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975A -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9975A KR20100129975A KR1020090048605A KR20090048605A KR20100129975A KR 20100129975 A KR20100129975 A KR 20100129975A KR 1020090048605 A KR1020090048605 A KR 1020090048605A KR 20090048605 A KR20090048605 A KR 20090048605A KR 20100129975 A KR20100129975 A KR 201001299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rail
- floor
- water
- building
- wat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은, 건물의 비상계단 또는 비상통로를 따라 설치되며 속이 빈 중공형의 구조로 건물의 최상층부터 최하층까지 연결되며,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핸드레일과; 건물옥상의 고가수조 또는 건물지하의 지하수조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레일의 최상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송수배관과; 상기 핸드레일의 최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레일에 공급된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수하기 위한 메인배수배관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발생 시 비상계단 또는 비상통로 등을 통한 대피 시에 질식사나 화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상계단이나 비상통로를 통해 확산되는 화재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또는 조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핸드레일, 비상계단, 비상통로, 화재, 물, 소화, 노즐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 시 비상계단 또는 비상통로를 통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비상계단 및 통로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연기를 연소 시켜 사람 및 동물의 이동 통로를 확보 해주고 호흡 곤란으로 인하여 질식사 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구촌은 인구의 증가와 대지의 효율적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건물은 고층화 되고 있고 경제발전과 주거 문화의 고급화로 건물의 내부의 내장재가 고급화되고 있으며, 각종 제어 시스템의 증가로 화재 발생시 대형사고로 이어지고 있어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형 건물이나 아파트는 화재가 발생되면 먼저 전기가 차단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대피 시에는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하지 못하고 비상계단 및 통로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건축 내장재의 고급화와 가스 폭발 등으로 화재가 건물 전체로 빠르게 확산되면 비상통로 및 계단에도 화재가 번지거나 높은 열로 인하여 대피가 어렵다. 또한 유독가스가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비상계단과 통로로 이동하기가 더욱 더 어려워지고 있다.
현재 비상계단이나 비상통로에는 화재 시 유독가스 또는 열을 피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질식사나 화상 등의 응급상황이 대처 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 시 비상계단 또는 비상통로 등을 통한 대피 시에 질식사나 화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시 비상계단이나 비상통로를 통해 확산되는 화재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기 또는 조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은, 건물의 비상계단 또는 비상통로를 따라 설치되며 속이 빈 중공형의 구조로 건물의 최상층부터 최하층까지 연결되며,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핸드레일과;
건물의 옥상의 고가수조 또는 건물지하의 지하수조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레일의 최상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송수배관과;
상기 핸드레일의 최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레일에 공급된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수하기 위한 메인배수배관을 구비한다.
상기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은, 상기 메인송수배관을 통한 물 공급의 제어를 위해 상기 메인송수배관의 일정부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밸브와;
상기 메인배수배관을 통한 물배수의 제어를 위해 상기 메인배수배관의 일정부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밸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밸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을 건물의 각 층에 위치되는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로 구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 각각의 하단부에는 물공급 또는 물 배수의 차단을 위한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층별 핸드레인 차단밸브들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을 건물의 각 층에 위치되는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로 구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 각각의 상단부는, 각 층별 소화전을 통한 물공급을 위해 상기 각 층별 소화전들과 층별 송수배관들을 통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층별 송수배관들 각각의 일정부위에는 물공급의 차단 및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층별 송수배관 차단밸브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층별 송수배관 차단밸브들 각각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기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기를 통한 화재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밸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밸브, 상기 층별 송수배관 차단밸브들, 및 상기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은 건물 옥상에 구비된 옥상핸드레일, 건물의 발코니에 구비된 발코니 핸드레일, 건물의 베란다에 구비된 베란다 핸드레일, 대형선박이나 특수 대형차의 비상통로 및 계단에 구비된 핸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1 ~ 180°의 범위에서 선택된 범위의 분사각도를 가지며, 상기 분사노즐의 부착간격과 부착위치의 선택을 통해 물의 분사방향과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은 비상통로 또는 비상계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각도로 꺾여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핸드레일의 꺾인 부분은 꺾인 부분을 제외 한 핸드레일 부분보다 더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전체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화재진압이 가능하므로, 화재발생 시 비상계단 또는 비상통로 등을 통한 대피 시에 질식사나 화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상계단이나 비상통로를 통해 확산되는 화재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또는 조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최소한 물이라도 공급되면 손수건이나 옷 등으로 입이나 코를 막음으로써 호흡이 가능하고, 화상예상부위 등을 막을 수 있어 최소한의 질식사 또는 화상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은, 핸드레일(200), 메인송수배관(65), 및 메인 배수배관(85)을 구비한다.
상기 핸드레일(200)은 건물의 비상계단 또는 비상통로를 따라 설치되며 속이 빈 중공형의 구조로 건물의 최상층(n+1층)부터 최하층(1 층) 까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핸드레일의 일부를 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새롭게 제작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핸드레일(200)은 핸드레일이 옥상까지 연결된 경우 옥상으로 연결되는 옥상 핸드레일 포함하며, 건물의 최하층이 지하층까지 연결된 경우 지하층으로 연결되는 지하층 핸드레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핸드레일(200)은 중공형의 구조로 되어 있어, 물이 흐르는 통로역할을 하며, 상기 핸드레일(20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200)은 비상계단이나 비상통로에 안전과 미관을 위해 구비되는 난간의 상단부 또는 중간부에 설치 부착된다.
상기 핸드레일(200) 구조의 예들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레일(200)은, 비상통로나 비상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의 최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핸드레일(200) 구조는 새롭게 설치되는 경우나 이미 설치되어 있는 핸드레일(200)이 중공형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레일(200)은, 비상통로나 비상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의 중간부에 위치된다. 이미 기존의 핸드레일(3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하기가 힘든 경우, 원하는 중공형의 구조를 가지는 소화용 핸드레일(200)을 기존 핸드레일(300) 아래쪽 구조물에 새롭게 설치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용이하 게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의 상기 핸드레일(200)은 비상통로 또는 비상계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각도로 꺾여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핸드레일(200)의 꺾인 부분은 꺾인 부분을 제외한 핸드레일 부분보다 더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핸드레일의 꺾인 부분에 의해 물의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핸드레일(200)은 건물의 계단이나 비상통로를 지칭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비상통로나 비상계단에 구비된 핸드레일 뿐 아니라, 건물의 발코니에 구비된 발코니 핸드레일, 건물의 베란다에 구비된 베란다 핸드레일, 대형선박이나 특수 대형차의 비상통로 및 계단에 구비된 핸드레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드레일(200)은 스테인레스, 백관 등과 같이 녹 등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 외부의 힘 등에 의해 변형이 적은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200)에는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도 6의 250)이 설치되어 있어 화재시 상기 핸드레일(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게 된다. 분사노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된다. 도 6은 도 4의 구조를 가지는 핸드레일(200)에 적용되는 경우이고, 도 7은 도 5의 구조를 가지는 핸드레일(200)에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250)은 상기 핸드레일(200)에 통로 또는 계단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설치되며,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설치된다.
상기 분사노즐(250)은 물의 분사각도, 물의 분사량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사노즐(250)의 분사각도는 1 ~ 180°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분사방향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 분사각도의 적절한 범위는 45 ~ 135°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250)은 부착위치에 따라 분사방향이 달라지므로, 부착위치를 달리하거나 부착간격을 조절하여 원하는 분사방향이나 필요한 분사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사노즐(250)은 볼트와 너트 결합 방식이나, 기타 적절하게 선택된 결합방식을 통해 상기 핸드레일(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250)의 개수는 건물의 크기나 분사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250)은 상기 핸드레일(200)의 제작시 부착될 수도 있고, 이미 설치되어 있는 핸드레일(200)의 경우에는 탭(tap)을 형성하여 삽입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250)의 형태는 부채형, 또는 원형, 직진형 등 이미 알려진 형태들 중에서 필요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메인송수배관(65)은 건물 옥상의 고가수조(예를 들면, 물탱크) 및 건물지하의 지하수조(예를 들면, 지하 물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핸드레일(200)의 최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드레일(2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물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상기 메인송수배관(65)의 특정부위에는 펌프(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송수배관(65)은 건물옥상의 고가수조에만 연결될 수 있고, 건물 지하의 지하수조에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배수배관(85)은 상기 핸드레일(200)의 최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핸드레일(200)에 공급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70)에 연결된다. 즉 상기 핸드레일(200)에 공급된 물을 배수구(70)로 배수하기 위한 배관이다.
상기 핸드레일(200)에 공급된 물을 배수구(70)로 배수하는 이유는, 상기 핸드레일(200)의 부식방지 및 동파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200)이 파손되는 경우 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면, 상기 핸드레일(200)에 공급된 물을 배수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상기 메인송수배관(65)에는 상기 메인송수배관(65)을 통한 물 공급의 제어를 위해 일정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송수밸브(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배수배관(85)에는 상기 메인배수배관(85)을 통한 물배수의 제어를 위해 일정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밸브(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밸브(6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밸브(8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화재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기(20)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기(20)를 통한 화재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밸브(6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밸브(8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밸브(60)를 개방하 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밸브(80)를 차단하여 물이 상기 핸드레일(200)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핸드레일(200)로 공급된 물은 상기 핸드레일(200)에 구비된 복수의 분사노즐들(250)을 통해 분사된다.
그리고, 화재가 진압된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밸브(60)를 차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밸브(80)를 개방하여 상기 핸드레일(200)로 공급된 물이 배수구(70)를 통해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기(20)는 건물의 각층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서 설명한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핸드레일(200)에는 각 층별로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들(222,224,226,228,230,23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드레일(200)을 건물의 각 층에 위치되는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202,204,206,208,210,212)로 구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202,204,206,208,210,212) 각각의 하단부에는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들(222,224,226,228,230,23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들(222,224,226,228,230,232)은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상기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들(222,224,226,228,230,232)은 상기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202,204,206,208,210,212)을 통한 물의 분사를 층별로 제어하고, 층별로 물공급 및 배수를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건물의 3층에 화재가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이때는 상기 제어부(20)가 4층 이상에 설치된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들(222,224,226)을 개방하고, 3층에 설치된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228)를 차단하여 물이 3층 핸드레일(208)까지만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3층 이상의 경우에는 분사노즐을 통하여 물이 분사되고, 2층 이하는 물이 공급되지 않아 물이 분사되지 않는다.
화재는 통상적으로 하부층 보다는 상부층으로 번지는 경향이 있고, 유독가스나 연기 등도 상부로 퍼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2층 이하의 물 공급을 차단하더라도 화재 진압이나 대피 통로를 확보하는 것에 문제가 없으며,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에서 설명한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핸드레일(200)에 각 층별로 층별 송수배관들(115)이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드레일(200)을 건물의 각 층에 위치되는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202,204,206,208,210,212)로 구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202,204,206,208,210,212)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 층별 송수배관들(115)을 통해 각 층별 옥내소화전들(91~95)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층별 송수배관들(115) 각각의 일정부위에는 물공급의 차단 및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층별 송수배관 차단밸브들(102,104,106,108,110)이 각각 구 비될 수 있다. 상기 층별 송수배관 차단밸브들(102,104,106,108,110) 각각은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각층에는 옥내소화전을 구비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기 설치된 층별 옥내소화전들(91~95)을 이용하여 상기 핸드레일(200)에 각 층별로 물 공급을 할 수 있다. 옥내 소화전의 경우 가압송수관이 이미 설치되어 있으며, 소화용 압력이 이미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층별 송수배관들(115)을 연결하게 되면, 별도의 압력을 확보할 필요없이 물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옥내소화전들(91~95)이 상기 층별 송수배관들(115)을 통하여 상기 핸드레일(200)에 연결하게 되면, 도 1에 비해 상기 핸드레일(200) 내부의 물의 압력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분사노즐(250)을 통한 분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상태에서, 3층에 화재가 발생되었고, 3층에 위치하는 핸드레일(208)에 대해서만 물공급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자. 이때는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상기 메인송수밸브(60)를 차단하고, 4층의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226) 및 상기 3층의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228)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3층의 층별 송수배관 차단밸브(106)를 개방하여 상기 3층 소화전(93)을 통해 상기 3층에 위치하는 핸드레일(208)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화재가 진압되면, 상기 3층 이하의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들(228,230,232)을 개방하고, 상기 3층의 층별 송수배관 차단밸브(106)를 차단하여, 3층 핸드레일(208)에 공급된 물을 배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물전체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화재진압이 가능하므로, 화재발생 시 비상계단 또는 비상통로 등을 통한 대피시에 질식사나 화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상계단이나 비상통로를 통해 확산되는 화재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또는 조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핸드레일(2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분사용 노즐을 설치하여, 건물의 전층 또는 층별로 비상계단 또는 비상통로에 신속하게 물을 골고루 분사함으로써 유독가스 또는 연기를 연소 또는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계단을 통해 층간으로 이동하는 불길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람은 손수건 옷 등에 물을 묻혀 화재현장의 뜨거운 열기와 유독 가스 등으로부터 피할 수 있어 화상이나 질식사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핸드레일의 구성예이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3의 핸드레일의 다른 구성예이고
도 6은 도 4의 핸드레일에 구성되는 분사노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5의 핸드레일에 구성되는 분사노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제어부 60 : 송수밸브
65 : 메인송수배관 70 : 배수구
80 : 배수밸브 85 : 메인배수밸브
200 : 핸드레일
Claims (9)
- 건물의 비상계단 또는 비상통로를 따라 설치되며 속이 빈 중공형의 구조로 건물의 최상층부터 최하층까지 연결되며,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핸드레일과;건물의 옥상의 고가수조 또는 건물지하의 지하수조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레일의 최상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송수배관과;상기 핸드레일의 최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레일에 공급된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수하기 위한 메인배수배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은,상기 메인송수배관을 통한 물공급의 제어를 위해 상기 메인송수배관의 일정부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밸브와;상기 메인배수배관을 통한 물배수의 제어를 위해 상기 메인배수배관의 일정부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밸브와;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밸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핸드레일을 건물의 각 층에 위치되는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로 구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 각각의 하단부에는 물공급 또는 물 배수의 차단을 위한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층별 핸드레인 차단밸브들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핸드레일을 건물의 각 층에 위치되는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로 구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층별 핸드레일들 각각의 상단부는, 각 층별 소화전을 통한 물공급을 위해 상기 각 층별 소화전들과 층별 송수배관들을 통해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층별 송수배관들 각각의 일정부위에는 물공급의 차단 및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층별 송수배관 차단밸브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층별 송수배관 차단밸브 들 각각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기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기를 통한 화재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밸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밸브, 상기 층별 송수배관 차단밸브들, 및 상기 층별 핸드레일 차단밸브들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핸드레일은 건물 옥상에 구비된 옥상핸드레일, 건물의 발코니에 구비된 발코니 핸드레일, 건물의 베란다에 구비된 베란다 핸드레일, 대형선박이나 특수 대형차의 비상통로 및 계단에 구비된 핸드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분사노즐은 1 ~ 180°의 범위에서 선택된 범위의 분사각도를 가지며, 상기 분사노즐의 부착간격과 부착위치의 선택을 통해 물의 분사방향과 분사량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핸드레일은 비상통로 또는 비상계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각도로 꺾여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핸드레일의 꺾인 부분은 꺾인 부분을 제외한 핸드레일 부분보다 더 큰 사이즈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8605A KR20100129975A (ko) | 2009-06-02 | 2009-06-02 |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8605A KR20100129975A (ko) | 2009-06-02 | 2009-06-02 |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9975A true KR20100129975A (ko) | 2010-12-10 |
Family
ID=4350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8605A KR20100129975A (ko) | 2009-06-02 | 2009-06-02 |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29975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9621A (ko) * | 2018-11-21 | 2020-05-29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화재 연기제거용 분무시스템 |
KR20200117434A (ko) * | 2019-04-04 | 2020-10-14 | 주식회사 파라텍 |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
KR102189245B1 (ko) * | 2020-05-11 | 2020-12-09 | 주식회사 태강 | 창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
KR102508165B1 (ko) * | 2022-06-24 | 2023-03-08 | 김민후 | 산불 초기 진압이 가능한 등산로 가이드레일 구조 |
KR102686208B1 (ko) * | 2023-05-10 | 2024-07-19 |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 모노레일 선로를 이용한 급수장치 |
-
2009
- 2009-06-02 KR KR1020090048605A patent/KR20100129975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9621A (ko) * | 2018-11-21 | 2020-05-29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화재 연기제거용 분무시스템 |
KR20200117434A (ko) * | 2019-04-04 | 2020-10-14 | 주식회사 파라텍 |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
KR102189245B1 (ko) * | 2020-05-11 | 2020-12-09 | 주식회사 태강 | 창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
KR102508165B1 (ko) * | 2022-06-24 | 2023-03-08 | 김민후 | 산불 초기 진압이 가능한 등산로 가이드레일 구조 |
KR102686208B1 (ko) * | 2023-05-10 | 2024-07-19 |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 모노레일 선로를 이용한 급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158600B (zh) | 一种高层建筑火灾中的循环水幕防烟系统 | |
KR20100129975A (ko) |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 |
KR101976522B1 (ko) |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 |
KR101162065B1 (ko) |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 | |
EP2982416A1 (en) | Building fire life-saving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 |
JP6125897B2 (ja) | 延焼防止用散水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街路壁面用散水システム | |
CN203400446U (zh) | 利用室外干式喷淋系统保障消防救援的消防系统 | |
CN107158601B (zh) | 一种高层建筑火灾中的无动力防烟水幕系统 | |
CN208694102U (zh) | 建筑工地高空消防水箱 | |
US4223740A (en) | Fire fighting nozzle units | |
KR20100133223A (ko) | 수막을 이용한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CN108590696A (zh) | 一种暗挖施工的圆形衬砌的交通隧道结构及消防疏散系统 | |
KR20190137244A (ko) |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 |
CN201168364Y (zh) | 消防楼梯扶手 | |
CN209437933U (zh) | 一种消火栓管路结构 | |
US20230009507A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in a building | |
KR100932322B1 (ko) | 주변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막설비시스템 | |
CN215351723U (zh) | 一种建筑外墙外保温自动灭火系统 | |
KR101267421B1 (ko) | 드렌처 및 미분무 겸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소방 시스템 | |
KR20090092853A (ko) | 건물 설치용 살수 방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의 확산을방지하는 방법 | |
CN211705704U (zh) | 利用室内消防栓环状管网供水的自动喷水灭火系统 | |
CN113144487A (zh) | 一种建筑外墙外保温自动灭火系统 | |
CN110327559A (zh) | 楼宇居民火灾避难设施 | |
KR102074071B1 (ko) |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설비 시스템 | |
JP3837653B2 (ja) | 建築防災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