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313A - 비상 탈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313A
KR20190001313A KR1020170081125A KR20170081125A KR20190001313A KR 20190001313 A KR20190001313 A KR 20190001313A KR 1020170081125 A KR1020170081125 A KR 1020170081125A KR 20170081125 A KR20170081125 A KR 20170081125A KR 20190001313 A KR20190001313 A KR 20190001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emergency
offshore structure
escape apparatu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313A/ko
Publication of KR2019000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704/00
    • B63B27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평상시 작업자의 거주 또는 이동 경로로 사용되고, 비상시 신속하게 상기 해양 구조물로부터 배출되는 비상 탈출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비상 탈출 시스템은, 해양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밀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해양 구조물의 이동로와 연결되는 탈출 장치; 및 상기 해양 구조물의 일측에 형성된 탈출구를 포함하고, 평상시에, 상기 탈출 장치는 작업자의 거주 또는 이동 경로로 사용되고, 비상시에, 상기 탈출 장치 내로 작업자가 대피한 후 상기 수밀 도어를 밀폐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고, 상기 탈출구를 통해서 상기 탈출 장치가 상기 해양 구조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다.

Description

비상 탈출 시스템{Emergency Escape System}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비롯한 해양 구조물은 바다에 부유하여 석유 시추 등의 작업을 하는 구조물을 총칭한다. 해양 구조물에는 석유 시추 등의 작업을 위한 구성들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거주하는 거주부가 구비된다.
한편, 해양 구조물의 폭발, 침몰 등 비상시에 작업자는 헬기 등을 이용하여 해양 구조물을 탈출할 수밖에 없으나, 이러한 탈출방법으로는 적은 인원만 탈출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해양 구조물의 거주부에서 탈출 장치 등으로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상시에 거주부에 거주하는 작업자의 신속한 탈출이 어려웠었다. 비상시, 예를 들면, 작업자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형 구명정들 또는 팽창식 구명 고무 보트들과 같은 대피 디바이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대피 디바이스들은 노천 갑판(weather deck)에 보관되는 경우에는 어떠한 종류의 보호도 받지 못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낙후될 가능성이 크다. 더불어, 제한된 해양 구조물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방해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평상시 작업자의 거주 또는 이동 경로로 사용되고, 비상시 신속하게 상기 해양 구조물로부터 배출되는 비상 탈출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은, 해양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밀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해양 구조물의 이동로와 연결되는 탈출 장치; 및 상기 해양 구조물의 일측에 형성된 탈출구를 포함하고, 평상시에, 상기 탈출 장치는 작업자의 거주 또는 이동 경로로 사용되고, 비상시에, 상기 탈출 장치 내로 작업자가 대피한 후 상기 수밀 도어를 밀폐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고, 상기 탈출구를 통해서 상기 탈출 장치가 상기 해양 구조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다.
비상시에, 상기 탈출 장치를 이동시켜 상기 탈출구를 통해 상기 해양 구조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탈출 장치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비상시 상기 가압부를 밀어내어 상기 탈출 장치를 상기 해양 구조물로부터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에어 실린더와, 상기 에어 실린더가 작동하도록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는 에어 탱크와, 상기 에어 탱크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한다.
상기 탈출구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평상시 상기 탈출구를 밀폐시키고, 비상시 상기 탈출구를 개방시켜 상기 탈출 장치를 배출시키는 배출 도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탈출 장치 하단에 설치되는 부력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탈출구에 연결되고, 비상시 상기 탈출 장치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해양 구조물 밖으로 안전하게 배출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탈출 장치는 평상시 작업자의 거주 또는 이동 경로로 사용되어 공간 활용성을 제고하고, 비상시 신속하게 상기 해양 구조물로부터 배출되어 탈출 시간을 감소시키는 비상 탈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의 평상시 탈출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의 비상시 탈출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의 평상시 탈출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의 비상시 탈출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1)의 구성 및 탈출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의 평상시 탈출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의 비상시 탈출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1)은 탈출 장치(100) 및 탈출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탈출 장치(100)는 해양 구조물(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해양 구조물(10)의 노천 데크 상에 보관되는 비상 탈출 장치와 달리, 기후를 비롯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어 시간의 흐름에도 낙후될 가능성이 적다. 또한, 해양 구조물(10)의 데크 상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제한된 면적의 데크 상에 다른 작업 장치들을 효율적으로 건설할 수 있다.
또한, 탈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탈출부(101), 출입구(110), 수밀 도어(120) 및 부력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출부(101)는 평상시 작업자가 거주 또는 이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해양 구조물(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탈출부(101)는, 비상시 출입구(110)가 밀폐되는 경우에 해양 구조물(10) 내부의 다른 구조물들과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도록 해양 구조물(10) 내부에 설치된다. 그 결과, 비상시 탈출부(101)는 그 자체로 탈출하는 장치로써 기능할 수 있다(도 2의 101 참조). 한편, 도 1에서는 탈출부(101)를 예시적으로 1개의 원통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탈출부(101)는 직육면체의 형상 또는 다수 개의 원통형 캡슐이 이어진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탈출부(101)의 일면에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110)가 형성된다. 출입구(110)는 평상시 개방되어, 작업자가 탈출부(101)를 자유롭게 출입 및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1)의 탈출 장치(100)를 구성하는 탈출부(101)는, 각각의 출입구(110) 외측 또는 내측에 출입구(110)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밀 도어(1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상시 수밀 도어(120)는 출입구(110)를 개방하여, 탈출부(101)에 형성된 출입구(110)와 해양 구조물(10)의 이동로(50)를 연결시킨다. 즉, 평상시 탈출 장치(100)와 해양 구조물(10)의 이동로(50)가 연결되므로, 작업자는 해양 구조물(10)의 이동로(50)와 탈출부(101) 간을 자유롭게 출입 및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해양 구조물(10) 내부에 설치되는 탈출부(101)는 평상시 작업자의 거주 또는 이동 경로로 사용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1)은 해양 구조물(10)의 제한된 내부 공간 활용을 제고시킨다.
또한, 탈출 장치(100)는 하단에 설치되는 부력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력 부재(130)는, 비상시에도 탈출 장치(100)에 부착되어 탈출 장치(100)가 해수 상에 부유하도록 돕는다. 한편, 도 1에서는 부력 부재(130)가 탈출부(101)의 양 측 하단에 설치되도록 도시하였으나, 부력 부재(130)는 탈출부(101) 하단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탈출 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밖에도 탈출 장치(100) 자체가 해수에 부유하도록 설계되거나, 탈출부(101)의 내부에 부력을 제공하는 장치가 탑재되도록 설계되는 등 탈출 장치(100)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방식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1)은 해양 구조물(10)의 일측에 형성된 탈출구(2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탈출구(200)는, 평상시 탈출 장치(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비상시 탈출 장치(100)가 통과하여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해양 구조물(10)상에 설치된다.
한편, 탈출부(101)가 탈출구(200)를 통과하기 위해서, 탈출구(200)의 직경은 탈출부(101)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탈출부(101) 끝단의 단면의 직경은 탈출구(200)의 직경과 동일하므로, 평상시 탈출부(101)의 끝단이 탈출구(200)에 결속된다. 따라서, 평상시 해수가 탈출구(200)를 통해 해양 구조물(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비상 탈출 시스템(1)이 평상시 탈출구(200)를 통해 해수가 해양 구조물(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수밀되는 구조인 한, 탈출구(200)의 직경은 탈출부(101)의 단면의 직경보다 클 수도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1)에서 탈출 장치(100)의 비상시 동작 및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상시 작업자가 탈출부(101)로 모두 이동하면, 탈출 장치(100)와 해양 구조물(10)의 이동로(50)를 연결하는 탈출부(101)의 출입구(110)는 밀폐된다. 즉, 비상시에 상기 탈출 장치(100) 내로 작업자가 대피한 후 수밀 도어(120)가 출입구(110)를 밀폐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밀 도어(120)와 탈출부(101)가 힌지 결합되어 수밀 도어(120)가 회전 구동하여 출입구(110)를 밀폐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수밀 도어(120)가 회전 구동하여 출입구(110)를 밀폐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밀 도어(120)가 슬라이딩하여 출입구(110)를 밀폐하는 방식 등 해수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출입구(110)를 수밀할 수 있다.
또한, 수밀 도어(12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자동 개폐 방식인 경우에는 비상시에도 작동하도록 독립적인 전원 장치(예를 들어,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비상시 수밀 도어(120)가 출입구(110)를 밀폐한 후, 탈출구(200)를 통해서 탈출 장치(100)가 해양 구조물(10)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다. 예를 들어,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비상시 해양 구조물(10)이 기울어지면 탈출 장치(100)가 슬라이딩하여 탈출구(200)를 통과하고, 해양 구조물(10) 밖으로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1)은, 유압식 구동 등과 같이 다른 방식으로 탈출 장치(100)가 해양 구조물(10)로부터 분리 및 배출되는 것을 배재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분리되어 배출된 탈출 장치(100)는 해수면에 낙하한 뒤 부유하여 작업자를 해양 구조물(10)로부터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2)의 구성 및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의 평상시 탈출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의 비상시 탈출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과 다른 점은, 구동부(300)가 비상 탈출 시스템(2)에 구비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상시에 구동부(300)가 탈출부(10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구동부(300)가 외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탈출부(101) 내부에 설치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동부(300)는 가압부(310), 에어 실린더(air cylinder)(320), 에어 탱크(air tank)(330) 및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3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310)는 탈출 장치(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평상시 에어 실린더(320)와 탈출부(101)를 연결시킨다. 에어 실린더(320)는 평상시 가압부(310)에 연결되어, 비상시 가압부(310)를 강한 압력(예를 들어, 공기압)으로 밀어내어 탈출 장치(100)를 해양 구조물(10)로부터 신속하게 배출시킨다. 또한, 에어 탱크(330)는 비상시 에어 실린더(320)가 작동하기 위해 에어 실린더(320)에 에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비상시 에어 실린더(320)에 신속하게 에어를 제공하기 위해, 평상시 에어 탱크(330)는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에어 탱크(330)에 연결되는 에어 컴프레서(340)는 에어 탱크(330)에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 탱크(330) 내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급되는 에어로써 반응성이 크지 않은 기체(예를 들어, 공기, 질소 가스, 헬륨 가스, 아르곤 가스 등)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2)은 탈출구(2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는 배출 도어(210)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상시 배출 도어(210)는 탈출구(도 1의 200 참조)를 밀폐시킨다. 도 3에서 배출 도어(210)와 탈출구(200)의 단면 모양을 각각 원형으로 일치되게 도시하였지만, 평상시에 탈출구(200)를 밀폐하여 해양 구조물(10) 내부로 해수의 유입을 막기 위해 배출 도어(210)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2)은 탈출구(200)에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70)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70)은 탈출구(200)로부터 해양 구조물(10)의 외부(즉, 해상)을 향해 연장되어, 비상시에 탈출 장치(100)가 슬라이딩하여 해양 구조물(10) 밖으로 안전하게 배출되기 위해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70)이 설치됨으로써, 비상시 탈출 장치(100)가 낙하하는 경우에 자유 낙하하는 것보다 탈출 장치(100)와 해수면과의 마찰 충격이 작아진다. 따라서, 탈출 장치(100)의 탈출부(101)에 승선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가이드 레일(70)이 평상시에 해양 구조물(10)의 탈출구(200)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평상시 해양 구조물(10) 내측에 위치하고 비상시에 해상으로 전개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2)의 비상시 동작 및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상시 작업자가 탈출부(101)로 이동하여 승선한 뒤 출입구(110)는 수밀 도어(120)에 의해 밀폐된다. 그 후, 배출 도어(210)는 탈출구(200)를 개방시켜 탈출 장치(100)를 배출시킨다. 한편, 도 4에서 배출 도어(210)는 슬라이딩하여 탈출구(200)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도시되었으나, 평상시에 탈출구(200)를 밀폐하고 비상시에 개방시키는 다른 방식(예를 들어, 회전 구동하여 개폐하는 방식)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부(300)는 탈출 장치(100)를 이동시켜, 탈출 장치(100)가 탈출구(200)를 통해 해양 구조물(10)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즉, 비상시 탈출 장치(100)를 해상으로 발진시켜, 탈출구(200)를 통해 해양 구조물(10) 밖으로 배출시킨다.
예를 들어,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출부(101)의 가압부(310)에 연결되는 에어 실린더(320)는 비상시 에어 탱크(33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다. 에어 탱크(33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에어 실린더(32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압력이 가압부(310)를 가압하게 되고, 탈출 장치(100)는 비상 탈출 시 추진력을 얻는다. 따라서 비상시 에어 실린더(320)로 충분한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해서 에어 탱크(330) 내부의 에어 압력은 일정 압력 이상 유지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평상시 에어 컴프레서(340)가 에어 탱크(330)의 내부 압력을 상시 유지시킨다. 또한, 에어 탱크(330) 및 에어 컴프레서(340)는 탈출 장치(100)를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이 아니므로, 비상시 탈출 장치(100)로부터 분리되어 해양 구조물(10) 내부에 남을 수 있다.
상기 공압식 구동부(300)의 장점은,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정전(blackout) 등 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시에도 구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탈출 장치(100)는 공압식 구동부(300)에 의해 발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정전 등 비상시에도 탈출 장치(100)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방식(예를 들어, 무정전 전원 장치로 전력을 공급받아 탄성 스프링으로 탈출 장치(100)를 구동시키는 방식)을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부(300)에 의해 추진력을 받은 탈출 장치(100)는 탈출구(200)를 통과한 뒤 가이드 레일(70)을 따라 해양 구조물(10) 밖으로 배출된다. 비상시 가이드 레일(70)을 따라서 탈출 장치(100)가 이동하므로, 탈출 장치(100)는 해상으로 안전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도 1의 1 및 도 3의 2 참조)은 비상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S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비상시 작업자를 해양 구조물(10)로부터 탈출시키기 위해, 비상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비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양 구조물(10) 내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예를 들어, 화재 또는 기울기 감지)와, 다수의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기초로 해양 구조물의 비상 상황 여부를 판단(S520)할 수 있다. 비상 상황인 경우, 해양 구조물(10) 내의 작업자에게 대피 안내 또는 대피 신호가 전달된다. 이와 같은 대비 안내 또는 대피 신호가 전달된 후에 작업자가 탈출부(101)에 승선하는 단계(S53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1, 2)은 작업자가 모두 탈출 장치(100)의 탈출부(101)에 승선했다고 판단(S540)되는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밀 도어(120)를 밀폐하는 단계(S550)가 포함할 수 있다.
개방되어 있는 수밀 도어(120)가 있는지 판단(S560)하여, 개방된 수밀 도어(120)가 없다고 판단(S560)되는 경우에, 탈출 장치(100)를 해양 구조물(10)로부터 분리시켜 배출하기 위해 탈출구(200)를 개방하는 단계(S570)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탈출구(200)가 개방되었다고 판단(S580)된다면, 탈출부(101)는 해양 구조물(10)로부터 분리되어 해상으로 배출된다(S59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비상 탈출 시스템 10: 해양 구조물
50: 이동로 70: 가이드 레일
100: 탈출 장치 101: 탈출부
110: 출입구 120: 수밀 도어
130: 부력 부재 200: 탈출구
210: 배출 도어 300: 구동부
310: 가압부 320: 에어 실린더
330: 에어 탱크 340: 에어 컴프레서

Claims (6)

  1. 해양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밀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해양 구조물의 이동로와 연결되는 탈출 장치; 및
    상기 해양 구조물의 일측에 형성된 탈출구를 포함하고,
    평상시에, 상기 탈출 장치는 작업자의 거주 또는 이동 경로로 사용되고,
    비상시에, 상기 탈출 장치 내로 작업자가 대피한 후 상기 수밀 도어를 밀폐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고, 상기 탈출구를 통해서 상기 탈출 장치가 상기 해양 구조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되는 비상 탈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비상시에, 상기 탈출 장치를 이동시켜 상기 탈출구를 통해 상기 해양 구조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탈출 장치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비상시 상기 가압부를 밀어내어 상기 탈출 장치를 상기 해양 구조물로부터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에어 실린더와, 상기 에어 실린더가 작동하도록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는 에어 탱크와, 상기 에어 탱크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평상시 상기 탈출구를 밀폐시키고, 비상시 상기 탈출구를 개방시켜 상기 탈출 장치를 배출시키는 배출 도어를 더 포함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장치 하단에 설치되는 부력 부재를 더 포함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에 연결되고, 비상시 상기 탈출 장치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해양 구조물 밖으로 안전하게 배출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
KR1020170081125A 2017-06-27 2017-06-27 비상 탈출 시스템 KR20190001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125A KR20190001313A (ko) 2017-06-27 2017-06-27 비상 탈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125A KR20190001313A (ko) 2017-06-27 2017-06-27 비상 탈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13A true KR20190001313A (ko) 2019-01-04

Family

ID=6501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125A KR20190001313A (ko) 2017-06-27 2017-06-27 비상 탈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3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501B1 (ko) 선박 거주구의 비상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US8985251B2 (en) Mobile refuge chamber
KR100554491B1 (ko) 대피처
NO321484B1 (no) Fartoy for flytende produksjon, lagring og lossing, med intern dreieskiveforankring med et system for eksplosjonsforhindring
JP2013533162A (ja) デリックを有する極地用船舶
KR20200033575A (ko) 비상 탈출 시스템
KR20190001313A (ko) 비상 탈출 시스템
KR200482501Y1 (ko) 선박 거주구용 비상 탈출 창문
KR101647406B1 (ko) 밀폐형 데릭 구조의 압력 유지 시스템
KR101890493B1 (ko) 조난 선박용 응급조치장치
WO2012067329A1 (ko) 밀폐형 데릭구조의 온도 및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139242A (ko) 선박용 침몰 구조 시스템
KR20220050363A (ko)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337825B1 (ko)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WO2012060528A1 (ko) 밀폐형 데릭의 댐퍼구조
KR101340344B1 (ko) 군함의 화생방전 대비 자동 폐쇄식 현창
KR101945391B1 (ko) 비상 탈출 시스템
AU2014202600B2 (en) Change over station and method
KR102360934B1 (ko) 건축물 소방용 화재감지장치
KR102006901B1 (ko) 해상플랫폼용 개인 긴급 탈출 장치
KR102676420B1 (ko) 대피로 경로 유도 시스템
CN103313910A (zh) 用于极地船的封闭式钻塔结构
KR20140048412A (ko) 시추 설비 폭발 방지장치
KR200483927Y1 (ko) 해양 구조물의 대피시설물
KR20190073982A (ko) 자동 발사형 구명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