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973B1 -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 Google Patents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973B1
KR101754973B1 KR1020130125837A KR20130125837A KR101754973B1 KR 101754973 B1 KR101754973 B1 KR 101754973B1 KR 1020130125837 A KR1020130125837 A KR 1020130125837A KR 20130125837 A KR20130125837 A KR 20130125837A KR 101754973 B1 KR101754973 B1 KR 101754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ver
heat
heat insulat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6519A (ko
Inventor
최민길
Original Assignee
최민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길 filed Critical 최민길
Priority to KR102013012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9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9/00Means in or on valves for heating or cooling
    • F16K49/002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7Bands, cords, strips or the like for helically winding around a cylindrical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겨울철 소방 배관 뿐만 아니라, 건물내 배관의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에 관한 것으로, 커버에 온열선을 삽입하고, 각각의 커버를 직렬로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COVER FOR HEATING}
본 발명은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겨울철 소방 배관 뿐만 아니라, 건물내 배관의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에 관한 것으로, 커버에 온열선을 삽입하고, 각각의 커버를 직렬로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건물 내외부의 곳곳에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소방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소화전이 설치되며, 물 탱크의 물이 소화전까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건물의 기둥이나 벽을 따라 설치된다.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각 층에 설치된 소화전에 원활한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물 탱크는 건물의 옥상에 주로 설치된다.
그런데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부의 물이 결빙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한파가 심할 때에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동파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소방용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서 더 큰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해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전열선을 배선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배선된 전열선에 전기가 공급되면, 전열선이 발열이 되면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 내부의 온도를 높여 물의 결빙을 방지하게 된다.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되는 전열선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피복으로 감싸진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내부에 배선된 전열선의 피복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부식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 2년 정도의 주기로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주기적인 전열선의 교체에 따라 인력 및 비용의 투입이 과다하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 2013-0015188호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건물 내의 각 요소에 소방용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배관된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물 공급 파이프의 동파방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건물 배관의 물 공급 파이프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파 방지 온열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장착 및 탈착이 쉽도록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동파 방지 온열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100)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가요성(flexible)인 판형의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제공되는 플러그부(11);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 제공되는 소켓부(12); 상기 플러그부(11)와 상기 소켓부(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제공되는 온열선(13); 및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파이프(100)를 감싸는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면을 대응하는 타측면과 결속하는 결속부재(17, 18)를 포함하는,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온열선(13)이 과열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과열방지부(15)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외부에 노출된 파이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과열방지부(15)는 상기 온도센서(19)가 소정의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온열선(13)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파이프(100)에 맞닿는 내피복(22)과,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복(21)과, 상기 내피복(22) 및 상기 내피복(21) 사이에 상기 온열선(13)을 감싸는 단열재(24)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24)와 상기 외피복(21) 사이에는 상기 단열재(24) 측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열재층(23)이 더욱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건물 배관의 물 공급 파이프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파 방지 온열 커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장착 및 탈착이 쉽도록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동파 방지 온열 커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의 장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의 장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의 다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관 동파 방지용 커버는, 파이프(100)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가요성(flexible)인 판형의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제공되는 플러그부(11)와,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 제공되는 소켓부(12)와, 상기 플러그부(11)와 상기 소켓부(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제공되는 온열선(13) 및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파이프(100)를 감싸는 경우,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을 대응하는 타측면과 결속하는 결속부재(17, 1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몸체부(10)가 휘어져서 배관용 파이프를 감싸도록 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열재로 주된 구성요소로 하는 몸체부(10)가 파이프를 감싸서, 파이프 측으로만 열을 공급하고, 외부로의 열을 배출을 차단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파이프(100)에 맞닿는 내피복(22)과,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복(21)과, 상기 내피복(22) 및 상기 외피복(21) 사이에 상기 온열선(13)을 감싸는 단열재(24)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24)와 상기 외피복(21) 사이에는 상기 단열재(24) 측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열재층(23)이 더욱 형성되도록 한다.
외피복(21)과, 내피복(22)은 가장 바깥 층으로서, 단열재(24) 및 차열재층(23)를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차열재라 함은 열이 전도 등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재질의 물질을 말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재료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는 단열재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핵심은 단열재 층에 온열선이 제공되는데, 단열재 층은 파이프 측으로는 차열성분이 제공되지 않고, 외부 측으로만 차열 성분이 제공되는 것에 있다. 이를 통해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파이프 측으로는 열이 잘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이프를 감싸기 위해서는,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파이프(100)를 감싸는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면을 대응하는 타측면과 결속하는 결속부재(17, 18)가 제공되어야 한다. 결속부재는 체결부재(17) 및 체결홈(18)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17)는 상기 파이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고, 체결홈(18)은 상기 체결부재(17)와 대응되도록 몸체부(10)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결속부재는 두 위치에 제공되는 부재에 의해 서로 간에 결속이 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체결부재(17) 및 체결홈(18)은 서로 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체결부재(17) 및 체결홈(18)의 길이 조절을 통해서 감쌀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도 3과 같이, 각각의 커버의 몸체부(10)를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직렬로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제공되는 플러그부(11)와,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 제공되는 소켓부(12)와, 상기 플러그부(11)와 상기 소켓부(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제공되는 온열선(13)의 구조를 제공한다. 플러그부(11)는 몸체부(10)로부터 연장된 전선(14)을 통해 온열선(13)과 이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몸체부의 플러그부(11)는 전원부(11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제1 몸체부에 이웃하는 제2 몸체부의 플러그부(11)는 제1 몸체부의 소켓부(12)에 결속된다. 이를 통해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통전 상태가 되고, 제1 몸체부의 플러그부(11)에서 공급받는 전기는 제2 몸체부로 공급된다.
제2 몸체부에는 제3 몸체부가 위와 동일한 구조로 결속되어 전기적인 통전 상태를 계속적으로 확장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의 몸체부를 복수 개 직렬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커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장착 및 탈착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온열선(13)은 도면에서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동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작동상의 안전장치를 두고 있다. 이는 상기 온열선(13)이 과열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과열방지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과열방지부(15)의 회로도 등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외부에 노출된 파이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과열방지부(15)는 상기 온도센서(19)가 소정의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온열선(13)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몸체부의 플러그부가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낭비 뿐만 아니라, 과열에 의한 위험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는 파이프 중 본 발명에 의한 커버가 싸이지 않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즉, 외부에 노출된 파이프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측정 온도가 파이프 내부의 물의 어는 점보다 높을 경우에는 굳이 온열선에 전기를 공급할 필요가 없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몸체부
11 : 플러그부
12 : 소켓부
13 : 온열선
14 : 전선
15 : 과열방지부
17 : 체결부재
18 : 체결홈
19 : 온도센서
21 : 외피복
22 : 내피복
23 : 차열재
24 : 단열재
100 : 파이프
110 : 전원부

Claims (4)

  1. 파이프(100)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가요성(flexible)인 판형의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제공되는 플러그부(11);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 제공되는 소켓부(12);
    상기 플러그부(11)와 상기 소켓부(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제공되는 온열선(13);
    상기 파이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는 체결부재(17) 및 상기 체결부재(17)와 대응되는 상기 몸체부(10)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17)와 결합되는 체결홈(18);
    상기 온열선(13)이 과열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과열방지부(15); 및
    상기 몸체부로 파이프를 감싸지 않은 외부로 노출된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9);를 포함하고,
    상기 과열 방지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파이프의 온도가 파이프 내부의 물의 어는 점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온열선(13)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몸체부(10)는,
    상기 파이프(100)에 맞닿는 내피복(22)과,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복(21)과, 상기 내피복(22) 및 상기 외피복(21) 사이에 상기 온열선(13)을 감싸는 단열재(24)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24)와 상기 외피복(21) 사이에는 상기 단열재(24) 측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열재층(23)이 더욱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125837A 2013-10-22 2013-10-22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KR101754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837A KR101754973B1 (ko) 2013-10-22 2013-10-22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837A KR101754973B1 (ko) 2013-10-22 2013-10-22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519A KR20150046519A (ko) 2015-04-30
KR101754973B1 true KR101754973B1 (ko) 2017-07-06

Family

ID=5303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837A KR101754973B1 (ko) 2013-10-22 2013-10-22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9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434A (ko) * 2019-04-04 2020-10-14 주식회사 파라텍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89245B1 (ko) * 2020-05-11 2020-12-09 주식회사 태강 창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064B1 (ko) 2016-10-25 2018-05-1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비방향성 직렬연결 커넥터를 이용한 휴대용 플랜트 계측기 동파방지 장치
KR200487602Y1 (ko) 2017-05-19 2018-10-11 디에스엠 주식회사 보일러관용 동파방지 보온싸개
CN109663256A (zh) * 2019-02-18 2019-04-23 中国铁路沈阳局集团有限公司科学技术研究所 一种铁路消防管线防寒电加热装置
KR102220472B1 (ko) * 2019-05-08 2021-02-25 김형돈 동파방지용 발열체가 내장된 보온재
KR102570891B1 (ko) * 2021-07-12 2023-08-28 올스팀 주식회사 벤트포트 히팅장치
CN115092547A (zh) * 2022-05-30 2022-09-23 华能嘉祥发电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防雨雪保温软体罩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361B1 (ko) * 2010-05-26 2011-09-28 김성훈 유체 이송관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361B1 (ko) * 2010-05-26 2011-09-28 김성훈 유체 이송관 가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434A (ko) * 2019-04-04 2020-10-14 주식회사 파라텍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KR102245734B1 (ko) * 2019-04-04 2021-04-28 주식회사 파라텍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89245B1 (ko) * 2020-05-11 2020-12-09 주식회사 태강 창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519A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973B1 (ko)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US20070036528A1 (en) Heated hose electrical cord
JP5313597B2 (ja) 凍結防止ヒーターおよびその凍結防止システム
JP5313598B2 (ja) ヒーター用ケーブルとそれを備えた凍結防止ヒーター
KR101870970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CN102244948B (zh) 一种伴热带的安装方法
KR20140052515A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829138B1 (ko) 배관라인 동파방지를 위한 열선매입형 발열히터
US1140864A (en) Means for thawing out water-pipes.
KR20220003202A (ko) 교류 메탈 히터와 면상 발열체가 조합된 혼합 동파방지 시스템
KR100839970B1 (ko) 배관라인 동결 방지용 히터
KR101915532B1 (ko) 동파 방지 기능을 갖는 소방수 공급 설비
KR101271231B1 (ko) 상수도 동파 방지 시스템
KR200487602Y1 (ko) 보일러관용 동파방지 보온싸개
KR200277428Y1 (ko) 수도관 동파방지히터
JP2004244958A (ja) 凍結防止用流水配管
KR101579285B1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200375195Y1 (ko)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KR102220472B1 (ko) 동파방지용 발열체가 내장된 보온재
KR20100060770A (ko) 선박 유체 파이프 보온 장치
KR20120100077A (ko) 수도계량기용 동파방지장치
KR200490756Y1 (ko) 동파방지 장치가 구비된 일체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579287B1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579284B1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20190107470A (ko) 냉,온수 배관의 동파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