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258B1 -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 Google Patents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8258B1 KR101828258B1 KR1020160049601A KR20160049601A KR101828258B1 KR 101828258 B1 KR101828258 B1 KR 101828258B1 KR 1020160049601 A KR1020160049601 A KR 1020160049601A KR 20160049601 A KR20160049601 A KR 20160049601A KR 101828258 B1 KR101828258 B1 KR 1018282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flector
- water
- head
- curtain wall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7—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by closing openings in walls or the like in the case of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막 헤드는, 건물 내측에 설치되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되고 방수구를 구비하는 헤드 본체, 상기 방수구에 의해 방출되는 물이 통과되도록 상기 방수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디플렉터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전면에 형성되는 제1분무구 및 상기 디플렉터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구간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분무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막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튼월 건축물에서 적용 가능한 수막 헤드에 관한 것이다.
커튼월(Curtain Wall) 건축물은 벽체에 시야확보 및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을 하는 창호가 설치된다.
커튼월은 구조체(골조)와 외부 입면을 구성하는 부재(주로 유리 등의 창호류, 석재, 기타 마감재 등)가 서로 분리되어 커튼처럼 입혀져 있는 방식의 부재를 의미한다.
커튼월은 구조 방식에 의하여 아래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선대방식(Mullion type)은 수직기둥을 노출하여 그 사이에 새시(sash)나 패널(spandrel panel)을 끼우는 방식이다. 패널방식(Spandrel type)은, 수평선을 강조하는 패널과 속창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피복방식(Sheathed type)은 새시가 패널안에 은폐되어 구조체가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며, 격자방식(Grid type)은 수직 수평의 격자형 외관을 보여주는 방식이다.
한편, 커튼월은 초고층 건축물의 단순 외피장식재가 아닌 주요 구성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나 커튼월 구조의 구조적 특성상, 창호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Pork-through 현상) 또는 창호의 깨진 부분(Leaf-frog현상)을 통해 화재 또는 연기가 확산되어, 층간 화재 확산 위험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창 및 건물 내측으로 동시에 분무할 수 있도록 보다 다양한 분무방향을 갖는 수막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막 헤드는, 건물 내측에 설치되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되고 방수구를 구비하는 헤드 본체, 상기 방수구에 의해 방출되는 물이 통과되도록 상기 방수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디플렉터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전면에 형성되는 제1분무구 및 상기 디플렉터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구간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분무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원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분무구는 복수의 분무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무구들은 상기 원반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무구들은, 상기 원반의 원주 중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의 후면에는, 상기 디플렉터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는,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방수구를 구비하는 제2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는,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본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부에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의 상기 방수구 반대편에는 마개가 배치되며, 상기 마개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의 후면에는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는, 상기 디플렉터와 연결되는 제1캡, 상기 방수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방수구에 배치되는 제2캡 및 열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캡 사이에 배치되는 감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는, 건물 내측에 설치되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되고 방수구를 구비하는 헤드 본체, 상기 방수구에 의해 방출되는 물이 통과되도록 분무구를 구비하는 디플렉터, 상기 헤드 본체와 상기 디플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감열부 및 상기 헤드 본체를 덮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분무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열감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제1고정부와 결합하며, 상기 커버는 주변 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커버는 열감지합금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건출물에 적용되는 커튼월 수막 헤드 시스템은, 커튼월 및 상기 커튼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무구를 통해 분무된 물은 상기 커튼월을 향하도록, 상기 디프렉터의 전면은 상기 커튼월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막 헤드는, 디플렉터의 전면 및 측면에 각각 제1 및 제2분무구가 형성됨으로써, 디플렉터의 전방 및 측방(또는 하방)을 향해 물을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플렉터의 전면이 커튼월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커튼월과 건물 내부로 동시에 물이 분사됨에 따라 화재가 층간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막 헤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1분무구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E-플러쉬 헤드, 윈도우 스플링클러 헤드, 제1유리커튼윌 수막 헤드의 살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가솔린 연소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막 헤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1분무구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E-플러쉬 헤드, 윈도우 스플링클러 헤드, 제1유리커튼윌 수막 헤드의 살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가솔린 연소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막 헤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막 헤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1분무구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100)는, 헤드 본체(110) 및 디플렉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100)는, 개방형 수막 헤드일 수 있다.
헤드 본체(110) 내부에는 물이 이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헤드 본체(110)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건물 내측에 설치되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된다. 또한, 헤드 본체(110)는 공급받은 물을 내보낼 수 있도록 방수구(110a)를 구비한다.
헤드 본체(110)는, 제1 및 제2본체(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본체(111, 112)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본체(111, 112)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형성된 후 용접 등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본체(111)는 수직형으로 형성되고, 제2본체(112)는 수평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급수파이프는 제1본체(111)의 일측에 연결되고, 방수구(110a)는 제2본체(11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헤드 본체(110) 내부에 상기 급수파이프 측에서 방수구(110a) 측으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디플렉터(120)는, 헤드 본체(110)의 방수구(110a)에서 배출되는 물을 사방으로 확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디플렉터(120)는 방수구(110a)에서 방출되는 물이 통과되도록 상기 방수구(110a)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플렉터(120)의 일면이 상기 방수구(110a)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플렉터(120)는, 전면(121), 후면(122) 및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디플렉터(120)는, 전면 및 측면(121, 123)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분무구(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무구(130)는 상기 디플렉터(120)의 전면(121)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분무구(130)는 복수의 분무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무구는 특정 패턴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분무구(131)가 디플렉터(120)의 전면(121)의 중앙에 형성되고, 나머지 분무구(132)들은 상기 어느 하나의 분무구(131)와 인접하게 원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분무구를 이루는 복수의 분무구들(130a)은 일 방향을 따라 일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분무구를 이루는 분무구들(130b)은 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한편, 제2분무구(140)는 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구간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분무구(140)는 측면뿐 아니라 전면 및 후면(121, 123)과도 연결될 수 있다.
제2 분무구(140)는 복수의 분무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반형태의 디플렉터(120)의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분무구들(140)은 원반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무구들은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분무구들(140)은, 원반의 원주 중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분무구들은 원반의 가장자리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원반의 가장자리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분무구들(140)이 형성되는 일부 영역은, 원반의 원주 중 절반 이상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일부 영역은 원반의 원주 중 평각 이상에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2분무구(140)를 통과한 물은 디플렉터(120)의 전방을 향하여 확산될 수 있으며, 제2분무구(140)의 내주면 또는 디플렉터(120)의 후면에 부딪힌 물은 디플렉터(120)의 측방, 하방 또는 후방으로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제1분무구(130)를 통과한 물은 디플렉터(120)의 전방을 향하여 확산될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120)의 전방에 유리창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분무구(130)를 통과한 물은 대체로 유리창으로 나아가고, 제2 분무구를 통과한 물은 건물 실내로 확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막 헤드(100)는, 제1 및 제2분무구(130, 140)를 통해 유리창 및 건물 내측으로 동시에 분무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디플렉터(120)의 후면에는, 상기 디플렉터(120)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경사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20a)는, 디플렉터(120)의 후면상에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후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디플렉터(120)의 후방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를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는, 폐쇄형 수막 헤드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200)는, 프레임(250), 헤드 본체(210) 및 디플렉터(220)를 구비할 수 있다.
헤드 본체(210) 및 디플렉터(220)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바, 여기서는 프레임(250)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프레임(250)은 헤드 본체(210)를 덮도록 형성된다. 즉, 헤드 본체(210)는 프레임(25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250)은, 헤드 본체(210)를 이루는 제1 및 제2본체(211, 212)의 배치 형상에 대응될도록 적어도 일부에 절곡부(251)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본체(211)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본체(212)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절곡부(251)는, 약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디플렉터(220)는 상기 프레임(25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플렉터(220)의 후면에는 상기 프레임(250)과 연결되는 연결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60)는, 디플렉터(220)의 후면상에 제2분무구(24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분무구(240)가 디플렉터(220)의 후면상에 하측에 형성된 경우, 연결부(260)는 디플렉터(220)의 후면상에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플렉터(220)와 연결부(26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연결부(260)의 길이는, 디플렉터(220)와 분무구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본체(212)의 상기 방수구의 반대편에는 마개(270)가 배치된다. 상기 마개(270)는 프레임(25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본체(212)와 상기 마개(270) 사이에는 패킹 부재(27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는, 감열부(280), 제1 및 제2캡(281, 2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캡(281)은 디플렉터(220)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캡(281)은 디플렉터(220)의 후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는 디플렉터(220)를 관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캡(281)은 디플렉터(220)에 형성된 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디플렉터(2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캡(282)은 방수구(210a)를 폐쇄하도록 상기 방수구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캡(282)은, 상기 방수구(210a)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1부분(282a)과 상기 방수구의 출구 주변에서 상기 방수구를 패킹하는 제2부분(28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부분(282a, 282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부분(282b)은 상기 제1부분(282a)의 적어도 일부와 교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캡(282)은 황동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열부(280)는, 열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감열부(280)는 금속감열체 또는 특정한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감열부(280)는, 주변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깨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감열부(280)는, 제1 및 제2캡(281, 28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감열부(280)의 일측은 상기 제1캡(281)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제2캡(282)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열부(280)는 상기 제1 및 제2캡(281, 282)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열부(280)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면, 주변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감열부(280)가 깨지면서 제1 및 제2캡(281, 282)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캡(281, 282)이 각각 디플렉터(220)와 방수구(210a)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방수구(210a)로부터 방출된 물이 디플렉터(220)를 거쳐 사방으로 확산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300)는, 헤드 본체(210), 디플렉터(220), 감열부(280) 및 커버(31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본체(210), 디플렉터(220) 및 감열부(280)은 이미 전술하였으므로 연기서는 생략한다.
커버(310)는 헤드 본체(210)를 덮도록 이루어진다. 헤드 본체(210)가 프레임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커버(310)는 프레임을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310)는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헤드 본체(210) 등의 구성요소들이 커버(3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커버(310)의 일면에는 날개부(311)가 연장된다. 상기 날개부(311)는, 커버(310)가 천장등에 부착될 때 부착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커버(310)는, 디플렉터(220)에 형성된 분무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열감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310)에는, 제1 및 제2열감지홀(330, 3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열감지홀(330, 340)은 커버(310)의 전면 및 저면(312, 313)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으나, 커버(310)의 좌, 우측면에도 열감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막 헤드(300)는 제1 및 제2고정부(32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320)는 커버(31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부(320)는 보조 날개부(321)를 구비한다. 보조 날개부(321)는, 커버(310)의 날개부(311)와 면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날개부(321)와 날개부(311)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제1고정부(320)와 커버(31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날개부(321)와 날개부(311)는 접착부재에 의하여 접착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310)는 주변 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고정부(320)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커버(310)는 열감지합금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온도란, 열감지합금에 의해 감지되는 열에 대응되는 온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주변 온도가 기설정된온도 이상인 경우, 1차적으로 상기 커버(310)가 탈락되며, 2차적으로 감열부(280)가 파열되어 최종살수가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부(320)에는 제1본체(211)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1개방부(322)가 형성된다.
제2고정부(330)는 상기 제1고정부(320)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부(320)에는 후크(323)가 형성되고, 제2고정부(330)에는 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323)가 홈(323)에 걸림으로써 제1 및 제2고정부(320, 33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고정부(330)는 제1본체(211)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2개방부(332)를 구비한다.
제2개방부(332)의 개방 면적은 제1개방부(322)의 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제2개방부(322)는 제1본체(211)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본체(211)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막 헤드(300)는, 커버(310)(보다 구체적으로 디플렉터)의 전면이 유리창에 대향하도록 상기 유리창(W)과 인접한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열감지홀(330)에서 방출되는 물이 유리창(W)으로 확산되며 제2열감지홀(340)에서 방출되는 물은 건물 실내로 확산되는 것이 도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 온도가 기설정된온도를 넘어서면, 상기 커버는 탈락되며, 디플렉터의 제1 및 제2분무구에서 방출된 물이 유리창 및 건물 실내로 확산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과 관련된 수막 헤드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벽면(유리창) 살수분포 및 내측(건물 내측) 살수량 측정시험을 통해 본 발명과 관련된 수막 헤드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벽면(유리창) 살수분포 및 내측(건물 내측) 살수량 측정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벽면으로부터 약 15cm이격되도록 수막 헤드를 설치하고, 벽면의 살수량과 내측에 설치된 채수통의 수집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조건으로서 방수압력은 0.1MPa, 헤드 설치 높이는 채수통으로부터 1.2m, 측정시간은 1분으로 하였다.
살수 분포 시험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E-플러쉬 헤드 | 윈도우 스프링클러헤드 |
제1 유리커튼월 수막헤드 | 제2 유리커튼월 수막헤드 |
|
유량계수(K) | K80 | K80 | K50 | K50 |
벽면살수거리(m) | - | 2.8 | 2.2 | 2.2 |
벽면 채수량(ℓ) | 26 | 15 | 20 | 14.5 |
내측 채수량(ℓ) | 37.1 | 1.25 | 17.4 | 20.7 |
벽면채수 대비 내측살수 비율 |
3 : 4 | 12 : 1 | 8 : 7 | 2 : 3 |
상기 표 1를 참조하면, E-플러쉬 헤드 및 윈도우 스플링클러 헤드는 종래 기술이며, 제1 및 제2유리커튼윌 수막헤드는 본 발명의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막헤드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E-플러쉬 헤드, 윈도우 스플링클러 헤드, 제1유리커튼윌 수막헤드의 살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각의 막대 그래프의 높이는 각각의 채수통에 채워진 채수량(ml)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가로축과 평행하게 유리면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세로축은 유리면으로부터 거리(d)를 의미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유리면으로부터 약 1.5m 거리인 5번 채수통까지 살수가 이루어졌으나 그 분포가 불규칙하고 유리면 방향으로 살수 반경이 매우 적음을 확인하였다.
도 9b를 참조하면, 내측살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유리면 방향으로 살수 반경이 매우 큰 것을 확인하였다.
도 9c를 참조하면, 내측살수와 유리면 방향으로 살수가 모두 골고루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벽면 방수량은 약 20,300ml이고, 건물 내부 방수량은 22,785ml이고 유효/최대 살수 범위는 2.2m임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는, 가솔린 연소 테스트 결과를 기술한다.
가솔린 연소 테스트에서는 1MW 가솔린 화염을 이용하여 연소 1분후 각각의 헤드를 살수하였을 때 온도차를 나타낸 것이다. 헤드 살수에 의해 충분히 냉각효과를 나타내는 살수 120초 후 및 살수 280초 후를 비교하였다. 한편, 각각의 측정 위치는 도 10에 표시된 커튼윌 프레임과 유리면의 각 지점이다.
측정 위치 | E-플러쉬헤드 | 윈도우스프링클러 | 유리커튼월 수막헤드 | |||
살수 120초 후 온도(℃) |
살수 480초 후 온도(℃) |
살수 120초 후 온도(℃) |
살수 480초 후 온도(℃) |
살수 120초 후 온도(℃) |
살수 480초 후 온도(℃) |
|
커튼월 내부 상단 우측 AL프레임 (CH.1) |
60 | 77 | 59 | 68 | 44 | 47 |
커튼월 내부 상단 우측 유리면 (CH.5) |
56 | 65 | 32 | 26 | 41 | 55 |
커튼월 내부 상단 좌측 AL프레임 (CH.2) |
42 | 42 | 29 | 36 | 44 | 48 |
커튼월 내부 상단 좌측 유리면 (CH.6) |
33 | 34 | 17 | 21 | 44 | 54 |
커튼월 내부 중앙 우측 AL프레임 (CH.3) |
44 | 48 | 36 | 43 | 45 | 47 |
커튼월 내부 중앙 우측 유리면 (CH.7) |
43 | 45 | 11 | 31 | 39 | 44 |
커튼월 내부 중앙 좌측 AL프레임 (CH.4) |
39 | 39 | 37 | 42 | 35 | 40 |
커튼월 내부 중앙 좌측 유리면 (CH.8) |
37 | 41 | 41 | 56 | 40 | 57 |
위의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커튼월 수막헤드에서 표면온도 냉각 및 온도제어 효과 발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 건물 내측에 설치되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되고 방수구를 구비하는 헤드 본체; 및
상기 방수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방수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원반 형태의 디플렉터를 구비하며,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방수구와 마주하는 상기 디플렉터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분무구; 및
상기 디플렉터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구간 함몰되어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분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헤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분무구는,
상기 디플렉터의 원주 중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헤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의 후면에는, 상기 디플렉터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헤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는,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방수구를 구비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헤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는,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본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부에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헤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의 상기 방수구 반대편에는 마개가 배치되며,
상기 마개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헤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의 후면에는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헤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와 연결되는 제1캡;
상기 방수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방수구에 배치되는 제2캡;
열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캡 사이에 배치되는 감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헤드. - 건물 내측에 설치되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되고 방수구를 구비하는 헤드 본체;
상기 방수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방수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원반 형태의 디플렉터;
상기 헤드 본체와 상기 디플렉터 사이에 배치되는 감열부; 및
상기 헤드 본체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방수구와 마주하는 상기 디플렉터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분무구; 및
상기 디플렉터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구간 함몰되어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분무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서 상기 제1 및 제2분무구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열감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헤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제1고정부와 결합하며,
상기 커버는 주변 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커버는 열감지합금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헤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제2고정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 헤드. - 커튼월 건출물에 적용되는 커튼월 수막 헤드 시스템으로서,
커튼월 및
상기 커튼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항,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수막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무구를 통해 분무되는 물이 상기 커튼월을 향하도록, 상기 디플렉터의 전면은 상기 커튼월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수막 헤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9601A KR101828258B1 (ko) | 2016-04-22 | 2016-04-22 |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
PCT/KR2016/012450 WO2017183782A1 (ko) | 2016-04-22 | 2016-11-01 |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
US16/094,674 US11027159B2 (en) | 2016-04-22 | 2016-11-01 | Water curtain head for preventing fire spread between floors in curtain wall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9601A KR101828258B1 (ko) | 2016-04-22 | 2016-04-22 |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1389A KR20170121389A (ko) | 2017-11-02 |
KR101828258B1 true KR101828258B1 (ko) | 2018-02-27 |
Family
ID=6011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9601A KR101828258B1 (ko) | 2016-04-22 | 2016-04-22 |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027159B2 (ko) |
KR (1) | KR101828258B1 (ko) |
WO (1) | WO2017183782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2083B1 (ko) * | 2018-03-26 | 2018-06-29 | 조장정 |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
KR20200117434A (ko) * | 2019-04-04 | 2020-10-14 | 주식회사 파라텍 |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13122B2 (en) | 2017-06-30 | 2022-04-26 | New Hudson Facades, Llc | Unitized curtainwall systems and methods |
KR102600318B1 (ko) * | 2023-03-20 | 2023-11-09 | 주식회사 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배관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6581A (en) * | 1885-04-28 | William h | ||
US5865256A (en) * | 1996-09-25 | 1999-02-02 | Grinnell Corporation | Deflectors for pendent-type fire protection sprinklers |
JP3969622B2 (ja) | 2000-02-28 | 2007-09-05 | ホーチキ株式会社 | 閉鎖型消火ヘッド |
KR20060019384A (ko) | 2004-08-27 | 2006-03-03 | 유홍선 | 화재방재용 다중 혼합식 고압노즐 |
US8573316B2 (en) * | 2004-10-26 | 2013-11-05 |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 Inc. | Concealed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
KR101267346B1 (ko) * | 2011-08-01 | 2013-05-27 | (주)파라다이스산업 | 유체 분사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
KR101279525B1 (ko) | 2012-02-01 | 2013-07-09 | 세웅기계 주식회사 |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
KR101322751B1 (ko) | 2012-02-03 | 2013-10-29 | (주)파라다이스산업 | 살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
KR101597891B1 (ko) | 2013-03-28 | 2016-02-25 | 박동섭 |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
TWM481028U (zh) * | 2014-02-13 | 2014-07-01 | Protector Sprinkler Ind Co Ltd | 可提升感溫速度的消防撒水裝置 |
-
2016
- 2016-04-22 KR KR1020160049601A patent/KR10182825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01 WO PCT/KR2016/012450 patent/WO201718378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1-01 US US16/094,674 patent/US11027159B2/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2083B1 (ko) * | 2018-03-26 | 2018-06-29 | 조장정 |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
KR20200117434A (ko) * | 2019-04-04 | 2020-10-14 | 주식회사 파라텍 |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
KR102245734B1 (ko) * | 2019-04-04 | 2021-04-28 | 주식회사 파라텍 |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027159B2 (en) | 2021-06-08 |
US20190060688A1 (en) | 2019-02-28 |
KR20170121389A (ko) | 2017-11-02 |
WO2017183782A1 (ko) | 2017-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8258B1 (ko) |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 |
CA2695917C (en) | Pendent residential fire protection sprinklers | |
US7841418B2 (en) | Extended coverage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 |
US20220080239A1 (en) | Long-throw fire protection sprinkler | |
ES2391149T3 (es) | Aspersor antiincendios residencial | |
US20220088426A1 (en) | Concealed window sprinkler frame arms and body orientation | |
CN1929892B (zh) | 防火装置 | |
GB2206043A (en) | Fire protection sprinklers | |
US11565279B2 (en) | Fire protection sprinkler guard and assembly | |
JP3619631B2 (ja) |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 |
Ng et al. | Review on the design and scientific aspects for drencher systems in different countries | |
CN218944222U (zh) | 一种具有两种安装方式的洒水喷头 | |
JP2021115045A (ja) | 延焼防止システム | |
CN220989489U (zh) | 一种伸缩套筒式的闭式自动洒水喷头 | |
CN217872524U (zh) | 一种木质保温防火门 | |
CN214280762U (zh) | 一种防火的电缆桥架 | |
CN217612647U (zh) | 一种用于洁净环境中的喷淋系统的喷头装置 | |
US2023027788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ire Protection of Horizontal Interstitial Spaces with Expanded Localized Heat Detection Areas | |
US20040026094A1 (en) | Support structure with fire protection | |
US6761225B2 (en) | Security disposition against fire applicable for delaying, retaining, controlling and extinguishing the action of fire by means of moisture, with water as its basic extinguishing element | |
KR101322751B1 (ko) | 살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 |
CN211634995U (zh) | 一种灭火喷淋头 | |
KR200382701Y1 (ko) | 내부혼합형 2유체 분무노즐 | |
KR20240000079U (ko) | 방화수 공급로가 형성된 샌드위치 패널 | |
CN117643692A (zh) | 一种用于档案存储的物联网智能消防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