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525B1 -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525B1
KR101279525B1 KR1020120010460A KR20120010460A KR101279525B1 KR 101279525 B1 KR101279525 B1 KR 101279525B1 KR 1020120010460 A KR1020120010460 A KR 1020120010460A KR 20120010460 A KR20120010460 A KR 20120010460A KR 101279525 B1 KR101279525 B1 KR 101279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ire
deflector
screw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민세홍
유억식
Original Assignee
세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웅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외장재)에 화재 발생시 연소가 확대되지 않도록 외장재를 향해 물이 분사되도록 한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건물에 설치된 소화수조와, 이 소화수조의 물이 건물의 외장재측으로 공급되는 관로인 배관을 포함하는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설비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나사 결합되며, 배관의 관로와 통하게 형성된 유로를 형성하는 나사부;상기 나사부로부터 연장되어 건물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나사부의 유로와 통하는 토출구가 건물의 하방을 향해 형성되되, 상기 토출구는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Springkler head for prevent combustion spread of building facade}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 화재시 외장재를 따라 연소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발생시 초기진압을 위해 건물 내에 소화기,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그 중 스프링클러는 현대사회의 건물구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소방설비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건물 천장마감재에 매립된 구조로 화재경보기의 작동과 동시에 자동으로 소화수를 살수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여러 지점에서 살수가 이루어지므로 화마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프링클러는 건물 내의 상부, 즉 천장이나 벽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스프링클러 헤드가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서 녹아 살수구의 뚜껑이 떨어져 나가면서 가압되어 있던 물이 헤드로부터 발화점 전체에 뿌려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는 물을 분무상(噴霧狀)으로 방사시키므로 액체화재에 효과가 크며, 화재 발견이나 소화활동이 곤란한 지하 건축물이나 가연물(불에 타는 재질)이 많고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부분의 소화설비로서 적합하며, 야간의 자동소화도 기대할 수 있는 등 적용범위가 매우 넓다.
하지만 상기한 스프링클러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 내부 화재시에 화재 확대 방지 및 화재 초기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는 있겠지만, 건물의 외벽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 건축되는 건물들은 외관의 미려함을 더하기 위하여 건축물 외장재를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외장재의 재질은 주로, 알루미늄 복합패널로 제공되는데,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은 폴리에틸렌 수지에 2장의 알루미늄 박판을 접합시킨 샌드위치 구조의 복합패널로서, 화재 발생시 화염은 외장재의 외부 알루미늄을 용융시키고 내부에 인화성이 강한 폴리에틸렌 수지에 쉽게 착화되면서 건물의 외장재를 따라 상부로 빠르게 연소 확대된다.
이러한 화재는 건축물 외장재가 순식간에 연소되면서 창을 통해 건물의 내부로 확산될 뿐만 아니라, 건물의 인근으로 떨어진 외장재의 잔해물로 인해 주변 건물에까지 피해가 가는 2차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고층건물의 화재시 외장재를 따라 빠르게 확산되는 화재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으로는 건물의 외벽에 대한 화재 진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방대에 의한 화재 진압 역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즉, 소방대의 헬기 및 소방차의 고가 다리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지만, 헬기에서 물을 부어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은 헬기의 특성상, 도심에 접근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어려우며, 고가 사다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가 사다리가 미치는 높이에 한계가 있어 화재 진압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다.
물론, 건물의 내부가 아닌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 설비 시스템 즉, 드렌처 설비가 제공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 드렌처 설비는 화재 진압의 목적보다는 화재가 인근 건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드렌처 설비는 넓게 펼쳐진 워터커튼(water curtain) 형태로 소방수를 수직으로 분사함으로써 건물의 개구부(예컨대 창문, 출입구 등)에 수막을 형성하여, 화재 발생 건물과 인접한 건물로 화재가 옮겨오지 못하게 차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드렌처 설비를 구성하는 드렌처 헤드에는 물이 분사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토출구는 건물의 하방을 향해 수직하게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드렌처 설비 역시,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므로, 건물의 외장재를 따라 연소되는 화재를 진압하고 연소 확대를 방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게다가, 토출구가 건물의 하방을 향해 수직하게 형성됨으로써,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물이 분사되기 어렵기 때문에 건물의 외벽 화재에 대한 소화 및 연소확대 방지를 수행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1-007574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시 물이 분사되는 스프링 클러 헤드를 건물의 외장재에 설치하되 물의 분사 방향이 건물의 외장재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외벽 화재에 대한 연소 확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 클러 헤드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에 대한 분사 범위를 다양하게 하여 살수 누락구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 클러 헤드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물에 설치된 소화수조와, 이 소화수조의 물이 건물의 외장재측으로 공급되는 관로인 배관을 포함하는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설비에 있어서,상기 배관에 나사 결합되며, 배관의 관로와 통하게 형성된 유로를 형성하는 나사부;상기 나사부로부터 연장되어 건물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나사부의 유로와 통하는 토출구가 건물의 하방을 향해 형성되되, 상기 토출구는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분사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출구는 분사부의 둘레면 반(半)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분사부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방사각은 180도 이상이 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물에 설치된 소화수조와, 이 소화수조의 물이 건물의 외장재측으로 공급되는 관로인 배관을 포함하는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설비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나사 결합되며, 배관의 관로와 통하게 형성된 유로를 형성하는 나사부;상기 나사부로부터 연장되어 건물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나사부의 유로와 통하는 토출구가 건물의 하방을 향해 형성된 분사부;상기 분사부의 토출구 상에서 분사부와 나사부를 향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디플렉터:를 포함하되,상기 디플렉터는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된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분사부의 선단면에는 토출구와 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에는 디플렉터를 향해 나사 회전되는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가 나사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플렉터 중,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에 대향된 면에는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부의 외측면에는 축공이 형성된 축결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축결합부에 축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에는 눈금이 표시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건물의 외벽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물이 분사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화염이 외장재를 따라 건물의 상부로 확대되는 일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화재 진압이 초기에 이루어짐으로써 대형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디플렉터에 의한 물의 방사각이 조절됨으로써, 건물 외장재 전체에 대한 분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살수 누락 구역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설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 클러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 클러 헤드가 건물의 외장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 클러 헤드가 건물의 외장재에 설치되어 물이 180도로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 클러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 클러 헤드가 건물의 외장재에 설치되어 물이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 클러 헤드(이하, '스프링클러 헤드'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의 외벽에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의 상부로 연소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스프링클러 헤드는 나사부(100)와, 분사부(200)로 구성된다.
나사부(100)는 건물의 일측에 설치된 소화수조(미도시)와 이 소화수조에 연결된 배관에 결합되는 부위이며, 나사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배관의 관로와 통하는 유로(100a)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00)는 중공(中空)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배관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분사부(200)는 나사부(100)를 통해 공급된 물이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토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나사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분사부(200)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시, 외장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위이며, 나사부(100)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사부(200)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210)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210)는 건물의 하방을 향하도록 개구된다.
상기 토출구(210)는 건물의 하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되, 건물의 외장재를 향할 수 있도록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토출구(210)는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경사지게 개구됨은 물론, 분사부(200)의 내측 선단면도 토출구(210)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10)가 개구된 범위는 분사부(200)의 둘레면을 따라 반(半)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사부(200)의 토출구(210)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분사부(200)의 내측 선단면에 부딪힌 후 외장재를 향하게 됨은 물론, 토출구(210)의 양측을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되는 물의 방사각이 180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토출구(210)의 개구 범위를 분사부(200)의 둘레면 반(半)을 넘도록 형성시킨 것이다.
한편, 나사부(100)와 분사부(200) 사이에는 너트 형태의 파지부(P)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배관에 결합하거나 배관으로부터 해체할 경우 공구의 물림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건물의 외장재에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사부(2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개 설치된 상태에서 건물의 외장재에 화재가 발생하면, 별도로 설치된 화재감지기(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소화수조의 물은 배관을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해 외장재를 향해 분사된다.
이때, 물은 나사부(100)의 유로(100a)를 통해 분사부(200)로 토출된 후, 분사부(200)의 내측 경사진 선단면에 부딪힌 후 토출구(210)를 통해 외장재로 분사된다.
이 과정에서 물은 토출구(210)의 개구된 양측 방향으로도 분사되므로, 물의 방사각은 180도가 되며 외장재를 향한 분사 범위는 극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물이 분사되므로, 건물의 외벽 화재시 연소가 건물의 상부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방사각은 조절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때, 물의 방사각 조절이라 함은 분사부(200)의 양측으로 분사되는 각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외장재를 향한 물의 방사각을 말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스프링클러 헤드는 나사부(100)와, 분사부(200)와, 디플렉터(300)와,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사부(100)는 건물의 배관 라인에 결합되는 부위이며, 내부에는 유로(100a)가 형성된다.
분사부(200)는 나사부(100)를 통해 토출된 물이 외장재를 통해 토출되는 부위이며, 나사부(100)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분사부(200)의 토출구(210)는 외장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는, 경사지게 형성된 토출구(210)에 의해 물이 외장재를 향해 토출되도록 한 바람직한 실시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플렉터(300)에 의해 물의 분사각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토출구(210)가 반드시 경사지게 형성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사공(200)에는 분사공(200)의 내측과 통하는 나사공(22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공(220)은 나사부(100)의 유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200)의 외주면에는 축결합부(23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축결합부(230)는 디플렉터(300)가 힌지 결합되는 부위이며, 분사부(200)의 내측에 디플렉터(300)가 힌지 결합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분사부(20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축결합부(230)에는 양측을 관통하는 힌지공(231)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공(231)은 디플렉터(300)를 축결합부(23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힌지핀(232)이 통과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디플렉터(300)는 나사부(100)로부터 토출된 물이 외장재로 향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나사부(100)로부터 토출된 물은 디플렉터(300)에 부딪힌 후 외장재를 향해 분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플렉터(300)는 축결합부(230)에 힌지 결합되어 분사부(200)의 내측에서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디플렉터(300)의 회동 방향은 분사부(200)와 나사부(100) 사이를 오가도록 한다.
이때, 디플렉터(300)는 외장재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디플렉터(300) 중, 나사공(220)에 대향된 면에는 돌출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10)는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가 접촉되는 부위이며, 편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디플렉터(30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는 디플렉터(30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분사부(200)의 나사공(220)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의 단부는 분사부(200)의 내측에 배치되며, 디플렉터(300)의 돌출부(310)에 대응된다.
즉,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의 회전에 의해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의 단부가 분사부(200)의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분사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디플렉터(300)가 밀리는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디플렉터(300)의 가이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에는 눈금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가 분사부(200) 내측으로 유입된 길이에 따라 디플렉터(300)의 각도가 얼마인지를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건물의 외장재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결합시킨다.
이때, 분사부(200)의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디플렉터(300)는 자유회전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후, 분사부(20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방사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를 회전하여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의 단부가 분사부(200)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의 단부 위치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수신기에 의해 소화수조의 물이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해 토출된다.
이 과정에서 물은 나사부(100)를 통해 분사부(200)로 토출되면서 디플렉터(300)에 부딪힌 후 토출구(210)를 향해 분사된다.
이때, 디플렉터(300)는 수압에 의해 뒤로 밀려나지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400)에 간섭되면서 더 이상 밀려나지는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디플렉터(300)의 가이드 각도가 유지되면서 외장재에 대한 물의 방사각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의 외벽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되 물의 방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외장재에 대한 연소 확대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살수 누락 구역이 발생하지 않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나사부 100a : 유로
200 : 분사부 210 : 토출구
220 : 나사공 230 : 축결합부
231 : 힌지공 232 : 힌지핀
300 : 디플렉터 310 : 돌출부
400 :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

Claims (7)

  1. 건물에 설치된 소화수조와, 이 소화수조의 물이 건물의 외장재측으로 공급되는 관로인 배관을 포함하는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설비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나사 결합되며, 배관의 관로와 통하게 형성된 유로를 형성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로부터 연장되어 건물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나사부의 유로와 통하는 토출구가 건물의 하방을 향해 형성되되, 상기 토출구는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출구는 분사부의 둘레면 반(半)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분사부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방사각은 180도 이상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3. 건물에 설치된 소화수조와, 이 소화수조의 물이 건물의 외장재측으로 공급되는 관로인 배관을 포함하는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설비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나사 결합되며, 배관의 관로와 통하게 형성된 유로를 형성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로부터 연장되어 건물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나사부의 유로와 통하는 토출구가 건물의 하방을 향해 형성된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토출구 상에서 분사부와 나사부를 향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디플렉터:를 포함하되,
    상기 디플렉터는 건물의 외장재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된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의 선단면에는 토출구와 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에는 디플렉터를 향해 나사 회전되는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중,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에 대향된 면에는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6. 제 3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의 외측면에는 축공이 형성된 축결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축결합부에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각도 조절 나사에는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120010460A 2012-02-01 2012-02-01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KR101279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60A KR101279525B1 (ko) 2012-02-01 2012-02-01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60A KR101279525B1 (ko) 2012-02-01 2012-02-01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525B1 true KR101279525B1 (ko) 2013-07-09

Family

ID=4899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460A KR101279525B1 (ko) 2012-02-01 2012-02-01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5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522B1 (ko) 2016-07-04 2016-12-13 (주)한양기술단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1700216B1 (ko) * 2016-07-26 2017-01-26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
KR101721100B1 (ko) * 2016-12-06 2017-03-30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WO2017183782A1 (ko) * 2016-04-22 2017-10-26 주식회사 파라텍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KR20200092619A (ko) 2019-01-25 2020-08-0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102348873B1 (ko) * 2021-06-11 2022-01-12 남경이앤지 주식회사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257A (ja) * 2000-03-31 2001-10-09 Nohmi Bosai Ltd 消火用の水噴霧ヘッド
KR20080005954U (ko) * 2007-05-31 2008-12-04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화재진압과 화염전파를 방지하는 스프링클러
KR100903084B1 (ko) * 2008-11-13 2009-06-18 주식회사 석문이엔지 화염확산 방지 구조
KR20100133223A (ko) * 2009-06-11 2010-12-2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막을 이용한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257A (ja) * 2000-03-31 2001-10-09 Nohmi Bosai Ltd 消火用の水噴霧ヘッド
KR20080005954U (ko) * 2007-05-31 2008-12-04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화재진압과 화염전파를 방지하는 스프링클러
KR100903084B1 (ko) * 2008-11-13 2009-06-18 주식회사 석문이엔지 화염확산 방지 구조
KR20100133223A (ko) * 2009-06-11 2010-12-21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막을 이용한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782A1 (ko) * 2016-04-22 2017-10-26 주식회사 파라텍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US11027159B2 (en) 2016-04-22 2021-06-08 Paratech Company Limited Water curtain head for preventing fire spread between floors in curtain wall building
KR101685522B1 (ko) 2016-07-04 2016-12-13 (주)한양기술단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1700216B1 (ko) * 2016-07-26 2017-01-26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
KR101721100B1 (ko) * 2016-12-06 2017-03-30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KR20200092619A (ko) 2019-01-25 2020-08-0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102348873B1 (ko) * 2021-06-11 2022-01-12 남경이앤지 주식회사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525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KR100709382B1 (ko) 소방용 관창
KR101700211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US20150217155A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apable of discharging fire-extinguishing agent to fire site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US20050252989A1 (en) Water driven fire hose spinning nozzle
RU2482924C1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одяной завесой
KR101229517B1 (ko) 타격겸용 소방장치
TW202014220A (zh) 多功能自動破窗滅火設備
KR1021468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US684033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extinguishing fires
RU2640476C2 (ru) Спринклер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указанной установки
CN103861230A (zh) 房顶自动喷淋灭火系统
KR101700216B1 (ko)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
KR102286749B1 (ko)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구조
CN214512395U (zh) 高层楼房外墙水炮灭火装置
RU2729235C1 (ru) Водоразбрызгиватель винтовой
KR200452092Y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분사장치
KR10104702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CN113750421A (zh) 一种虚拟屏障式消防喷头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20090070090A (ko) 사찰 문화재 보호를 위한 상향방수형 소방장치
KR101045660B1 (ko)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KR101763037B1 (ko)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
KR102619893B1 (ko)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