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083B1 -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083B1
KR101862083B1 KR1020180034203A KR20180034203A KR101862083B1 KR 101862083 B1 KR101862083 B1 KR 101862083B1 KR 1020180034203 A KR1020180034203 A KR 1020180034203A KR 20180034203 A KR20180034203 A KR 20180034203A KR 101862083 B1 KR101862083 B1 KR 10186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triking
cover member
fir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장정
Original Assignee
조장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장정 filed Critical 조장정
Priority to KR102018003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1/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 B25D11/06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 B25D11/064Means for driving the impulse member using an electromagnet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은 지지프레임(110), 어댑터(120), 커버부재(130) 및 복층유리부(140)로 구성되는 커튼월과 화재 등 비상시에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 및 이들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부(500)로 구성되며, 화재 등 비상시에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CURTAIN WALL SYSTEM HAVING THERMOPANE QUICK RELEASE APPARATUS IN EMERGENCY}
본 발명은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 비상시에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커튼월이란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서 건물에 작용하는 하중은 기둥, 보 및 슬래브 등으로 이루어진 골조만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외부 벽체는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비내력벽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커튼월은 기계화 시공이 가능하고, 공장 제작이 가능하므로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외부벽의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 외에도 사용 재료에 따라 수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어 최근 들어 그 시공 예가 점점 늘어가는 추세이며, 특히 현재 고층 건축물의 대부분은 이 방식에 의해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커튼월이 현대의 다양한 고층건물에 사용되는 상황에서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의 커튼월이 밀폐형 복층유리로 제작되는 이유로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이 쉽게 화재 연기에 질식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건축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장치만으로는 커튼월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인명의 신속한 구제가 미흡한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건물에 화재 발생시 커튼월에 구비된 밀폐형 복층유리부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1389호 (2017.11.02)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및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 등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시 복층유리부를 매우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화재 발생시 복층유리부를 매우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은 건물의 내력벽(W)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빔 형상의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며 어댑터홈부(121)를 갖는 어댑터(120); 일 측에 화재정보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는 커버돌기부(131)가 구비되고 타 측에 좌우로 확장부(132)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돌기부(131)가 상기 어댑터홈부(121)에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는 커버부재(130); 일 말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확장부(132) 사이에 끼워져 구비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내부유리(141) 및 외부유리(142)를 갖는 복층유리부(140);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향하여 회동타격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며 상기 내부유리(141)와 외부유리(142)를 순차적으로 파쇄하되록 구비된 유리파쇄장치(200); 상기 어댑터(120) 내부에 구비된 제1구동모터(301)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모터(301)의 구동 및 상기 커버돌기부(131)의 파괴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재(130)가 이탈되도록 하는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된 제2구동모터(401)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모터(401)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 상기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또는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500); 및 상기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및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의 외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통제부(601)와 건물 내부의 화재 정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센서부(602)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통제센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은 상기 내부유리(141)와 외부유리(14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소화액을 분무하도록 구비된 소화액분무장치(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화액분무장치(700)는 상기 내부유리(141)와 외부유리(14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소화액을 분무하도록 구비된 소화액분사노즐(701); 상기 소화액분사노즐(701)에 일 말단이 연통 되도록 연결되는 소화액이동관(702); 상기 소화액이동관(702)의 타 말단에 연결되며 소화액이 저장된 소화액저장탱크(703); 상기 소화액이동관(702)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704); 상기 개폐밸브(704)에 연결되어 개폐밸브(704)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가능한 개폐제어기(705); 및 상기 개폐제어기(705)에 연결되며 건물 내부의 화재 정보에 따라 상기 개폐제어기(705)를 작동시키는 소화액분사결정부(70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리파쇄장치(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된 회동힌지축(203);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부유리(141)를 타격 파쇄하는 제1타격부(201);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부유리(142)를 타격 파쇄하는 제2타격부(202); 및 상기 제1타격부(201) 및 제2타격부(202)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구비된 탄성체(204);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타격부(201)는 상기 제2타격부(202)보다 먼저 작동하고, 상기 제1타격부(201)는 일단이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연결된 제1타격봉(2011) 및 상기 제1타격봉(2011)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유리(141)에 타격력을 가하는 제1타격헤드(20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타격부(202)는 일단이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연결된 제2타격봉(2021) 및 상기 제2타격봉(2021)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유리(142)에 타격력을 가하는 제2타격헤드(2022)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타격헤드(2022)는 상기 제1타격헤드(2012)보다 더 멀리 위치한 타격점을 타격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리파쇄장치(200)는 상기 탄성체(204)의 탄성작동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탄성체제어장치(205); 및 상기 제1타격부(201) 또는 제2타격부(202)를 전자석으로 제어하는 타격부제어장치(206);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제어장치(205) 및 타격부제어장치(206)는 각각 상기 제어부(500)에 유선 또는 무선 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타격봉(2021)의 말단에는 상기 제2타격봉(2021)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제2타격헤드(202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2타격헤드회전유닛(R)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는 상기 제1구동모터(301)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재(130) 방향으로 신장된 연결부(302); 및 상기 연결부(302)의 말단에 고정되며 상기 확장부(13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잠금봉(303);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130)에는 측단면이 T자 형상인 내부공간(133)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33)은 상기 잠금봉(303)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회전공간(1331); 및 상기 연결부(302)가 위치하는 연결공간(1332);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공간(1331)을 형성하는 커버부재(130)의 내벽에는 상기 잠금봉(303)이 회전작동에 의하여 빠져나올 수 있도록 구비된 장공(133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는 상기 제2구동모터(401)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가압실린더(402); 상기 가압실린더(402)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실린더(402) 외부로 돌출되면서 압력을 가하여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가압봉(403); 및 상기 가압봉(403)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유리(141)를 일정 면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가압패드(40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전달받은 화재 정보 또는 외부 입력에 의하여 상기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또는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화재 정보의 전달 또는 외부 입력과 제어부(500)의 제어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에 의하여 전기전자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은 화재 등 비상시에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에 구비된 유리파쇄장치(200)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유리파쇄장치(200)의 제1타격부(201)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커버부재(130)에 구비된 내부공간(133)의 각 영역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커버부재(130)에 구비된 장공(1333)을 통하여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의 잠금봉(303)이 빠져나오게 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에 구비된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커튼월 시스템은 지지프레임(110), 어댑터(120), 커버부재(130) 및 복층유리부(140)로 구성되는 커튼월과 화재 등 비상시에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 및 이들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커튼월 시스템을 구성하는 커튼월은 건물의 내력벽(W)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빔 형상의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며 어댑터홈부(121)를 갖는 어댑터(120); 일 측에 화재정보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는 커버돌기부(131)가 구비되고 타 측에 좌우로 확장부(132)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돌기부(131)가 상기 어댑터홈부(121)에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는 커버부재(130); 및 일 말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확장부(132) 사이에 끼워져 구비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내부유리(141) 및 외부유리(142)를 갖는 복층유리부(140);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커버부재(130)와 유리 또는 지지프레임(110)과 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 간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유리를 보호하는 충격흡수부재(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은 화재 등 비상시에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향하여 회동타격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며 상기 내부유리(141)와 외부유리(142)를 순차적으로 파쇄하되록 구비된 유리파쇄장치(200); 상기 어댑터(120) 내부에 구비된 제1구동모터(301)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모터(301)의 구동 및 상기 커버돌기부(131)의 파괴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재(130)가 이탈되도록 하는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및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된 제2구동모터(401)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모터(401)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를 포함한다.
이들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또는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는 상기 지지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500)에 의하여 화재 신호 등에 따라 작동이 제어된다.
한편, 상기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및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는 외부 조작이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통제부(601)와 화재감지 센서부(602)를 갖는 통제센서부(600)가 구비된다.
상기 통제부(601)는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에 의하여 비상시에 직접 상기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및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건물 내부의 화재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화재감지 센서부(602)는 감지된 화재정보를 상기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및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에 전달하여 이들 장치가 작동하여 복층유리부(140) 또는 커버부재(130)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은 상기 내부유리(141)와 외부유리(14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소화액을 분무하도록 구비된 소화액분무장치(700)를 더 포함한다.
소화액분무장치(700)는 상기 내부유리(141)와 외부유리(14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소화액을 분무하도록 구비된 소화액분사노즐(701); 상기 소화액분사노즐(701)에 일 말단이 연통 되도록 연결되는 소화액이동관(702); 상기 소화액이동관(702)의 타 말단에 연결되며 소화액이 저장된 소화액저장탱크(703); 상기 소화액이동관(702)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704); 상기 개폐밸브(704)에 연결되어 개폐밸브(704)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가능한 개폐제어기(705); 및 상기 개폐제어기(705)에 연결되며 건물 내부의 화재 정보에 따라 상기 개폐제어기(705)를 작동시키는 소화액분사결정부(70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소화액분무장치(700)를 통하여 화재 발생시 복층유리부(140)의 파쇄된 공간을 통하여 외부의 산소가 건물 내부로 유입될 때, 급작스럽게 화염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에 구비된 유리파쇄장치(200)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유리파쇄장치(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된 회동힌지축(203);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부유리(141)를 타격 파쇄하는 제1타격부(201);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부유리(142)를 타격 파쇄하는 제2타격부(202); 및 상기 제1타격부(201) 및 제2타격부(202)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구비된 탄성체(204);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204)는 화재신호 감지시에 상기 제1타격부(201) 및 제2타격부(202)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타격부(201)는 상기 제2타격부(202)보다 먼저 작동하고, 상기 제1타격부(201)는 일단이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연결된 제1타격봉(2011) 및 상기 제1타격봉(2011)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유리(141)에 타격력을 가하는 제1타격헤드(20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타격부(202)는 일단이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연결된 제2타격봉(2021) 및 상기 제2타격봉(2021)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유리(142)에 타격력을 가하는 제2타격헤드(2022)를 포함한다.
특히, 복층유리부(140)에서 내부유리(141)보다 외부유리(142)가 더 멀리 존재하므로 상기 제2타격헤드(2022)는 상기 제1타격헤드(2012)보다 더 멀리 위치한 타격점을 타격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타격부(201)는 상기 제2타격부(202)보다 먼저 작동하도록 제어되며, 이와 같이 제1타격부(201)에 의하여 내부유리(141)가 파괴된 후에 제2타격부(202)가 작동하여 내부유리(141)의 파괴된 부분을 용이하게 통과하여 외부유리(142)를 파괴함으로써 복층유리의 용이한 파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타격부(201)의 타격 지점과 가까운 지점에 제2타격부(202)가 타격할 수 있도록 제1타격헤드(2012)와 제2타격헤드(2022)는 가급적 가깝게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유리파쇄장치(200)의 제1타격부(201)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화재감지 센서부(602)에 의하여 화재 신호가 감지되면 화재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하여 유리파쇄장치(200)의 제1타격부(201)가 먼저 작동하여 내부유리(141)를 파괴한다.
도 3에 작동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타격부(201)가 작동하여 내부유리(141)를 파괴하면, 몇 초 정도 경과 한 후에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하여 제2타격부(202)가 작동하며 이에 따라 외부유리(142)가 파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튼월 시스템에 구비된 상기 유리파쇄장치(200)는 상기 탄성체(204)의 탄성작동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탄성체제어장치(205); 및 상기 제1타격부(201) 또는 제2타격부(202)를 전자석으로 제어하는 타격부제어장치(206);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제어장치(205) 및 타격부제어장치(206)는 각각 상기 제어부(500)에 유선 또는 무선 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이, 탄성체제어장치(205) 및 타격부제어장치(206)의 이중 안전 제어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시스템의 오작동에 의하여 유리파쇄장치(200)가 작동하게 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타격봉(2021)의 말단에는 상기 제2타격봉(2021)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제2타격헤드(202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2타격헤드회전유닛(R)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을 참고하면, 상대적으로 내부유리(141)보다 멀리 위치하는 외부유리(142)를 파괴하기 위하여 제2타격부(202)의 제2타격헤드(2022)는 제1타격부(201)의 제1타격헤드(20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비교적 길게 형성된 제2타격헤드(2022)가 평상시에는 지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지지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고, 화재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제2타격헤드(202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2타격헤드회전유닛(R)이 회전 작동함으로써 제2타격헤드(2022)가 외부유리(142)를 타격할 수 있는 방향으로 180도 회전 위치하게 되며, 이와 같이 타격 방향으로 위치된 후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탄성체제어장치(205) 및 타격부제어장치(206)가 작동하여 제2타격헤드(2022)가 외부유리(142)를 타격하여 파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커버부재(130)에 구비된 내부공간(133)의 각 영역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커버부재(130)에 구비된 장공(1333)을 통하여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의 잠금봉(303)이 빠져나오게 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는 상기 제1구동모터(301)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재(130) 방향으로 신장된 연결부(302); 및 상기 연결부(302)의 말단에 고정되며 상기 확장부(13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잠금봉(303);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130)에는 측단면이 T자 형상인 내부공간(1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공간(133)은 상기 잠금봉(303)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회전공간(1331); 및 상기 연결부(302)가 위치하는 연결공간(133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공간(1331)을 형성하는 커버부재(130)의 내벽에는 상기 잠금봉(303)이 회전작동에 의하여 빠져나올 수 있도록 구비된 장공(133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잠금봉(303)이 상기 장공(1333)과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어부(500)에 화재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모터(301)가 작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부(302)가 180도 회전하며, 이와 같이 연결부(302)가 180도 회전하는 과정에서 연결부(302)에 연결된 잠금봉(303)도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봉(303)이 180도 회전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봉(303)이 장공(1333)과 나란히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잠금봉(303)이 장공(1333)을 통하여 커버부재(130)의 내부공간(133)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커버부재(130)의 일 측에는 화재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는 커버돌기부(1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돌기부(131)는 평상시에는 상기 어댑터홈부(121)에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제어부(500)에 화재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어댑터홈부(12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돌기부(131)가 제거되는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커버돌기부(131) 내부에 화학적 성분에 의한 폭파가 가능하도록 장치하고 이와 같이 장치된 폭파수단을 상기 제어부(50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지의 실린더 작동에 의하여 다수의 커버돌기부(131)가 커버부재(130)의 내부로 숨어들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커버돌기부(131)를 상기 어댑터홈부(121)로부터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에 구비된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의 세부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는 상기 제2구동모터(401)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가압실린더(402); 상기 가압실린더(402)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실린더(402) 외부로 돌출되면서 압력을 가하여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가압봉(403); 및 상기 가압봉(403)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유리(141)를 일정 면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가압패드(4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따른 커튼월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전달받은 화재 정보 또는 외부 입력에 의하여 상기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또는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화재 정보의 전달 또는 외부 입력과 제어부(500)의 제어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에 의하여 전기전자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W: 내력벽 110: 지지프레임
120: 어댑터 121: 어댑터홈부
130: 커버부재 131: 커버돌기부
132: 확장부 133: 내부공간
1331: 회전공간 1332: 연결공간
1333: 장공 140: 복층유리부
141: 내부유리 142: 외부유리
150: 충격흡수부재 200: 유리파쇄장치
201: 제1타격부 2011: 제1타격봉
2012: 제1타격헤드 202: 제2타격부
2021: 제2타격봉 R: 제2타격헤드회전유닛
2022: 제2타격헤드 203: 회동힌지축
204: 탄성체 205: 탄성체제어장치
206: 타격부제어장치 3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
301: 제1구동모터 302: 연결부
303: 잠금봉 400: 유리부가압이탈장치
401: 제2구동모터 402: 가압실린더
403: 가압봉 404: 가압패드
500: 제어부 600: 통제센서부
601: 통제부 602: 화재감지 센서부
700: 소화액분무장치 701: 소화액분사노즐
702: 소화액이동관 703: 소화액저장탱크
704: 개폐밸브 705: 개폐제어기
706: 소화액분사결정부

Claims (8)

  1. 건물의 내력벽(W)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빔 형상의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며 어댑터홈부(121)를 갖는 어댑터(120);
    일 측에 화재정보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는 커버돌기부(131)가 구비되고 타 측에 좌우로 확장부(132)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돌기부(131)가 상기 어댑터홈부(121)에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는 커버부재(130);
    일 말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확장부(132) 사이에 끼워져 구비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내부유리(141) 및 외부유리(142)를 갖는 복층유리부(140);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향하여 회동타격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며 상기 내부유리(141)와 외부유리(142)를 순차적으로 파쇄하되록 구비된 유리파쇄장치(200);
    상기 어댑터(120) 내부에 구비된 제1구동모터(301)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모터(301)의 구동 및 상기 커버돌기부(131)의 파괴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재(130)가 이탈되도록 하는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된 제2구동모터(401)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모터(401)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
    상기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또는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500); 및
    상기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및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의 외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통제부(601)와 건물 내부의 화재 정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센서부(602)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통제센서부(600);를 포함하는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리(141)와 외부유리(14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소화액을 분무하도록 구비된 소화액분무장치(700)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액분무장치(700)는
    상기 내부유리(141)와 외부유리(14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소화액을 분무하도록 구비된 소화액분사노즐(701);
    상기 소화액분사노즐(701)에 일 말단이 연통 되도록 연결되는 소화액이동관(702);
    상기 소화액이동관(702)의 타 말단에 연결되며 소화액이 저장된 소화액저장탱크(703);
    상기 소화액이동관(702)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704);
    상기 개폐밸브(704)에 연결되어 개폐밸브(704)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가능한 개폐제어기(705); 및
    상기 개폐제어기(705)에 연결되며 건물 내부의 화재 정보에 따라 상기 개폐제어기(705)를 작동시키는 소화액분사결정부(706);를 포함하는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파쇄장치(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된 회동힌지축(203);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부유리(141)를 타격 파쇄하는 제1타격부(201);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부유리(142)를 타격 파쇄하는 제2타격부(202); 및
    상기 제1타격부(201) 및 제2타격부(202)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구비된 탄성체(204);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타격부(201)는 상기 제2타격부(202)보다 먼저 작동하고,
    상기 제1타격부(201)는 일단이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연결된 제1타격봉(2011) 및 상기 제1타격봉(2011)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유리(141)에 타격력을 가하는 제1타격헤드(20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타격부(202)는 일단이 상기 회동힌지축(203)에 연결된 제2타격봉(2021) 및 상기 제2타격봉(2021)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유리(142)에 타격력을 가하는 제2타격헤드(2022)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타격헤드(2022)는 상기 제1타격헤드(2012)보다 더 멀리 위치한 타격점을 타격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된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리파쇄장치(200)는
    상기 탄성체(204)의 탄성작동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탄성체제어장치(205); 및
    상기 제1타격부(201) 또는 제2타격부(202)를 전자석으로 제어하는 타격부제어장치(206);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제어장치(205) 및 타격부제어장치(206)는 각각 상기 제어부(500)에 유선 또는 무선 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연결된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타격봉(2021)의 말단에는 상기 제2타격봉(2021)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제2타격헤드(202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2타격헤드회전유닛(R)이 구비된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는
    상기 제1구동모터(301)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재(130) 방향으로 신장된 연결부(302); 및 상기 연결부(302)의 말단에 고정되며 상기 확장부(13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잠금봉(303);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130)에는 측단면이 T자 형상인 내부공간(133)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33)은 상기 잠금봉(303)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회전공간(1331); 및 상기 연결부(302)가 위치하는 연결공간(1332);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공간(1331)을 형성하는 커버부재(130)의 내벽에는 상기 잠금봉(303)이 회전작동에 의하여 빠져나올 수 있도록 구비된 장공(1333)이 형성된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는
    상기 제2구동모터(401)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가압실린더(402);
    상기 가압실린더(402)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실린더(402) 외부로 돌출되면서 압력을 가하여 상기 복층유리부(140)를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가압봉(403); 및
    상기 가압봉(403)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유리(141)를 일정 면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가압패드(404);를 포함하는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전달받은 화재 정보 또는 외부 입력에 의하여 상기 유리파쇄장치(200), 커버부재잠금해제장치(300) 또는 유리부가압이탈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화재 정보의 전달 또는 외부 입력과 제어부(500)의 제어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에 의하여 전기전자적으로 이루어지는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KR1020180034203A 2018-03-26 2018-03-26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KR10186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203A KR101862083B1 (ko) 2018-03-26 2018-03-26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203A KR101862083B1 (ko) 2018-03-26 2018-03-26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083B1 true KR101862083B1 (ko) 2018-06-29

Family

ID=6278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203A KR101862083B1 (ko) 2018-03-26 2018-03-26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0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70B1 (ko) 2019-11-22 2020-03-18 조장정 커튼월 시스템
KR102121166B1 (ko) * 2020-01-10 2020-06-09 이지영 광투과율 조절기능을 가진 방화단열 커튼월
KR102206924B1 (ko) * 2020-03-31 2021-01-22 이윤성 자동 유리창 파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252B1 (ko) * 2001-11-20 2004-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창문 파쇄용 비상햄머의 장착구조
KR101355435B1 (ko) * 2012-05-04 2014-01-28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브레이킹 장치
KR200471987Y1 (ko) * 2014-01-10 2014-04-04 (주)가경건설산업 강성이 보강된 커튼월
KR20160054366A (ko) * 2014-11-06 2016-05-16 강현구 방화창 유니트
KR20170121389A (ko) 2016-04-22 2017-11-02 주식회사 파라텍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252B1 (ko) * 2001-11-20 2004-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창문 파쇄용 비상햄머의 장착구조
KR101355435B1 (ko) * 2012-05-04 2014-01-28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브레이킹 장치
KR200471987Y1 (ko) * 2014-01-10 2014-04-04 (주)가경건설산업 강성이 보강된 커튼월
KR20160054366A (ko) * 2014-11-06 2016-05-16 강현구 방화창 유니트
KR20170121389A (ko) 2016-04-22 2017-11-02 주식회사 파라텍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KR101828258B1 (ko) * 2016-04-22 2018-02-27 주식회사 파라텍 커튼월 건출물에서 층간 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수막 헤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70B1 (ko) 2019-11-22 2020-03-18 조장정 커튼월 시스템
KR102121166B1 (ko) * 2020-01-10 2020-06-09 이지영 광투과율 조절기능을 가진 방화단열 커튼월
KR102206924B1 (ko) * 2020-03-31 2021-01-22 이윤성 자동 유리창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083B1 (ko) 비상시 복층유리부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
KR101759723B1 (ko) 고층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2377220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KR101618991B1 (ko) 화재 지향형 소화기
KR101330423B1 (ko) 위험 제어 및 시그널링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CN201417110Y (zh) 一种触发弹射装置
JP2013513421A (ja) パネル型消火器容器
JP6670702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
AU2011100115A4 (en) Identification system for security purposes
KR200422704Y1 (ko) 유리판 파괴장치
KR200414051Y1 (ko) 철도차량용 물 분무식 화재 소화장치
JP2003180860A (ja) ガス系消火設備の開放器
KR100685456B1 (ko) 소화용 셀렉션 밸브 장치
JP4068489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および逆止弁
JP2005000508A (ja) 減圧開放型一斉開放弁を用いる消火設備
KR102457911B1 (ko) 재난 발생시 자동 개방구조를 갖는 도어
KR101915551B1 (ko)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TWM595523U (zh) 主被動滅火裝置之總成
JP3928201B2 (ja) 消火設備
KR102657998B1 (ko) 신속 화재진압이 가능한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기기
KR102471199B1 (ko)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2614735B1 (ko) 소형 자동소화장치
KR20190001313A (ko) 비상 탈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