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892B1 -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892B1
KR100866892B1 KR1020080048473A KR20080048473A KR100866892B1 KR 100866892 B1 KR100866892 B1 KR 100866892B1 KR 1020080048473 A KR1020080048473 A KR 1020080048473A KR 20080048473 A KR20080048473 A KR 20080048473A KR 100866892 B1 KR100866892 B1 KR 100866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ain body
latch
locking
op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102008004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를 출입하도록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며 일측에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빗장, 상기 슬라이딩부에 삽입되는 회전캠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상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와 빗장 사이에 설치되는 작동부재,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며 키가 삽입되는 키홀 부분이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빗장의 출입이 조정되므로 키의 파손을 방지하며 조작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잠금장치, 맨홀, 화학공장, 안전사고방지, 빗장

Description

잠금장치{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집진기의 맨홀이나 화학공장의 도어와 같이 중량감 있는 도어에 적용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전력을 사용하는 전기기구일수록 보수 및 점검이 필수적이며, 이 작업을 위해 작업자는 전기통제실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기를 내려 전원을 차단한 후, 전기기구가 설치된 장소인 맨홀 내에서 보수 및 점검을 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작업하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제3자가 전기통제실의 차단기를 ON 시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인사사고나 전기기구에 큰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 빈번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전기통제실에 설치된 차단기의 전원을 단속하는 차단기단속키를 인출하여 전원을 OFF 시킨 후 맨홀의 도어를 단속하는 잠금장치의 키를 보관하는 키교환장치를 차단기단속키로 개방하고, 개방된 키교환장치에 결합되어 있는 잠금장치의 키를 인출하여 맨홀의 도어를 개방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맨홀에 결합된 잠금장치의 키를 인출해야 전기통제실의 전원을 ON 시킬 수 있으므로 제3자가 OFF되어 있는 전기통제실의 차단기를 ON상태로 위치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인사사고 및 전기기구의 고장을 방지한다.
즉, 키교환장치를 개방한 차단기단속키는 잠금장치의 키를 삽입하여야 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보수 및 점검이 끝난 상태에서 맨홀 도어의 잠금장치를 잠근 후에 잠금장치의 키를 키교환장치에 삽입하여 돌려줌으로써 차단기 단속키는 인출되어 전기통제실의 차단기를 ON 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맨홀에는 중량감 있는 대형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를 잠금하기 위해서는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 또한 대형 빗장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잠금장치는 키의 회전에 의해 빗장의 출입이 이루어지므로상기 키에 큰 하중이 걸리게 되어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큰 하중이 걸리는 키를 작업자가 조작하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빗장의 출입이 조정되므로 키의 파손을 방지하며 조작이 용이한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집진기의 맨홀이나 화학공장의 출입구와 같이 안전사고가 일어나기 쉬운 곳에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를 출입하도록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며 일측에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빗장, 상기 슬라이딩부에 삽입되는 회전캠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상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와 빗장 사이에 설치되는 작동부재,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며 키가 삽입되는 키홀 부분이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에는 록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키박스에는 상기 키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록킹홈을 출입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의 상부에는 걸림구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에는 스프링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과 대향하는 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프링 모듈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삽입홈은 빗장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에는 상기 키홀 부분을 감싸도록 힌지결합되는 덮개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본체와 덮개 사이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장에는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빗장의 출입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빗장의 출입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에 따르면,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빗장의 출입이 조정되므로 키의 파손을 방지하며 조작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에 따르면, 키홀부분에 덮개를 설치함으로써 먼지자 많이 발생하는 전기집진기의 맨홀이나 화학공장의 도어에 설치하여도 먼지 등에 의한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키와 키홀 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A)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출입되도록 설치되는 빗장(200)과, 상기 빗장(200)에 결합되는 작동부재(300)와, 상기 작동부재(300) 결합되며 작동부재(300)를 회전시키는 손잡이(330) 및 상기 작동부재(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키박스(4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에는 빗장(200) 및 작동부재(300)가 설치되도록 수용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10)의 일측으로 개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0)의 상면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11)이 형성된 상기 수용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공(111)의 주위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111)과 대향하는 수용부(110) 일측 즉, 상기 개구부(112) 쪽에는 키박스(400)가 설치되며, 상기 키박스(400)가 설치되는 본체(100)의 상면에는 덮개(130)가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와 덮개(130)가 힌지결합된 부위에는 리턴스프링(131)이 설치되어 상기 덮개(130)를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하부 즉, 수용부(110)의 개방된 하부는 커버(140)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빗장(200)은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출입하도록 상기 수용부(1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빗장(200)에는 슬라이딩부(2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210)는 빗장(200)의 출입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기 빗장(200)에는 걸림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빗장(200)이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제한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300)는 상기 빗장(200)과 본체(100) 상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210)내에 삽입되는 회전캠(310)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캠(310)은 원형의 작동부재(30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편심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300)의 상단에는 결합구(32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3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111)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단으로 돌출된 결합홈(320)에는 손잡이(330)가 결합되는데, 상기 손잡이(33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구(320)에 대응되는 결합홈(3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331)과 결합구(320)는 서로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작동부재(300)의 일측에는 록킹홈(340)이 형성되는데, 상기 락킹홈(340)은 작동부재(300)의 외측면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작동부재(300)의 상면에는 볼스프링 모듈(350)이 설치되며, 상기 볼스프링 모듈(350)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볼을 구비하여 상기 삽입홈(113)에 삽입 또는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볼스프링 모듈(350)과 삽입홈(113)의 삽입 또는 이탈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300) 및 손잡이(330)는 작업자가 힘을 가해주지 않으면 회전하지 않으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작동부재(300) 및 손잡이(330)는 양방향으로 180도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볼스프링 모듈(350) 및 삽입홈(113)도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력을 인가하는 볼스프링 모듈(350)은 이미 종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내부 구조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키박스(400)는 작동부재(3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록킹홈(340)에 대응되는 스토퍼(410)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410)는 키(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록킹홈(340)을 출입하여 상기 작동부재(3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키박스(400)에서 키(420)가 꼽히는 키홀 부분은 상기 덮개(130)가 설치된 본체(100) 상면 즉, 안착부(120)를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키박스(400)는 스토퍼(410)가 상기 록킹홈(340)에 삽입된 상태에 서만 키(420)가 뽑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410)가 상기 록킹홈(34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키(420)가 인출되지 않으며, 이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A)가 잠긴 상태에서만 키가 뽑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키박스(400)는 이미 종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내부 구조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A)는 보통 전기집진기의 맨홀 도어나 화학공장의 도어와 같이 안전사고가 일어나기 쉬운 곳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빗장(200)이 돌출된 경우 도어가 잠겨져 있는 상태로서, 이때 상기 키박스(400)의 스토퍼(410)는 작동부재(300)의 록킹홈(340)에 삽입되어 있으며 손잡이(330) 및 작동부재(300)는 회전불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본 발명의 잠금장치(A)는 상기 빗장(200)의 돌출에 의해 잠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맨홀 도어의 내부 및 화학공장의 도어에 출입하기 위해서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키(420)를 키박스(400)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스토퍼(410)가 록킹홈(340)에서 이탈되고 손잡이(330) 및 작동부재(300)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손잡이(330)를 도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부재(300)에 구비된 회전캠(310)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편심된 회전캠(310) 은 슬라이딩부(210) 내에서 이동하면서 돌출된 빗장(200)을 개구부(112) 내측의 수용부(110) 안으로 인입시켜 도어의 잠김을 해제한다.
한편, 상기 빗장(200)이 개구부(112) 내측으로 전부 인입되면 상기 작동부재(300)의 볼스프링 모듈(340)이 수용부(110)의 삽입홈(113)에 결합되어 작동부재(300) 및 손잡이(330)의 유동이 방지되며 잠김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키박스(400)의 키홀에 삽입된 키(420)는 돌아가거나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보수 및 점검이 종료된 후 도어를 잠그려면, 상기 손잡이(330)를 전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 즉,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작동부재(300)에 형성된 회전캠(31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슬라이딩부(210)에 삽입된 편심된 회전캠(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빗장(200)은 개구부(112)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는 다시 잠기게 된다.
이후, 상기 키(420)를 돌려 스토퍼(410)를 록킹홈(340)에 삽입시켜 상기 손잡이(330) 및 작동부재(300)를 회전 불가한 상태로 한 다음 상기 키(420)를 키박스(400)로부터 뽑아낸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잠금장치 100 - 본체
200 - 빗장 300 - 작동부재
400 - 키박스

Claims (9)

  1.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를 출입하도록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며 일측에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빗장;
    상기 슬라이딩부에 삽입되는 회전캠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상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와 빗장 사이에 설치되는 작동부재;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며 키가 삽입되는 키홀 부분이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에는 록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키박스에는 상기 키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록킹홈을 출입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상부에는 걸림구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에는 스프링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과 대향하는 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프링 모듈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빗장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키홀 부분을 감싸도록 힌지결합되는 덮개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본체와 덮개 사이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빗장에는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빗장의 출입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빗장의 출입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KR1020080048473A 2008-05-26 2008-05-26 잠금장치 KR100866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473A KR100866892B1 (ko) 2008-05-26 2008-05-26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473A KR100866892B1 (ko) 2008-05-26 2008-05-26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892B1 true KR100866892B1 (ko) 2008-11-04

Family

ID=4028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473A KR100866892B1 (ko) 2008-05-26 2008-05-26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08Y1 (ko) * 2013-03-15 2014-09-26 오충곤 도어록의 잠금봉 밀림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672A (ko) * 2003-02-28 2003-03-19 주식회사 정원주철 맨홀 뚜껑 잠금장치
KR20040027122A (ko) * 2002-09-27 2004-04-01 주식회사 케이티 노면형 뚜껑 잠금장치
KR20050011308A (ko) * 2003-07-22 2005-01-29 이재현 맨홀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122A (ko) * 2002-09-27 2004-04-01 주식회사 케이티 노면형 뚜껑 잠금장치
KR20030023672A (ko) * 2003-02-28 2003-03-19 주식회사 정원주철 맨홀 뚜껑 잠금장치
KR20050011308A (ko) * 2003-07-22 2005-01-29 이재현 맨홀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08Y1 (ko) * 2013-03-15 2014-09-26 오충곤 도어록의 잠금봉 밀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3291A (en) Security locking system
US20170247914A1 (en) Keyless lock system
JP2009500544A (ja) 入り口バリアのための保安システム
US20080047308A1 (en) Handle Assembly
CN103774932A (zh) 一种室内门锁
KR100866892B1 (ko) 잠금장치
CN203856291U (zh) 一种室内门锁
KR101431839B1 (ko) 슬라이딩 타입 도어를 구비하는 분전함
RU73679U1 (ru) Крышка запорная люка смотрового колодца
US20120186953A1 (en) Switch-lock fitting and control device
KR101022387B1 (ko) 일괄 잠금수단을 구비한 캐비넷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CN215833479U (zh) 一种防盗电电表箱
KR20170008467A (ko) 데드래치 기능을 가진 도어락 모티스
KR200448484Y1 (ko) 방폭 또는 비방폭구조를 갖는 케이스의 개폐문에 설치되는잠금장치
US6490892B1 (en) Padlock device
KR100634876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KR100414465B1 (ko) 도어용 보조키
KR101218740B1 (ko) 방범용 방화문
JPH0535277Y2 (ko)
KR20040027122A (ko) 노면형 뚜껑 잠금장치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KR200390368Y1 (ko) 출입문 해정방지를 위한 보조장치
KR20090071341A (ko) 도어록 장치
JP2022186387A (ja) 固着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