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064A -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064A
KR20190067064A KR1020170167089A KR20170167089A KR20190067064A KR 20190067064 A KR20190067064 A KR 20190067064A KR 1020170167089 A KR1020170167089 A KR 1020170167089A KR 20170167089 A KR20170167089 A KR 20170167089A KR 20190067064 A KR20190067064 A KR 20190067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t water
boiler
wat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세
Original Assignee
권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세 filed Critical 권영세
Priority to KR102017016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7064A/ko
Priority to PCT/KR2018/011220 priority patent/WO2019112155A1/ko
Publication of KR2019006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5Devices for 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장치와, 상기 보일러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보일러장치 내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직수관과, 상기 보일러장치와 연결되고 난방 대상 지역으로 상기 보일러장치 내에서 가열된 난방수를 공급하는 난방 공급관과, 상기 보일러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난방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난방수가 순환되어 상기 보일러장치로 회수되는 난방 환수관과, 상기 보일러장치와 온수분배기를 연결하고 상기 보일러장치 내에서 가열된 온수가 공급되는 급탕관과, 상기 난방 공급관 상에서 바이패스 되고 상기 급탕관 측에 근접 배치되는 제 1 동파 방지관과, 상기 난방 환수관 상에서 바이패스 되고 상기 직수관 측에 근접 배치되는 제 2 동파 방지관 및 상기 급탕관과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 사이 및 상기 직수관과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동파 방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동파 방지 유닛으로 인해 상기 급탕관과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와 상기 직수관과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분기관과 급탕관 및 분기관과 급수관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손쉽게 배치함으로써,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직수관 및 급탕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SYSTEM FOR SUPRESSING OF DAMAGE BY COLD WETHER FOR HOT WATER BOILER}
본 발명은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가 순환되는 난방 공급관과 난방 환수관을 이용하여 급수관 및 급탕관이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찜질방과 같은 대중목욕시설이나, 주택, 아파트 등에서는 난방이나 온수 사용을 위해 난방배관이나 온수배관을 보일러에서 분배 연결되도록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난방배관이나 온수배관 등은 보일러 가동시에는 상관없으나 보일러 비 가동시 추운 날씨에 배관이 동파 되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러한 배관의 동파는 누수 등의 문제는 물론 난방, 온수 공급을 원활히 제공하지 못하는 각종 문제를 유발하게 됨은 물론 이러한 배관 동파의 손상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배관의 동파 위치를 추적하여 복개하여 복구하여야 하는 등 많은 비용과 수고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종래에는 상기한 배관의 시공시에 동파 방지를 위한 구조로 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배관 파이프의 외주연으로 우레탄 폼 등으로 제작된 보온덮개를 감싸거나 또는 발열 가능한 전기코일을 감아 설치하므로 보일러 비 가동하는 추운 날씨에도 배관을 보온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단순 보온덮개의 구조만으로는 추운 겨울철 기온의 급강하에 의해 배관이 얼어 동파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갖고 있었다. 더욱이 전기코일을 사용할 경우 추가적인 전기세가 소요됨은 물론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행기술(특허출원 제1020120001989호)이 개발되었다.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전열선을 사용하지 않고 난방 공급관과 난방 환수관에 바이패스 되는 분기관을 각각 설치하고 분기관을 급수관 및 급탕관과 근접하게 배치하여 급수관 및 급탕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분기관과 급수관을 근접 배치하는 과정에서 잘못 설치하면 분기관과 급수관이 밀착되고, 이로 인해 분기관을 통해 순환하는 난방수의 온도가 급수관으로 전이되어 난방수의 온도가 내려가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분기관과 급수관을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해야 하는데 설치할 때마다 분기관과 급수관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어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급수관의 동파방지를 제대로 달성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분기관과 급탕관을 배치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01989호 (2012.01.0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기관(동파 방지관)과 급탕관 및 분기관(동파 방지관)과 급수관 사이에 동파 방지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분기관과 급탕관 및 분기관과 급수관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손쉽게 배치할 수 있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기관과 급수관 및 분기관과 급탕관이 휘어지면 동파 방지 유닛이 분기관을 따라 함께 휘어지고,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일러장치와, 상기 보일러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보일러장치 내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직수관과, 상기 보일러장치와 연결되고 난방 대상 지역으로 상기 보일러장치 내에서 가열된 난방수를 공급하는 난방 공급관과, 상기 보일러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난방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난방수가 순환되어 상기 보일러장치로 회수되는 난방 환수관과, 상기 보일러장치와 온수분배기를 연결하고 상기 보일러장치 내에서 가열된 온수가 공급되는 급탕관과, 상기 난방 환수관 상에서 바이패스 되고 상기 직수관 측에 근접 배치되는 제 1 동파 방지관과, 상기 난방 공급관 상에서 바이패스 되고 상기 급탕관 측에 근접 배치되는 제 2 동파 방지관 및 상기 직수관과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 사이 및 상기 급탕관과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동파 방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동파 방지 유닛으로 인해 상기 직수관과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급탕관과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난방 환수관 상에 상기 난방수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 1 크로스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 공급관 상에 상기 난방수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 1 크로스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이 상기 직수관에 근접 배치되는 부분과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이 상기 급탕관에 근접 배치되는 부분에 열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온부재에 의해 피복 처리될 수 있다.
또, 상기 동파 방지 유닛은,
상기 직수관, 상기 급탕관,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 및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 중 어느 한 곳에 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동파 방지 유닛은,
상기 동파 방지 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동파 방지 유닛은,
상기 직수관과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급탕관과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동파 방지 유닛은,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난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온수가 순환되는 난방 공급관과 난방 환수관에서 각각 동파 방지관을 분배하여 온수가 공급되는 급탕관과 수돗물이 공급되는 직수관 측에 근접 배열한 다음 일체로 피복처리 되도록 함으로써 동절기 동파 및 보일러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난방에 사용되는 온수를 이용해 각각 급탕관과 직수관을 가열할 수 있어 빠른 온수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기존에 동파방지를 위해 사용하던 전기코일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동파 방지 유닛으로 인해 직수관과 제 1 동파 방지관 및 급탕관과 제 2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고, 직수관과 제 1 동파 방지관 및 급탕관과 제 2 동파 방지관이 서로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적의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급탕관 및 직수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동파 방지 유닛이 관들을 따라 함께 휘어질 수 있어서, 관에 굴곡이 발생하여도 직수관과 제 1 동파 방지관 및 급탕관과 제 2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에서 동파 방지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스시템에서 동파 방지 유닛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스시템에서 동파 방지 유닛이 주름관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스시템에서 동파 방지 유닛이 벤딩된 관에 적영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스시템에서 동파 방지 유닛 및 보온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은, 보일러장치(10)와, 일단은 수도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장치(10)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장치(10) 내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직수관(20)과, 일단은 상기 보일러장치(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연장 형성되며 난방 대상 지역에 배열 매설됨으로써 상기 보일러장치(10) 내에서 가열된 온수가 순환되는 난방 공급관(30)과, 일단은 상기 난방 공급관(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장치(10)에 연결되어 순환 종료된 온수가 회수되는 난방 환수관(40)과, 일단은 상기 보일러장치(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온수분배기(100)에 연결되며 상기 보일러장치(10) 내에서 가열된 온수가 공급되는 급탕관(50)과, 상기 난방 환수관(40)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직수관(20) 측에 근접 배치되며 재차 상기 난방 환수관(40) 측에 합류되는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상기 난방 공급관(30)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급탕관(20) 측에 근접 배치되며 재차 상기 난방 공급관(30) 측에 합류되는 제 2 동파 방지관(70) 및 상기 직수관(20)과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60) 사이 및 상기 급탕관(50)과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7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동파 방지 유닛(200)을 포함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일러장치(10)는 온수를 만드는 연료로 가스 및 기름을 사용하는 주지 또는 공지된 보일러룰 이용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보일러장치(10)에는 직수관(20)이 연결되는데 이 직수관(20)은 보일러 장치에 사용되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일단은 수도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보일러장치(10)에 연결되어 보일러장치(10) 내에 수돗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직수관(20)은 종래기술에 따른 온수 보일러에 사용되는 직수관(20)과 그 재질이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보일러장치(10)에는 난방 공급관(30)이 연결되는데 이 난방 공급관(30)은 전술한 보일러장치(10) 내에서 가열 처리된 수돗물을 난방이 필요한 지역에 보내어 그 열로써 해당 지역을 난방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난방 공급관(30)의 일단은 보일러장치(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연장 형성되며 난방 대상 지역에 소정 형태로 배열 매설됨으로써 보일러장치(10) 내에서 가열된 온수가 순환되며 난방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난방 공급관(30)은 직수관(20)과 마찬가지로 종래기술에 따른 온수 보일러에 사용되는 난방 공급관(30)과 그 재질이 동일한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보일러장치(10)에는 난방 환수관(40)이 연결되는데 이 난방 환수관(40)은 난방 공급관(30) 내에서 순환 완료된 온수를 보일러 내측으로 다시 회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난방 환수관(40)의 일단은 난방 공급관(30)에 연결되고 타단은 보일러장치(10)에 연결되어 순환 종료된 온수를 회수하게 된다. 이때 마찬가지로 전술한 난방 환수관(40)은 종래기술에 따른 온수 보일러에 사용되는 난방 환수관(40)과 그 재질이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보일러장치(10)에는 급탕관(50)이 연결되는데 이 급탕관(50)은 보일러장치(10) 내에서 가열 처리된 온수를 화장실이나 목욕탕, 계수대 등 측에 사용 가능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전술한 급탕관(50)의 일단은 보일러장치(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온수분배기(100)에 연결되어 보일러장치(10) 내에서 가열된 온수가 공급 처리하게 된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전술한 급탕관(50)은 종래기술에 따른 온수 보일러에 사용되는 급탕관(50)과 그 재질이 동일한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난방 환수관(40)에서는 난방 환수관(30)과 동시에 온수 환수가 가능한 제 1 동파 방지관(60)이 분기되어 직수관(20) 측에 근접 배치되는데 이 제 1 동파 방지관(60)은 그 내부에서 환수되는 온수의 열을 이용해 직수관(20)을 가열함으로써 직수관(20)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제 1 동파 방지관(60)은 전술한 난방 환수관(40) 상에서 분기되어 직수관(20) 측에 근접 배치되며 재차 난방 환수관(40) 측에 합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제 1 동파 방지관(60)은 주름관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은 바이패스부(80) 및 제 1 크로스밸브(81)에 의해서 난방 공급관(30)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바이패스부는 난방 환수관(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1 크로스밸브(81)는 난방 환수관(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크로스밸브(81)는 순환하여 환수되는 난방수(온수)에 포함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동파 방지 유닛(200)은,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 사이 및 제 2 동파 방지관(70)과 급탕관(5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장착부(220), 회전방지부(210) 및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장착부(220)는, 대략 반원형의 고리형태로, 복수가 마련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반원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동파 방지관(60) 또는 직수관(20)에 장착부(220)를 끼우면 장착부(220)가 벌어지면서 제 1 동파 방지관(60) 또는 직수관(20)에 끼워져 고정된다.
회전방지부(210)는, 대략 반원형의 고리형태로, 복수가 마련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개구가 장착부(220)의 개구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착부(220)와 연결된다. 이때, 회전방지부(210)는 동파 방지 유닛(200)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반원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동파 방지관(60) 또는 직수관(20)이 회전방지부(210)에 삽입됨으로써 동파 방지 유닛(2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층층이 배치된 장착부(220) 및 회전방지부(210)를 연결하면서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바(bar) 모양으로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230)는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 사이가 최적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두께(t)가 0.4mm ~ 1.5mm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동파 방지 유닛(200)을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 사이에 끼워넣으면 연결부(230)에 의해서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 사이가 최적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면 제 1 동파 방지관(60)에에서 방출하는 열이 직수관(20)까지 전달되지 않아서 직수관(20)을 동파 방지 할 수 없고, 너무 가까우면 직수관(20)이 제 1 동파 방지관(60)의 열을 과도하게 빼앗아 난방수의 온도가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230)의 두께를 0.4mm ~ 1.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이 주름관일 경우 장착부(220) 및 회전방지부(210)가 주름관의 골에 삽입될 수 있는데 연결부(230)는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이 서로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이 구부러지더라도 동파 방지 유닛(200)이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을 따라 함께 구부러지기 때문에 관에 굴곡이 발생하더라도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동파 방지 유닛(200)을 설치환경에 맞춰 연속적으로 사용하거나 연결부(230)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신속하면서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동파 방지관(60)에서 방출하는 열이 직수관(20)으로 전달됨으로써 직수관(20)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출하는 열만으로 직수관(20)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어서 난방수의 온도변화가 미미하고 나아가 난방온도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동파 방지 유닛(200)은, 제 2 동파 방지관(70)과 급탕관(50) 사이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 사이에 설치되는 동파 방지 유닛(200)에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 1 동파 방지관(60)이 직수관(20)에 근접 배치되는 부분은 보온부재(90)에 의해서 일체로 피복 처리되는데 이는 해당 부분에서의 열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직수관(20)의 동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전술한 보온부재(90)는 섬유, 우레탄 폼 등 종래기술에 따른 보온용 피복재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부재(90)와 제 1 동파 방지관(60) 및 직수관(20) 사이에 빗금친 폐쇄된 공간(S)이 형성되고, 제 1 동파 방지관(60)에서 방출되는 열이 폐쇄된 공간에서 갇혀 있어서 직수관(20)의 동파를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난방 공급관(30)에서는 난방 공급관(30)과 동시에 온수 공급이 가능한 제 2 동파 방지관(70)이 분기되어 급탕관(50) 측에 근접 배치되는데, 제 2 동파 방지관(70)은 그 내부에서 공급되는 온수의 열을 이용해 급탕관(50)을 가열함으로써 급탕관(50)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제 2 동파 방지관(70)은 전술한 난방 공급관(30) 상에서 분기되어 급탕관(50) 측에 근접 배치되며 재차 난방 공급관(30) 측에 합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제 2 동파 방지관(70)은 제 1 동파 방지관(60)과 마찬가지로 주름관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은 각각 바이패스부(80) 및 제 2 크로스밸브(82)에 의해서 난방 공급관(30)측에 연결된다. 이때, 바이패스부(80)는 난방 공급관(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 2 크로스밸브(82)는 난방 공급관(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 2 크로스밸브(82)는 공급되는 난방수(온수)에 포함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 2 크로스밸브(82)가 제 1 크로스밸브(81)보다 상부에 위치한 것은, 온수가 공급되는 낙차를 이용하여 난방수에 포함된 공기를 손쉽게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제 2 크로스밸브(82)를 개방한 상태에서 난방수를 공급하면 난방수에 포함된 공기가 제 2 크로스밸브(82)를 통해서 배출되고, 공기가 제거된 후에는 제 2 크로스밸브(82)를 닫는다. 이후, 제 1 크로스밸브(81)를 개방하면 환수되는 난방수에 포함된 공기가 제 1 크로스밸브(81)를 통해서 배출된다. 즉, 난방수가 상부에서 공급되면 낙차가 발생하여 환수되는 난방수는 제 1 크로스밸브(81)를 통해서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제 2 크로스밸브(82)를 조금만 개방하고, 제 1 크로스밸브(81)를 완전 개방하면 공급되는 난방수와 환수되는 난방수에 포함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 2 동파 방지관(70)이 급탕관(50)에 근접 배치되는 부분은 보온부재(90)에 의해서 일체로 피복 처리되는데 이는 해당 부분에서의 열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급탕관(50)의 동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전술한 보온부재(90)는 섬유, 우레탄 폼 등 종래기술에 따른 보온용 피복재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제 1 동파 방지관(60)에 적용된 보온부재(90)에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직수관(20)을 통해 보일러 내측으로 공급된 수돗물은 가열 처리되며 가열된 온수는 난방 공급관(30)을 따라 공급되며 소정 형태로 배열 매설된 난방 공급관(30) 내에서 순환되며 난방 대상 지역을 난방하게 된다. 이때 난방 공급관(30) 측에서 분배된 제 2 동파 방지관(70)은 급탕관(50) 측에 근접 위치됨으로써 제 2 동파 방지관(70) 내에서 공급되는 온수의 열에 의해 급탕관(50)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동시에 제 2 동파 방지관(70)과 급탕관(50)이 보온부재(90)에 의해 일체로 피복 처리됨에 따라 동파 방지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난방 공급관(30) 내에서 순환이 완료된 온수는 다시 난방 환수관(40)을 따라서 보일러 측으로 회수되는데, 이때 난방 환수관(40) 측에서 분배된 제 1 동파 방지관(60)은 직수관(20) 측에 근접 위치됨으로써 제 1 동파 방지관(60) 내에서 회수되는 온수의 열에 의해 직수관(20)이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동시에 제 1 동파 방지관(60)과 직수관(20)이 보온부재(90)에 의해 일체로 피복 처리됨에 따라 동파 방지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동절기 직수관(20) 및 급탕관(50)의 동파 및 보일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난방에 사용되는 온수를 이용해 각각 급탕관(50)과 직수관(20)을 가열할 수 있어 빠른 온수공급이 가능하며, 기존에 동파방지를 위해 사용하던 전기코일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보일러장치
20 : 직수관
30 : 난방 공급관
40 : 난방 환수관
50 : 급탕관
60 : 제 1 동파 방지관
70 : 제 2 동파 방지관
80 : 바이패스부
81 : 제 1 크로스밸브
82 : 제 2 크로스밸브
90 : 보온부재
100 : 온수분배기
200 : 동파 방지 유닛
210 : 회전방지부
220 : 장착부
230 : 연결부

Claims (8)

  1. 보일러장치;
    상기 보일러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보일러장치 내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직수관;
    상기 보일러장치와 연결되고 난방 대상 지역으로 상기 보일러장치 내에서 가열된 난방수를 공급하는 난방 공급관;
    상기 보일러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난방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난방수가 순환되어 상기 보일러장치로 회수되는 난방 환수관;
    상기 보일러장치와 온수분배기를 연결하고 상기 보일러장치 내에서 가열된 온수가 공급되는 급탕관;
    상기 난방 환수관 상에서 바이패스 되고 상기 직수관 측에 근접 배치되는 제 1 동파 방지관;
    상기 난방 공급관 상에서 바이패스 되고 상기 급탕관 측에 근접 배치되는 제 2 동파 방지관; 및
    상기 직수관과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 사이 및 상기 급탕관과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동파 방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동파 방지 유닛으로 인해 상기 직수관과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급탕관과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방 환수관 상에 상기 난방수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 1 크로스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방 공급관 상에 상기 난방수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 1 크로스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이 상기 직수관에 근접 배치되는 부분과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이 상기 급탕관에 근접 배치되는 부분에 열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온부재에 의해 피복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파 방지 유닛은,
    상기 직수관, 상기 급탕관,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 및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 중 어느 한 곳에 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파 방지 유닛은,
    상기 동파 방지 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파 방지 유닛은,
    상기 직수관과 상기 제 1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급탕관과 상기 제 2 동파 방지관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파 방지 유닛은,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KR1020170167089A 2017-12-06 2017-12-06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KR20190067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089A KR20190067064A (ko) 2017-12-06 2017-12-06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PCT/KR2018/011220 WO2019112155A1 (ko) 2017-12-06 2018-09-21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089A KR20190067064A (ko) 2017-12-06 2017-12-06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064A true KR20190067064A (ko) 2019-06-14

Family

ID=6675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089A KR20190067064A (ko) 2017-12-06 2017-12-06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67064A (ko)
WO (1) WO20191121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836B1 (ko) * 2019-10-28 2020-08-03 김성식 보일러 냉,온수 배관 동파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989A (ko) 2010-06-30 2012-01-05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이동식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방송채널 자동검색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5352B2 (ja) * 2002-05-15 2009-06-10 豊田合成株式会社 ホース保持具
KR20110062281A (ko) * 2009-12-03 2011-06-10 주식회사 제이앤지 미끄럼 방지기능을 구비한 배관용 간격유지장치
KR101174752B1 (ko) * 2012-01-06 2012-08-17 권영세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KR101238875B1 (ko) * 2012-06-19 2013-03-04 노갑덕 마운터 타입 스페이서를 구비한 지중 열교환 파이프
KR20170089741A (ko) * 2016-07-08 2017-08-04 조윤행 지열 파이프의 간격 유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989A (ko) 2010-06-30 2012-01-05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이동식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방송채널 자동검색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836B1 (ko) * 2019-10-28 2020-08-03 김성식 보일러 냉,온수 배관 동파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2155A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7064A (ko)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CA2841559C (en) Bop heating methods and systems and heat exchange units
KR20140052515A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829138B1 (ko) 배관라인 동파방지를 위한 열선매입형 발열히터
JP2010230165A (ja) 配管の断熱保護要素
KR101174752B1 (ko)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KR200487602Y1 (ko) 보일러관용 동파방지 보온싸개
KR20190107470A (ko) 냉,온수 배관의 동파 방지장치
KR101321205B1 (ko) 벨로우즈 타입용 동파 방지구와 이를 적용한 수도계량기 및 열교환기
JP2004244958A (ja) 凍結防止用流水配管
KR20100060770A (ko) 선박 유체 파이프 보온 장치
JP2006046486A (ja) レベル検出用配管の凍結防止構造
JP5530552B2 (ja) 給水・給湯管
KR101579285B1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JP3084455U (ja) 給水管又は給湯管の凍結防止構造
KR20210017174A (ko) 롱라인 메탈히터를 이용한 터널 소화 배관의 동파방지 시스템
US20140352986A1 (en) Thermal circulating fire prevention sprinkler system
JP2005213809A (ja) 凍結防止システム
JP5993887B2 (ja) 給水・給湯管
KR20070004203A (ko)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함
JP2004250861A (ja) エコエアーシステム
US6019123A (en) Apparatus and kit for preventing freezing in pipes
KR102648778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동파방지용 발열장치
KR101579287B1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20170082706A (ko) 용수배관의 동파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