재와, 하우징에 마련되고 두 개 이상의 제1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 잠금부재 및 고정 잠금부재의 제1 고정홀과 대응되고 두 개 이상의 제2 고정홀이 형성되며, 회전로드의 회전운동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 잠금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는 여러 작업이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작업 중 고압의 전원이나 가스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된 캐비넷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위한 캐비넷의 개방이 모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의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for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의 제1 실시예의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의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실시예의 하우징의 가이드홈과 스토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2 실시예의 조립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3 실시예의 조립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캐비넷 2; 도어 3; 본체 10; 도어의 잠금장치
20; 하우징 22; 중공부 23; 가이드홈 24; 결합부
30; 회전로드 31; 스토퍼
40; 손잡이 41; 삽입홀 42; 파지부
50; 결합부재 60; 걸림부재
70; 고정 잠금부재 80; 회전 잠금부재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캐비넷 도어의 핸들 잠금 구조가 개선된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의 가스 또는 고압의 전원 등을 단속하기 위해 컨트롤러가 설치된 캐비넷에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비 관계자가 상기 컨트롤러를 임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캐비넷의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는 대부분 도어 핸들의 힌지축과 연계하여 내장되어 있으며 힌지축 부위에 키 홀이 형성되어 잠금장치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장치는 핸들의 힌지축과 연계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핸들에 무리한 외력이 가해지면 핸들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296148호에는 도어용 핸들의 시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용 핸들의 시건장치는 핸들의 하단 절곡부위에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된 잠금돌기부가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기부와 대응되는 도어의 일측에 잠금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자물쇠를 통해 상기 잠금돌기부와 잠금걸림부를 체결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396766호에는 전자통신 장비용 캐비넷의 도어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외측에 회전 가능한 핸들이 설치되고, 내측에는 핸들의 회전에 따라 본체측에 고정되거나 해체되도록 핸들의 회전핀에 연결된 탄성 고정핀이 설치되어 도어를 개방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어를 개폐하는 핸들에 이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나, 하나의 자물쇠에 의해 잠겨져 있으므로 열쇠를 가진 사람이 자물쇠를 풀면 도어의 개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고압의 전원이나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컨트롤러에 연계된 공사나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각 구간이나 작업 분야에 따라 작업의 종료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 시점이 달라진다. 이 경우 모든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시점에서 먼저 작업을 마친 감독자나 작업자가 도어를 개방하고 컨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전원 공급이나 가스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작업자 또는 작업팀이 연계된 작업이 이루어질 때, 모든 작업이 완료되거나 모든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시점에서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물쇠를 핸들에 채우거나 푸는 작업이 용이한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는 설치홀이 형성된 도어 외면에 고정되며 중공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설치홀을 통과하여 도어의 내면으로 관통되는 회전로드와, 회전로드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회전로드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로드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걸림부재와, 하우징에 고정되고 두 개 이상의 제1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 잠금부재 및 고정 잠금부재의 제1 고정홀과 대응되는 두 개 이상의 제2 고정홀이 형성되며, 회전로드의 회전운동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 잠금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고정홀과 제2 고정홀은 자물쇠의 체결 방향이 도어의 외면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며, 하우징의 중공부에는 소정 각도만큼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중공부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로드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서 유동하여 회전로드의 회전범위를 소정 각도로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10)는 고압의 전원 또는 가스의 공급을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된 배전반 또는 캐비넷(1)의 잠금장치로 사용된다. 특히 여러 작업이 연계되는 공사나 작업에 있어서 각각의 종료 시점이 달라 모든 작업자의 안전이 확인된 후에 도어(2)를 개방할 필요가 있는 캐비넷(1)의 경우 각 작업의 작업자나 관리자가 도어(2)의 잠금장치(10)에 체결되는 각 자물쇠(6)의 열쇠를 소지하도록 하여 모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10)는 도어(2)의 외면에 고정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로드(30)와, 상기 회전로드(30)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로드(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손잡이(40)와, 도어(2)의 내면에서 하우징(20)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재(50)와, 회전로드(30)의 후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걸림부재(60)와, 상기 하우징(20)에 고정되며 세 개의 제1 고정홀(71)이 형성된 고정 잠금부재(70) 및 상기 손잡이(40)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홀(71)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 세 개의 제2 고정홀(81)을 가지는 회전 잠금부재(8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20)의 도어(2)의 외면과 접촉하는 본체(21)면에 복수개의 고정돌기(2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돌기(21a)가 도어(2)의 설치홀(4)의 주변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5)에 각각 삽입된다. 또한 하우징(20)은 회전로드(30)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부(22)를 가지며, 중공부(22)는 도어(2)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는 회전로드(30)가 도어(2)의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차 지게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의 중공부(22)의 전단에는 약 90도의 가이드홈(23)이 형성된다. 하우징(20)의 후단에는 결합부재(5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 이 형성된 결합부(24)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로드(30)는 하우징(20)의 중공부(2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단차진 중공부(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22)에 대응하는 직경과 형상을 갖는다. 회전로드(30)의 외면에는 가이드홈(23)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스토퍼(31)가 형성되어 회전로드(30)의 회전이 상기 가이드홈(23)이 형성된 각도 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제한한다. 또한 회전로드(30)의 후단부에는 걸림부재(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40)에는 회전로드(30)의 전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41)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40)의 하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회전로드(30)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파지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50)는 하우징(20)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부(24)에 나사결합되어 하우징(20)을 도어(2)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결합부(24)의 외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을 가지며 외면은 스패너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나사결합시킬 수 있도록 육각 너트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60)는 도어(2)의 내면에서 본체(3) 또는 본체(3)에 설치된 걸림부에 결합(폐쇄위치) 및 분리(개방위치)되어 도어(2)를 본체(3)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회전로드(30)의 나사산(32)에 나사결합된다. 회전로드(30)의 나사산(32)에는 상기 걸림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부재(60)의 양측으로 너트(61)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 잠금부재(70)는 원 호 형상으로 하우징(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자물쇠(6)의 체결 방향이 도어(2)의 외면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된 세 개의 제1 고정홀(71)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 잠금부재(80)는 손잡이(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잠금부재(70)의 하면에서 손잡이(40)의 회전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 잠금부재(80)에는 상기 세 개의 제1 고정홀(71)에 각각 대응하는 세 개의 제2 고정홀(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6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고정 잠금부재(70)의 제1 고정홀(71)이 회전 잠금부재(80)의 세 개의 제2 고정홀(81)과 각각 일치되도록 함으로써세 개의 제1 및 제2 고정홀(71,81)에 세 개의 자물쇠(6)를 채워 자물쇠에 대한 열쇠를 가지지 않은 관계자 이외의 사람들이 도어(2)를 열고 캐비넷(1) 내부의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캐비넷(1)의 개방을 위해서는 각 자물쇠(6)를 모두 풀어야 하므로, 관련 작업들이 모두 완료된 후 또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모두 확인한 후에 각 열쇠 관리자의 동의하에 캐비넷(1)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물쇠(6)의 체결 방향이 도어(2)의 외면과 수평(즉, 도 4의 화살표 "A" 방향)이 되므로, 도어(2)의 외면과 제1 및 제2 고정홀(71,81) 사이의 거리(L)가 좁은 경우에도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자물쇠(6)를 채우거나 푸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회전로드(3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기술 수단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전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3)과, 중공부(22)에 인입되는 회전로드(30)의 외면에 형성된 스토퍼(31)에 의해 회전로드(30)의 회전범위가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31)는 성형된 회전로드(30)의 외면에 돌출부재를 나사 결합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스토퍼(3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로드(30)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로드(30)의 회전범위를 상기 가이드홈(23)의 형성 각도 내로 한정할 수 있는 다양한 스토퍼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2)의 잠금장치(110)는 도어(2)의 외면에 고정되는 하우징(120)과,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로드(30)와, 회전로드(30)의 전단부에 회전로드(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손잡이(140)와, 도어(2)의 내면에서 하우징(120)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재(50)와, 회전로드(30)의 후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걸림부재(60)와, 상기 하우징(120)에 연결되며 세 개의 제1 고정홀(171)이 형성된 고정 잠금부재(170) 및 상기 손잡이(14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고정홀(171)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 고정홀(181)을 가지는 회전 잠금부재(180)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110)는 자물쇠(6)의 체결 방향이 도어(2)의 외면과 수직이 되도록 고정 및 회전 잠금부재(180)의 제1, 제2 고정홀(171,18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110)는 고정 잠금부재(170) 및 회전 잠금부재(180)가 단순히 원판 형상에 세 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이점을 제공한다.
제2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앞선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므로 동일 부호로 표시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제3 실시예의 도어의 잠금장치(210)는 도어(2)의 외면에 고정되는 하우징(220)과, 하우징(2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로드(30)와, 도어(2)의 내면에서 하우징(220)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재(50)와, 회전로드(30)의 후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걸림부재(60)와, 상기 하우징(220)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네 개의 제1 고정홀(271)이 형성된 고정 잠금부재(270)와, 상기 회전로드(30)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로드(3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1 고정홀(71)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 고정홀(281)을 가지는 손잡이(24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잠금부재(270)는 하우징(220)의 전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고정 잠금부재(270)에는 네 개의 제1 고정홀(2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홀(271)에 대응되는 네 개의 제2 고정홀(281)은 손잡이(24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손잡이(240)의 파지부(280)는 회전 잠금부재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제3 실시예의 도어의 잠금장치(210)의 하우징(220)에 연결된 고정 잠금부 재(270)는 핸들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어(2)를 여닫기 위한 파지부의 사용 편의성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손잡이(240)가 회전 잠금부재(280)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도어(2) 전면의 구조가 간단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손잡이(240)는 걸림부재(6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고정 잠금부재(270)와 동일 위치에 배열되므로 손잡이(24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잡이(240)의 측면에는 밀판(243)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앞선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기능과 구조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제1, 제2 고정홀(71,81)(171,181)(271,281)의 갯수는 세 개 및 네개로 한정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연계된 작업의 숫자를 고려하여 적당한 갯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는 다수의 작업자 또는 작업팀이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작업 중 고압의 전원이나 가스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된 캐비넷의 개방이 모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 이다.

Claims (3)

  1. 설치홀이 형성된 도어 외면에 고정되며 중공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설치홀을 통과하여 도어의 내면으로 관통되는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회전로드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로드에 의해 회전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두 개 이상의 제1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 잠금부재의 제1 고정홀과 대응되는 두 개 이상의 제2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로드의 회전운동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 잠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홀과 제2 고정홀은 자물쇠의 체결 방향이 도어의 외면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는 소정 각도만큼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로드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서 유동하여 상기 회전로드의 회전범위를 상기 소정 각도로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KR1020060043903A 2006-05-16 2006-05-16 도어의 잠금장치 KR100653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03A KR100653970B1 (ko) 2006-05-16 2006-05-16 도어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03A KR100653970B1 (ko) 2006-05-16 2006-05-16 도어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970B1 true KR100653970B1 (ko) 2006-12-05

Family

ID=3773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903A KR100653970B1 (ko) 2006-05-16 2006-05-16 도어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9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353B1 (ko) * 2020-12-03 2021-02-0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GB2584118B (en) * 2019-05-22 2023-08-09 Storm Environmental Ltd Loc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4118B (en) * 2019-05-22 2023-08-09 Storm Environmental Ltd Locks
KR102210353B1 (ko) * 2020-12-03 2021-02-0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230B2 (en) Lockable rotary operating handle such device
US10345849B2 (en) Rotary control system for a device
US11725436B2 (en) Electrical panelboard guard with coupled members
JP4927023B2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KR100653970B1 (ko) 도어의 잠금장치
JPS61210412A (ja) 施錠可能な機素駆動機構
KR100750580B1 (ko) 문짝용 핸들의 로크 장치
KR101200393B1 (ko) 밸브핸들의 부정한 조작을 방지하는 밸브핸들용 보호캡
KR200468380Y1 (ko) 다중 잠금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도어핸들
KR100864701B1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KR101461460B1 (ko) 가스 실린더용 캡 구조체
KR101609853B1 (ko) 컨트롤 센터의 드로워 유닛 록킹 어셈블리
KR200344016Y1 (ko) 유리문의 손잡이 고정장치
JP5082465B2 (ja)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US20020139646A1 (en) Circuit breaker lockout device
KR200301903Y1 (ko) 잠금장치
AU2014100036B4 (en) Lock fitting for a circuit protection device
EP3330460A1 (en) A latch assembly
KR102597473B1 (ko) 보안성이 강화된 지상기기의 잠금장치
KR100866892B1 (ko) 잠금장치
US20220364669A1 (en) Lockout Device
KR101572039B1 (ko) 미닫이 창호의 방범강화용 잠금장치
GB2511397A (en) Lock device
KR200206489Y1 (ko) 밸브의 임의조작 방지장치
KR20010049532A (ko) 개구부 로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