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037B1 -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037B1
KR101763037B1 KR1020150167070A KR20150167070A KR101763037B1 KR 101763037 B1 KR101763037 B1 KR 101763037B1 KR 1020150167070 A KR1020150167070 A KR 1020150167070A KR 20150167070 A KR20150167070 A KR 20150167070A KR 101763037 B1 KR101763037 B1 KR 101763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ilding
wall
fir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908A (ko
Inventor
김석기
Original Assignee
김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기 filed Critical 김석기
Priority to KR102015016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0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buildings or installations in fire sto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05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using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 난간을 덮는 두겁대에 소화 살수를 위한 구성을 설치하고,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벽으로 물을 살수하여 화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난간 및 외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려 외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보다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된 두겁대에 있어서, 상기 두겁대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공을 구비한 급수부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방화수(防火水)를 살수(撒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흐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 난간을 덮는 두겁대에 소화 살수를 위한 구성을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벽으로 물을 살수하여 화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번지는 것을 방지고 발화점 온도를 낮출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COPING DEVICE WITH EXTINGUISH FIRE AND WATERING AND EXTINGUISH FIR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옥상 난간을 덮는 두겁대에 소화 살수를 위한 구성을 설치하고,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벽으로 방화수를 살수하여 화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이나 아파트의 복도 또는 발코니 등에는 추락 방지용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난간은 소정 높이 및 소정 길이로 형성됨과 아울러 사람 등이 기대도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소정 두께를 갖게 되고, 다수의 벽돌이나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을 일정 높이로 적층한 다음 외부에 몰탈 등을 시공한다.
한편, 건축물의 옥상이나 아파트 복도 또는 발코니 등에 난간을 설치한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벽돌이나 콘크리트 등의 신축/팽창 및 직사광선에 의해 균열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빗물 침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난간 외부에 균열 부분이 하얗게 되는 백화 현상이 발생되면, 건물의 외벽으로 빗물 등에 의해 흘러내려 건물의 외관이 매우 불량하게 되며, 이를 유지 보수하는데 매우 많은 비용이 소요됨과 아울러 균열이 발생한 부분으로 빗물이 스며들면 내부의 벽돌, 철근 등이 빗물의 산성에 의해 약화되어 건물의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등 여러 가지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69887호(고안의 명칭: 난간용 두겁대)에는 건축물 또는 아파트 등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도록 난간용 두겁대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두겁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두겁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겁대(10)는 건물의 난간(20) 상부를 따라 설치되어 빗물이 침투하거나 또는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최근 들어 고층 건물이 빠른 속도로 건축되고 있으며, 건물의 고층화로 인한 화재 발생을 대비하여 건물에는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 방재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내부에 발생된 불길을 초기에 진압하기에는 효과적인 구성이지만, 스프링클러에 의한 화재의 초기 진압에 실패할 경우 실내에서 발화된 불길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건물의 상층으로 이동하면 이를 차단할 방법이 없다.
더욱이 건물의 고층화와 소방차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고층에서 발생한 화재의 경우 불길이 발화점 이외에 건물의 외벽을 타고 상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진화(鎭火)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화재의 초기 진화를 위한 골든 타임의 연장과, 소방대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화재가 다른 곳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69887호(고안의 명칭: 난간용 두겁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 난간을 덮는 두겁대에 소화 살수를 위한 구성을 설치하고,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벽으로 물을 살수하여 화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난간 및 외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려 외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보다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된 두겁대에 있어서, 상기 두겁대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공을 구비한 급수부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방화수(防火水)를 살수(撒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흐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두겁대는 상기 배출공에 설치되고, 일정 조건에 따라 온/오프하여 상기 방화수가 살수되도록 하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노즐은 급수부 내부의 수압이 일정 압력 조건 이상 또는 임의의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두겁대는 건물의 난간 및 외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와 급수부를 보호하며,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흘러 외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보다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되도록 물 끊기부를 구비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 본체의 말단에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한 베이스 물 끊기부; 및 상기 물 끊기부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볼트와 결합하는 고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덮개부는 상면이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수부는 베이스와 분리된 별도의 파이프 또는 베이스의 내부에 이동 통로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수부는 화재가 발생하면 방화수가 유입되는 드라이(Dry) 상태의 관로(管路)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와 덮개부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수부는 내부에 배출공 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한 급수부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으로서, 건물의 난간 및 외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려 건물의 외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보다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된 물 끊기부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방화수(防火水)를 살수(撒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흐르도록 하는 급수부를 구비한 복수의 두겁대; 상기 두겁대의 동작 제어용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두겁대와 물 공급부 사이의 관로가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급수 밸브; 및 상기 두겁대로 방화수를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력부의 동작 제어 신호는 화재 경보 신호 및 사용자가 입력하는 설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물 공급부는 물탱크 및 송수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 난간을 덮는 두겁대에 소화 살수를 위한 구성을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벽으로 물을 살수하여 화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으로 물을 살수하여 발화점 온도가 낮아지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두겁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두겁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도 3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도 5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 는 도 8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두겁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겁대(100)는 난간을 덮고,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벽으로 물을 살수하여 화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110)와, 덮개부(120)와, 급수부(130)와, 노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두겁대(100)는 빗물 등에 의해 변형되거나 산화되지 않도록 일정 강도 이상을 갖는 금속성 재질 또는 플라스틱 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10)는 건물의 난간(200) 상부를 따라 설치되거나 또는 건물의 외벽을 따라 설치되고, 볼트(150),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도록 하며, 베이스 본체(111)와, 결합홈(112)과 베이스 물 끊기부(113)와 고정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본체(111)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양측 말단에는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되어 난간(200)에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본체(111)를 단면의 형상이 '∩' 형상인 하나의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의 형상이 '┌', '┐' 로 이루어진 두 개의 구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홈(112)은 베이스 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덮개부(120)와 결합하여 상기 덮개부(120)가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물 끊기부(113)는 베이스 본체(111)의 말단에 난간(200)의 내벽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기울기를 형성하여 빗물이 내벽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도록 설치되며, 상기 난간(200)의 외벽방향의 물 끊기부(113a)는 난간(200)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방화수(300)를 살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살수된 방화수가 난간(200))의 외벽을 따라 흘러 내려갈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부(114)는 베이스 본체(111)의 말단에 베이스 물 끊기부(113)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고, 관통공(114a)을 천공하여 볼트(150)를 통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본체(111)가 난간(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부(114)는 베이스 물 끊기부(113)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 본체(111)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150)가 빗물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부(120)는 덮개부 본체(121)에 형성한 덮개부 결합홈(122)을 통해 베이스(110)의 결합홈(112)과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베이스(110)와 급수부(130)를 보호하며, 난간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보다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되도록 물 끊기부(123)를 구비하여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려 상기 건물의 외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120)는 덮개부 본체(121)의 상면이 건물의 외벽 측으로부터 옥상의 내측으로 기울기를 갖는 덮개부 경사면(121a)을 형성하여 빗물이 옥상의 내측으로 흘러 내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 끊기부(123)는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설치되도록 하여 살수된 방화수(300)가 건물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고, 공기중으로 비산되지 않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110)와 덮개부(120)를 서로 분리된 구성을 갖도록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베이스(110)와 덮개부(12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변경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급수부(13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외부에서 방화수(防火水, 300)가 공급되며,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흐르도록 살수(撒水)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급수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공(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급수부(130)는 베이스(110)의 외측에 별도의 구성으로 설치된 파이프로서,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는 방화수가 공급되지 않은 드라이(Dry) 상태의 관로(管路)이고, 화재가 발생하면 외부에서 공급되는 방화수(300)가 유입된다.
즉 상기 급수부(130)는 외부에 설치된 물탱크, 송수관 등의 물 공급부(600, 도 7 참조)와 파이프(미도시)를 통해 연결되고, 화재 발생시 상기 물 공급부(600)에서 공급되는 방화수(300)가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급수부(130)는 평상시에 물이 없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겨울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공(131)은 급수부(130)에 공급된 방화수(300)가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배출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급수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공(131)은 지름이 일정 크기 이상 되도록 천공하여 상기 배출공(131)에서 배출되는 방화수(300)가 수압으로 인해 비산(飛散)되지 않고 배출되게 함으로써, 방화수(300)가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게 한다.
상기 노즐(140)은 배출공(131)에 설치되고, 초기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 급수부(130)로 공급되는 방화수의 수압이 일정 압력 조건이상 되면 온 되어 상기 급수부(130)로 공급되는 방화수(300)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노즐(140)은 임의의 전기신호에 의해 온/오프 동작 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노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두겁대(100')는 난간(200)을 덮고,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벽으로 물을 살수하여 화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110')와, 덮개부(120)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31')을 통해 방화수(防火水, 300)를 살수(撒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흐르도록 베이스(110')에 일체형으로 구성한 급수부(130')와, 상기 배출공(131')에 설치되고, 일정 조건에 따라 온/오프하여 상기 방화수(300)가 배출되도록 하는 노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두겁대(100')는 베이스(110')에 급수부(130')의 구성을 일체형으로 설치한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겁대와 차이점이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판 형상의 베이스 본체(111') 상부에 방화수(3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급수부(130')가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말단에는 베이스 물 끊기부(113)와 고정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수부(13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 본체(111')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급수부(13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공(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급수부(130')는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는 방화수가 공급되지 않은 드라이(Dry) 상태의 관로(管路)이고, 화재가 발생하면 파이프(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물탱크, 송수관 등의 물 공급부(600, 도 7 참조)에서 공급되는 방화수(300)가 유입된다.
또한, 상기 급수부(13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131')은 급수부(130')에 공급된 방화수(300)가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배출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급수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공(131')은 지름이 일정 크기 이상 되도록 천공하여 상기 배출공(131')에서 배출되는 방화수(300)가 수압으로 인해 비산(飛散)되지 않고 흘러내리도록 배출함으로써, 상기 방화수(300)가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110')와 덮개부(120)를 서로 분리된 구성을 갖도록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베이스(110')와 덮개부(12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변경 실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두겁대(100")는 난간(200)을 덮고,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벽으로 물을 살수하여 화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110")와, 덮개부(120)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31")을 통해 방화수(防火水, 300)를 살수(撒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흐르도록 베이스(110")에 일체형으로 구성한 급수부(130")와, 상기 급수부(130")의 내부에 형성한 급수부 경사면(132)과, 상기 배출공(131")에 설치되고 일정 조건에 따라 온/오프하여 상기 방화수(300)가 배출되도록 하는 노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두겁대(100")는 베이스(110")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급수부(130")의 일측 하단에 배출공(131")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부(130")의 내부에 상기 배출공(131")이 설치된 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한 급수부 경사면(132)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110")와 덮개부(120)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점에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두겁대와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급수부(130")는 방화수(300)가 이동하는 이동 통로의 내부에 배출공(131") 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한 급수부 경사면(132)을 형성함으로써, 소화 살수를 위해 공급된 방화수(300)가 상기 배출공(131")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방화수(300)의 공급이 종료된 후에도 상기 급수부(130")의 내부에 공급된 방화수(300)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말단에는 베이스 물 끊기부(113)와 고정부(114)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베이스(110")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150)가 빗물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110")와 덮개부(120)를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베이스(110")와 덮개부(120)가 서로 분리된 구성을 갖도록 변경 실시할 수도 있다.
(소화 시스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은 복수의 두겁대(100)와, 입력부(400)와, 급수 밸브(500)와, 물 공급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두겁대(100)는 건물의 난간(200) 및 외벽(21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려 건물의 외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보다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된 물 끊기부(123)와, 방화수(防火水)를 살수(撒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흐르도록 하는 급수부(130)와, 초기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급수부(130)로 공급되는 방화수의 수압이 일정 압력 조건 이상 되면 온 되어 공급되는 방화수가 살수되도록 동작하는 노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두겁대(100)는 예를 들면,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모든 면의 옥상 난간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의 모든 면에 방화수(300)를 살수하거나 또는 화재가 발생한 외벽면에만 방화수(300)가 살수되도록 한다.
즉 건물의 난간(200)에 제 1 두겁대(100a), 제 2 두겁대(100b), 제 3 두겁대(100c), 제 4 두겁대(100d)를 설치하고, 제 1 내지 제 4 두겁대(100a, 100b, 100c, 100d) 모두 동작하거나 또는 화재가 발생한 난간 또는 외벽에 설치된 두겁대만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겁대(100)를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실시예에 따른 두겁대(100') 또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두겁대(100")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두겁대(100a, 100b, 100c, 100d)를 옥상의 난간에 설치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층 건물의 경우 건물의 중간 층에 상기 건물의 외벽(210)을 따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 몰탈과 같은 단열재가 건물의 외벽에 일체로 형성된 경우 두겁대(100)에서 살수되는 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흐르도록 구성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감재가 지지부재를 통해 건물의 외벽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건물인 경우, 상기 두겁대(100)에서 살수되는 물이 상기 마감재와 외벽 사이로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두겁대의 노즐을 통해 살수되는 물이 상기 마감재의 외측과 상기 마감재와 외벽 사이로 함께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400)는 두겁대(100)의 동작 제어용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건물의 화재 경보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재 경보 신호 또는 사용자가 버튼 등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동작 설정 신호이다.
즉 상기 입력부(400)는 화재 경보 신호 또는 스위치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두겁대(100a, 100b, 100c, 100d)가 모두 동작하도록 동작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 1 내지 제 4 두겁대(100a, 100b, 100c, 100d) 중에서 화재가 발생한 난간 또는 외벽에 설치된 두겁대만 방화수가 공급되도록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급수 밸브(500)는 제 1 내지 제 4 두겁대(100a, 100b, 100c, 100d)와 물 공급부(60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입력부(400)에서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4 두겁대(100a, 100b, 100c, 100d)와 물 공급부(600) 사이의 관로(미도시)가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급수 밸브(500)는 입력부(400)의 동작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 밸브(500)의 개폐량이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동작하여 방화수(300)의 공급 초기에 물 공급부(600)에서 공급되는 방화수가 제 1 내지 제 4 두겁대(100a, 100b, 100c, 100d)에 충분히 유입되도록 시간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두겁대(100a, 100b, 100c, 100d)에 방화수(300)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 공급부(600)는 건물에 설치된 물탱크 및 송수관으로서, 급수 밸브(500)가 온 되면, 두겁대(100)와 연결된 관로를 통해 방화수(300)가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옥상 난간을 덮는 두겁대에 소화 살수를 위한 구성을 설치하여 빗물이 침투하거나 또는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화재 발생시 건물의 외벽으로 방화수를 살수하여 화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번지는 것을 방지고 발화점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되며, 화재 발생시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대형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100', 100" : 두겁대
110, 110', 110" : 베이스
111, 111' : 베이스 본체
112 : 결합홈
113 : 베이스 물 끊기부
114 : 고정부
120 : 덮개부
121 : 덮개부 본체
121a : 덮개부 경사면
122 : 덮개부 결합홈
123 : 물 끊기부
130, 130', 130" : 급수부
131, 131', 131" : 배출공
132 : 급수부 경사면
140 : 노즐
150 : 볼트
200 : 난간
210 : 외벽
300 : 방화수
400 : 스위치부
500 : 급수 밸브
600 : 물 공급부

Claims (13)

  1. 건물의 난간 및 외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려 건물의 외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보다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된 두겁대에 있어서,
    건물의 난간 및 외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하는 베이스(110, 110', 110");
    상기 베이스(110, 110', 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10, 110', 110")와 급수부(130, 130', 130")를 보호하며,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흘러 외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보다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되도록 물 끊기부(123)를 구비한 덮개부(120);
    상기 베이스(110, 110', 1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방화수(防火水)를 살수(撒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흐르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공(131, 131', 131")을 구비한 급수부(130, 130', 130"); 및
    상기 배출공(131, 131', 131")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부(130, 130', 130") 내부의 수압이 일정 압력 조건 이상이면 상기 방화수가 살수되도록 온 되는 노즐(140)을 포함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 110', 110")는 베이스 본체의 말단에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한 베이스 물 끊기부(113); 및
    상기 물 끊기부(113)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볼트(150)와 결합하는 고정부(1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20)는 상면이 경사면(121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130, 130', 130")는 베이스(110)와 분리된 별도의 파이프 또는 베이스(110', 110")의 내부에 이동 통로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130, 130', 130")는 화재가 발생하면 방화수가 유입되는 드라이(Dry) 상태의 관로(管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130")는 내부에 배출공(131") 방향으로 기울기를 형성한 급수부 경사면(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11. 건물의 난간 및 외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하는 베이스(110, 110', 110")와, 상기 베이스(110, 110', 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10, 110', 110")와 급수부(130, 130', 130")를 보호하며,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흘러 외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의 외벽 또는 건물의 외벽보다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되도록 물 끊기부(123)를 구비한 덮개부(120)와, 상기 베이스(110, 110', 1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방화수(防火水)를 살수(撒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흐르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출공(131, 131', 131")을 구비한 급수부(130, 130', 130")와, 상기 배출공(131, 131', 131")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부(130, 130', 130") 내부의 수압이 일정 압력 조건 이상이면 상기 방화수가 살수되도록 온 되는 노즐(140)을 구비한 복수의 두겁대(100,100', 100");
    상기 두겁대(100, 100', 100")의 동작 제어용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입력부(400);
    상기 입력부(400)에서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두겁대(100, 100', 100")와 물 공급부(600) 사이의 관로가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급수 밸브(500); 및
    상기 두겁대(100, 100', 100")로 방화수(300)를 공급하는 물 공급부(600)를 포함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400)의 동작 제어 신호는 화재 경보 신호 및 사용자가 입력하는 설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600)는 물탱크 및 송수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
KR1020150167070A 2015-11-27 2015-11-27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 KR10176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070A KR101763037B1 (ko) 2015-11-27 2015-11-27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070A KR101763037B1 (ko) 2015-11-27 2015-11-27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908A KR20170061908A (ko) 2017-06-07
KR101763037B1 true KR101763037B1 (ko) 2017-07-28

Family

ID=5922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070A KR101763037B1 (ko) 2015-11-27 2015-11-27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954A (ko) 2022-03-17 2023-09-26 주식회사 조은데코 두겁패널 및 이를 이용한 두겁장치
CN114718246B (zh) * 2022-04-12 2023-09-29 深圳市中奥建钢结构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节能防火钢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87Y1 (ko) * 1999-09-01 2000-02-15 김웅중 난간용 두겁대
JP2002153570A (ja) * 2000-11-17 2002-05-28 Nobuo Tsuji 建物の防火装置および防火用雨樋
KR200441592Y1 (ko) * 2008-01-04 2008-08-26 오홍택 탈부착이 용이한 난간용 비막이
JP2012239505A (ja) * 2011-05-16 2012-12-10 Taisei Corp 散水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87Y1 (ko) * 1999-09-01 2000-02-15 김웅중 난간용 두겁대
JP2002153570A (ja) * 2000-11-17 2002-05-28 Nobuo Tsuji 建物の防火装置および防火用雨樋
KR200441592Y1 (ko) * 2008-01-04 2008-08-26 오홍택 탈부착이 용이한 난간용 비막이
JP2012239505A (ja) * 2011-05-16 2012-12-10 Taisei Corp 散水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908A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037B1 (ko) 소화 살수 기능을 갖는 두겁대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시스템
KR102037710B1 (ko) 화재 방지 시스템
CN202044676U (zh) 水屋防火灭火系统
KR101162065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
JP6125897B2 (ja) 延焼防止用散水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街路壁面用散水システム
KR101050817B1 (ko) 경사진 직선 파이프배치에 의한 지붕에 매설된 자동소화장치
KR20210002914A (ko) 벽면 패널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0488385Y1 (ko) 소방용수 분사장치
JPH0510111B2 (ko)
KR20140035162A (ko)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 형성 시스템
CN201168364Y (zh) 消防楼梯扶手
KR100932322B1 (ko) 주변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막설비시스템
CN204952027U (zh) 多节式带挠钩的喷雾水枪
EP237338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olumen- und/oder flächenspezifischen bekämpfen von feuer in brandgefährdeten bereichen von bauten und anlagen
KR101267421B1 (ko) 드렌처 및 미분무 겸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소방 시스템
CN208626481U (zh) 一种设置在外墙的消防自动喷淋系统
KR20100129975A (ko)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KR20180025553A (ko) 화재 확산 방지용 수공압 분사장치
CN208193446U (zh) 一种消防水幕喷头及由其组成的隧道防火分隔系统
CN215292229U (zh) 一种走廊自动灭火防控门
US2023000950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in a building
JP5046315B2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JPH0919510A (ja) 消火設備
KR10104702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JP5180358B2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