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363A -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363A
KR20220050363A KR1020200133958A KR20200133958A KR20220050363A KR 20220050363 A KR20220050363 A KR 20220050363A KR 1020200133958 A KR1020200133958 A KR 1020200133958A KR 20200133958 A KR20200133958 A KR 20200133958A KR 20220050363 A KR20220050363 A KR 20220050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fire
tunnel
underwater float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규
이호형
이성원
심승보
Original Assignee
(주)주성지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성지앤비 filed Critical (주)주성지앤비
Priority to KR102020013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0363A/ko
Publication of KR2022005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blowing air or gas currents with or without dispers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Apparatus therefor, e.g. f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67Floating tunnels; Submerged bridge-like tunnels, i.e. tunnels supported by piers or the like above the water-be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21F17/18Special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발생등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수중 플로팅 터널 내의 피난대피장소에서 탈출정 탑승을 위해 대기 중인 피난자의 상태를 감시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Apparatus for protecting refuge person from disaster in underwater floating tunnel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등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수중 플로팅 터널 내의 피난대피장소에서 탈출정 탑승을 위해 대기 중인 피난자의 상태를 감시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중 플로팅 터널은 깊은 해구나 조산대를 피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이상 해저 지반을 뚫고 나아갈 수 없는 경우나, 해구나 조산대를 완벽하게 피할 수 있는 지점의 해저 지반에서 바닷물 쪽으로 뚫고 나와 수중 플로팅 터널로 연결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수중 플로팅 터널은 중력과 부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터널 구조물을 물속에 놓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텐션 레그(tension leg), 폰툰(pontoons), 컬럼 서포트(column support), 프리(free)의 네 개 구간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중 플로팅 터널의 경우, 항상 부력과 해수의 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형태의 터널에 비해 관리해야 할 사항들이 많다.
이러한 수중 플로팅 터널을 시공할 때에는, 바다나 하천 위로 통하는 환기구 또는 인명 보호 용도로 설비 공간부를 함께 설치하여야 한다. 설비 공간부는 공사 중에는 터널 내부를 환기시켜 각종 유해 가스와 장비의 배기가스로 인하여 오염된 공기를 작업자들의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허용범위 이하로 유지하고 가연성 가스로 인한 폭발 위험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수중 터널 운영시에는 차량이나 철도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희석시켜 터널 외부로 배출시키고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넣어주는 환기구의 역할뿐만 아니라 긴급시 인명 탈출구 또는 대피 장소로서의 역할도 한다.
그러나 수중 플로팅 터널은 터널의 일부 구간에서 화재나 외벽이 파손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터널 구조물의 대규모 피해로 확산되는 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다. 터널 내 화재 발생 시 매연이나 유해 가스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터널 상부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인명의 신속한 탈출이 용이하지 않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중 플로팅 터널 내부에서 비상상황 발생시 피난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1491호(등록일 2012년 12월 0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1486호(등록일 2012년 12월 0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화재발생등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수중 플로팅 터널 내의 피난대피장소에서 탈출정 탑승을 위해 대기 중인 피난자의 상태를 감시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해저면과 해수면 사이에, 수중에 부유 방식으로 설치되어 육지의 철도와 도로를 연결하는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로서,
피난대피공간과 터널 내부를 분할하는 벽체에 설치되는 피난문이 오픈(open)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 센서와; 터널 내부와 피난대피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 감지 센서와;
산소탱크에서 공기를 흡입해 화재방향으로 분사시켜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연장치와; 피난대피공간과 맞닿는 상부에 설치되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물, 가스, 또는 파우더를 배출하는 스프링쿨러와;
피난대피공간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피난대피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구명장치와; 피난대피공간과 맞닿는 수중 플로팅 터널 벽체에 설치되는 해치 커버와 상기 해치커버를 구동시키는 해치구동장치와;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또는 그 역의 변환을 처리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외부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도어 감지 센서와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피난대피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피난대피공간에서 화재 발생 시 스프링쿨러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터널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제연장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카메라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긍정이면 구명장치를 사용하는 비상상태메시지를 상기 오디오 출력부 통해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탈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피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의 구명장치는, 피난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피난 제어 장치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하는 캡슐형 탈출정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과 통화 호를 연결하는 비상전화기와, 위치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무선위치정보송출기가 마련되는 구명조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구동방법은, 도어 감지 센서와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피난대피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피난대피공간에서 화재 발생 시 스프링쿨러를 구동하고 터널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제연장치를 구동하는 단계와;
카메라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피난대피공간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긍정이면 구명장치를 사용하는 비상상태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구동장치로부터 탈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치커버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도어 감지 센서와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피난대피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피난대피공간에서 화재 발생 시 스프링쿨러를 구동하고 터널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제연장치를 구동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터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가 피난대피공간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피난대피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피난대피공간에 대피한 피난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카메라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피난대피공간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긍정이면 구명장치를 사용하는 비상상태메시지를 출력하고, 구동장치로부터 탈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치커버를 개방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피난대피장소에서 탈출정 탑승을 위해 대기 중인 피난자의 상태를 감시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안전하게 피난자를 탈출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의 탈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의 탈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은 일례로, 수중에 부유방식으로 설치되어 지하공간의 철도와 도로를 연결하는 원형의 수중 플로팅 터널 구조체(100)가 제공된다. 즉 원형의 수중 플로팅 터널 구조체(100)는 해저면과 해수면 사이에, 수중에 부유 방식으로 설치되어 육지의 철도와 도로를 연결한다.
원형의 수중 플로팅 터널 구조체(100)는 상하로 공간부가 이분할된 상태로 상부 공간부는 예를 들어 자동차 도로(120)로 구성되고, 하부 공간부는 기차 선로(130)로 구성될 수 있다. 자동차 도로(120)의 상부 또는 기차 선로(130)의 하부 공간부에는 환기구와 자동차 도로(120)와 기차 선로(130)의 격벽 좌측에는 전기 등 수중 플로팅 터널 운용에 필요한 각종 설비가 배치될 수 있도록 설비 공간부(140)가 마련된다.
수중 플로팅 터널 구조체(100)의 내부에는 측벽과 철도 및 도로와 각각 구획되게 형성되는 피난 공간부(110)가 마련된다. 피난 공간부(110)에는 화재발생등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수중 플로팅 터널 내의 피난자를 안전한 피난대피장소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시켜서 보호할 수 있는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가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수단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비상 탈출수단은 일례로, 공기압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사대(210)에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어큐물레이터(도면 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캡슐형 탈출정(220)을 전방으로 밀어 발사하기 위한 압축공기가 저장된다.
이 때, 상기 발사대(210)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 구조로 되고, 상기 발사대(210)의 중공 내부에 캡슐형 탈출정(220)이 장전된다. 또한 상기 캡슐형 탈출정(220) 전방에는 플로팅 터널 구조체(100)에 형성된 개구(2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해치(23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해치(230)와 발사대(210)의 개구(210a)와 접하는 부분에는 씰링부재(230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사시 상기 캡슐형 탈출정(220)이 발사대(210)로부터 전방으로 발사시 해치(230)가 개방된 상태이거나 압축공기가 분사될 때 분사압력에 의해 해치(230)가 동시에 개방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즉, 상기 공기압축식 발사대(210)는 발사대(10)의 후방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캡슐형 탈출정(220)이 개구(210a)를 통해 수중으로 발사되며, 수중으로 발사된 이후에는 캡슐형 탈출정(220) 내부의 공기에 의해 수면으로 떠오르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공기압축식 발사시스템 및 해치 등의 개폐 구조는 당업계에서 익히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300)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피난 제어 장치와 부속물로 구현될 수 있다.
피난 제어 장치는 수중 플로팅 터널 내부와 피난대피공간 내부를 감시하는 감시 프로그램과 제어명령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롬과 램과 같은 저장매체가 일체로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피난 제어 장치는 터널 내부에 수십 m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고, 수중 플로팅 터널에 수십 m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피난대피공간 마다 설치될 수 있다.
부속물은 피난문(310), 도어 감지 센서(311), 화재 감지 센서(320), 제연장치(330), 스프링쿨러(340), 카메라(350), 구명장치(360), 해치구동장치(370), 오디오 입출력부(380), 및 통신부(39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피난문(310)은 수중 플로팅 터널에 수십 m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피난대피공간과 터널 내부를 분할하는 벽체에 설치된다. 피난문(310)은 푸쉬 손잡이가 설치되어 눌림을 감지하여 개방될 수 있다. 피난문 정지장치는 바닥에 고정하는 고정구멍을 갖는 고정대의 상측에 발로 밟아 구동하는 작동대가 시이소 형태로 설치되며 고정레칫가 “ㅓ”형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어 감지 센서(311)는 적외선 발광부와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현되며, 피난문(310)이 오픈(open)되면 적외선 발광부에서 조사된 적외선이 차단되어 적외선 수광부에서 피난문 오픈 신호를 피난 제어 장치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피난대피공간은 최대 10명까지 수용할 수 있는 임시공간부로서, 피난자의 상태를 감시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전화기와 렌턴과 응급치료품과 스프링쿨러와 카메라와 방화마스크와 구명조끼와 탈출정이 구비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320)는 터널 내부 측벽에 수 십m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화재 감지 센서(320)는 화재로 인한 연기와 화염을 감지한다. 예컨대 화재 감지 센서(320)는 불꽃감지기, 연기감지기, 또는 광학식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320)는 다른 예로, 피난대피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피난 제어 장치는 터널 내부 및/또는 피난대피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제연장치(330)는 산소탱크에서 공기를 흡입해 화재방향으로 분사시켜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으로, 송풍기(321)와 복수의 분사구멍을 갖는 제연문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프링쿨러(340)는 피난대피공간과 맞닿는 상부에 설치되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물, 가스, 또는 파우더를 배출한다.
카메라(350)는 피난대피공간 내부를 촬영하는 것으로, 렌즈체와 촬상부와 데이터 변환부로 구성되며, 렌즈체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촬상부에 의해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촬상부는 렌즈체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꿔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촬상부는 통상 CMOS 촬상소자 또는 CCD 촬상소자로 구성되며, 각 픽셀별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클럭에 동기시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공지의 소자이다. 데이터 변환부는 촬상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밝기에 비례한 전류 또는 전압을 약간의 처리를 거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데이터값을 YUV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부는 주지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JPEG 포맷으로 압축하거나 MPEG 포맷으로 압축하는 코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명장치(360)는 캡슐형 탈출정, 비상마스크, 및 구명조끼를 포함한다. 캡슐형 탈출정은 피난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피난 제어 장치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구명조끼에는 위치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무선위치정보송출기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수중 플로팅 터널 외부로 탈출한 경우, 해양구조대는 무선위치정보송출기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피난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해치구동장치(370)는 피난대피공간과 맞닿는 수중 플로팅 터널 벽체에 각각 좌우로 여닫는 방식으로 피난대피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2개의 해치커버를 구동한다. 해치커버의 하부면에 패킹이 부착되어 밀폐 및 방수를 유지한다.
해치구동장치(370)는 해치커버를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장치가 각 해치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는데, 작동장치는 한 쌍의 피니언과 고정 랙기어를 포함하되, 어느 하나의 피니언은 고정 랙기어에 연동되지만, 다른 하나의 피니언은 해치 커버의 랙기어에 연동된다. 작동장치 내부에는 유압모터가 장착되어 있어서, 피니언을 회전 구동하게 되면, 피니언에 연동된 랙기어가 직선이동하게 되므로 해치 커버가 수평직선 이동하게 된다.
오디오 입출력부(380)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또는 그 역의 변환을 처리하며, 오디오 증폭회로나 필터와 같은 부가회로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성이다.
통신부(390)는 외부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과 통신하는 장치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파워 온(ON) 후, 미리 저장된 감시프로그램을 로딩하여 구동한다(S41).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피난문이 오픈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2). 단계 4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피난문이 오픈되면 도어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게 됨으로써 피난문이 오픈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4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피난대피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4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피난대피공간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게 됨으로써 피난대피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피난대피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피난대피공간에 설치된 스프링쿨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44). 물론 스프링쿨러는 별도의 구동제어신호 없이도,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구동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단계 43에서 판단결과 피난대피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45, 즉 터널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터널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연장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46).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44, 단계 45, 단계 46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피난대피공간에 설치된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51).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2).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단계 5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비상상태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비상상태메시지는 미리 저장된 안내방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상태메시지는 구명조끼의 비치위치와 사용방법, 비상전화기의 위치와 사용방법, 캡슐형 탈출정의 위치와 사용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구명장치가 작동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4). 구명장치는 캡슐형 탈출정, 비상마스크, 및 구명조끼를 포함한다. 캡슐형 탈출정은 피난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피난 제어 장치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구명조끼에는 위치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무선위치정보송출기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수중 플로팅 터널 외부로 탈출한 경우, 해양구조대는 무선위치정보송출기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피난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단계 5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구명장치가 작동한다고 판단되면, 해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55). 예를 들어, 피난 제어 장치는 캡슐형 탈출정으로부터 탈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5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 피난대피구간 내에 비상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통화 연결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521). 이후 피난문이 잠겼는지를 판단한다(S522).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는 판단결과 피난문이 잠겼다면, 감시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단계 41을 진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해저면과 해수면 사이에, 수중에 부유 방식으로 설치되어 육지의 철도와 도로를 연결하는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로서,
    피난대피공간과 터널 내부를 분할하는 벽체에 설치되는 피난문이 오픈(open)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 센서와; 터널 내부와 피난대피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 감지 센서와;
    산소탱크에서 공기를 흡입해 화재방향으로 분사시켜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연장치와; 피난대피공간과 맞닿는 상부에 설치되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물, 가스, 또는 파우더를 배출하는 스프링쿨러와;
    피난대피공간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피난대피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구명장치와; 피난대피공간과 맞닿는 수중 플로팅 터널 벽체에 설치되는 해치 커버와 상기 해치커버를 구동시키는 해치구동장치와;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또는 그 역의 변환을 처리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외부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도어 감지 센서와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피난대피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피난대피공간에서 화재 발생 시 스프링쿨러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터널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제연장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카메라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긍정이면 구명장치를 사용하는 비상상태메시지를 상기 오디오 출력부 통해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탈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치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피난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구명장치는,
    상기 피난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피난 제어 장치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하는 캡슐형 탈출정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과 통화 호를 연결하는 비상전화기와,
    위치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무선위치정보송출기가 마련되는 구명조끼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3. 도어 감지 센서와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피난대피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피난대피공간에서 화재 발생 시 스프링쿨러를 구동하고 터널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제연장치를 구동하는 단계와;
    카메라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피난대피공간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긍정이면 구명장치를 사용하는 비상상태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구동장치로부터 탈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치커버를 개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구동방법.
KR1020200133958A 2020-10-16 2020-10-16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220050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58A KR20220050363A (ko) 2020-10-16 2020-10-16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58A KR20220050363A (ko) 2020-10-16 2020-10-16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363A true KR20220050363A (ko) 2022-04-25

Family

ID=8145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958A KR20220050363A (ko) 2020-10-16 2020-10-16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03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99159A (zh) * 2023-09-12 2023-10-20 西南交通大学 一种基于gis和bim的高海拔特长隧道的建设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86B1 (ko) 2010-10-25 2012-12-18 한국해양연구원 현수식 해중터널
KR101211491B1 (ko) 2010-10-22 2012-12-18 한국해양연구원 사장식 초장대 해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91B1 (ko) 2010-10-22 2012-12-18 한국해양연구원 사장식 초장대 해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211486B1 (ko) 2010-10-25 2012-12-18 한국해양연구원 현수식 해중터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99159A (zh) * 2023-09-12 2023-10-20 西南交通大学 一种基于gis和bim的高海拔特长隧道的建设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774B1 (ko)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20140020970A (ko) 전복된 선박으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시스템
CN105378808B (zh) 疏散引导通知装置及系统
KR20190023580A (ko)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US903579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worksites
US7174844B2 (en) Simulator and method for performing underwater submarine escape training
KR20190024856A (ko)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KR20220050363A (ko)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554491B1 (ko) 대피처
KR20200033575A (ko) 비상 탈출 시스템
KR102337825B1 (ko) 수중 플로팅 터널의 피난자 보호장치
KR101123488B1 (ko) 선박의 화재 및 침수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하는 능동형 안전시스템
RU2681479C1 (ru) Подводный объект с транспортным модулем для внешней передачи людей и грузов
KR20180115649A (ko) 휴대가 용이한 수해 구조용 구명기구 발사장치
CN112508757A (zh) 基于大数据处理与分析的智慧城市防洪避险方法及其系统
WO2018138835A1 (ja) 津波シェルター機能付低圧室
KR20170071462A (ko) 선박의 생존 시스템
KR20230027524A (ko)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RU99888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подготовки экипажа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KR200260989Y1 (ko) 무인 인명 구조 보트
KR102455865B1 (ko) 자동 발사형 구명 장치
RU2015129779A (ru) Средство спасания подвод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дъема на поверхность
EP3970807A1 (en) A protective enclosure apparatus
KR102210078B1 (ko) 인명구호 시스템을 갖는 선박
KR101977838B1 (ko) 사다리를 가지는 선박용 비상 유도등