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515A -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515A
KR20140052515A KR1020120118662A KR20120118662A KR20140052515A KR 20140052515 A KR20140052515 A KR 20140052515A KR 1020120118662 A KR1020120118662 A KR 1020120118662A KR 20120118662 A KR20120118662 A KR 20120118662A KR 20140052515 A KR20140052515 A KR 20140052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ing
coupling
heating cabl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천
Original Assignee
(주)세한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한에너지 filed Critical (주)세한에너지
Priority to KR1020120118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515A/ko
Publication of KR2014005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16L53/38Ohmic-resistance heating using elongate electric heating elements, e.g. wires or ribb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내측에 설치하여 동절기에 배관의 내측에 잔류하는 유체에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배관에 결속 고정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를 관통하여 배관의 내측에 위치하여 열을 발산하는 히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A frozen to burst prevention device for pipe}
본 발명은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내측에 설치하여 동절기에 배관의 내측에 잔류하는 유체에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는 건물에 배관된 파이프가 동결 또는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된 파이프를 보온재로 감싸주는 방법으로 파이프의 동결 또는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파이프 주위를 보온재로 감싸준다고 하더라도 혹한기에는 배관이 동결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배관의 주위를 매년 동절기마다 보온재를 감싸는 것이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뿐만 아니라, 특히 배관이 바깥 대기 중에 노출된 벽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온재를 설치하는 작업이 불가능하여 매년 동절기마다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동결된 배관을 해빙시키는 것이 연례행사처럼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의 외주면에 열선(12)을 감아주고, 보온재(14)로 열선(12)을 감싸는 방식으로 하여 배관(10)의 동결 또는 동파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배관(10)에 열선(12)을 감아주고, 보온재(14)로 커버하는 작업이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동시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온재(14)의 부식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보온재(14)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배관(10)을 감싸고 있는 열선(12)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이 노출된 열선(12)의 피복이 벗겨지는 경우 감전 등 안전사고 및 누전에 의해 배관(10)의 동결 또는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열선(12)의 수명이 짧아 경화현상으로 인해 열을 방출되지 않아 배관(10)의 동결 또는 동파를 방지하지 못해 배관(10)을 감싸고 있는 보온재(14) 및 열선(12)을 교체하는 보수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보온재(14) 및 열선(12)을 교체하는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관된 파이프의 내측에 동파 또는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이 발산하는 히터부를 설치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히팅부의 히팅케이블이 단선 등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히팅케이블의 수명이 짧은 반면, 본 발명의 삽입형 히팅케이블은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관의 내측에 히팅케이블을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과부화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저 전력으로 히팅케이블의 단선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배관 파이프의 내측에는 커버관에 의해 히팅케이블과 와이어가 피복되어 있어 강도가 크므로 길이가 긴 히팅케이블의 자중에 의해 히팅케이블이 단선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관의 내측에 히팅케이블이 배선되고, 이 히팅케이블에서 발산하는 열에 의해 유체가 직접 가열되어 동결 또는 동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기존에 설치된 배관에도 배관의 일부를 절단하여 결속수단을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배관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이 나사공에 결속부를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히팅케이블을 용이하게 배관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배관에 결속 고정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를 관통하여 배관의 내측에 위치하여 열을 발산하는 히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는 배관에 결속되는 결속부재가 구비되고, 이 결속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연결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재는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되, 이 나사공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격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연결밸브는 내측에 결속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중앙부 원주 방향으로 돌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팅부는 한 쌍의 히팅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히팅케이블의 위측부를 커버하는 테프론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테프론관의 외측으로 커버하는 커버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관의 내측에는 한 쌍의 와이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관의 내측부에는 보호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와 연결밸브의 결속부 사이에는 배관에 잔류하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누수방지부는 체결부재와 연결밸브 사이에 구비되되, 히팅부의 커버관이 관통되는 패킹이 구비되고, 이 패킹의 양측부에는 와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부는 커버관의 일측부을 커버하는 마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히팅케이블의 타측 끝단부는 온도조절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관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배관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과승측정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팅부의 히팅케이블의 일측부에는 접속단자에 연결되고, 이 접속단자를 제어하는 히터 콘크롤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히터 콘트롤부를 자동 제어하는 자동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배관된 파이프의 내측에 동파 또는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이 발산하는 히터부를 설치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히팅부의 히팅케이블이 단선 등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히팅케이블의 수명이 짧은 반면, 본 발명의 삽입형 히팅케이블은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의 내측에 히팅케이블을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과부화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저 전력으로 히팅케이블의 단선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관 파이프의 내측에는 커버관에 의해 히팅케이블과 와이어가 피복되어 있어 강도가 크므로 길이가 긴 히팅케이블의 자중에 의해 히팅케이블이 단선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의 내측에 히팅케이블이 배선되고, 이 히팅케이블에서 발산하는 열에 의해 유체가 직접 가열되어 동결 또는 동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존에 설치된 배관에도 배관의 일부를 절단하여 결속수단을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배관에 나사공을 형성되고, 이 나사공에 결속부를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히팅케이블을 용이하게 배관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용 동파 방지수단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속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히팅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의 자동 제어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결속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히팅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100)는 내측으로 유체가 흐르는 배관(102)이 구비되고, 이 배관(102)의 소정 위치에 서로 이격되게 "T"자 형상의 T자밸브(10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관(102)에 T자밸브(104)를 구비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배관(102)에는 서로 이격되게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결속 고정되는 결속밸브 등 결속수단을 결속 고정시킨 후 배관(102)과 결속수단을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102)에 구비된 "T"자 형상의 T자밸브(104)에 결속 고정되는 결속부(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속부(110)는 배관(102)에 T자밸브(104)를 설치하지 않고, 배관(102)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이 나사공에 결속부(110)를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110)는 배관(102)에 결속된 "T"자 형상의 T자밸브(104)에 나사 결합 고정되는 결속부재(1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재(1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T"자 형상의 T자밸브(104)에 나사 결합 고정되도록 제1나사산(114)이 형성되고, 내측부에는 나사공(1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속부재(112)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공(116)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18a)이 형성된 격판(118)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결속부재(112)에 결합 고정되는 연결밸브(120)가 구비되되, 이 연결밸브(120)는 내측에 결속공(12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결속부재(112)의 나사공(116)에 나사 결합되도록 제2나사산(124)이 형성되며, 제2나사산(124)의 중앙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구(12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112)와 연결밸브(120) 사이에는 배관(102)에 잔류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누수방지부(130)는 결속부재(112)와 연결밸브(120)의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와셔(132)가 구비되고, 한 쌍의 와셔(132) 사이에는 패킹(13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패킹(134)은 연결밸브(120)가 결속부재(112)에 체결될 때 와셔(132)를 매개로 하여 패킹(134)이 압착되어 기밀이 유지되게 됨으로써, 배관(102) 내부의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110)에 관통되게 결속되어 배관(102)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열을 발산하는 히팅부(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히팅부(140)는 결속부(110)의 연결밸브(120)와 결속부재(112)를 관통하여 배관(102)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측부는 이웃하는 "T"자 형상의 T자밸브(104)에 결속 고정된 결속부재(112)와 연결부재(120)를 관통하여 외측에 위치되는 히팅케이블(14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히팅케이블(142)은 한 쌍이 구비되되, 히팅케이블(142)의 외측을 커버하는 테프론관(14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테프론관(144)의 외측을 커버하되, 내열PVC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테프론관(144)의 외측부를 커버하는 커버관(148)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커버관(148)의 내측에 배선된 히팅케이블(142)이 장력에 의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와이어(14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46)를 더 구비함으로써, 길게 설치되는 히팅케이블(142)의 중량에 의해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히팅케이블(142)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관(102)에 히팅부(140)가 배선될 때, 즉 결속부(110)의 연결밸브(120) 및 결속부재(112)를 관통하여 배관(102)의 내측에 히팅케이블(142)이 배선될 때 히팅케이블(142) 및 히팅케이블(142)을 커버하고 있는 커버관(148)이 결속부(110)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관(148)의 절곡부에 위치하는 보호관(1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호관(150)은 커버관(148)의 외주면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게 결속되어 커버관(148)의 절곡부에 보호관(150)을 용이하게 위치시켜 커버관(148)의 절곡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관(102)의 내측에 히팅부(140)의 히팅케이블(142)을 배선할 때 보호관(150)이 히팅케이블(142)을 커버하고 있는 커버관(148)의 절곡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커버관(148)을 절곡시킴으로써, 커버관(148)의 절곡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관(148)의 내측에 위치한 히팅케이블(14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100)는 신축 건물에 설치되는 배관(102) 또는 이미 설치된 배관(102)에 설치하되, 배관(102)에 "T"자 형상의 T자밸브(104)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한 쌍을 결속시킨 후 배관(102)에 결속된 "T"자 형상의 T자밸브(104)에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100)를 설치하되, 히팅부(140)의 테프론관(142)이 "T"자 형상의 T자밸브(104)에 결속 고정된 결속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다.
이렇게, 상기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100)를 배관(102)에 설치한 후 하절기에는 배관(102)을 통하여 각 가정으로 유체(물)를 공급하게 되고, 동절기에 온도가 빙점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히팅케이블(142)에 전원을 인가시켜 열을 발산하도록 하여 배관(102)을 통하여 이동하는 유체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100)는 건물에 설치되는 상수배관 이외에 소방배관 등에 적용 설치함으로써, 추운 겨울, 즉 동절기에 온도가 빙점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히팅케이블(142)에서 발산하는 열에 의해 배관(102)의 내측에 잔류하는 유체가 직접 가열되어 유체가 동결되는 것이 방지되며, 배관(102)의 내측에 잔류하는 유체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의 동결로 인해 배관(102)에 동파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부(140)에 와이어(146)를 더 구비함으로써, 배관(102)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히팅케이블(142)이 장력에 의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접지의 안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100)는 상, 하수 및 소방배관이 설치되는 모든 건물, 즉 호텔, 콘도 등 숙박시설이나, 아파트, 오피스텔 등 거주시설과,병원, 학교, 유치원 등 공공시설 등에 설치함으로써, 동절기에 배관(102)의 동결 또는 동파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100)는 건물 등에 이미 배관된 수도관 등에 설치할 수도 있고, 신축 건물에 배관되는 수도관 등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케이블(144)을 감싸고 있는 커버관(148)의 일측부는 마감부재(152)에 의해 커버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152)에 의해 커버된 커버관(148)의 내측에 구비된 히팅케이블(142)의 타측부는 연장 형성되어 용이하게 ON/OFF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온도조절기(1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관(102)의 외측부에는 온도조절기(160)와 배선에 의해 연결되어 배관(10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16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의 외측부에는 온도조절기와 배선에 의해 연결되는 과승측정센서(16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온도측정센서(162)를 배관(102)에 구비함으로써, 배관(102)의 온도가 빙점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히팅케이블(144)에 전원을 인가하여 열을 발산하도록 하여 배관(102)의 내측에 잔류하는 물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히팅케이블(144)에서 발산하는 열을 온도측정센서(162)가 측정하여 설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히팅케이블(144)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항상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동절기에 배관(102)은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배관(102)의 내측에 잔류하는 물이 동결로 인해 배관(102)의 동파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도측정센서(162)의 오작동으로 인해 온도조절기(160)가 지속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배관(102)의 과열시 과승측정센서(163)가 배관(102)의 상승하는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온도조절기(160)로 전송하여 온도조절기(160)의 작동을 OFF시켜 배관(102)으로 공급되는 열을 차단하여 배관(102)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의 자동 제어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102)에 배선된 히팅케이블(144)의 일측부에 접속단자(170)가 연결되고, 이 접속단자(170)를 콘트롤 하여 히팅케이블(144)에 전원을 인가하여 열을 발산하도록 하는 히터 콘트롤부(172)가 구비되며, 이 히터 콘트롤부(172)로 전원을 공급 및 단속하는 분전함(17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 콘트롤부(172)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제어부(17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자동 제어부(176)는 중앙제어 원격 콘트롤 또는 PC 통합 관리 콘트롤로 건물의 배관(102)에 설치된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100)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물의 자동 제어 시스템과 연계 가능하게 되어 자동 제어부(176)에 의해 건물에 배관된 히팅케이블(144)의 동작, 즉 동절기에 배관(102)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가 빙점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히팅케이블(144)로 전원을 인가시켜 열을 발산하도록 하여 배관(102)의 잔류하는 물이 결빙되어 배관(102)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동 제어부(176)의 제어에 의해 동절기에 배관(102)의 일정 온도를 항상 유지하게 되어 배관(102)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102 : 배관
104 : T자밸브 110 : 결속부
112 : 결속부재 114 : 제1나사산
116 : 나사공 118 : 격판
118a : 관통공 120 : 연결밸브
122 : 결속공 124 : 제2나사산
126 : 돌출부재 130 : 누수방지부
132 : 와셔 134 : 패킹
140 : 히팅부 142 : 히팅케이블
144 : 테프론관 146 : 와이어
148 : 커버관 150 : 보호관
152 : 마감부재 160 : 온도조절기
162 : 온도측정센서 163 : 과승측정센서
170 : 접속단자
172 ; 히터 콘트롤부 174 : 분전함
176 : 자동 제어부

Claims (17)

  1. 유체를 이송시키는 배관에 결속 고정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를 관통하여 배관의 내측에 위치하여 열을 발산하는 히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배관에 결속되는 결속부재가 구비되고, 이 결속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연결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되, 이 나사공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격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밸브는 내측에 결속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중앙부 원주 방향으로 돌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한 쌍의 히팅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케이블의 위측부를 커버하는 테프론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테프론관의 외측으로 커버하는 커버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관의 내측에는 한 쌍의 와이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관의 내측부에는 보호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연결밸브의 결속부 사이에는 배관에 잔류하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는 체결부재와 연결밸브 사이에 구비되되, 히팅부의 커버관이 관통되는 패킹이 구비되고, 이 패킹의 양측부에는 와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커버관의 일측부을 커버하는 마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히팅케이블의 타측 끝단부는 온도조절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과승측정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의 히팅케이블의 일측부에는 접속단자에 연결되고, 이 접속단자를 제어하는 히터 콘크롤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콘트롤부를 자동 제어하는 자동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20120118662A 2012-10-24 2012-10-24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20140052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662A KR20140052515A (ko) 2012-10-24 2012-10-24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662A KR20140052515A (ko) 2012-10-24 2012-10-24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760A Division KR101579285B1 (ko) 2014-12-16 2014-12-16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20140181747A Division KR101579284B1 (ko) 2014-12-16 2014-12-16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20140181773A Division KR101579287B1 (ko) 2014-12-16 2014-12-16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515A true KR20140052515A (ko) 2014-05-07

Family

ID=5088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662A KR20140052515A (ko) 2012-10-24 2012-10-24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5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10A (ko) * 2018-04-03 2019-10-14 양성훈 관로 동파방지장치
CN112253880A (zh) * 2020-11-10 2021-01-22 四川大学 一种热力自循环驱动的建筑供水管道防冻系统
CN113464773A (zh) * 2021-07-31 2021-10-01 江苏致乐管业科技有限公司 一种排水用pp-r管件
KR20230138771A (ko) * 2022-03-24 2023-10-05 윤지영 하수관 결빙에 의한 해빙용 소켓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10A (ko) * 2018-04-03 2019-10-14 양성훈 관로 동파방지장치
CN112253880A (zh) * 2020-11-10 2021-01-22 四川大学 一种热力自循环驱动的建筑供水管道防冻系统
CN113464773A (zh) * 2021-07-31 2021-10-01 江苏致乐管业科技有限公司 一种排水用pp-r管件
KR20230138771A (ko) * 2022-03-24 2023-10-05 윤지영 하수관 결빙에 의한 해빙용 소켓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3029C (en) Metal heater system
KR20140052515A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330219B1 (ko) 옥외소화전 동파방지유닛 보호시스템
KR101756375B1 (ko) 동파방지장치
KR101579285B1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0666405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누수차단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배관시스템
KR101579287B1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579284B1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870970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장치
CN204083639U (zh) 民用建筑管道防冻自控伴热电缆系统
KR101829138B1 (ko) 배관라인 동파방지를 위한 열선매입형 발열히터
KR20170124389A (ko) 배관내 잔류하는 유체 동파 방지 장치 시스템
KR20180000124U (ko) 수도배관 동파 방지장치
KR20220130571A (ko) 소방시설 동파방지용 스마트 면상발열체 시스템
KR102229305B1 (ko) 실시간 표면 온도 연동 및 설정 온도 유지가 가능한 반도체릴레이를 이용한 발열선 발열량 제어시스템
KR101321205B1 (ko) 벨로우즈 타입용 동파 방지구와 이를 적용한 수도계량기 및 열교환기
KR101271231B1 (ko) 상수도 동파 방지 시스템
KR100839970B1 (ko) 배관라인 동결 방지용 히터
KR101915532B1 (ko) 동파 방지 기능을 갖는 소방수 공급 설비
KR20190067064A (ko)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KR102419434B1 (ko)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파 방지 시스템
KR100584654B1 (ko) 상수도 파이프 동파 방지장치
KR20120100077A (ko) 수도계량기용 동파방지장치
KR20190107470A (ko) 냉,온수 배관의 동파 방지장치
KR101535869B1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