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967A - 화재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967A
KR20140084967A KR1020120155021A KR20120155021A KR20140084967A KR 20140084967 A KR20140084967 A KR 20140084967A KR 1020120155021 A KR1020120155021 A KR 1020120155021A KR 20120155021 A KR20120155021 A KR 20120155021A KR 20140084967 A KR20140084967 A KR 20140084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floor
roofto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710B1 (ko
Inventor
정운익
김정호
Original Assignee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5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7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차적으로 삼림 지역에서 산불을 진압하고 이차적으로 건물 주변에서 화재를 진압하되 미관이나 건물 주변 공간의 활용성을 좋게 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화재를 차단하여 건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화재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은 건물에 인접한 바닥에 매설되고 상단에는 위로 젖혀지는 커버가 설치된 바닥용 하우징: 상기 바닥용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물을 공급하는 바닥용 급수 배관: 자유단부에 물을 상방으로 분사하는 바닥용 분사 노즐이 장착된 바닥용 노즐 배관: 상기 바닥용 급수 배관과 상기 바닥용 노즐 배관을 연결하는 바닥용 연결 배관 및 상기 바닥용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용 급수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바닥용 분사 노즐이 상기 커버를 열어젖히도록 상기 바닥용 노즐 배관을 상승시키는 노즐배관 승강기구를 구비한 바닥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재 방지 시스템{fire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화재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차적으로 삼림 지역에서 산불을 진압하고 이차적으로 건물 주변에서 화재를 진압하되 미관이나 건물 주변 공간의 활용성을 좋게 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화재를 차단하여 건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화재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건축물에 적용되는 소방관계법령의 소방시설에 대해서는 건물의 크기와 용도 및 수용인원에 따라 소화전 설비, 스프링클러 설비, 살수 설비 또는 경보 설비 등의 화재진압용 소화 설비를 필연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것이 법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법적 소화 설비들은 모두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 자체 진화용으로 개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법정 소화 설비의 규정 또한 건물의 자체 화재 진화에 초점이 맞추어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가 외부로부터 번져오는 경우에는 전혀 대처가 불가능하다.
한편, 외부로부터의 화재는 대부분 대형 화재로써 복사열이나 맞바람을 동반한 화염 등으로 인해 사람이 사용하는 소화전 등으로는 접근조차 불가능하여 대응할 수 없는 규모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산간 지역이나 숲 등에 인접한 건물이 산불 등에 의해 전소하는 사례가 국내외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 중 가치를 산정할 수 없는 유일한 문화재도 있어 우리를 안타깝게 하는 게 현실이다.
아울러 숲과 산림지역 등에 있는 건물의 경우에 주변 도로망의 미비로 인해 화재 발생시 소방차 등의 진입이 어렵고 설사 출동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도착까지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적시에 신속히 대처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보호하고자 하는 건물 주위로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산불이나 인접 건물 등으로부터 발생한 화재가 건물을 덮치는 것을 차단하는 수막 형성 시스템이 등록특허 제932322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로 제안되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바닥 설치용 수막 형성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수막 형성 시스템에 따르면, 건물의 옆에 물을 저장하고 있는 물탱크(110)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물탱크(110)와 연결되도록 물을 공급하는 메인배관(12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메인배관(120)의 도중에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배관개폐기(125)가 설치되어 있는바, 평소에는 배관개폐기(125)를 닫은 상태로 메인배관(120)에 물이 흐르는 것을 차단하다가 화재 발생시에 배관개폐기(125)를 열어줌으로써 메인배관(120)을 따라 물이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건물의 적어도 일측 테두리에는 노즐측 배관(13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노즐측 배관(130)은 건물의 벽체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져서 매설된다. 이렇게 설치된 노즐측 배관(130)에는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의 인입배관(137)이 설치되고, 인입배관(137)의 상부에는 다시 분사노즐(135)이 설치된다.
인입배관(137)은 지면에서 공중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거나 건물 쪽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막 형성 시스템에 따르면, 노즐측 배관 등을 건물 주변 바닥에 매설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메인배관(120)이나 인입배관(137)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 행위 등의 공간 사용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시스템은 건물(BDG)의 해당 벽체의 상부 테두리에 인접한 위치의 옥상에 상부 테두리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인입배관(130'), 인입배관(130')과 연통되도록 간격을 두고 인입배관(130')으로부터 분기되되 건물(BDG)의 해당 벽체 밖으로 30 ~ 60㎝ 정도 돌출된 채로 그 자유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노즐측 배관(137') 및 각각의 노즐측 배관(137')의 자유 단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인입배관(130')은 수도 또는 소화전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메인배관(120')과 연통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화재 발생시 센서 감응에 의한 자동 동작 또는 관리자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매인배관(120')을 통한 물의 흐름이 허용되면 메인배관(130')을 통과한 물이 인입배관(130')과 노즐측 배관(137')을 거친 후에 최종적으로 분사노즐(135')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 전방에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시스템에 따르면, 노즐측 배관이 건물의 벽체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을 심각하게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통상적인 분사노즐을 채택하는 경우에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퍼지는 범위(각도)가 한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노즐측 배관과 분사 노즐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수막 형성 시스템에 따르면, 단지 화재가 건물 주변에 도달한 후에 비로소 동작하기 때문에 이미 걷잡을 수 없이 커진 화재를 효율적으로 차단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사용시 건물 옥상의 벽체면이나 바닥면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후퇴하고 있다가 사용시에만 건물 옥상의 벽체면이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건물 벽체와 거리를 두고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미관이나 건물 주변 공간의 활용성을 좋게 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주변 화재를 차단하여 건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화재 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차적으로 삼림 지역에서 산불을 진압하고 이차적으로 건물 주변에서 화재를 진압하되 미관이나 건물 주변 공간의 활용성을 좋게 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화재를 차단하여 건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화재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화재 방지 시스템은 건물에 인접한 바닥에 매설되고 상단에는 위로 젖혀지는 커버가 설치된 바닥용 하우징: 상기 바닥용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물을 공급하는 바닥용 급수 배관: 자유단부에 물을 상방으로 분사하는 바닥용 분사 노즐이 장착된 바닥용 노즐 배관: 상기 바닥용 급수 배관과 상기 바닥용 노즐 배관을 연결하는 바닥용 연결 배관 및 상기 바닥용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용 급수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바닥용 분사 노즐이 상기 커버를 열어젖히도록 상기 바닥용 노즐 배관을 상승시키는 노즐배관 승강기구를 구비한 바닥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를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노즐배관 승강기구는 상기 바닥용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바닥용 급수 배관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바닥용 실린더; 상기 바닥용 실린더의 하단에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상기 바닥용 실린더의 내벽과의 사이로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설치된 수압 받이판 및 상기 바닥용 실린더 내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기 바닥용 노즐 배관의 외주면에 상기 바닥용 노즐 배관과 일체로 결합된 바닥용 피스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용 분사 노즐은 분사구의 각도를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급수 공급원에 연결되는 옥상용 노즐 배관: 상기 옥상용 노즐 배관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옥상용 노즐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옥상용 분사 노즐 및 미사용시 상기 옥상용 분사 노즐이 옥상의 벽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옥상용 노즐 배관을 후퇴시키고 사용시 상기 옥상용 분사 노즐이 옥상의 벽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옥상용 노즐 배관을 전진시키는 옥상용 노즐배관 이송기구를 구비한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옥상용 노즐배관 이송기구는 선단이 건물 벽체의 테두리에 인접하되 돌출되지 않도록 옥상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옥상용 하우징; 상기 옥상용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옥상용 실린더; 상기 옥상용 실린더에 내장되어 상기 옥상용 노즐 배관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옥상용 피스톤 및 상기 옥상용 피스톤의 진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옥상용 실린더는 복동실 실린더이고, 상기 동력 공급원은 압축공기 공급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옥상용 분사 노즐은 분사구의 각도를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물 주변의 삼림 지역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클러를 포함하는 일차 화재 방지 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는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 저류탱크이고, 상기 스프링클러는 상시 바닥에 매몰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물을 분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재 방지 시스템에 따르면, 미사용시 건물 옥상의 벽체나 건물 주변의 바닥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후퇴되어 있다가 사용시에만 건물 옥상의 벽체나 건물 주변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건물 벽체와 거리를 두고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미관이나 건물 주변 공간의 활용성을 좋게 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주변 화재를 차단하여 건물을 보호할 수가 있다.
나아가, 일차적으로 산불의 발생 초기에 동작함으로써 산불을 초기 진압하거나 산불이 크게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산불이 보호하고자 하는 건물 주변에 도달한 경우에 이차적으로 건물 주변의 수막 형성 시스템을 동작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를 차단할 수가 있다.
도 1은 바닥 설치용 차단용 수막 형성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재 방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물 주변 수막 형성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물 주변 수막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의 동작 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배관 이송 기구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닥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의 동작 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건물 주변 수막 형성 장치에 적용 가능한 분사노즐 뭉치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분사노즐 뭉치의 정면도.
도 11은 도 9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재 방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재 방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 방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은 크게 산불의 발생 초기에 일차적으로 삼림 지역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일차 화재 방지 장치 및 이차적으로 건물(BDG)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건물 주변 수막 형성 장치(300),(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일차 화재 방지 장치는 다시 물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물탱크(500) 및 물탱크(500)에 연결되어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스프링클러 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탱크(500)는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 저류탱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프링클러(600)는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하거나 도시되지 않은 화재 감지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가뭄 등의 건기에는 관수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600)는 미사용시 바닥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매립되어 있다가 사용시에만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예를 들어 10~20m 이상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그 상세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행 실용신안등록 제322934호(등록일자: 2003. 7. 31)에 개시되어 있기에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3에서 건물 주변 수막 형성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건물 주변 수막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 주변 수막 형성 장치는 크게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와 바닥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는 건물(BDG)의 적어도 일측 벽체의 테두리에 인접한 옥상에 설치될 수 있고, 미사용 시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배관이 건물(BDG)의 해당 벽체의 옥상 테두리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노즐배관 진퇴기구(300)의 하우징(310)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사용시에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BDG)의 해당 벽체의 테두리로부터 소정 거리, 예를 들어 30 ~ 60㎝ 만큼 돌출되어 물을 분사함으로써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바닥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 역시 건물(BDG)의 적어도 일측 벽체에 인접한 바닥에 매설된 채로 설치될 수 있는데, 미사용시에는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커버(410)에 의해 가려져 있다가 사용시에만 워터 스크린 노즐(water screen nozzle)(이하 간단히 '분사 노즐'이라 한다)이 자동으로 노출 또는 소정 높이, 예를 들어 10 ~ 20㎝ 만큼 상향 돌출되어 물을 분사함으로써 외관을 좋게 함은 물론 출입 행위 등의 주변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참조번호 210은 급수 공급원에 연결되는 메인 배관을 나타내고, 230은 각각의 노즐배관 진퇴기구(300)와 연결된 분기 배관을 나타내며, 220은 메인 배관(210)을 통해 공급된 물을 각각의 분기 배관(230)에 공급하는 연결 배관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재 방지 시스템에 따르면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광범위하게 퍼지면서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후술함)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노즐 배관을 사용해도 된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의 동작 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배관 이송기구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는 크게 전술한 노즐배관 이송기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노즐배관 이송기구(300)는 그 선단이 건물(BDG)의 해당 벽체의 테두리에 인접하되 돌출되지 않도록 옥상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하우징(310), 선단에 분사 노즐(370)이 장착되어 있는 노즐 배관(360), 노즐 배관(360)의 선단에 결합되어 분사 노즐(370)의 후퇴시 하우징(310)의 선단을 막는 커버(320), 하우징(310) 내부에 장착된 실린더(345)에 내장되어 노즐 배관(360)을,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 또는 연기 센서 또는 열 센서 등의 화재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피스톤(365), 피스톤(365)의 진퇴 동력을 제공하는, 예를 들어 압축공기 공급원(330), 실린더(345) 내부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배치되어 실린더(345) 내부로 전진용 공압과 후진용 공압을 각각 유입시키는 전진용 공압 유입기(340)와 후퇴용 공압 유입기(350), 압축공기 공급원(33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을 전진용 공압 유입기(340)와 후퇴용 공압 유입기(350)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 전환 밸브(3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압에 의해 동작하는 복동 실린더(double acting cylinder)를 채택하여 피스톤(365)과 일체로 연결된 노즐 배관(360)을 진퇴시키고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참조번호 332는 압축공기 공급원(330)과 유로 전환 밸브(336)를 연결하는 압축공기 유로를 나타내고, 332는 유로 전환 밸브(336)와 전진용 공압 유입기(340)를 연결하는 압축공기 유로를 나타내며, 338은 유로 전환 밸브(336)와 후퇴용 공압 유입기(350)를 연결하는 압축공기 유로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40은 급수 공급원을 나타낸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산불이 발생한 경우에 일차적으로 사람에 의한 수동 조작 또는 화재 감지 센서에 의한 자동 동작에 따라 삼림 지역에 설치된 일차 화재 방지 장치의 스프링클러(600)가 동작하여 산불 발생 초기에 산불을 초기 진압하거나 적어도 산불의 규모를 약화시킬 수가 있다. 이 상태에서 산불이 계속 번져서 건물(BDG) 주변에 도달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 또는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자동 동작에 의해 압축공기 공급원(330)으로부터의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유로(332), 유로 전환 밸브(336) 및 전진용 공압 유입기(340)를 통해 실린더(345) 내부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노즐 배관(360)에 일체로 결합된 채로 실린더(345) 내부에 장착된 피스톤(365)이 전진함으로써 노즐 배관(360)이 건물(BDG)의 해당 벽체로부터 소정 거리, 예를 들어 30 ~ 60㎝ 정도 돌출된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 또는 화재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른 자동 동작에 의해 급수 공급원(240)으로부터 소화용 물이 노즐 배관(360)을 거쳐서 분사 노즐(370)에 공급되어 분사됨으로써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BDG)의 해당 벽체의 전방에 부채꼴 형상의 수막이 형성되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닥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의 동작 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는 크게 건물의 해당 벽체로부터 소정 거리, 예를 들어 30 ~ 60㎝ 정도 떨어진 거리의 바닥에 돌출되지 않도록 매설되고 상단에는 위로 젖혀지는 커버(410)가 설치된 하우징(405), 하우징(405) 내부 공간(412)으로 유입된 급수 배관(420), 급수 배관(420)의 단부에 급수 배관(420)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실린더(430), 실린더(430)의 하단에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실린더(430)의 내벽과의 사이로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실린더(430)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하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수압 받이판(440), 실린더(430) 내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노즐 배관(450), 노즐 배관(450)의 외주면에 노즐 배관(450)과 일체로 결합된 피스톤(435), 분사 노즐(480)의 분사구(후술함)가 위를 향하도록 노즐 배관(450)과 분사 노즐(480)을 연결하는 L형 연결관(4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조번호 460은 노즐 배관(450)과 L형 연결관(470)을 나사 결합하기 위한 연결 플랜지를 나타낸다.
전술한 구성에서, 커버(410)는 스프링 힌지(415), 즉 뒤틀림 스프링이 결합된 힌지에 의해 평상시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410)로 양문형 커버를 채택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문형 커버가 채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건물(BDG) 주변에까지 산불이 도달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 또는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자동 동작에 의해 급수 배관(420)으로 물이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물에 의해 실린더(4300 내부의 수압 받이판(440), 결과적으로 피스톤(435)과 여기에 일체로 결합된 노즐 배관(450)이 상향 이동됨으로써 그 힘에 의해 커버(410)가 위로 젖혀진다. 그 결과 분사 노즐(480)이 바닥으로부터 노출 또는 돌출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실린더(430) 내부로 유입된 물이 실린더(430)와 수압 받이판(44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노즐 배관(450)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물이 L형 연결관(470)을 거쳐서 분사 노즐(480)에 공급됨으로써 분사 노즐(480)을 통해 물이 상방으로 분출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BDG)의 해당 벽체의 전방에 부채꼴 형상의 수막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미사용 시에는 분사 노즐(480)의 자중에 의해 분사 노즐(480)이 하우징(405) 내부로 수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건물 주변 수막 형성 장치에 적용 가능한 분사노즐 뭉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분사노즐 뭉치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 및 바닥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사노즐 뭉치(370)은 우측에 반구형의 볼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볼수납용 배관(372), 좌측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져서 볼수납용 배관(372)에 형합되고 내부에는 볼수납용 배관(372)과 연통되는 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볼형 분사부(3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71, 373 및 374는 배관을 나사 결합하기 위한 연결 플랜지를 나타내고, 376a는 분사구를 나타낸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분사노즐 뭉치(370)에 따르면, 볼수납용 배관(372)과 볼형 분사부(376)를 연결하는 나사를 느슨하게 한 후에 볼형 분사부(376)의 각도를 도 11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미세 조정한 상태에서 다시 나사를 조임으로써 분사구(376a)의 각도롤 소정 범위,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략 6° 정도만큼 미세 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재 방지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의 노즐배관 이송기구에서 노즐 배관을 진퇴시키는 동력원으로 유압이 사용되거나 링크 기구와 같은 동력 전달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와 바닥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는 건물의 높이나 주변 지형에 따라 함께 설치되거나 택일적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고, 설치 간격도 수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상수도를 급수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210: 메인 배관, 220: 연결 배관,
230: 분기 배관, 240: 급수 공급원,
300: 노즐배관 이송기구, 310: 하우징,
320: 커버, 330: 압축공기 공급원,
332, 334, 338: 압축공기 유로, 336: 유로 전환 밸브,
340: 전진용 공압 유입기, 345: 실린더,
350: 후퇴용 공압 유입기, 360: 노즐 배관,
365: 피스톤, 370: 분사 노즐,
371, 373, 374: 연결 프랜지, 372: 볼수납용 배관,
376: 볼형 분사부, 376a: 분사구,
400: 바닥 장치, 405: 하우징,
410: 커버, 415: 스프링 힌지,
420: 급수 배관, 430: 실린더,
435: 피스톤, 440: 수압 받이판,
442: 연결 부재, 450: 노즐 배관,
460: 연결 플랜지, 470: L형 배관,
480: 분사 노즐, 500: 물탱크.
600: 스프링클러

Claims (9)

  1. 건물에 인접한 바닥에 매설되고 상단에는 위로 젖혀지는 커버가 설치된 바닥용 하우징:
    상기 바닥용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물을 공급하는 바닥용 급수 배관:
    자유단부에 물을 상방으로 분사하는 바닥용 분사 노즐이 장착된 바닥용 노즐 배관:
    상기 바닥용 급수 배관과 상기 바닥용 노즐 배관을 연결하는 바닥용 연결 배관 및
    상기 바닥용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용 급수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바닥용 분사 노즐이 상기 커버를 열어젖히도록 상기 바닥용 노즐 배관을 상승시키는 노즐배관 승강기구를 구비한 바닥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를 구비한 화재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배관 승강기구는 상기 바닥용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바닥용 급수 배관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바닥용 실린더;
    상기 바닥용 실린더의 하단에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상기 바닥용 실린더의 내벽과의 사이로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설치된 수압 받이판 및
    상기 바닥용 실린더 내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기 바닥용 노즐 배관의 외주면에 상기 바닥용 노즐 배관과 일체로 결합된 바닥용 피스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용 분사 노즐은 분사구의 각도를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급수 공급원에 연결되는 옥상용 노즐 배관:
    상기 옥상용 노즐 배관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옥상용 노즐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옥상용 분사 노즐 및
    미사용시 상기 옥상용 분사 노즐이 옥상의 벽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옥상용 노즐 배관을 후퇴시키고 사용시 상기 옥상용 분사 노즐이 옥상의 벽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옥상용 노즐 배관을 전진시키는 옥상용 노즐배관 이송기구를 구비한 옥상 설치용 수막 형성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옥상용 노즐배관 이송기구는 선단이 건물 벽체의 테두리에 인접하되 돌출되지 않도록 옥상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옥상용 하우징;
    상기 옥상용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옥상용 실린더;
    상기 옥상용 실린더에 내장되어 상기 옥상용 노즐 배관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옥상용 피스톤 및
    상기 옥상용 피스톤의 진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옥상용 실린더는 복동실 실린더이고, 상기 동력 공급원은 압축공기 공급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옥상용 분사 노즐은 분사구의 각도를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물 주변의 삼림 지역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클러를 포함하는 일차 화재 방지 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 저류탱크이고,
    상기 스프링클러는 상시 바닥에 매몰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물을 분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 시스템.
KR1020120155021A 2012-12-27 2012-12-27 화재 방지 시스템 KR10203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021A KR102037710B1 (ko) 2012-12-27 2012-12-27 화재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021A KR102037710B1 (ko) 2012-12-27 2012-12-27 화재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967A true KR20140084967A (ko) 2014-07-07
KR102037710B1 KR102037710B1 (ko) 2019-11-26

Family

ID=5173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021A KR102037710B1 (ko) 2012-12-27 2012-12-27 화재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71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596B1 (ko) * 2016-02-19 2016-09-06 (주)세정이에프씨 지하전력구용 화염 확산 방지 설비
KR101703291B1 (ko) * 2016-08-05 2017-02-06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화염 감지 및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건축용 방화문틀
KR101700131B1 (ko) * 2016-07-08 2017-02-13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20200054347A (ko) * 2018-11-01 2020-05-20 한정구 보호수 모니터링 시스템
JP2020162878A (ja) * 2019-03-29 2020-10-08 能美防災株式会社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KR102501285B1 (ko) * 2022-05-06 2023-02-17 김대우 긴급 비상 대피 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CN117842545A (zh) * 2024-03-08 2024-04-09 济南兼强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功能的复合板贮存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703B1 (ko) 2020-11-06 2024-01-30 동림기술 주식회사 수벽 노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432A (ja) * 2005-01-06 2006-07-20 Kubota Corp 特定空間の防災設備
JP2006223378A (ja) * 2005-02-15 2006-08-31 Hochiki Corp 火災消火装置
KR100782013B1 (ko) * 2006-06-30 2007-12-06 김춘일 스프링클러의 수압 보정장치
KR101011506B1 (ko) * 2010-04-19 2011-01-31 (주)설화엔지니어링 빗물을 재활용한 터널 방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432A (ja) * 2005-01-06 2006-07-20 Kubota Corp 特定空間の防災設備
JP2006223378A (ja) * 2005-02-15 2006-08-31 Hochiki Corp 火災消火装置
KR100782013B1 (ko) * 2006-06-30 2007-12-06 김춘일 스프링클러의 수압 보정장치
KR101011506B1 (ko) * 2010-04-19 2011-01-31 (주)설화엔지니어링 빗물을 재활용한 터널 방재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596B1 (ko) * 2016-02-19 2016-09-06 (주)세정이에프씨 지하전력구용 화염 확산 방지 설비
KR101700131B1 (ko) * 2016-07-08 2017-02-13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1703291B1 (ko) * 2016-08-05 2017-02-06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화염 감지 및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건축용 방화문틀
KR20200054347A (ko) * 2018-11-01 2020-05-20 한정구 보호수 모니터링 시스템
JP2020162878A (ja) * 2019-03-29 2020-10-08 能美防災株式会社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KR102501285B1 (ko) * 2022-05-06 2023-02-17 김대우 긴급 비상 대피 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CN117842545A (zh) * 2024-03-08 2024-04-09 济南兼强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功能的复合板贮存设备
CN117842545B (zh) * 2024-03-08 2024-05-14 济南兼强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功能的复合板贮存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710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4967A (ko) 화재 방지 시스템
KR102431474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20140035162A (ko)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 형성 시스템
KR102015231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20220131447A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2352591B1 (ko) 주차장 차량화재 진화용 소화설비
KR20170026154A (ko) 스프링클러 배관의 유수제어기능이 있는 분기용 티 및 그것을 이용한 스키핑 현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 방법
KR100709382B1 (ko) 소방용 관창
KR101331616B1 (ko)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KR101794327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JP6125897B2 (ja) 延焼防止用散水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街路壁面用散水システム
KR200488385Y1 (ko) 소방용수 분사장치
CN108042963A (zh) 一种自动喷水消防箱
KR1021468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KR100932322B1 (ko) 주변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막설비시스템
KR101423877B1 (ko) 분기형 스프링클러
KR102236260B1 (ko) 패키지형 호스릴 스프링클러장치
JP5443218B2 (ja) トンネル水噴霧設備
JP3796388B2 (ja) 消火装置
JP2751006B2 (ja) 消火用放水機
KR101267421B1 (ko) 드렌처 및 미분무 겸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소방 시스템
KR20090009830U (ko) 소방용 관창
KR20100129975A (ko)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US6719214B1 (en) Fire-extinguis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