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434A -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434A
KR20200117434A KR1020190039543A KR20190039543A KR20200117434A KR 20200117434 A KR20200117434 A KR 20200117434A KR 1020190039543 A KR1020190039543 A KR 1020190039543A KR 20190039543 A KR20190039543 A KR 20190039543A KR 20200117434 A KR20200117434 A KR 20200117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head
ceiling
fire
sprinkler
fi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734B1 (ko
Inventor
김성원
준 이
이상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라텍
Priority to KR102019003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73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과 반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 INSTALLED IN CEILING SPACE}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의 천장과 반자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에는 화재 발생시 소방수를 분사하여 조기 진화할 수 있도록 스프링클러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클러 설비는 통상 건물의 천장 내부를 따라 구비된 메인배관에 연결되는 배관 연결구와, 상기 배관 연결구의 끝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그 끝단이 천장을 관통하여 실내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설비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9890호(공개일: 2007.06.12.)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통상 건물의 천장부위에 설치되어 온도감지센서와 연계되어 동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하향식 즉 소화용 물의 분사방향이 실내 바닥 측(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대부분의 건물에는 천장과 반자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에는 공조덕트나 소방배관, 전선배선 등 생활에 필요한 설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천장과 반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전기배선 등의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천장과 반자 사이의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진압할 소방 설비에 대한 '화재예방, 소방시설 유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에 따른 규정에 의하여, 이 공간에 스프링클러의 설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소화설비의 배관 동결 방지를 위해 상기 배관에는 무기질 계통과 유기질 계통의 배관용 보온재가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소화설비에 사용되는 배관용 보온재는 난연재료 성능에 대한 기준이 없어 건축 설계와 감리, 시공 등의 과정에서 소화설비 보온재로 어떠한 재료를 사용할지를 두고 혼선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난연재료 성능이 떨어지는 배관용 보온재에 의해 화재가 확산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 소화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천장과 반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는, 천장과 반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있어서, 급수파이프 끝단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하우징에 결합되며,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되는 헤드본체; 및 상기 급수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부딪치면서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본체의 출수구에서 상기 소방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디플렉터;를 포함하되,
상기 디플렉터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출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상기 천장 측을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복수의 분사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1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공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공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공은, 상기 천장의 소정지점을 향해 소방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공은, 상기 공급되는 소방수가 소정각도로 분사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출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돌출날개가 일정각도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분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날개는 상하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급되는 소방수의 분사 범위와 분사 각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출날개는 개별적으로 구부러진 각도가 특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는, 천장과 반자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되, 스프링클러 헤드의 끝단에 구비되는 디플렉터에 제1분사부와 제2분사부를 형성해줌으로써, 상기 공간에서 화재 발생 시 소방수를 다양한 분사 범위와 분사 각도로 분사시켜주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가 결합된 스프링클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플렉터에 형성된 제1분사부와 제2분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 4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플렉터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사패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가 결합된 스프링클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건물 실내의 천장(1)과 반자(3) 사이의 공간(S)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100)는, 헤드본체(110), 디플렉터(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헤드본체(110)는 천장(1)과 반자(3) 사이의 공간(S)에 배관된 급수파이프(10)의 끝단에 설치된다. 참고로, 천장(1)은 건축물의 슬라브 중 하부를 나타내고, 반자(3)는 실내 생활 공간의 상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천장(1)과 반자(3) 사이의 공간(S)에는 공조덕트나 소방배관, 전선배선 등 생활에 필요한 설비들(미도시)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S) 내에는 소방수가 공급되는 급수파이프(10)가 설치되고, 급수파이프(10)의 끝단에는 스프링클러의 주된 몸체를 구성하는 스프링클러 하우징(20)이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클러 하우징(20)의 끝단에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본체(110)가 결합된다. 헤드본체(110)에는 급수파이프(10)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입출될 수 있도록 입수구(111)와 출수구(113)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의 헤드본체(110)는 출수구(113)가 상기 공간(S) 내의 천장(1)(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스프링클러 헤드(100)는 공급되는 소방수에 높은 압력을 걸어 소방수를 원형으로 분사해주는 것으로, 화재 발생 시 합금 또는 유리벌브로 된 감열부(101)가 소정 온도에서 파괴됨과 동시에 입수구(111)와 출수구(113)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후술할 디플렉터(120)에 부딪치면서 사방으로 분사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감열부(101)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100)의 작동방식은 통상적으로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플렉터(120)는 헤드본체(110)의 출수구(113)에서 소방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디플렉터(120)는 급수파이프(10)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부딪치면서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소방수를 반사시켜주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플렉터(12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대(121a)를 매개로 출수구(113)로부터 이격 형성되는 몸체부(121)와, 상기 출수구(113)를 통해 소정압력으로 공급되는 소방수가 천장(1) 측(상측)을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몸체부(121)에 복수의 분사공(123a)이 관통 형성되는 제1분사부(123)와, 상기 출수구(113)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사방(수평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몸체부(121)의 테두리에 복수의 돌출날개(125a)가 일정각도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분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디플렉터(120)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분사부(123)의 분사공(123a)은 일 실시예로 상기 몸체부(12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이격되게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도 5의 (a) 참조).
즉 상기 제1분사부(123)를 구성하는 복수의 분사공(123a)이 몸체부(121)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분사공(123a)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가 공간(S) 내의 천장 측의 일정범위를 향해 균일하게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분사공(123a)의 직경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수를 분사하는 범위나 압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공(123a)은 몸체부(12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미도시).
즉 상기 분사공(123a)이 몸체부(121)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됨에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100)의 상측 소정 지점에 집중적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공(123a)은 천장(1)의 소정지점을 향해 소방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천장(1)과 반자(3) 사이의 공간(S)에 복수의 배관이나 전선, 기타 부자재 등의 설치물이 구비되는데, 상기 공간(S) 내에서 화재 발생 시 스프링클러 헤드(100)를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가 상기 설치물 구석구석에 분사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S) 내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는 지점의 부근에 설치된 설치물의 상황을 고려하여, 스프링클러 헤드(100)에 구비된 분사공(123a)을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함에 따라,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공(123a)은 헤드본체(110)의 출수구(113)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소정각도로 분사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사부(125)를 구성하는 돌출날개(125a)는 상하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날개(125a)가 상하로 구부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헤드본체(110)의 출수구(113)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의 분사 범위와 분사 각도를 다양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돌출날개(125a)를 다양한 각도로 설정해줌으로써 천장(1)과 반자(3) 사이의 공간(S)에 설치된 다양한 배관이나 전기배선 사이 구석구석에 소방수를 다양한 각도로 분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초기진화가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돌출날개(125a)는 개별적으로 구부러진 각도가 특정될 수 있다. 즉 천장(1)과 반자(3) 사이의 공간(S)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클러의 위치에 따라, 제2분사부(125)의 돌출날개(125a) 각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해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100)를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가 소정 지점을 향하도록 설정해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100)는, 천장(1)과 반자(3) 사이의 공간(S) 내에 스프링클러 헤드(100)를 설치하되, 스프링클러 헤드(100)의 끝단에 구비되는 디플렉터(120)에 제1분사부(123)와 제2분사부(125)를 형성해줌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S) 내에서 화재 발생 시 소방수를 다양한 분사 범위와 분사 각도(θ1, θ2)로 분사시켜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S) 내에서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천장 3 : 반자
S : 공간 10 : 급수파이프
20 : 스프링클러 하우징 100 : 스프링클러 헤드
110 : 헤드본체 111 : 입수구
113 : 출수구 120 : 디플렉터
121 : 몸체부 121a : 지지대
123 : 제1분사부 123a : 분사공
125 : 제2분사부 125a : 돌출날개

Claims (7)

  1. 천장과 반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있어서,
    급수파이프 끝단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하우징에 결합되며,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되는 헤드본체; 및
    상기 급수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부딪치면서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본체의 출수구에서 상기 소방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디플렉터;를 포함하되,
    상기 디플렉터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판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출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상기 천장 측을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복수의 분사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1분사부;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인 스프링클러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인 스프링클러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상기 천장의 소정지점을 향해 소방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인 스프링클러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상기 공급되는 소방수가 소정각도로 분사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인 스프링클러 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출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돌출날개가 일정각도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분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날개는,
    상하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급되는 소방수의 분사 범위와 분사 각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인 스프링클러 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날개는,
    개별적으로 구부러진 각도가 특정되는 것인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190039543A 2019-04-04 2019-04-04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KR102245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43A KR102245734B1 (ko) 2019-04-04 2019-04-04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43A KR102245734B1 (ko) 2019-04-04 2019-04-04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434A true KR20200117434A (ko) 2020-10-14
KR102245734B1 KR102245734B1 (ko) 2021-04-28

Family

ID=7284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543A KR102245734B1 (ko) 2019-04-04 2019-04-04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695B1 (ko) * 2021-05-31 2022-01-07 주식회사 파라텍 배터리모듈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 노즐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095A (ja) * 1992-06-30 1994-01-25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ドレーンパイプの取付構造
JP2002301167A (ja) * 2001-04-06 2002-10-15 Nohmi Bosai Ltd 水噴霧ヘッド
US6585054B1 (en) * 1999-05-28 2003-07-01 The Viking Corporation Fast response sprinkler head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JP3928107B2 (ja) * 1999-08-11 2007-06-13 能美防災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0766881B1 (ko) * 2006-07-07 2007-10-12 안기정 베란다 설치용 살수방화장치
KR20100129975A (ko) * 2009-06-02 2010-12-10 여준동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KR20100133223A (ko) * 2009-06-11 2010-12-2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막을 이용한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48957B1 (ko) * 2012-08-28 2013-04-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문의 수막 생성장치
KR20160004022A (ko) * 2014-07-02 2016-01-12 김영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KR101754973B1 (ko) * 2013-10-22 2017-07-06 최민길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KR101828258B1 (ko) * 2016-04-22 2018-02-27 주식회사 파라텍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US20180133725A1 (en) * 2015-06-02 2018-05-17 Tyco Fire Products Lp An upright fire protection sprinkler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095A (ja) * 1992-06-30 1994-01-25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ドレーンパイプの取付構造
US6585054B1 (en) * 1999-05-28 2003-07-01 The Viking Corporation Fast response sprinkler head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JP3928107B2 (ja) * 1999-08-11 2007-06-13 能美防災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2002301167A (ja) * 2001-04-06 2002-10-15 Nohmi Bosai Ltd 水噴霧ヘッド
KR100766881B1 (ko) * 2006-07-07 2007-10-12 안기정 베란다 설치용 살수방화장치
KR20100129975A (ko) * 2009-06-02 2010-12-10 여준동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KR20100133223A (ko) * 2009-06-11 2010-12-2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막을 이용한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48957B1 (ko) * 2012-08-28 2013-04-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문의 수막 생성장치
KR101754973B1 (ko) * 2013-10-22 2017-07-06 최민길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KR20160004022A (ko) * 2014-07-02 2016-01-12 김영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US20180133725A1 (en) * 2015-06-02 2018-05-17 Tyco Fire Products Lp An upright fire protection sprinkler
KR101828258B1 (ko) * 2016-04-22 2018-02-27 주식회사 파라텍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695B1 (ko) * 2021-05-31 2022-01-07 주식회사 파라텍 배터리모듈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734B1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8365C (en) Residential fire sprinkler
US20090126950A1 (en) Residential Flat Plate Concealed Sprinkler
US8783373B2 (en) Extended coverge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CN217773041U (zh) 水平侧壁窗口喷洒器和用于保护窗装置的窗口喷洒器系统
KR102245734B1 (ko)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WO2017156439A1 (en) Long-throw fire sprinkler
CN114555192A (zh) 可安装在墙壁的喷头单元
US20130126192A1 (en) Spray head for a uniform fluid distribution and a fluid distribution system
GB2206043A (en) Fire protection sprinklers
KR20210002914A (ko) 벽면 패널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286749B1 (ko)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구조
KR20080005954U (ko) 화재진압과 화염전파를 방지하는 스프링클러
CN205372619U (zh) 一种金属厢式真火燃烧室用喷淋系统
US2023000950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in a building
KR101045660B1 (ko)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KR20110087489A (ko) 소방 노즐 조립체
KR100756010B1 (ko) 다 기능성 물 분무 헤드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3619631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299222B1 (ko) 저충격 소화노즐
CN216855578U (zh) 外墙灭火系统
US11511144B2 (en) Sprinkler head
KR102587867B1 (ko) 자동 소화 기능을 갖는 레일 시스템
KR1021562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KR102346753B1 (ko) 와이드 분사형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소방화재 감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